하윤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윤원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1342년 진사에 급제하여 전교교감에 보임되었다. 공민왕 때 사헌부 감찰대부로 재임하며 청렴함으로 칭송받았으며, 경상도 등 4도의 안찰사로 백성들의 고충을 살피고 선정을 베풀었다. 홍건적의 침입과 개경 함락 시에는 개경 수복에 기여하여 수충좌리공신이 되었으며, 이성계, 정세운과 함께 홍건적을 토벌했다. 우왕 초에는 예문관 제학, 사헌부 대사헌을 역임하며 청렴하게 공무를 수행했고, 우왕으로부터 진산부원군에 봉해졌다. 또한, 신돈이 권세를 부릴 때에도 바른 기품을 잃지 않았으며, 모친상 중 시묘살이 중 사망했다. 이색, 정몽주, 길재와 교우 관계를 맺었으며, 후손으로는 하승무, 하경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양광도안찰사 - 배극렴
배극렴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자 정치인으로, 왜구 토벌과 위화도 회군에 공을 세워 조선 건국에 기여하고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하윤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진산부원군 하윤원 晉山府院君 河允源 |
출생일 | 1322년 |
출생지 | 고려 경상도 진주 여사촌 |
사망지 | 고려 개경 |
사망일 | 1376년 (55세) |
임기 | 1369년 3월 1일 ~ 1375년 9월 30일 |
국적 | 고려 |
본관 | 진양(晉陽) |
별명 | 자 담지(湛之) 호 고헌(苦軒) |
학력 | 1342년 진사 입격 1342년 식년문과 장원 급제 |
군주 | 고려 충정왕 고려 공민왕 왕기 고려 우왕 왕우 |
직책 | 고려국 사헌부 대사헌 (高麗國 司憲府 大司憲) |
섭정 | 영문하부사 신돈 심왕 탈탈불화 공원왕태후 남양 홍씨 |
정당 | 무소속 |
경력 | 문관 |
종교 | 유교(성리학) |
배우자 | 청주 한씨 부인 |
서훈 | 수충좌리공신(개경수복 2등 공신) 중대광보국숭록대부 진산부원군 |
자녀 | 하유종(장남) 하자종(차남) 하계종(삼남) |
부모 | 하즙(부), 철성 이씨 부인(모) |
2. 생애 및 활동
1342년 진사를 거쳐 문과(을과)에 급제하여 전교교감에 보임되었다. 공민왕 때 사헌부 감찰대부를 지냈으며, 신돈이 왕의 신임을 등에 엎고 권세를 부릴 때에도 다른 신하들이 신돈에게 아첨하는 와중에 홀로 공직자의 바른 기품과 자세를 잃지 않았다.
2. 1. 목민관으로서의 업적
공민왕 때 사헌부 감찰대부 재임 시 모든 관원으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왕명으로 경상도(慶尙道)·서해도(西海道)·양광도(楊廣道)·교주도(交州道) 등 4도(道) 안찰사로 백성들의 고충을 살펴 선정을 베푸는 목민관으로 이름을 날렸다. 원주목사와 상주목사, 경상도관찰사(충정왕)[1]를 역임했다.2. 2. 홍건적 격퇴와 개경 수복
1361년(공민왕 10년) 10여만 명의 홍건적이 침입하여 개경이 함락되자, 공민왕은 복주(福州: 지금의 안동)로 몽진하였다. 1362년 무예가 출중하여 전리총랑(典理摠郎)으로 총병관 정세운을 비롯하여 안우, 이방실, 최영 등 여러 장수와 함께 개경을 수복하는 데 공을 세웠다. 1363년 수충좌리공신이 되었다. 또한 강주원수로 있을 때 이성계, 정세운과 함께 홍건적을 토벌하였다.[1]2. 3. 대사헌 재임과 죽음
공민왕 때 사헌부 감찰대부(監察大夫)를 지내며 모든 관원으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우왕 초에는 예문관 제학을 거쳐 사헌부 대사헌(大司憲)에 올라 "知非誤斷皇天降罰" (잘못된 것을 알고서 그릇 판단한다면 하늘이 벌을 내릴 것이다)이라는 글귀를 걸어 놓고 공무를 청렴하게 수행하였으며, 우왕으로부터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에 봉해졌다.[2]공민왕 때 신돈(辛旽)이 왕의 신임을 등에 엎고 권세를 부릴 때에도, 다른 신하들이 신돈에게 아첨하는 와중에 홀로 공직자의 바른 기품과 자세를 잃지 않아 그의 청렴성과 강직성을 엿볼 수 있다.[2]
1375년(우왕 1) 대사헌으로 집무하던 중 모친상을 당하여 묘 옆에서 시묘살이를 하다가 여막에서 사망할 정도로 효성이 지극했다. 집안 대대로 내려온 충효 정신을 그의 자손들은 조선조에 출사한 이후에도 그대로 이어받아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를 다하는 충효일치(忠孝一致)의 가풍을 이어나갔으며, 고려와 조선 양 왕조에서 명문가의 가명(家名)을 떨쳤다.[2]
3. 교우 관계
이색, 정몽주, 길재와 매우 친한 친구 사이였다. 하윤원이 강주원수(康州元帥)로 있을 때 이색이 시문(詩文)으로 그를 위로했고, 정몽주는 그가 원주목사(原州牧使) 임기를 마치고 내직으로 전임될 때 시문(詩文)으로 칭송할 정도였다.[1]
4. 상훈 및 업적
- 수충좌리공신(개경수복 2등 공신)[1]
- 우왕의 기복교서(起復敎書)[2]
- 중대광보국숭록대부(重大匡輔國崇祿大夫)[3]
-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 봉작[4]
5. 가계
- 조부: 하직의
- 아버지: 하즙
- 어머니: 철성 이씨
- 부인: 청주 한씨
- * 장남: 하유종(경산부사)
- ** 손자: 하윤(사헌부 지평)
- * 차남: 하자종(병부상서)
- ** 손자: 하왕(병조판서)
- ** 손자: 하형(관찰사)
- ** 손자: 하연(영의정)
- ** 손자: 하결(대사간)
- ** 손자: 하보(河溥)
- * 삼남: 하계종(문경군사)
- ** 손자: 하숙(서주목사)
- ** 손자: 하척(창녕현감)
- ** 손자: 하중용(병마도절제사)
5. 1. 직계 후손
참조
[1]
문서
경상도영주제명기서(慶尙道營主題名記 序)
[2]
논문
河承武의 晉陽河氏 家門人物硏究(2015)
[3]
웹인용
'한국신학교육자상'수상 연합뉴스
http://m.yna.co.kr/k[...]
2018-05-15
[4]
웹인용
한국신학교육자상 수상 매일종교신문
http://m.dailywrn.co[...]
2018-05-15
[5]
웹사이트
하승무 가문, 부산지역 유일, 대한민국 병역명문가 선정
http://m.viva100.com[...]
[6]
뉴스
전주서 하경덕 박사 탄생 110주년 학술대회 연합뉴스
http://m.news.naver.[...]
[7]
뉴스
'이홍구 칼럼' 하경덕의『사회법칙』80주년 중앙일보
http://mnews.join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