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지왕은 479년 중국 남조 제에 조공한 "가라국왕 하지"를 지칭하며, 남제서에 "보국장군·본국왕"으로 책봉된 인물이다. 하지왕의 정체에 대해서는 금관가야 왕 설과 대가야 왕 설이 존재하며, 정약용은 금관가야 수로왕의 후손으로, 일부 일제강점기 사학자들은 금관국의 왕으로 비정했다. 반면, 가락국기 기록 부재와 백제와의 관계를 근거로 대가야의 가실왕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당시 가야는 금관가야를 시작으로 대가야가 맹주가 되어 동아시아 해상 교통 요충지로서 중국, 왜국과 교류했으며, 562년 신라에 의해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가야 국왕 - 이진아시왕
이진아시왕은 삼국사기 지리지에 대가야의 시조로 기록되었으며, 42년에 고령 지방을 중심으로 대가야국을 건국했고, 6세기 초 가락국 쇠퇴 이후 세력을 떨치다 신라에 의해 멸망했다. - 대가야 국왕 - 이뇌왕
이뇌왕은 대가야의 왕으로, 백제와 신라의 공격을 받아 신라와 친선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왜와의 우호 관계도 맺었지만, 결국 백제와의 관계를 강화했다. - 5세기 한국의 군주 - 장수왕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즉위 후 연호를 사용하고 광개토대왕릉비 등을 건립하여 고구려의 위상을 드높였으며, 평양으로 천도하여 남진 정책을 추진하고 백제를 공격하여 한반도 중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다가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5세기 한국의 군주 - 아신왕
아신왕은 백제 제17대 국왕으로, 고구려의 침략에 맞서 왜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등 국운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전쟁에서의 패배로 백제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삶과 결정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하지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하지왕 |
원래 이름 | 하지왕 |
본명 | 미상 |
다른 이름 | 미상 |
즉위 | 하지왕(荷知王) |
별명 | 미상 |
출생일 | 생년 미상(生年 未詳) |
출생지 | 미상 |
사망일 | 몰년 미상(沒年 未詳) |
사망지 | 미상 |
재위 | 479년~ ? |
매장지 | 미상 |
왕비 | 미상 |
자녀 | 미상 |
부왕 | 미상 |
모후 | 미상 |
전임자 | 미상 |
후임자 | 미상 |
능릉 | 미상 |
묘호 | 미상 |
시호 | 미상 |
종교 | 미상 |
가문 | 미상 |
왕조 | 대가야(大伽倻) |
연호 | 미상 |
목록 | 대가야 국왕 |
한국어 정보 | |
한글 | 하지왕 |
한자 | 荷知王 |
히라가나 | かちおう |
로마자 표기 | Hachi-wang |
역사적 기록 | |
기록 | 남제서 |
저자 | 소도성 |
날짜 | 479년 |
제목 | 南齊書 |
번역 제목 | 남제서 |
장 | http://zh.wikisource.org/wiki/%E5%8D%97%E9%BD%8A%E6%9B%B8/%E5%8D%B758#%E5%8A%A0%E7%BE%85%E5%9C%8B |
권 | 권 58 열전(列傳) 제39 만(蠻) |
2. 칭호와 기록
정약용은 하지왕을 금관가야 수로왕의 후손으로 추정했다.[4] 금관가야의 왕들 중 6대 좌지왕(坐知王), 8대 질지왕(銍知王), 9대 겸지왕(鉗知王)처럼 이름에 '지(知)'자가 들어가는 왕들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하지왕이 이들 중 한 명일 것이라고 보았다.[5]
하지왕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제기되었다.
일제강점기 일부 사학자들도 하지왕을 금관국의 왕으로 보았다. 이마니시 류는 일본어 발음상 '겸(鉗)'과 '하(荷)'의 발음이 유사하다는 점을 들어 하지왕을 9대 겸지왕과 동일인물로 파악했다. 그러나 겸지왕의 재위기간이 남제의 기록과 맞지 않자, 가락국기의 연대가 잘못되었다고 주장했다.[6] 무라카미 요시오는 재위기간이 맞는 제8대 질지왕이라고 주장했다.[7]
현대에는 금관국의 활발한 해상교역 능력을 강조하며 하지왕을 금관국의 왕으로 보기도 한다.[8] 가락국기에 하지와 동일한 왕명이 없고, 당시 백제가 남제와 교류하고 있었으므로, 고령 지역의 가야 세력이 백제의 사신을 따라 남제와 교류한 것으로 파악했다.[9] 가야제국 중에서 대외적으로 "가라"를 칭할만한 강성한 세력으로 5세기 후반에 가장 왕성했던 대가야를 지목했고, 하지왕을 대가야의 가실왕으로 보았다.[10]
변한은 3세기에 가야 제국이라 불리는 소국가군이 되었고, 초기에는 금관가야, 5세기 후반에는 대가야가 맹주가 되었다.[2] 동아시아 해상 교통의 요충지라는 지리적 특징을 살려 왜국이나 중국과도 교류했고, 479년에 "가라국왕 하지"가 중국남조제에 조공하여 "보국장군·본국왕"으로 책봉되었다.[1]
3. 정체에 대한 논쟁
정약용은 금관가야 수로왕의 후손으로 보았는데, 금관가야의 왕들 중 6대 좌지왕, 8대 질지왕, 9대 겸지왕 등과 같이 이름에 '지(知)'자가 들어가는 왕들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하지왕이 이 세 명의 왕들 중 한 명일 것이라고 추정했다.[4][5]
일제강점기의 일부 사학자들도 하지왕을 금관국의 왕으로 보았는데, 이마니시 류는 일본어 발음상 '겸(鉗: ゲノ)'과 '하(荷: ゲ)'의 발음이 유사하다는 점을 들어 9대 겸지왕과 동일인물로 파악했다. 그러나 겸지왕의 재위 기간이 남제서의 기록과 맞지 않자 가락국기의 연대가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했다.[6] 그러자 무라카미 요시오는 재위 기간이 맞는 제8대 질지왕이라고 주장했다.[7]
반면, 가락국기에 보이는 금관가야 역대 왕명에는 하지와 동일한 이름이 없으며, 당시 백제가 남제와 교류하고 있었으므로 고령 지역에 위치한 가야 세력이 백제의 사신을 따라 남제와 교류했을 것으로 파악된다.[9] 5세기 후반대에 가장 왕성한 세력을 이루었던 대가야를 가야제국을 대표해서 중국과 직접 교류할 만한 위상을 갖춘 나라라고 보았으며, 하지왕의 정체를 대가야의 가실왕으로 파악하였다.[10]
현대에 들어서는 금관국의 활발한 해상 교역 능력을 강조하며 하지왕을 금관국의 왕으로 보기도 한다.[8] 변한은 3세기에 가야 제국이라 불리는 소국가군이 되었고, 초기에는 금관가야가 맹주였다.[2] 동아시아 해상 교통의 요충지라는 지리적 특징을 살려 왜국이나 중국과도 교류했고, 479년에 "가라국왕 하지"가 중국남조제에 조공하여 "보국장군·본국왕"으로 책봉되었다.[1]
3. 1. 금관가야 왕 설
정약용은 하지왕을 금관가야 수로왕의 후손으로 비정했는데, 금관가야의 왕들 중 6대 좌지왕(坐知王), 8대 질지왕(銍知王), 9대 겸지왕(鉗知王) 등과 같이 지(知)자가 들어간 이름을 사용하는 왕들이 등장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하지왕은 이 3명의 왕들 중 한 사람일 것이라고 추정했다.[4][5]
일제강점기 사학자 중 일부도 하지왕을 금관국의 왕으로 비정했는데, 이마니시 류는 일본어의 발음상 겸(鉗: ゲノ)과 하(荷: ゲ)의 발음이 유사하기 때문에 9대 겸지왕과 동일인물로 파악했다. 하지만 겸지왕의 재위기간이 남제서의 기록과 맞지 않는 문제가 생기자 가락국기의 연대가 잘못된 것이라 주장했다.[6] 그러자 무라카미 요시오는 재위기간이 맞는 제8대 질지왕이라고 주장했다.[7]
현대에 들어서 금관국의 활발한 해상교역 능력을 강조하면서 하지왕을 금관국의 왕으로 비정하기도 한다.[8] 변한은 3세기에 가야 제국이라고 불리는 소국가군이 되었고, 초기에는 금관가야가 맹주였다.[2] 동아시아 해상 교통의 요충지라는 지리적 특징을 살려 왜국이나 중국과도 교류했고, 479년에 "가라국왕 하지"가 중국남조제에 조공하여 "보국장군·본국왕"으로 책봉되었다.[1]
3. 2. 대가야 왕 설
가락국기에 보이는 금관가야 역대 왕명에는 하지와 동일한 이름이 없으며, 당시 백제가 남제와 통교하고 있었으므로 고령 지역에 위치한 가야 세력이 백제의 사신을 따라 남제와 통교했을 것으로 파악된다.[9] 가야제국에 속한 나라들 중에서 대외적으로 "가라"를 칭할 만한 강성한 세력으로 고고학적으로 볼 때 5세기 후반대에 가장 왕성한 세력을 이루었던 대가야를 가야제국을 대표해서 중국과 직접 통교할 만한 위상을 갖춘 나라라고 보았으며, 또한 하지왕의 정체를 대가야의 가실왕으로 파악하였다.[10]
4. 당시 가야의 정세
가야는 변한에서 비롯된 소국가군으로, 초기에는 금관가야, 5세기 후반에는 대가야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2] 동아시아 해상 교통의 요충지라는 지리적 특징을 살려 왜국이나 중국과도 교류했고, 479년 "가라국왕 하지"가 중국 남조 제에 조공하여 "보국장군·본국왕"으로 책봉되었다.[1] 하지만 신라와 백제의 틈바구니에서 시달린 가야는 562년 신라에 의해 멸망했다.[2]
참조
[1]
문서
"本国王」は前文の「加羅王」を受けた単なる代名詞であると考える研究者もある。大伽耶または金官国が他方に対抗して「我こそが伽耶の本国である」と主張したものと思われ、何らかの脱字があることも考えられる。斉は任那・加羅の都督号を与えた[[武 (倭王)|倭王武]]に配慮して国名を変更し、武より低い将軍号を与えている。[[鈴木武樹]]は『日本古代史99の謎』75 [[吉備上道田狭|吉備ノ田狭]]の反抗と「[[任那]]」 で「本国」は任那の中国語訳とする。『[[日本書紀]]』[[神功皇后]]62年条には加羅国王・己本[[旱岐]](こほ・かんき)が現れる。"
[2]
서적
7世紀以前の中国・朝鮮関係史
法政大学経済学部学会
2020-03-20
[3]
서적
南齊書
0479
[4]
서적
茶山詩文集
1985-01-01
[5]
서적
아방강역고
1811-01-01
[6]
서적
朝鮮古史の硏究
고노자와서점 (近澤書店)
1937-01-01
[7]
서적
朝鮮古代史硏究
개명서원(開明書院)
1978-01-01
[8]
서적
고대한일관계사
혜안
[9]
논문
三韓의 國家形成 (下) :「三韓攷 제3부
일지사
[10]
서적
가야연맹사
일조각
1993-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