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2. 국수의 종류
한국에는 다양한 종류의 국수 요리가 있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국수는 사용하는 면의 재료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2. 1. 면 재료에 따른 분류
- 당면: 고구마 전분으로 만든다.
- 메밀국수: 메밀로 만든 국수로, 일본의 소바와 유사하다.
- 고기국수: 얇게 썬 돼지고기를 곁들여 먹는 제주도의 국수다.
- 올챙이국수: 옥수수 가루로 만든 국수로, 강원도 등 산간 지역에서 먹는다.[2]
- 감자국수: 감자 전분, 쌀가루, 찹쌀 가루를 섞어 만든 국수다.[3]
- 감자농마국수: 감자 전분으로 만든 국수로 쫀득한 식감이 특징이다. 황해도의 향토 음식이다.[4]
- 밀국수: 밀가루로 만든 국수다. 한국에서는 고대부터 국수를 먹었지만, 밀 생산량이 다른 작물보다 적어 1945년까지는 일상적인 음식이 아니었다.[5][6]
- 도토리국수: 도토리 가루로 만든 국수다.[7]
- 칡국수: 칡과 메밀 가루로 만든 국수다.[8]
- 쑥칼국수: 쑥과 밀가루로 만든 국수다.[9]
- 호박국수: 호박과 밀가루로 만든 국수다.[10]
- 꼴뚜국수: 메밀가루와 밀가루로 만든 국수다.[11]
- 천사채: 다시마를 찐 후 남은 젤리 형태의 추출물로 만든 반투명 국수다. 사진 곡물가루나 전분을 첨가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맛이 거의 없어 주로 양념하여 가벼운 샐러드로 먹거나 생선회 밑에 깔기도 한다. 쫄깃한 식감과 낮은 칼로리가 특징이다.[12]
3. 국수 요리
한국의 국수 요리는 사용하는 면의 종류, 국물이나 소스의 맛, 그리고 먹는 온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발달했다. 크게 따뜻하게 먹는 국수와 차갑게 먹는 국수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비비거나 볶는 방식의 국수 요리가 있다.
대표적인 따뜻한 국수 요리로는 맑은 멸치 육수에 말아 먹는 잔치국수, 해물이나 고기 육수에 손으로 썬 면을 넣어 끓이는 칼국수, 그리고 대중적으로 즐겨 먹는 라면과 매콤한 해물 국물의 짬뽕 등이 있다. 이러한 요리들은 주로 추운 날씨에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차가운 국수 요리로는 여름철 별미로 즐겨 먹는 냉면이 대표적이다. 냉면은 시원한 육수에 말아 먹는 물냉면과 매콤한 양념에 비벼 먹는 비빔냉면으로 나뉜다. 이 외에도 강원도의 향토 음식인 막국수, 부산광역시에서 유래한 밀면, 고소한 콩국물에 말아 먹는 콩국수, 매콤새콤한 양념에 비벼 먹는 비빔국수와 쫄면 등이 있다.
또한, 고구마 당면을 채소, 고기와 함께 볶아 만드는 잡채는 잔치 음식으로 자주 등장하며, 따뜻하게 또는 차갑게 먹을 수 있다.[13]
각 국수 요리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관련 하위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3. 1. 따뜻한 국수 (온면)

- 잔치국수 - 밀가루 국수를 멸치와 때로는 다시마 또는 소고기 육수로 만든 맑은 국물에 말아 먹는 요리이다. 참기름, 간장, 파, 약간의 고춧가루로 만든 양념장과 함께 나온다. 얇게 썬 ''지단''이나 계란 부침, 김, 애호박 등을 고명으로 얹는다. 이 이름은 한국어로 '잔치'를 의미하는데, 길고 끊어지지 않는 국수 모양이 장수와 행복한 결혼 생활을 상징한다고 여겨져 생일, 결혼식 또는 경사스러운 날에 특별히 먹던 음식이기 때문이다.[5][14]
- 칼국수 - 칼로 썰어 만든 밀가루 국수를 해산물 육수와 다른 재료들과 함께 큰 그릇에 담아내는 요리이다.
- 곰국수 - 소고기 뼈나 연골을 끓여 만든 곰국 또는 곰탕 국물에 밀가루 국수를 넣은 요리이다.
- 온면
- 라면
- 짬뽕 - 채소와 해산물을 넣고 끓인 매운 국물에 밀가루 국수를 넣은 요리이다.
- 짜파구리
3. 2. 차가운 국수 (냉면)
냉면은 얇은 메밀 면을 차가운 국물이나 고추장 양념에 비벼 먹는 음식이다. 면과 다른 채소 재료를 먹는 사람이 직접 섞어 먹는 특징이 있다. 원래는 겨울 음식이었으며, 이북 지역의 향토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냉면은 크게 물냉면과 비빔냉면으로 나뉜다.- '''물냉면''': 문자 그대로 "물 찬 냉면"이라는 뜻이다. 소고기 육수 또는 ''동치미''로 만든, 새콤하고 차갑거나 미지근한 국물에 담겨 나온다. 한국 남부 지역의 냉면만큼 아주 차갑게 나오지는 않는 경우도 있다. 식초나 겨자 소스를 취향에 따라 첨가하여 먹는다.
- '''비빔냉면''': 문자 그대로 "비빈 냉면"이라는 뜻이다. 국물 없이 ''고추장'', 식초, 설탕 등으로 만든 매콤하고 새콤한 소스인 ''초고추장''에 비벼 먹는다.

- 잣국수: 밀가루 또는 메밀 면을 간 잣과 물로 만든 차가운 국물에 말아 먹는 음식이다. 경기도 가평군의 향토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조리법은 ''콩국수''와 매우 유사하지만, 더 깔끔하고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15]
- 동치미국수: 밀가루 또는 메밀 면을 차가운 ''동치미'' 국물에 말아 먹는 음식이다. 시원하고 깔끔한 맛이 특징이다.
3. 3. 기타 국수 요리
참조
[1]
논문
Millet noodles in Late Neolithic China
https://www.nature.c[...]
[2]
웹사이트
http://map.encyber.c[...]
Doosan Encyclopedia
[3]
웹사이트
http://map.encyber.c[...]
Doosan Encyclopedia
[4]
웹사이트
http://map.encyber.c[...]
Doosan Encyclopedia
[5]
웹사이트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6]
웹사이트
http://100.nate.com/[...]
Nate (web portal)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7]
웹사이트
http://map.encyber.c[...]
Doosan Encyclopedia
[8]
웹사이트
http://map.encyber.c[...]
Doosan Encyclopedia
[9]
웹사이트
http://map.encyber.c[...]
Doosan Encyclopedia
[10]
웹사이트
http://map.encyber.c[...]
Doosan Encyclopedia
[11]
웹사이트
http://map.encyber.c[...]
Doosan Encyclopedia
[12]
뉴스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13]
웹사이트
recipe at eatdangerously.com
http://www.eatdanger[...]
[14]
뉴스
Janchi guksu, blessing for longevity (장수를 기원하는 '잔치국수)
http://www.dtnews24.[...]
dtnews24
[15]
웹사이트
http://map.encyber.c[...]
Doosan Encyclo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