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어능력시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어능력시험(TOPIK)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 및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한국어 사용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1997년 처음 실시되어, 2011년 주관 기관이 국립국제교육원으로 이관되었다. 2014년 시험부터 TOPIK I (1급·2급)과 TOPIK II (3급~6급)로 개편되었으며, 듣기, 읽기, 쓰기 능력을 평가한다. 시험 결과는 한국 대학 입학, 취업 비자 획득, 영주권 신청 등에 활용된다. 시험은 전 세계 87개국에서 시행되며, 시험 지역에 따라 시험지가 A형과 B형으로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어 시험 - KBS 한국어능력시험
    KBS 한국어능력시험은 KBS가 주관하는 한국어 사용 능력 평가 시험이며, 1급에서 4+급까지의 국가공인 자격증을 발급하고, 성적은 2년간 유효하다.
  • 한국어 시험 - 세계한국말인증시험
    세계한국말인증시험(TOPIK)은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외국인 및 재외동포의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국내외 대학 입학 및 취업 등에 활용되며 1급부터 6급까지 급수가 나뉜다.
  • 대한민국의 교육 - 색동회
    색동회는 1923년 방정환을 중심으로 창립되어 어린이들에게 다채로운 꿈과 희망을 주고자 아동 문화 운동을 펼친 단체로, 잡지 발간, 어린이날 제정, 행사 개최 등을 통해 아동문학과 교육의 중요성을 알리고, 광복 후 활동을 재개하여 현재까지 이어지며 아동 교육에 공헌한 사람들을 시상하는 색동회상을 제정했다.
  • 대한민국의 교육 - 사법연수원
    사법연수원은 법원조직법에 따라 설립된 법조인 양성 기관으로, 사법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법률 이론 및 실무 교육을 실시하며,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하고 2년간의 교육 과정을 통해 법조인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한국어능력시험
시험 정보
이름한국어능력시험
로마자 표기Hangugeo Neungnyeok Siheom
영어 이름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약칭TOPIK
종류인터넷 기반 또는 지필 표준 시험
시행 기관국립국제교육원
평가 항목한국어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능력
시작 연도1997년
응시 지역세계
사용 언어한국어
웹사이트https://www.topik.go.kr
관련 정보
혼동되는 시험KBS한국어능력시험
자격 종류공적 자격
시험 형식필기 시험(마크 시트, 작문)
등급1급 - 6급
일본어 웹사이트https://www.kref.or.jp/topik/

2. 역사

한국어능력시험(TOPIK)은 1997년 한국학술진흥재단(KRF) 주관으로 처음 시행되었으며, 당시 2,274명이 응시했다. 초기에는 연 1회만 시행되었다.[1] 주관 기관은 1999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으로 이관되었다가,[5] 2011년부터는 국립국제교육원(NIIED)에서 맡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시험 제도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2005년에는 영문 명칭이 'KPT(Korean Proficiency Test)'에서 현재의 'TOPIK'으로 바뀌었다. 2006년에는 기존의 급수별 시험 방식에서 벗어나 초급(1·2급), 중급(3·4급), 고급(5·6급)으로 나누어 점수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개편되었다. 이때 '쓰기' 영역에 자유 작문 문제가 새로 도입되었고, '어휘·문법', '듣기', '읽기' 영역의 서술형 문제는 폐지되었다. 2009년에는 실무 한국어 능력 시험(B-TOPIK)이 신설되어 기존 시험은 일반 한국어 능력 시험(S-TOPIK)으로 구분되었으나, 2011년 B-TOPIK은 폐지되고 S-TOPIK만 다시 시행되었다. 2014년 7월 시험부터는 기존의 초·중·고급 분류를 TOPIKⅠ(1·2급)과 TOPIKⅡ(3~6급)로 재편하고 시험 영역도 TOPIKⅠ은 '듣기', '읽기' 2개 영역, TOPIKⅡ는 '듣기', '쓰기', '읽기' 3개 영역으로 조정되었다. 이 개편으로 TOPIKⅠ에서는 서술형 문제가 없어지고 모두 객관식으로 변경되었다.

시험 시행 횟수도 점진적으로 늘어났다. 2007년부터 연 2회(일본은 2008년부터), 2010년부터는 한국 내에서 연 4회, 2014년부터는 한국 내 연 5회, 2015년부터는 한국 내 연 6회로 확대되었다. 일본의 경우, 2017년 연 3회, 2023년 연 4회로 시행 횟수가 늘었다가 2024년 다시 연 3회로 조정되었다.

응시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09년에는 18만 명이 응시했으며,[2] 2012년에는 한 해 응시자 수가 15만 명을 넘었고, 시험 시행 이후 누적 응시자 수는 100만 명을 돌파했다.[6]

한편, 2007년 한국 정부는 한국에 친척이 없는 한국계 중국인 노동자가 취업 비자 추첨에 참여하기 위한 요건으로 B-TOPIK에서 일정 점수 이상(400점 만점에 200점)을 취득하도록 하는 제도를 도입하기도 했다.[3][4]

연도응시자 수
19972,692
200634,028
2012151,166
2016250,141
2017290,638
2018329,224
2019375,871
2020218,869[7]


3. 시험 형식

2014년 하반기부터 개편된 시험 형식은 아래와 같다. 시험은 크게 TOPIK Ⅰ과 TOPIK Ⅱ 두 가지 수준으로 나뉜다.

시험 급수교시영역시간형식문항 수배점
TOPIK Ⅰ (1~2급)1교시듣기40분사지선다형30문항100점
읽기60분사지선다형40문항100점
합계100분70문항200점
시험 급수교시영역시간형식문항 수배점
TOPIK Ⅱ (3~6급)1교시듣기60분사지선다형50문항100점
쓰기50분서술형4문항100점
2교시읽기70분사지선다형50문항100점
합계180분104문항300점

[20]

TOPIK Ⅱ에서만 시행되는 쓰기 영역(서술형)은 문맥에 맞는 문장 완성하기 2문항, 주어진 자료나 도표 등을 보고 설명하는 글쓰기 1문항(중급 수준, 200자~300자), 특정 주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작문 1문항(고급 수준, 600자~700자)으로 구성된다.

3. 1. 개편 전 (2014년 이전)

1997년 한국학술진흥재단 주관으로 처음 시행되었으며, 초기에는 연 1회 실시되었다. 1999년부터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 기관을 맡았다. 2005년에는 영문 명칭을 'KPT(Korean Proficiency Test)'에서 현재의 'TOPIK'으로 변경하였다.

2006년에는 시험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이전까지 급수별(1급~6급)로 시행되던 방식에서, 초급(1·2급), 중급(3·4급), 고급(5·6급)의 세 단계로 나누고 응시자의 점수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또한 '쓰기' 영역에 자유 작문 문제가 새로 도입되었고, '어휘·문법', '듣기', '읽기' 영역의 서술형 문제는 폐지되었다. 같은 해, 방문취업제 시행에 따라 실무한국어능력시험(B-TOPIK)이 신설되면서 기존 시험은 일반 한국어능력시험(S-TOPIK)으로 구분하여 불리게 되었다.

2007년부터는 시험이 연 2회 실시되었으며(단, 일본에서는 2008년부터), 2009년에는 실무 한국어 능력 시험(B-TOPIK)이 정식으로 실시되었다. 2010년에는 한국 내에서 시험 횟수가 연 4회로 늘어났다.

2011년에는 주관 기관이 국립국제교육원으로 이관되었고, 실무 한국어 능력 시험(B-TOPIK)은 폐지되었다. 이에 따라 시험 명칭도 다시 TOPIK으로 통일되었다. 2014년 상반기까지 한국 내에서는 연 5회 시험이 실시되었다.

개편 전 일반 한국어능력시험(S-TOPIK 또는 TOPIK)은 초급, 중급, 고급의 세 가지 난이도로 나뉘어 시행되었다. 시험 영역은 어휘·문법, 쓰기, 듣기, 읽기의 네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말하기 영역은 없었다. 각 영역의 평균 점수와 최소 점수 기준을 충족하면 초급에서는 1급 또는 2급, 중급에서는 3급 또는 4급, 고급에서는 5급 또는 6급을 받을 수 있었다.

한편,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시행되었던 실무 한국어능력시험(B-TOPIK)은 취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각 영역별 점수(100점 만점)를 합산하여 총 400점 만점으로 성적을 산출하는 방식이었다.

3. 2. 개편 후 (2014년 이후)

2014년 7월 20일 제35회 시험부터 새로운 형식의 TOPIK이 적용되었다. 기존의 초급, 중급, 고급 3단계 분류 방식이 폐지되고, TOPIK Ⅰ과 TOPIK Ⅱ의 두 가지 시험 레벨로 개편되었다. TOPIK Ⅰ은 1급과 2급 수준을, TOPIK Ⅱ는 3급부터 6급까지의 수준을 평가한다.

시험 영역도 변경되었다. 기존의 '어휘·문법', '쓰기', '듣기', '읽기' 4개 영역에서, TOPIK Ⅰ은 '듣기'와 '읽기' 2개 영역으로 구성되며 모두 객관식 문제로 출제된다. TOPIK Ⅱ는 '듣기', '쓰기', '읽기' 3개 영역으로 구성된다.[9]

개편 이후 시험 시행 횟수에도 변화가 있었다.

4. 시험 구성

시험은 대부분 객관식 문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TOPIK II 급수의 쓰기 시험은 서술형을 포함한다. 시험은 TOPIK I과 TOPIK II로 나뉘며, 각 급수별 시험 구성은 아래 표와 같다.

시험 급수교시영역시간형식문항 수배점
TOPIK Ⅰ1교시듣기40분사지선다형30문항100점
읽기60분사지선다형40문항100점
합계100분70문항200점
시험 급수교시영역시간형식문항 수배점
TOPIK Ⅱ1교시듣기60분사지선다형50문항100점
쓰기50분서술형4문항100점
2교시읽기70분사지선다형50문항100점
합계180분104문항300점



일본어 번역 출처: 한국교육재단[20]

TOPIK II에서만 시행되는 쓰기 영역은 문장 중 빈칸에 문맥에 맞는 문장을 삽입하는 문제 2문항, 주어진 자료 등을 설명하는 문제 1문항(중급 수준, 200자~300자 정도), 특정 주제에 대해 논술하는 문제 1문항(상급 수준, 600자~700자 정도)으로 구성된다.

5. 등급별 평가 기준

시험 수준등급합격 점수[10]평가 기준[11][23]
TOPIK Ⅰ1급80점 이상
2급140점 이상
TOPIK Ⅱ3급120점 이상
4급150점 이상
5급190점 이상
6급230점 이상


6. 시험 결과 활용


  • 외국인이 한국 대학에 입학하는 경우[10]
  • 한국 내 기업에 취업 비자를 획득하는 경우[10]
  • 의사 자격증을 가진 외국인의 국내 면허 인정[10]
  • 한국어 교원 자격 시험(2급 및 3급) 응시 및 자격증 취득[10]
  • 영주권을 신청하는 경우[10]
  • 결혼 이민 비자를 획득하는 경우[10]


시험 결과는 해외 시행 회차의 경우 시험 후 약 1개월에서 1개월 반 후에, 한국에서만 또는 일부 해외를 포함한 시행 회차의 경우 시험 후 약 2주에서 3주 후부터 한국어능력시험 공식 웹사이트의 성적 확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성적 증명서의 유효 기간은 발급일로부터 2년이다. 단, 2011년까지 발급된 성적 증명서는 2013년 12월 31일까지 유효했다.

7. 시험 지역

시험은 미주, 유럽,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A형 시험지로, 아시아 지역에서는 B형 시험지로 치러지고 있다.

2021년 2월 기준으로, 총 314개의 시험장이 있었으며, 이 중 54개는 대한민국에, 나머지 260개는 대한민국 외 87개 국가에 위치해 있었다.[12] 2023년 기준으로는 시험이 세계 97개국에서 실시되고 있다.[17]

대한민국 외에 시험이 시행되는 국가는 다음과 같다. (2021년 기준)[13]



시험 시간은 세 개의 시간대로 나뉜다:



인도에서는 뉴델리, 첸나이, 하이데라바드, 란치, 마니푸르 등 5개 도시에서 시험이 시행된다.[14] 일본에서는 연 3회(4월, 7월, 10월) 실시되며[17],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이 주관하고 공익 재단법인 한국교육재단이 운영하고 있다.[17]

참조

[1] 뉴스 Applications for Int'l Korean-Language Test Double http://english.chosu[...] 2009-12-03
[2] 뉴스 The Growing Popularity of the Korean Language http://english.chosu[...] 2009-12-03
[3] 뉴스 Korean Proficiency Test Getting More Popularity https://www.koreatim[...] 2009-12-03
[4] 뉴스 Test Standard Set for Korean-Chinese Workers https://www.koreatim[...] 2009-12-03
[5] 웹사이트 About the Test http://www.topik.go.[...] TOPIK
[6] 뉴스 Korean language test-takers pass 1 mil. https://koreatimes.c[...] 2013-01-25
[7] 웹사이트 South Korea: TOPIK annual applicants 2020 https://www.statista[...] 2022-07-24
[8] 웹사이트 Examination Guide http://www.topik.or.[...] KICE 2009-12-03
[9] 웹사이트 Complete Guide to New Changed TOPIK Format http://www.topikguid[...] TOPIK GUIDE 2014-01-30
[10] 웹사이트 About the Examination http://www.topik.go.[...] TOPIK 2015-05-03
[11] 웹사이트 About the Examination http://www.topik.go.[...] TOPIK 2015-05-03
[12] 웹사이트 TOPIK test centers https://joyofkorean.[...] 2021-02-24
[13] 웹사이트 Registration for Next TOPIK Test in Your Country https://www.topikgui[...] 2024-11-23
[14] 웹사이트 TOPIK test centers in India https://www.studyfre[...] 2021-02-24
[15] 웹사이트 試験概要 https://www.kref.or.[...] 2024-03-21
[16] 웹사이트 香港の大学入試に2025年から韓国語追加、韓国語能力試験成績を活用 https://www.donga.co[...] 2024-03-21
[17] 문서 試験概要 https://www.kref.or.[...] 韓国教育財団 2023-12-16
[18] 문서 "試験紹介" http://www.topik.go.[...] 国立国際教育院 2014-07-06
[19] 문서 시험개요 https://www.topik.go[...] 国立国際教育院 2024-04-20
[20] 문서 試験概要 https://www.kref.or.[...] 韓国教育財団 2024-05-10
[21] 문서 改編前(2014年4月試験まで)は、合計点の他に、各領域の点数が及第点を満たした級で合格を判定していた。
[22] 문서 2011年までは有効期間が設けられていなかったため。
[23] 웹인용 TOPIK 시험소개 http://www.topik.go.[...] 2017-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