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학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구는 학교의 관할 구역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1962년 교육법 개정으로 폐지되었으나,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공립학교를 운영하기 위한 독립적인 지역 정부 단위로, 학교 이사회가 행정 및 입법 권한을 갖는다. 일본에서는 공립학교 입학 및 통학을 위해 행정 구역을 세분화하여 학구를 지정하며, 홍콩과 이란 등에서도 유사한 시스템을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학구
지도 정보
개요
유형특수 지구
목적학교 운영
법적 권한
미국주법 및 지역 법률에 따라 설립됨
캐나다주법에 따라 설립됨
기타 정보
관련 개념학군
기타 이름학교 교육구
학교 구역
학교 운영 지구
교육구

2.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학구'는 대한민국 교육법에 따라 시, 군 단위로 설치되었던 공법인이었으나, 1962년에 교육법이 개정되면서 폐지되었다.[1]

2. 1. 초등학교 및 중학교

특히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아동·학생의 가정 형편 등으로 주소지가 아닌 다른 학군에 있는 학교에 입학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입학을 학교 밖 입학이라고 한다. 또한, 초등학교나 중학교가 폐교되어, 전학이라는 형태로 부득이하게 학교 밖 입학을 하는 경우도 있다.

2. 2. 고등학교

고등학교의 경우, 학구 내 학교보다 학구 외 학교가 통학 면에서 안전한 경우, 그러한 학구에 있는 학교에 입학을 인정하는 경우가 있다.

3. 미국

미국에서 공립 학교는 '학구'(school district)를 통해 운영되며, 이는 특수 목적 통치구나 독립 학교 시스템의 형태를 띤다. 대부분의 K-12(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공립학교는 지역 학교 학구 단위로 운영된다. 각 학구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운영하며, 대도시와 교외 지역의 큰 학구는 수백 개의 학교를 운영하기도 한다.

주마다, 그리고 주 내에서도 학구 운영 방식은 다르지만, 대부분의 미국 학교 학구는 주법에 의해 설정된 권한과 지리적 범위 내에서 독립적인 지역 정부 단위로 운영된다.[2] 이러한 독립 학교 학구는 법적으로 별개의 법인이자 정치 단체이다. 대부분의 학구는 K-12 공립 교육 운영 및 정책에 대한 독점적 권한을 가지며, 계약 체결, 수용권 행사, 학교 정책 및 운영 관련 규칙 및 규정 발표 등의 권한을 행사한다. 학구는 소송에 대비하여 전문 배상 책임 보험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2]

1930년에는 미국에 13만 개의 학구가 있었고 평균 학생 수는 150명이었다.[11] 1942년부터 1951년 사이에 학구 수는 108,579개에서 70,452개로 크게 감소했다.[12] 많은 주에서 학구 통폐합을 쉽게 하는 법률을 제정했기 때문이다. 1951년 당시 대부분의 학구는 초등 교육만 제공하는 농촌 지역에 있었고, 일부 학구는 학교를 운영하지 않고 다른 학교로의 통학 수단만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중서부 지역에 많은 수의 농촌 학구가 있었다.[5]

과거 알래스카의 비조직 자치구 지역은 학구의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알래스카 교육부가 직접 운영하는 학교와 미국 인디언 사무국(BIA) 학교가 서비스를 제공했다. 1971년 알래스카 주 의회가 알래스카 주립 운영 학교 시스템(SOS)을 설립하면서 주립 학교들이 이 시스템으로 이관되었다. 그러나 1975년에 SOS는 해체되었고, 그 학교들은 새로 설립된 알래스카 비조직 자치구 학구로 이관되었다가 이듬해 21개의 학구로 분할되었다.[13]

2016년에는 약 1만 3천 개의 학구가 있었고, 평균 학생 수는 약 5,000명이었다.[11] 2022년 미국 인구 조사국은 미국 내 학교 시스템 수를 다음과 같이 집계했다.[14]

유형개수
학구 정부12,546개
군(郡) 의존 학교 시스템571개
시(市) 의존 학교 시스템227개
주(州) 의존 학교 시스템36개
타운십(township) 의존 학교 시스템479개



미국의 학구는 2008년부터 2012년 사이 미국 대침체 기간 및 그 이후 부동산 세수 감소로 인해 직원 수가 3.3%(27만 명) 감소했다.[15]

3. 1. 학교 학구의 특징

미국에서 공립 학교는 '학구'(school district)라는 특수 목적 통치구나 독립 학교 시스템을 통해 운영된다. 대부분의 K-12(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공립학교는 지역 학구 단위로 운영되며, 학구는 여러 개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운영한다. 대도시나 교외 지역의 큰 학구는 수백 개의 학교를 운영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미국 학교 학구는 주법에 의해 만들어진 권한과 지리적 한계 내에서 독립적인 지역 정부 단위로 운영된다.[2] 학교 학구는 법적으로 별개의 법인이며, K-12 공립 교육 운영 및 정책에 대한 독점적 권한을 가진다.[2] 이들은 계약 체결, 수용권 행사, 학교 정책 및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규칙 제정 등의 권한을 가진다.

학구의 행정 및 입법 권한은 대부분 학교 학구의 교육위원회가 갖는다. 지역 교육위원회(일반적으로 '학교 이사회'라고 불림)의 구성원은 주법에 따라 선출되거나, 정치인에 의해 임명되거나, 직권으로 또는 이러한 방법들의 조합으로 활동할 수 있다. 학교 이사회는 직접 인민 투표로 선출될 수도 있고, 다른 정부 관리에 의해 임명될 수도 있다. 이들은 "이사회", "교육위원회", "학교 위원회"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학교 이사회는 학구의 최고경영자인 학교 교육감을 임명하거나 고용하여 학구 운영을 감독하게 한다. 교육감은 이사회의 정책을 감독하고 일상적인 운영, 결정 및 이행을 감독한다. 학교 이사회는 심각한 직원 또는 학생 징계 문제에 대해 준사법적 기능을 행사하기도 한다.

2023년 기준으로 대부분의 미국 주에서는 공립학교 학구가 운영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세금을 부과할 수 있다.[3] 메인주와 같이 일부 주에서는 일부 학구만 세금 부과 권한을 가지기도 한다.[3] 뉴욕주의 많은 학교 학구는 학구 거주자 또는 지방 정부의 과반수가 연간 예산을 승인해야 하지만, 학교 학구가 있는 버지니아주는 조세 권한이 없어 자금 조달을 위해 다른 지방 정부에 의존해야 한다.

학교 학구의 조세 및 지출 권한은 일반적으로 제한적이다. 학구는 소송에 대비하여 전문 배상 책임 보험을 유지한다.[2]

중서부서부의 학교 학구는 시 경계를 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뉴잉글랜드와 중대서양 연안 지역의 학교 학구는 도시, 타운십 및/또는 군 경계를 준수하는 경향이 있다.[4] 1951년 기준으로 26개 주에서 학교 학구는 독립적인 정부 단위였고, 17개 주에서는 독립 학교 학구와 지방 정부에 종속된 학교 학구가 혼합되어 있었으며, 9개 주에는 지방 정부에 종속된 학교 학구만 있었다.[5]

대부분의 남부 주에서는 학교 시스템이 군 정부의 일부로 운영되거나 최소한 주의 군과 공동 경계를 공유한다. 2010년 연구에 따르면 미국 중소 도시의 3분의 2는 단일 학교 학구와 경계가 상당히 겹치며, 뉴잉글랜드, 뉴저지, 버지니아에서는 거의 완벽하게 일치하지만, 일리노이, 텍사스, 플로리다에서는 거의 일치하지 않는다.[6] 이는 남부의 인종 차별이 학구 운영에 규모의 불경제를 부과하여 더 넓은 지역의 학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6]

뉴욕주에서는 대부분의 학교 학구가 세금을 부과하고 부채를 부담할 수 있는 별도의 정부 단위이지만, 인구 125,000명 이상의 5개 도시(버팔로, 로체스터, 시러큐스, 요커스, 뉴욕시)는 지방 자치 단체가 직접 학교를 운영한다.[7]

하와이주 교육부는 주 전체가 단일 학교 학구로 운영되는 독특한 경우이다.[8][9]

2021년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지역 학교 이사회를 선출하는 유권자의 인구 통계는 학생의 인구 통계와 다른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유색 인종이 다수인 관할 구역과 인종적 성취 격차가 큰 학교 학구에서 가장 두드러진다.[10]

3. 2. 역사

미국에서 대부분의 K-12 공립학교는 지역 학교 학구 단위로 운영된다. 학교 학구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초등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를 운영하며, 대도시와 교외 지역의 가장 큰 학구는 수백 개의 학교를 운영한다.[2] 대부분의 미국 학교 학구는 주법에 의해 만들어진 권한 부여 및 지리적 한계 내에서 독립적인 지역 정부 단위로 운영되며, 학교 학구의 교육위원회가 행정 및 입법 권한을 갖는다.[2] 교육위원회(일반적으로 '''학교 이사회'''라고 부름)의 구성원은 선출되거나, 정치인에 의해 임명되거나, 직권으로 또는 이러한 방법들의 조합으로 활동할 수 있다.

독립 학교 학구는 법적으로 별개의 법인 및 정치 단체이며, K-12 공립 교육 운영 및 정책에 대한 독점적 권한을 가진 독립적인 지역 정부 단위로 운영된다.[2] 학교 학구는 계약 체결, 수용권 사용, 학교 정책 및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구속력 있는 규칙 및 규정 발표 권한을 가지며, 합의금과 법적 책임을 지불하기 위해 전문 배상 책임 보험을 유지한다.[2] 2023년 기준으로 대부분의 미국 주에서는 공립학교 학구가 운영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세금을 부과할 수 있다.[3]

뉴욕주의 많은 학교 학구는 학구에 거주하는 유권자 또는 지방 정부의 과반수가 연간 예산을 승인해야 하지만, 학교 학구가 있는 버지니아주는 조세 권한이 없으며 자금 조달을 위해 다른 지방 정부(군, 시 또는 마을)에 의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학교 이사회"라고 불리는 학구의 지배 기구는 일반적으로 직접 인민 투표로 선출되지만 다른 정부 관리에 의해 임명될 수도 있다. 이 기구는 "이사회", "교육위원회", "학교 위원회" 등으로도 알려져 있을 수 있으며, 학구의 학교 교육감을 임명하거나 고용하여 학구의 최고경영자로서 기능하게 한다.

중서부서부의 학교 학구는 시 경계를 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뉴잉글랜드와 중대서양 연안 지역의 학교 학구는 도시, 타운십 및/또는 군 경계를 준수하는 경향이 있다.[4] 대부분의 남부 주에서는 학교 시스템이 군 정부의 일부로 운영되거나 최소한 주의 군과 공동 경계를 공유한다.

뉴욕주에서는 대부분의 학교 학구가 세금을 부과하고 부채를 부담할 수 있는 별도의 정부 단위이지만, 인구 125,000명 이상의 5개 도시(버팔로, 로체스터, 시러큐스, 요커스, 그리고 뉴욕시)는 지방 자치 단체가 직접 학교를 운영한다.[7] 하와이주 교육부는 주 전역의 단일 학교 학구로서 주들 중에서 독특하다.[8][9]

1930년 당시 미국에는 13만 개의 학구가 있었고, 평균 학생 수는 150명이었다.[11] 1942년부터 1951년까지 학구 수는 108,579개에서 70,452개로 감소하였다.[12] 많은 주들이 학구 통폐합을 용이하게 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 2016년에는 약 1만 3천 개의 학구가 있었고, 평균 학생 수는 약 5,000명이었다.[11]

2022년 정부 인구 조사에서 미국 인구 조사국은 미국 내 학교 시스템 수를 다음과 같이 집계했다.[14]

유형개수
학구 정부12,546개
군(郡) 의존 학교 시스템571개
시(市) 의존 학교 시스템227개
주(州) 의존 학교 시스템36개
타운십(township) 의존 학교 시스템479개


4. 유럽

잉글랜드 웨일스프랑스에서는 학군 제도가 폐지되었지만, 독일에서는 여전히 학군과 유사한 제도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탈리아에서는 과거에 운영된 적이 있다.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는 16개의 교육훈련위원회(ETB)가 일부 중등학교, 소수의 초등학교, 많은 고등 교육을 관리한다. 각 ETB 지역은 하나 이상의 지방 자치 단체 지역을 포함하며, 시 또는 군 의원들이 ETB 이사회의 대부분을 구성한다. ETB는 2005년에 1930년에 설립된 지방 자치 단체 지역 기반의 직업 교육 위원회를 통합하여 설립되었다.

4. 1. 잉글랜드와 웨일스

1870년에 학교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1902년에 폐지되어 주의회와 주 자치구 의회가 지방 교육 당국이 되었다.[24]

4. 2.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2007년을 기점으로 학군(carte scolaire) 시스템이 폐지되었다. 프랑스 학생들에게 더 많은 학교 선택권이 주어졌으나, 다음 기준을 충족하는 학생들에게 우선권이 주어진다.

  • 장애 학생
  • 장학금 수혜자 또는 특별한 학업 성취도를 가진 학생
  • 사회적 응집력 기준을 충족하는 학생 (특히 학교 인구의 다양화를 위함)
  • 병원으로부터 특수 의료 지원이 필요한 학생
  • 학교에서만 제공하는 과정을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
  • 형제자매가 학교에 다니는 학생
  • 학교 근처에 거주하는 학생

4. 3. 독일

독일에서는 학교와 교사의 재정을 주로 독일 연방주가 담당하며, 교육 정책 전반도 관할한다. 반면, 학교 건물은 대부분 지방 자치 정부가 운영 및 재정을 지원하며, 특정 학교의 규모 및 특성이나 특정 지방 자치 단체의 인구 규모에 따라 지방 자치 시스템(시 자체, 구)의 여러 단계에서 운영된다. 다른 정부 부문과 마찬가지로, 더욱 전문화된 학교의 경우 지방 자치 단체가 회원으로 참여하는 특수 정부 기관("Zweckverband")이 설립될 수 있으며, 이는 어느 정도 학군과 비슷하다. 다른 방식도 가능하다. 특수학교 중 특정 유형은 Landschaftsverbände가 운영한다. 사립학교도 존재하며, 대부분 주에서 재정 지원을 받지만 교회나 재단과 같은 민간 단체가 운영한다.

4. 4. 이탈리아

이탈리아에서는 1974년 "''Provvedimenti Delegati sulla scuola''"("학교에 관한 위임 법률")에 따라 학군이 설립되었다.[25] 각 학군은 최소 10,000명의 주민을 포함해야 했다. 중앙 정부는 지역 사회와 문화, 지방 정부와 지역 학교를 연계하려고 시도했다. 학군은 국가 예산을 삭감하기 위한 시도로 2003년 "legge finanziaria"(정부 예산에 관한 법률)에 의해 해체되었다.[26]

5. 아시아

홍콩에서는 교육국이 초등학교를 36개 학군(school nets)으로 나누어 초등학교 1학년 입학 시스템을 운영한다.[27] 이 중 구룡의 34, 41학군과 홍콩섬의 11, 12학군이 가장 명문으로 여겨진다.[28]

이란의 도시에서는 학생들의 일반적인 등록이 학군에 의해 제한되며, my.medu.ir에서 온라인으로 등록이 이루어지고 학부모는 온라인으로 범위 내의 학교를 확인할 수 있다.[29]

5. 1. 일본

일본의 공립학교는 일반적으로 설립하는 지방자치단체(도도부현, 시구정촌)의 주민을 대상으로 하며, 해당 주민 외에는 입학이나 통학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지방자치단체는 행정구역을 세분화하여 통학 가능 학교를 지역별로 지정하는데, 이 지역을 학구라고 한다.

일본 공립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대부분 시정촌립(도쿄도 구부는 구립)이다. 시구정촌에 여러 학교가 있을 경우, 시구정촌 교육위원회는 『학교교육법 시행령』 제5조 제2항에 따라 보호자에게 입학할 학교를 지정한다. 일반적으로는 학교별 학구 범위를 정하여 주소지에 따라 취학 학교를 지정한다.

학교교육법 시행령 제8조와 제9조에서는 지정학교 변경 및 구역 외 취학(다른 시구정촌립, 국립, 사립, 도도부현립, 주식회사립 학교 입학)을 허용한다. 1990년대 후반 이후, 많은 시정촌에서 공립학교 선택제를 도입하여 보호자가 학구 외 학교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33]

일본의 공립 고등학교는 도도부현립 또는 시정촌립이다. 2001년까지는 도도부현 내 학구 설치를 규정하는 법률[34]이 있어 전일제 보통과에서 주로 학구가 설정되었다. 전일제 전문과목, 정시제, 통신제는 도도부현 전체를 학구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공립 정시제 고등학교는 재직자에게 소재 지역 학교 지원을 허용하기도 한다.

도도부현 내 학구 설정 시, 하나의 학구에 여러 고등학교를 설치하여 주민이 학교를 선택하고 입학시험을 거쳐 입학한다. 학구제도는 특정 학교나 도심 학교에 수험생이 몰리는 것을 막고 과도한 경쟁을 완화하며 지역 고등학교와 신설 고등학교 육성에 기여했다. 그러나 저출산 시대에 이러한 역할은 달성되었다. 학구 설치 의무를 규정한 법률도 삭제되었고, 학생 간 수험 기회 불평등을 초래한다는 이유로 전일제 보통과에서도 고등학교 통학 구역을 전문 과목 등과 마찬가지로 도현 전체로 하여 학구를 사실상 폐지하는 곳이 나타나고 있다.[35]

일본의 공립 특수학교는 도도부현립이 많으며, 장애 종류별로 학교별 학구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공립 초중학교와 같이 주거에 따라 입학·통학하는 학교는 한 곳으로 정해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사로 인해 학구 밖으로 나갈 경우, 지역에 따라 전학을 지도하기도 한다. 특히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가정 형편 등으로 주소지가 아닌 학군 학교에 입학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학교 밖 입학이라 한다. 초등학교나 중학교 폐교로 전학 형태의 학교 밖 입학을 하는 경우도 있다.

대분현히타시마에쓰에 유즈키 소학교는 2009년도에 6학년 2명이 졸업하고 2010년도 이후 학생이 1명만 남게 되었다. 유즈키 지역 북부 유즈키혼무라·센조기 2개 마을은 6세 미만 인구가 없어 학생 수 증가 전망이 없었고, 히타시는 2009년도를 끝으로 유즈키 소학교를 폐교했다.

시는 유즈키 소학교 학생을 같은 마에쓰에무라 내 소학교(데노소·오오노소)가 아닌 현 경계를 넘은 후쿠오카현우키하시 우키하정 히메지 소학교로 전학시켰다. 유즈키 소학교 관할 구역 2개 마을과 다른 관할 구역 마을 사이 거리가 10km 이상이고, 중간에 민가가 없어 안전한 통학 수단을 확보할 수 없었으며, 유즈키 지역 북부에서 버스 노선이 뻗어 있는 우키하시 시내 쪽이 통학에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고등학교의 경우, 학구 내 학교보다 학구 외 학교가 통학에 안전하면 학구 외 학교 입학을 인정하기도 한다. 인접 지역 고등학교 선택 불균형 완화 및 통학 촉진을 위해 인접 도도부현 교육위원회가 공립 고등학교 협정을 맺어 수험생을 받는 인접현 특례가 있다. 교육위원회 홈페이지에 공개되지 않은 사례도 적지 않다.

  • 치바현・이바라키현(현재 이바라키현은 현 전체 1학구제가 되어 사실상 학구제를 폐지함)・사이타마현군마현도치기현후쿠시마현은 각 현 교육위원회가 협정을 맺어 제한적으로, 특별한 사정이 없더라도 인접 현 고등학교 시험을 볼 수 있다.
  • 미야기현 교육위원회는 후쿠시마현, 이와테현 교육위원회와 인접현 특례를 체결했다.
  • 아오모리현아키타현・이와테현 교육위원회는 각 현 상호간에 인접현 특례를 체결했다.
  • 오카야마현 교육위원회는 효고현 교육위원회와 치토우 급행 치토우 선 연선의 미사쿠시의 오하라・히가시아와쿠라 양 지역과 니시아와쿠라무라를 대상으로 2019년 봄 입학생부터 통학 시간 및 비용 경감을 목적으로 인접 현인 효고현립 사요 고등학교로의 통학을 허용하는 협정을 체결했다.[36][37] 이 협정에서 효고현 사요정 등에서 오카야마현립 고등학교로의 수험생 수용은 협정되지 않았다. 돗토리현 교육위원회는 오카야마현 및 시마네현 교육위원회와 인접 지역 수험생 수용 협정을 체결하여 공개하고 있다.


기후현[38], 군마현, 미에현, 나라현, 야마나시현, 교토부 등에서는 특색 있는 교육 활동(교과목이나 동아리 활동)을 실시하는 일부 공립 고등학교처럼, 도외(都外) 수험생을 받아들이는 특례를 두거나, 지역 주민을 보증인으로 하여 도(都)·현(県) 외 수험생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산간부·섬 지역 공립 고등학교가 2010년대 이후 증가하고 있다.

5. 2. 홍콩

홍콩에서는 교육국이 초등학교를 36개 학군(school nets)으로 나누어 초등학교 1학년 입학 시스템을 운영한다.[27] 이 중 구룡의 34, 41학군과 홍콩섬의 11, 12학군이 가장 명문으로 여겨진다.[28]

5. 3. 이란

이란의 도시에서는 학생들의 일반적인 등록이 학군에 의해 제한되며, my.medu.ir에서 온라인으로 등록이 이루어지고 학부모는 온라인으로 범위 내의 학교를 확인할 수 있다.[29]

참조

[1] 웹사이트 School district attendance zone map drawing policies in a selection of districts https://ballotpedia.[...]
[2] 논문 The Limits of Insurance as Governance: Professional Liability Coverage for Civil Rights Claims Against Public School Districts https://papers.ssrn.[...]
[3] 보고서 Board of Education Taxing Authority https://www.cga.ct.g[...] Office of Legislative Research, Connecticut General Assembly 2023-03-09
[4] 웹사이트 School Districts https://www.census.g[...] 2015-06-20
[5] 서적 Property Taxation 1941 https://books.google[...] U.S. Census Bureau 1952-03
[6] 논문 The Congruence of American School Districts with Other Local Government Boundaries: A Google-Earth Exploration https://ssrn.com/abs[...] 2010-04-01
[7]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 Handbook https://web.archive.[...] New York Department of State, Division of Local Government Services 2018-03-13
[8] 뉴스 Report Faults Hawaii's Statewide School District https://www.edweek.o[...] Education Week 2003-12-10
[9] 간행물 Hawaii's School System Is One of a Kind https://www.jstor.or[...] The Phi Delta Kappan 1989-03
[10] 학술지 The Democratic Deficit in U.S. Education Governance https://www.cambridg[...] 2021
[11] 뉴스 Consolidation Push Roils Vermont Landscape https://www.edweek.o[...] Education Week 2016-02-17
[12] 서적 Property Taxation 1941 https://books.google[...] U.S. Census Bureau 1952-03
[13] 웹사이트 Historical Status of Elementary Schools in Rural Alaskan Communities 1867–1980 http://www.ankn.uaf.[...]
[14] 웹사이트 Table 9. Public School Systems by Type of Organization and State: 2022 [CG2200ORG09] https://www2.census.[...]
[15] 뉴스 Property taxes start to decline https://www.pressrea[...] USA Today 2012-03-13
[16] 웹사이트 District History https://www.niskayun[...]
[17] 웹사이트 People ex rel. Vick v. Kirkham, 301 Ill. 45 (1921) | Caselaw Access Project https://cite.case.la[...]
[18] 법규 Kentucky Revised Statutes § 160.020 https://apps.legisla[...]
[19] 법규 Kentucky Revised Statutes § 160.010 https://apps.legisla[...]
[20] 뉴스 Kentucky will have one less school district with this decision to close and merge https://www.kentucky[...] Lexington Herald-Leader 2019-02-12
[21] 웹사이트 120A.05 – 2014 Minnesota Statutes https://www.revisor.[...]
[22]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burnetci[...]
[23] 웹사이트 D. Special-Purpose Governments https://archive.toda[...]
[24] 웹사이트 Education: School Boards https://web.archive.[...]
[25] 웹사이트 Text of the DPR n° 416 del 31 maggio 1974 ("Assigned Laws about the school") http://www.edscuola.[...] 1994
[26] 웹사이트 L 289/2002: Text of the law n° 289 del 27 dicembre 2002 ("legge finanziaria 2003") https://web.archive.[...] 2003
[27] 웹사이트 POA2020 Choice of Schools List by School Net for Central Allocation https://www.edb.gov.[...]
[28] 웹사이트 四大名校網範圍 https://web.archive.[...] 2013-07-15
[29] 웹사이트 اطلاعاتی برای ثبت‌نام دانش‌آموزان در کلاس اول دبستاناطلاعاتی برای ثبت‌نام دانش‌آموزان در کلاس اول دبستان - تسنیم https://www.tasnimne[...]
[30] 서적 新明解国語辞典 第六版 三省堂 2005
[31] 웹사이트 札幌市立小学校・中学校の通学区域 http://www.city.sapp[...]
[32] 웹사이트 学区? 校区? 校下? https://www.nhk.or.j[...]
[33] 문서 학교선택제 관련 내용
[34] 법규 地方教育行政の組織及び運営に関する法律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 2002-01-11
[35] 문서 도쿄도와 와카야마현의 학구 폐지
[36] 뉴스 教育|高校の越県通学、兵庫県内初導入へ 岡山から佐用 https://www.kobe-np.[...] 神戸新聞NEXT 2017-01-06
[37] 뉴스 越境通学:美作などの中学生、兵庫・佐用高へ 19年春から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7-03-17
[38] 문서 岐阜県の県立高校では県外から生徒を募集します。 http://www.pref.gifu[...]
[39] 웹사이트 学制百年史 第二章 近代教育制度の確立と整備(明治十九年~大正五年) 第一節 概説 二 学制の制定 https://www.mext.go.[...]
[40] 웹사이트 学制百年史 第二章 近代教育制度の確立と整備(明治十九年~大正五年) 第二節 初等教育 二 教育令・改正教育令と小学校の制度 https://www.mext.go.[...]
[41] 웹사이트 国民学校令及国民学校令施行規則 https://dl.ndl.go.jp[...]
[42] 웹사이트 学制百年史 第四章 戦時下の教育(昭和十二年~昭和二十年) 第三節 中等教育 二 中等学校制度の再編 https://www.mext.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