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면은 밀가루, 달걀, 물, 소금 등을 반죽하여 면을 만들고 삶아 튀겨 건조한 후 뜨거운 물에 다시 익혀 먹는 형태의 음식이다. 중국에서 비상 식량으로 사용된 것이 유래이며, 일본에서 안도 모모후쿠에 의해 인스턴트 라면이 개발되었다. 한국에는 1963년 삼양식품에서 처음 생산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1000억 개 이상 소비되는 대중적인 식품이다. 라면은 간편한 조리법과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비상식량으로도 활용되며, 국가별로 다양한 종류와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나트륨 함량이 높고 영양 불균형, 유해성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면 - 컵라면
    컵라면은 1971년 닛신식품의 안도 모모후쿠가 개발한 컵누들을 시초로 뜨거운 물만 부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라면으로, 편리성, 아사마 산장 사건을 통한 대중화, 한국 시장 경쟁 심화에 따른 변화, 용기 소재 변화, 야외 소비 문화 확산 등을 거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라면 - 인도미
    인도미는 1969년 인도네시아에서 출시된 인스턴트 라면 브랜드로, 다양한 맛과 혁신적인 마케팅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특히 미 고랭 맛이 유명하다.
  • 일본의 발명품 - 컵라면
    컵라면은 1971년 닛신식품의 안도 모모후쿠가 개발한 컵누들을 시초로 뜨거운 물만 부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라면으로, 편리성, 아사마 산장 사건을 통한 대중화, 한국 시장 경쟁 심화에 따른 변화, 용기 소재 변화, 야외 소비 문화 확산 등을 거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일본의 발명품 - 이모지
    이모지는 1999년 NTT 도코모에서 처음 도입된 그림 문자로, 유니코드 표준 제정 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언어적 기능을 수행하며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플랫폼별 표현 방식 차이와 의미 해석 논란도 존재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라면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즉석면
원산지일본
지역원래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에서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찾을 수 있음
창시자안도 모모후쿠
생산년도1958년
종류
주재료건조 또는 조리된 면, 조미료
일본어 정보
이름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
지역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https://www.inverse.com/article/3790-instant-noodles-will-either-save-the-world-or-ruin-it 현재는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볼 수 있다.
창시자안도 모모후쿠、진영태、장국문
종류면류
주재료 건조, 조미료
기타 정보
문화어꼬부랑 국수
영어 이름instant noodles, instant ramyun/ramen
간수kansui
이미지
전형적인 블록 형태의 즉석면 (건조)

2. 역사

라면은 밀가루달걀, , 소금 등을 반죽하여 을 뽑고, 한 번 삶고 튀겨서 건조한 면을 뜨거운 에 다시 먹을 수 있는 상태로 만든 형태이다. 과 함께 분말스프와 건더기스프로 구성된 제품이 일반적이다. 라면은 중국에서 전투 시 비상 식량으로 사용된 것이 유래이며, 당시 일본이 중일전쟁을 하면서 배워 왔다는 설도 있다.

중국식 이 볶음면 한 봉지.


선반 위의 라면.


중국의 면 요리 역사는 수 세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끓인 후 튀겨서 국물에 담아 먹는, 이면(Yi noodle)과 유사한 면이 고대 중국에 존재했다는 증거가 있다.[3] 전설에 따르면, 청나라 시대에 한 요리사가 이미 익힌 계란 면을 다시 끓였는데, 면이 익는 것을 막기 위해 꺼내 뜨거운 기름에 튀겨 국물에 담아 먹었다고 한다.[3] '''민족 음식 저널'''에 따르면, 초기 인스턴트면 포장에는 "이면(Yi noodles)"이라는 라벨이 붙어 있었다.[3]

1953년 무라타 요시오(Yoshio Murata)는 면을 기계적으로 물결 모양으로 구부리는 방법을 발명했다. 무라타의 발명은 면을 수십 배 빠르게 구부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인스턴트 라면의 대량 생산의 길을 열었다.[7][8] 면을 물결 모양으로 구부리면 작은 포장에 더 많은 면을 담을 수 있고, 조리 중에 면이 서로 달라붙을 가능성이 줄어들며, 더 고르게 익고 맛과 풍미가 향상되며, 부서지기 쉽지 않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건조 및 성형이 용이하고, 탄력성이 향상되며, 먹을 때 젓가락이나 포크에서 미끄러질 가능성이 줄어든다.[9]

넓은 의미에서 "라면"은 일본식 면인 우동, 소바, 야키소바 등을 포함한 봉지 형태의 인스턴트면 (봉지면) 및 컵 형태의 인스턴트면 (컵면) 전체를 가리킨다. 좁은 의미에서는 라면만을 가리키거나, 더 나아가 봉지 라면으로 한정하기도 한다.[40] 공정경쟁규약상의 공식 명칭은 "즉석면"이다.[41] 식기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에 첨가물(가야쿠)을 첨부한 타입은 컵라면이라고 불리며, 공정경쟁규약상의 공식 명칭은 "'''즉석컵면'''"이다.[41]

일본 이외 지역에서의 생산은 명성식품[71]한국삼양식품(Samyang foods)과의 합작으로 1963년삼양라면(Samyang ramen) 제조를 시작한 것이 최초로 여겨진다. 명성식품으로부터 무상 기술 제공을 받았다고 한다.

아시아에서는 (주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1980년대 이후 유사한 인스턴트 식품이 제조되었고, 지역색이 풍부한 제품도 증가하고 있다. 초기에는 일본 제조업체의 브랜드명이나 상품명이 사용된 제품이 출시되었다. 대부분은 상표 사용권(라이선스)을 얻은 제품이며, 일본 제조업체가 제조에 직접 관여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제품에는 라이선스 생산임을 표기하고 있다.

그 후, "국물면"이나 "볶음면"이 식문화에 정착되어 있던 아시아에서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 전통 음식을 도입한 독자적인 제품이 많이 판매되었다. 타이완, 홍콩, 중국은 물론, 태국의 똠얌꿍 맛, 인도네시아의 인스턴트 미고랭, 필리핀의 인스턴트 판싯, 베트남의 인스턴트 등 다양하게 진화했다. 아시아 각국에서 판매되는 인스턴트 라면은 수백 종류에 달하며, 일본에도 수입되어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상품도 있다.

유럽미국에서는, 주로 스낵 푸드로 이용되어 조리 과정이 간편한 컵라면이 먼저 받아들여졌다. 초기에는 봉지라면은 수입 식품점 이외에서는 보기 어려웠지만, 최근 북미에서는 일반 슈퍼마켓에서도 판매되고 있다. 한편, 머그컵 등에 건면을 넣고 뜨거운 물을 붓는 간편식에 적합한 제품도 유럽과 미국에서 인기가 있으며, 1990년대에는 일본에서도 유사한 제품이 등장했다. 이러한 제품은 끓여서 조리할 수 없기 때문에, 면도 컵라면과 마찬가지로 가늘고 얇고 평평하며, 건더기 또한 작은 건조 유부 정도이다.

2. 1. 현대 라면의 탄생

현대 라면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극심한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에서 안도 모모후쿠가 발명하였다. 당시 미군 구호품으로 밀가루가 많았기에 이를 이용한 새로운 식품을 고안하게 되었다. 밀가루로 국수를 만들어 기름에 튀겨 국수 안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이후 뜨거운 물에 넣으면 본래의 상태로 풀어져 먹기 좋은 상태가 되는 원리였다. 최초의 즉석 라면은 1958년 8월 25일 닛신식품의 전신인 산시쇼쿠산에서 생산한 치킨라멘이었다.[6] 초기 라면은 양념이 면에 더해진 형태였으나, 1962년 스프를 분말로 만들고 따로 첨부한 형태의 봉지면이 인기를 끌게 되었다.[65]

안도 모모후쿠가 라면을 만들었던 작업장 재현. 컵 누들 박물관 오사카 이케다.


안도 모모후쿠는 면 제조, 찐 후, 양념, 기름에 튀겨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급속 튀김 방식의 전체 생산 방법을 개발하여 "인스턴트" 면을 만들었다.[4][5] 이 방법은 면을 건조시켜 냉동면보다 긴 유통 기한을 확보했다. 각 면 블록은 미리 양념이 되어 있었고, 끓는 물을 부으면 2분 만에 먹을 수 있었다. 처음에는 비싼 가격 때문에 사치품으로 여겨졌지만,[10][11] 미쓰비시 상사의 홍보를 통해 엄청난 인기를 얻게 되었다.[12]

1971년 닛신은 끓는 물을 부어 면을 익히는 컵라면인 닛신 컵누들을 출시했다. 말린 채소가 컵에 포함되면서 완벽한 인스턴트 수프 요리가 되었다. 컵라면은 포장재, 끓는 물 용기, 면을 먹는 그릇의 기능을 결합했다.[14]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제조업체들이 식이섬유와 콜라겐이 함유된 면, 저칼로리 면, 저나트륨 면 등 다양한 건강 레시피를 적용한 인스턴트 라면을 출시하고 있다.[14]

2000년 일본에서 실시된 여론 조사에서 인스턴트 라면은 20세기 최고의 발명품으로 선정되었다.[15]

2. 2. 한국 라면의 역사

1963년 9월 15일, 삼양식품 창립자 전중윤 회장은 일본의 묘조식품으로부터 제조기술을 전수받아 삼양라면을 처음으로 만들어 팔기 시작했다. 당시 라면 가격은 10원이었다.[90] 처음에는 생소하여 판매가 부진했지만, 무료 시식회를 통해 맛을 인정받으며 서민들의 음식으로 환영받게 되었다.[91] 1960년대 정부는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혼식(잡곡밥)과 분식(밀가루 음식)을 강제하는 정책을 실시했는데, 이 혼분식 장려정책도 라면이 널리 보급되는 데 기여했다. 1969년 한 해 동안 천 오백만 봉지가 팔렸다.

1970년에는 즉석 짜장면, 칼국수, 냉면 등 다양한 제품과 대한민국 한식 문화에 알맞게 만든 된장라면이 출시되었다. 1982년 11월 17일 육개장사발면의 출시를 시작으로, 용기에 직접 뜨거운 물을 부어 먹는 컵라면이 인기를 끌기 시작해 다양한 종류의 라면이 출시되고 있다.

2. 2. 1. 한국 라면의 매운맛

한국 라면은 대부분 매운 맛을 사실상 표준으로 삼고 있다. 신라면 또한 매울 '신'(辛)자를 쓰고 있으며, 한국 라면은 매운 맛의 대명사로, 많은 유튜버 채널들이 매운 맛에 도전하기 위해 한국의 브랜드 라면들을 사용한다. 매운 맛이 한국 라면의 표준이 된 사연은 역사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박정희 대통령이 '우리 국민의 입맛에 맞게 라면을 맵게 할 순 없나'며 직접 삼양에 전화한 일화도 있다.[93]

2018년부터 라면 포장지 외부면에 매운맛의 정도를 단계별로 표시하는 제도가 시행되었다.[92] 인스턴트 라면의 분말 스프 (액상스프)를 시험해 매운 성분 (mg/kg, ppm)의 함량이 80 미만인 경우 '1단계(순한맛)', 80∼179일 경우 '2단계(보통 매운맛)', 180∼279일 경우 '3단계(매운맛)', 280 이상일 경우 '4단계(매우 매운맛)'로 구분해 라면 봉지의 주표시면 및 일괄표시면에 표시되어 있다.[92]

2. 2. 2. 북한의 라면

북한에서는 라면을 '꼬부랑국수' 또는 '즉석국수'라고 부른다. '대동강'이라는 브랜드로 봉지라면과 컵라면이 출시되어 판매 중이다.[9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초의 라면 공장은 '대동강즉석국수공장'이다. 2000년홍콩 자본을 유치하여 현대적 시설로 평양시 대동강변에 건설되었다.[95] 북한의 보통강상사와 홍콩의 리달무역공사가 설립한 '보통강 양해합영회사'가 운영하는 이 공장은 북한 최초의 라면 공장이다.[96] 한편, 라면은 명절 선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97]

3. 나라별 라면

[3]

라면은 나라마다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 '''중국'''은 세계 최대의 라면 소비 시장으로, 1위안(약 175KRW) 이하의 저가 라면이 시장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고급 라면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상위 3개 브랜드가 시장의 85%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78] 중국의 면 요리 역사는 오래되었으며, 이면(Yi noodle)과 유사한 면 요리가 고대 중국에 존재했다.[3]

  • '''일본'''은 현대식 인스턴트 라면의 발상지이다. 안도 모모후쿠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식량난 해결을 위해 개발하였으며, 1958년 닛신식품에서 치킨라면을 최초로 판매하였다. 1971년에는 닛신 컵누들이 출시되어 큰 인기를 끌었다. 일본은 다양한 종류의 라면을 생산하고 소비하며, 2006년 기준 약 53억 식을 소비했다.

  • '''한국'''은 1인당 라면 소비량이 세계 2위(2022년)이며, 매운맛 라면이 주류를 이룬다. 1963년 삼양식품삼양라면을 출시하면서 라면이 보급되기 시작했다.

  • '''인도네시아'''는 1인당 라면 소비량 세계 4위(2022년), 총 소비량은 2위이다. 소스가 없는 야키소바 타입이 절반을 차지하며, 할랄 인증 제품이 주류이다.

  • '''베트남'''은 최근 라면 소비량이 급증하여 2022년 1인당 소비량 세계 1위를 기록했다. 시큼하고 매운 새우맛 라면이 가장 인기 있다.

  • '''태국'''은 세계 3대 수프 중 하나인 똠얌꿍 맛 라면이 중심이다.

  • '''미국'''에서는 치킨맛, 새우맛, 비프맛 수프가 주류를 이룬다.


이 외에도 대만, 브라질, 멕시코, 필리핀 등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종류의 라면이 소비되고 있다.

세계 인스턴트 라면 소비[76][77]
국가특징
중국세계 소비량의 절반을 차지한다. 향신료가 든 비프 풍미가 중심이다. 「통면(대용량 컵라면)」도 많다.
인도네시아1인당 소비량은 세계 4위(2022년), 총 소비량은 2위. 소스가 없는 야키소바 타입이 절반을 차지하며, 할랄 대응 상품이 주류이다.
일본컵라면 비율이 60% 이상으로 가장 높다. 간장, 된장, 돈코츠, 소금맛이 기본이지만, 우동과 야키소바, 콜라보 상품, 저칼로리 상품 등 다채롭다.
미국수프는 치킨맛, 새우맛, 비프맛이 주류이다.
베트남최근 소비량이 급증하여, 2022년 1인당 소비량은 세계 1위이다. 수프는 시큼하고 매운 새우맛이 가장 인기이다. 에이스코크(일본)가 일본 품질을 도입하면서 맛은 현지 직원에게 맡겨 개발한 봉지라면 「하오하오」가 시장을 주도하고(2010년 시장 점유율 65%), 소비도 확대되고 있다.
한국1인당 소비량은 세계 2위(2022년). 1963년 한국에서 생산 시작. 봉지라면 비율이 75%이며, 비프맛, 김치맛 등 매운맛이 선호된다.
필리핀국물 있는 봉지라면은 아침 식사로도 먹으며, 치킨맛, 소고기맛이 인기이다.
태국세계 3대 수프 중 하나인 시큼하고 매우 매운 똠얌꿍 맛이 중심이다.
대만컵라면 비율이 50%로 높다. 돼지고기 맛이 절반을 차지하며, 다음으로 비프맛이 인기이다.
브라질일본보다 부드러운 면이 선호된다. 풍미가 좋은 토종닭 맛이 1위이다.
멕시코고추장을 넣은 매운 새우맛 컵라면이 선호된다. 포크로 먹는 짧은 면이 들어간 수프 음식으로 소비되고 있다.


3. 1. 한국

1963년 9월 15일 삼양식품 창립자 전중윤 회장이 일본 묘조식품으로부터 제조 기술을 전수받아 삼양라면을 처음으로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당시 가격은 10원이었다.[91] 처음에는 판매가 부진했지만, 무료 시식회를 통해 맛을 인정받으며 서민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91] 1960년대 정부의 혼분식 장려 정책도 라면 보급에 기여했다.[91] 정부는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혼식과 분식을 장려했고, 1969년 한 해 동안 1,500만 봉지의 라면이 판매되었다.[91] 1970년대에는 즉석 짜장면, 칼국수, 냉면, 된장라면 등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었다.[91] 1982년 11월 17일 육개장사발면 출시를 시작으로 컵라면이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91]

2018년부터 라면 포장지에 매운맛 정도를 단계별로 표시하는 제도가 시행되었다.[92] 매운 성분 함량에 따라 '1단계(순한맛)', '2단계(보통 매운맛)', '3단계(매운맛)', '4단계(매우 매운맛)'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92]

한국 라면은 대부분 매운 맛을 표준으로 삼고 있다.[93] 신라면의 '신'은 매울 신(辛)자를 사용하며, 한국 라면은 매운 맛의 대명사로 통한다.[93] 많은 유튜버들이 매운 맛 도전을 위해 한국 라면을 사용한다.[93] 박정희 대통령이 삼양에 전화하여 '우리 국민 입맛에 맞게 라면을 맵게 할 순 없나'라고 말한 일화도 있다.[93]

일본 이외 지역에서 라면 생산은 명성식품[71]한국 삼양식품과의 합작으로 1963년 삼양라면 제조를 시작한 것이 최초로 알려져 있다.[71] 명성식품으로부터 무상 기술 제공을 받았다고 한다.[71]

2012년 기준 1인당 연간 라면 소비량은 대한민국이 72식으로 1위를 차지했다.[75]

3. 2. 일본

안도 모모후쿠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극심한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해 인스턴트 라면을 발명하였다.[4][5] 1958년 8월 25일, 안도의 회사인 닛신식품은 치킨라면이라는 브랜드로 최초의 인스턴트 라면을 판매하였다.[6]

안도는 면 제조, 찐 후, 양념, 기름에 튀겨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급속 튀김 방식의 생산 방법을 개발했다. 이 방법은 면을 건조시켜 냉동면보다 유통 기한을 늘렸다. 초기에는 면에 양념이 더해진 형태였으나, 1962년에는 수프를 분말로 만들어 따로 첨부한 형태의 봉지면이 인기를 끌었다.

1971년 닛신은 끓는 물을 부어 면을 익히는 컵라면인 닛신 컵누들을 출시했다. 컵라면은 포장재, 끓는 물 용기, 면을 먹는 그릇의 기능을 결합한 제품이었다.

2000년 일본 여론 조사에서 인스턴트 라면은 20세기 최고의 발명품으로 선정되었다.[15] 연간 전 세계적으로 약 1030억 그릇의 인스턴트 라면이 소비되었다. 일본은 57억 개를 소비했다.[16]

일본에서는 라면은 가벼운 음식으로 여겨지며, 일본인들은 평균 한 해에 약 40여 개의 즉석 라면을 먹는다.

넓은 의미에서 "라면"은 일본식 면인 우동, 소바, 야키소바 등을 포함한 봉지면 및 컵면 전체를 가리킨다. 좁은 의미에서는 라면만을 가리키거나, 봉지 라면으로 한정하여 가리킨다.[40] 일본 인스턴트식품공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2006년도에 전 세계에서 소비된 양은 약 916억 식(컵면 포함)이며, 그 중 일본의 소비량은 약 53억 식이었다.

소매 판매액 기준 세계 시장 규모는 360억 2700만 달러였다. 기업별 시장점유율 1위는 캉스푸를 계열사로 거느린 딩신국제집단(타이완)이며, 일본의 닛신식품홀딩스, 동양수산 등이 뒤를 이었다.[42]

인스턴트라면에는 명확한 정의가 없다. 일반적으로 1958년 8월에 발매된 치킨라면이 “세계 최초의 인스턴트라면”으로 여겨진다.

닛신식품홀딩스에 따르면, 인스턴트라면은 닛신식품 창업주인 안도 모모후쿠발명한 것이며, 세계적으로도 그렇게 인정하는 보도가 많다.[43] 안도가 발명한 순간유열건조법을 포함한 인스턴트라면의 기본적인 제조법은 1963년에 “즉석라면의 제조법”으로 특허 등록되었다.[44]

하지만, 안도가 처음으로 인스턴트라면을 “발명”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한다.

결국, 닛신식품은 1961년에 동명상행이 출원했던 “간장 건면의 제조법” 특허권을 2300만 엔에 매입하여, 원래 닛신이 출원했던 “즉석라면 제조법”과 합쳐 특허 등록했다.[59]

1964년 안도 모모후쿠는 일본라면공업협회(현: 일본 즉석식품공업협회)를 설립하여, 경쟁 회사에 순간유열건조법 등 즉석면 관련 제조법 특허를 공개하고 있다.
일본의 주요 라면 제조사

제조사주요 제품 및 특징
닛신식품치킨라면, 컵누들 등.
동양수산마루짱.
산요식품삿포로이치방.
에이스코크산요식품 계열.
묘성식품닛신식품홀딩스 자회사.
하우스식품우마캇짱.
마루타이산요식품 계열.
마루카식품페양.
다이코쿠식품공업다이코쿠, 마이프렌드, AKAGI.
야마다이뉴터치.
테이블마크일본담배산업(JT그룹) 자회사, 가네보푸즈 인스턴트라면 제조부문 인수.
스가키야식품
오가사와라제분키리마루라멘(구 키린라멘).
야마모토제분폼포코라멘.
오야츠컴퍼니부타멘 - 일본 최초의 인스턴트라면 발매.
도쿠시마제분킨짱.


3. 3. 중국

중국에서는 라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시장은 보통 1위안 (175KRW 이하)이 넘는 고급 제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위안 이하의 제품은 중국 라면 시장의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톱 3 브랜드가 모든 시장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5년경 중국의 라면 생산량이 일본을 추월하였다.[78]

3. 4. 기타 국가

아시아에서는 1980년대 이후 유사한 인스턴트 식품이 제조되었고, 지역색이 풍부한 제품도 증가하고 있다. 초기에는 일본 제조업체의 브랜드명이나 상품명이 사용된 제품이 출시되었다. 대부분은 상표 사용권(라이선스)을 얻은 제품이며, 일본 제조업체가 제조에 직접 관여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제품에는 라이선스 생산임을 표기하고 있다. 그 후, 원래부터 "국물면"이나 "볶음면"이 식문화에 정착되어 있던 아시아에서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 전통 음식을 도입한 독자적인 제품이 많이 판매되었다. 타이완, 홍콩, 중국은 물론, 태국의 똠얌꿍 맛이나, 인도네시아의 인스턴트 미고랭, 필리핀의 인스턴트 판싯, 베트남의 인스턴트 등 다양하게 진화했다. 아시아 각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인스턴트 라면은 수백 종류에 달하며, 일본에도 수입되어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상품도 있다.

유럽미국에서는, 주로 스낵 푸드로 이용된 적도 있어, 조리 과정이 간편한 컵라면이 먼저 받아들여졌다. 초기에는 봉지라면은 수입 식품점 이외에서는 보기 어려웠지만, 최근 북미에서는 일반 슈퍼마켓에서도 판매되고 있다. 한편, 머그컵 등에 건면을 넣고 뜨거운 물을 붓는 간편식에 적합한 제품도 유럽과 미국에서 인기가 있으며, 1990년대에는 일본에서도 유사한 제품이 등장했다. 이러한 제품은 끓여서 조리할 수 없기 때문에, 면도 컵라면과 마찬가지로 가늘고 얇고 평평하며, 건더기 또한 작은 건조 유부 정도이다.

  • '''중국'''에서는 라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시장은 보통 1위안이 넘는 고급 제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위안(한화 약 175KRW) 이하의 제품은 중국 라면 시장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 '''아르헨티나'''에서는 1988년닛신식품이 진출하여 현지인 입맛에 맞춘 라면을 출시했으나, 1990년대 초반 철수했다. 이후 네슬레가 생산을 이어갔으나 중단되었고, 현재는 미국과 브라질에서 수입한 라면과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수입되는 다양한 라면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2022년 기준, 아르헨티나 슈퍼마켓 '''디스코'''(Disco영어)에서는 미국산 '''마루찬'''(Maruchan영어)과 브라질산 닛신식품 라면을 쉽게 찾을 수 있다.
  • '''캐나다'''에서는 산요식품과 미스터 누들즈의 제품이 주를 이루며, 유럽에서 수입된 제품도 일부 판매된다.
  • '''브라질'''에는 닛신식품1975년에 진출하여 현지 공장을 세우고 라면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인근 국가로 수출도 한다.
  • '''러시아'''에서는 라면이 가난한 사람들이 먹는 음식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팔도도시락과 '''롤톤'''(Rollton영어)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도시락은 1986년 출시 이후 러시아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2003년에는 2억 5천만 개가 수출되었다. 러시아에서 라면은 '''봄쉬 파 켓'''(Бомж-пакетru)이라고도 불리며, 이는 '''방랑자의 꾸러미'''(tramp's bundle영어)라는 뜻이다. 팔도 도시락의 인기 요인은 사각형 용기로 휴대가 편리하고, 덜 매운 맛으로 백인의 입맛에 맞았기 때문이다.
  • '''폴란드'''에서는 라면이 '''중국 죽'''(zupka chińskapl)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 '''독일'''에서는 1990년대부터 라면이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순한 맛의 서양식 라면과 아시아 전통 방식의 라멘 두 가지 종류가 판매된다. 닛신식품의 컵라면 '''냠냠'''(Yum Yum영어)과 네슬레의 '''마기'''(maggi영어)가 잘 알려져 있다.
  • '''영국'''에서는 1970년대 중반 골든 원더가 만든 컵라면인 '''팟 누들'''(Pot Noodle영어)이 널리 판매되고 있다.
  • '''노르웨이'''에서는 한국계 노르웨이인 사업가 이철호가 1970년대 중반부터 '''미스터 리'''(Mr. Li영어) 브랜드로 라면을 수입, 판매하여 2020년 현재 노르웨이 라면 시장 점유율 80%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 '''멕시코'''에서는 1980년대부터 일본의 도요 수산이 진출하여 "마루찬(maruchan)" 등을 판매하며 멕시코 라면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 '''미국'''은 1972년 일본도요 수산이 '''마루찬'''(Maruchan영어) 브랜드를 런칭하면서 라면 시장이 형성되었다. 1977년 공장 준공 후 일본계 업체들이 시장을 주도했으며, 닛신식품삼양식품(1984년 미국 공장 준공)이 경쟁에 참여했다. 농심2005년 미국에 라면 공장을 준공하여 마루찬, 닛신과 함께 미국 3대 라면 시장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4. 구성 성분 및 제조 과정

라면은 밀가루, 달걀, , 소량의 소금 등을 넣어 반죽하여 을 뽑고, 이를 한 번 삶은 후 튀겨서 건조시킨 면을 뜨거운 물에 다시 불려 먹는 형태이다. 과 함께 분말스프와 건더기스프로 구성된 제품이 일반적이다.[90] 라면은 중국에서 전투 시 비상 식량으로 사용된 것이 유래이며, 당시 일본이 중일전쟁을 통해 배워 왔다는 설도 있다.

현재의 인스턴트 라면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극심한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에서 대만계 일본인 안도 모모후쿠에 의해 발명되었다. 당시 미군 구호품으로 밀가루가 많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새로운 식품을 고안하게 되었다. 밀가루로 국수를 만들어 기름에 튀기면 국수 안의 수분이 증발하고, 이후 뜨거운 물에 넣으면 본래의 상태로 풀어져 먹기 좋은 상태가 된다. 최초의 즉석 라면은 1958년 8월 25일 현재 닛신식품의 전신인 산시쇼쿠산에서 생산한 치킨라멘이었다. 초기 라면은 양념이 면에 더해진 형태였으나, 1962년 스프를 분말로 만들어 따로 첨부한 형태의 봉지면이 인기를 끌게 되었다.

일본식량신문(日本食糧新聞) 조사에 따르면, 모든 인스턴트 라면 중 매출 1위는 삿포로이치방 미소라면(サッポロ一番みそラーメン)이다.[80]

'''즉석면 생산량 추이'''[81]
연도19581959196019611962196319641965196619671968196919701971197219731974197519761977-20092010201120122013
생산량(천만 식)1.37.015.055.0100.0200.0220.0250.0300.0310.0330.0350.0360.0365.4380.0390.0400.0410.0405.0415.0-534.9530.9553.0547.6547.5


4. 1. 구성 성분

컵라면 구성 모형


라면의 면은 밀가루, 물, 소금을 주재료로 하여 만들어진다.[25] 컵라면의 경우, 이 세 가지 주재료 외에 팜유, 조미료, 인산나트륨, 감자 전분, 검류 등이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17]

; 밀가루

: 라면의 면은 밀가루, 쌀가루, 메밀가루 등 다양한 종류의 밀가루로 만들 수 있다. 컵라면에는 8.5~12.5%의 단백질 함량을 가진 밀가루가 가장 적합하다. 이는 면이 건조 과정에서 부서지지 않도록 하고, 튀김 과정에서 단백질 함량이 높으면 지방 흡수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25] 글루텐은 면의 점탄성을 부여하는 핵심적인 밀 단백질이다.

; 물

: 반죽의 수분 함량은 글루텐 구조 발달에 영향을 미쳐 반죽의 점탄성을 결정한다. 면 제조 시 물 흡수량은 밀가루 무게의 약 30~38% 정도이다. 물 흡수량이 너무 많으면 밀가루가 충분히 수화되지 않고, 너무 적으면 반죽이 지나치게 끈적여 가공이 어려워진다.[25] 컵라면은 탈수 과정이 필수적인데, 이는 물이 미생물 번식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미국 농무부(USDA)는 탈수 방법에 따라 수분 함량 규정을 달리 적용한다. 튀김으로 탈수한 컵라면은 수분 함량이 8%를 초과할 수 없으며, 튀김 외의 방법으로 탈수한 경우에는 14.5%를 초과할 수 없다.[17]

; 소금

: 소금은 밀가루 반죽에 첨가되어 글루텐 구조를 강화하고 반죽의 시트 특성을 개선하여 면을 더 부드럽고 탄력 있게 만든다. 또한 면에 기본적인 짠맛을 부여하고, 밀가루 및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풍미를 억제한다. 소금은 단백질 분해 효소 등의 효소 활성을 늦춰 글루텐 구조를 보호하고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도 한다. 필요에 따라 탄산나트륨, 탄산칼륨과 같은 알칼리성 소금을 첨가하여 플라보노이드 색소의 발색을 유도, 제품의 노란색을 강화할 수 있다. 신선한 면에는 밀가루 무게의 1~3% 정도의 소금을 첨가하지만, 컵라면은 보존 기간이 길어 더 많은 소금을 필요로 한다.[25] 라면 한 봉지에는 1일 권장 나트륨 섭취량의 절반 이상이 함유되어 있다.[18]

; 간수

: 간수는 탄산나트륨과 탄산칼륨을 9:1 비율로 혼합한 알칼리성 용액으로, 라면 제조 시 밀가루와 물에 첨가되어 면의 독특한 특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19] 간수는 면의 글루텐 발달과 전분 호화를 촉진하여 라면 특유의 탄력성과 쫄깃함을 부여한다.[20] 또한 밀가루 내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발색단 변화를 유도하여 라면의 노란색을 강화한다.[19]

; 기름

: 튀김은 컵라면 제조 시 일반적인 탈수 공정이다. USDA 규정에 따르면, 기름에 튀긴 컵라면의 지방 함량은 총 중량의 20%를 넘을 수 없다. 컵라면 튀김에는 주로 열 안정성이 높고 가격이 저렴한 팜유가 사용된다. 높은 지방 함량과 낮은 수분 함량으로 인해 컵라면은 지질 산화에 취약하므로, 비교적 많은 양의 방부제가 첨가된다. 불쾌한 냄새와 유해 화합물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일부 컵라면은 튀김 대신 다른 탈수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USDA에 따르면, 튀기지 않은 컵라면의 지방 함량은 3% 미만이어야 한다.[17]

; 기타 재료

: 감자 전분은 면의 겔화 특성과 보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컵라면에 첨가된다. 폴리인산염은 조리(재수화) 과정에서 전분 호화를 개선하고 면이 더 많은 물을 보유하도록 돕는 첨가제이다. 히드로콜로이드는 재수화 시 수분 결합 능력을 향상시켜 조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컵라면 제조에 널리 사용되며, 검류는 혼합 및 면 반죽 제조 전에 물에 분산된다.[21]

4. 2. 제조 과정

라면 생산은 소금, 전분, 조미료를 물에 녹여 혼합한 후 밀가루에 첨가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반죽은 숙성 시간을 거친 후 재료가 고르게 분포되고 반죽 입자가 수분을 충분히 흡수하도록 반죽된다. 반죽이 완료되면 두 장의 반죽을 하나의 면대로 합쳐 두 개의 회전 롤러를 통과시킨다. 이 과정은 반죽을 여러 번 접어 롤러를 통과시키면서 글루텐을 더 쉽게 생성하기 위해 반복된다. 이를 통해 인스턴트 라면의 쫄깃한 질감이 만들어진다. 롤 간격을 조절하여 원하는 두께의 면대가 만들어지면 바로 절단한다. 물결 모양의 면은 느린 속도의 컨베이어 벨트에서 만들어지며, 슬리터를 통과할 때 금속 무게추에 의해 방해를 받아 물결 모양이 된다. 면을 다른 모양으로 성형하려면 액체 조미료를 추가할 수도 있다. 면의 모양이 만들어지면 1~5분 동안 100°C에서 증기로 쪄서 전분 호화를 통해 질감을 개선한다. 증기 처리 시 물과 열을 가하면 아밀로스의 나선 구조와 결정성이 파괴된다. 아밀로스는 전분 과립에서 확산되기 시작하여 과립 주위에 젤 매트릭스를 형성한다.[22]

라면은 튀기거나 열풍 건조하는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로 건조된다. 튀긴 인스턴트 라면은 140°C에서 160°C의 온도에서 1~2분 동안 기름에 튀겨 건조한다. 튀김 과정은 수분 함량을 30~50%에서 2~5%로 줄인다. 북미에서 튀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름에는 카놀라유, 면실유 및 팜유 혼합물이 포함되는 반면, 아시아에서는 팜유 또는 팜올레인만 사용된다. 열풍 건조 라면은 70°C에서 90°C의 온도에서 30~40분 동안 열풍으로 건조하여 수분 함량을 8~12%로 한다. 건조 과정에서 물의 빠른 증발은 식품 매트릭스 전체에 기공을 생성하여 최종 제품의 조리 시간을 단축한다. 튀긴 라면의 경우 기공 생성은 라면에 지방이 흡수되는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23] 인스턴트 라면의 80% 이상이 튀겨지는데, 이는 열풍 건조보다 더 고르게 건조된 라면을 만들기 때문이며, 열풍 건조는 원치 않는 질감의 라면을 만들고 조리 시간도 더 오래 걸린다. 그러나 튀긴 라면의 경우, 기름 함량이 약 15~20%이며 산화로 인해 라면의 저장 수명이 단축되는 반면, 열풍 건조 라면의 경우 기름 함량은 3%를 넘지 않는다.[21]

일본식 야키소바 인스턴트 라면 포장지의 내용물 – 조미료 스틱들


조미료와 함께 포장하기 전에, 건조 후 라면을 식히고 수분, 색상, 모양을 확인한다. 라면 포장에는 공기와 물이 통과하지 않는 필름이 사용된다. 포장된 인스턴트 라면에는 소량의 조미료가 들어 있는 형태와 에 면 위에 조미료가 얹어져 있는 형태의 두 가지가 있다. 조미료에 따라 다양한 맛의 라면이 있다. 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새우 등의 맛이 있다.

5. 건강 및 영양

라면은 면의 탄력성과 빠른 조리 시간을 특징으로 한다. 면의 물결 모양은 제조 과정에서 회전 슬리터로 반죽을 절단할 때 형성되며, 높은 단백질 함량의 밀가루와 감자전분 첨가, 높은 염분 함량이 면의 탄력성을 높인다.[25][26] 빠른 조리 시간은 증기 처리와 기름 튀김 과정을 통해 전분 호화를 촉진하고 보수성을 향상시켜 구현된다. 구아 검과 같은 첨가제는 면의 수분 결합 능력을 높여 조리 시간을 단축시킨다.[25]

인도미에 이가 페니엣에 튀긴 계란과 야채를 곁들인 모습

5. 1. 영양학적 균형

라면 한 봉지에는 약 500kcal 전후의 열량과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칼슘 등이 고루 들어있다. 성인의 일일권장량(약 2,100~2,600kcal)을 기준으로 한 끼당 600~700kcal 정도의 열량이 필요하다고 본다면 라면의 열량은 일반적인 한 끼 식사와 유사하거나 낮은 수준이다. 다만 나트륨 함량이 높아 조절이 필요하다.[98]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서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 3가지 필수 영양소의 균형이 중요하며, 이들의 이상적인 비율은 탄수화물(55~70) : 단백질(7~20) : 지방(15~25)이다. 라면의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율은 대략 62:8:30 수준으로 이상적인 비율에 가깝다.[98]

라면에는 극미량영양소도 적지 않다. 밀가루와는 달리 라면 면발이 노란 것은 리보플래빈이란 비타민을 첨가해서이고, 항산화 기능이 있는 비타민 E도 함유되어 있다. 뼈 건강에 좋은 칼슘을 강화한 라면도 많이 있다. 라면을 조리할 때 달걀, 치즈 등의 부재료를 첨가하면 라면에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할 수 있다.

컵라면은 건강에 좋지 않거나 정크 푸드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27] 컵라면 한 봉지에는 탄수화물, 소금, 그리고 지방이 많이 함유되어 있지만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 필수 미네랄은 부족하다.[28][29][30]

컵라면 섭취량 증가는 한국에서 비만과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2014년 기준 1인당 컵라면 섭취량이 세계 최고 수준(74.1봉지)이었다.[31] 하버드 대학교 연구진이 19~64세 성인 10,711명(여성 54.5%)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컵라면을 섭취하는 여성의 경우 대사증후군 위험이 68%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남성에게는 그러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33]

5. 2. 라면 관련 논란

라면은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식품이지만, 건강에 좋지 않다는 유해론이 항상 존재해 왔다.

  • 라면 우지 파동 사건: 1989년 공업용 우지를 사용했다는 논란으로 라면 업계가 위축되고 삼양식품 관련자가 구속되기도 했다. 그러나 1997년 대법원의 무죄 판결로 사건이 마무리되었고, 이후 대부분의 라면에는 식물성 팜유가 사용되고 있다. 팜유는 트랜스지방이 없고 항산화 성분과 항암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나,[100] 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아 여전히 건강 관련 논의가 진행 중이다.[101]
  • 화학 조미료 및 나트륨: 라면 스프에 화학 조미료가 많이 사용된다는 오해가 있었으나, 실제로는 농수축산 원물을 농축, 건조, 분쇄한 것이 주를 이룬다. 나트륨 함량은 짬뽕, 우동, 쇠고기육개장 등 다른 국물 음식과 비교했을 때 라면(국물 있는 라면 기준 1,778mg)이 특별히 높지 않다.[102]
  • 글루탐산 나트륨(MSG): 2000년대 이후 MSG 유해성 논란으로 인해 대부분의 라면 제조사들이 MSG를 첨가하지 않고 있다.[103] 그러나 식약청과 미국 FDA 등은 MSG가 안전하다고 발표하고 있다.[104]
  • 나트륨 저감화: 라면의 나트륨 함량이 높다는 인식에 따라 라면 업계에서는 나트륨 저감화를 진행하고 있다. 신라면의 경우 2014년 3월부터 나트륨 함량이 7.3% 감소했다.[105]
  • 컵라면: 정크 푸드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으며,[27] 탄수화물, 소금, 지방 함량이 높고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은 부족하다.[28][29][30]
  • 컵라면과 질병: 컵라면 섭취량 증가는 한국에서 비만 및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1] 연구에 따르면 컵라면을 자주 섭취하면 혈장 트리글리세리드 수치, 이완기 혈압, 공복 혈당 수치가 높아질 수 있다.[32] 특히,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컵라면을 섭취하는 여성은 대사증후군 위험이 68% 더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3]
  • 납 오염 사건: 납 오염네슬레의 마기 컵라면이 인도에서 판매 금지되기도 했다.[34] 2015년 인도 식품안전표준청은 마기 컵라면을 인체에 "안전하지 않고 유해하다"고 판정했다.[35]

6. 소비 현황

중국에서는 라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고급 제품과 위안중국어(한화 약 175KRW) 이하의 제품이 시장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106] 세계라면협회(WINA)에 따르면, 2013년 세계 라면 수요량은 였으며, 중국이 연간 로 1위였다.[106] 인도네시아, 인도, 일본, 베트남, 미국, 필리핀, 대한민국 등이 그 뒤를 이었다.[106] 대한민국은 연간 의 라면 수요량을 보였지만,[106] 1인당 연간 라면 소비량은 73개로 1위였다.[106] 태국, 브라질, 러시아, 나이지리아, 네팔, 말레이시아, 멕시코 등이 1인당 소비량이 많은 국가들이다.[106]

2017년 4분기에는 편의점의 라면 매출 점유율이 대형 마트를 처음으로 추월했다.[107] 2018년 세계라면협회 보고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가 소비되었으며, 중국(홍콩 포함)이 , 인도네시아가 를 소비했다.[36] 1인당 소비량은 대한민국이 연간 75그릇으로 1위, 베트남이 54그릇, 네팔이 53그릇으로 그 뒤를 이었다.[37]

전 세계 라면 수요
국가2014201520162017201820192020
단위: 10억 그릇. 출처: 세계라면협회[38]



2006년 일본 인스턴트식품공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약 (컵면 포함)이 소비되었고, 일본의 소비량은 약 였다. 라면은 세계 각지에서 만들어지고, 거의 생산국에서 소비된다. 주요 생산・소비지는 동아시아미국이다.

소매 판매액 기준 세계 시장 규모는 360.27억달러이다(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 추계). 기업별 시장점유율 1위는 캉스푸를 계열사로 거느린 딩신국제집단(타이완)이며, 닛신식품홀딩스(일본), 인도푸드・석세스・막무르(인도네시아), 동양수산(일본), 통일기업(타이완)이 뒤를 잇는다. 상위 5개사의 시장점유율 합계는 약 43%이며, 그 외에도 많은 제조업체가 있다.[42]

7. 비상식량

조리의 간편함과 저렴한 가격 때문에 라면은 비상식량으로 애용된다. 사회적 사건 발생, 경제적 불황 조짐이 있을 시 사재기를 해놓는 경우가 있고 자연재해 발생 시 이재민에게 제공되는 비상 식량으로 사용된다. 특히 사발 라면의 경우 뜨거운 물만 있으면 바로 먹을 수 있기 때문에 비상식량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단, 기본적으로 면을 튀긴 음식이기에 유통기한은 1년 내외로 짧아 오랜 기간 보존하기는 힘들다. 대한민국 국군중국 인민해방군에서도 비상식량으로 쓰인다.[99]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한국 라면이 비상식량으로 주목받아 수출액이 전년 대비 29.3% 증가하여 사상 최대를 기록하였다.[99]

참조

[1] 웹사이트 Instant Noodles Will Either Save the World or Ruin It https://www.inverse.[...] Inverse 2015-06-11
[2] 웹사이트 How Instant Noodles are made https://timesofindia[...] 2018-11-15
[3] 논문 Noodles, traditionally and today 2016-09-01
[4] 뉴스 Entrepreneur Momofuku Ando, 96 https://www.washingt[...] 2007-01-08
[5] 뉴스 Inventor of instant noodles dies https://web.archive.[...] 2007-01-06
[6] 웹사이트 The Eternal Life of the Instant Noodle https://www.bbc.co.u[...] BBC 2018-09-28
[7]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Organization for Small & Medium Enterprises and Regional Innovation, JAPAN
[8]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Miyakoichi Co., Ltd
[9] 웹사이트 Why is instant noodles curved instead of straight? https://www.noodlema[...] www.noodlemachinery 2019-11-12
[10] 잡지 Momofuku Ando https://web.archive.[...] 2006-11-13
[11] 웹사이트 About Us https://web.archive.[...] 2018-11-22
[12] 웹사이트 Inventor of the Week Archive: Momofuku Ando https://web.archive.[...] MIT
[13] 웹사이트 https://newtalk.tw/n[...] 2019-03-29
[14] 웹사이트 History of instant noodles https://instantnoodl[...]
[15] 뉴스 Japan votes noodle the tops https://web.archive.[...] 2000-12-12
[16] 웹사이트 Global Demand for Instant Noodles https://instantnoodl[...] World Instant Noodles Association (WINA)
[17] 웹사이트 Commercial Item Description Soup, Noodle, Ramen, Instant https://www.ams.usda[...] USDA 2010-11-06
[18] 웹사이트 7 Fast Facts About Instant Ramen https://spoonunivers[...] Spoon University 2015-04-02
[19] 서적 Asian noodles : science, technology, and processing 2010-10-26
[20] 논문 Comparative study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noodles with regular salt and alkali 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21] 논문 Instant Noodles: Processing, Quality, and Nutritional Aspects 2014-01-01
[22] 서적 Food Chemistr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9-01-15
[23] 논문 Mechanism and reduction of fat uptake in deep-fat fried foods
[24] 간행물 Fortification Basis. Instant Noodles: A Potential Vehicle for Micronutrient Fortification http://www.dsm.com/e[...] USAID null
[25] 논문 Asian noodles: History, classification, raw materials, and processing
[26] 논문 The impact of salt and alkali on gluten polymerization and quality of fresh wheat noodles https://lirias.kuleu[...]
[27] 웹사이트 Stay away from instant noodles to keep healthy https://consumer.org[...] Consumers Association of Penang
[28] 웹사이트 Ramen Noodles and Chronic Illness https://web.archive.[...]
[29] 웹사이트 Stay Away from Instant Noodles to KeepHealthy https://web.archive.[...]
[30] 웹사이트 Instant noodles a health hazard: report https://web.archive.[...] CNN 2001-02-23
[31] 웹사이트 South Korea ranked No.1 in instant noodle consumption https://web.archive.[...] Korea Bizwire 2014-09-13
[32] 논문 Instant noodle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in Seoul 2017-05-24
[33] 논문 Instant noodle intake and dietary patterns are associated with distinct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Korea. 2014-06-25
[34] 웹사이트 The Kathmandu Post: Maggi noodles banned in Nepal https://web.archive.[...]
[35] 웹사이트 FSSAI orders recall of all nine variants of Maggi noodles from India https://web.archive.[...] FirstPost 2015-06-05
[36] 웹사이트 Global Demand for Instant Noodles https://instantnoodl[...] 2019-05-09
[37] 뉴스 Next-Level Noodles https://www.bangkokp[...] 2019-06-03
[38] 웹사이트 Global Demand, World Instant Noodles Association https://instantnoodl[...]
[39] 웹사이트 Instant Noodles Will Either Save the World or Ruin It https://www.inverse.[...] Inverse 2015-06-11
[40] 웹사이트 呼称 https://web.archive.[...]
[41] PDF 即席めん類等の表示に関する公正競争規約 https://web.archive.[...]
[42] 뉴스 【点検 世界シェア】即席めん/台湾企業がリード広げる 日経産業新聞 2019-07-18
[43] 뉴스 世界を変えた「日本の発明10選」 新華社通信 2013-11-24
[44] 웹사이트 戦後日本のイノベーション100選 アンケート投票トップ10 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 http://koueki.jiii.o[...]
[45] 웹사이트 日清食品 安藤百福クロニクル https://www.nissin.c[...]
[46] 웹사이트 チキンラーメン誕生秘話 https://www.dwc.dosh[...]
[47] 웹사이트 【番外編】NHK『まんぷく』チキンラーメンは本当に「発明」なのか(下)(全文) https://www.dailyshi[...] 2019-02-01
[48] 문서 ラーメンと愛国 P.122 (추가 정보 필요)
[49] 웹사이트 台灣文學期刊目錄資料庫 - 民俗臺灣 - 第4卷第1號 https://db.nmtl.gov.[...] 臺灣文學館線上資料平臺
[50] 웹사이트 片倉佳史さんと台湾の雞絲麵 (ke-si-mī ケェシィミィ=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のルーツではないかと言われている )について対談しました。|Go chiong https://note.com/55c[...] 2023-04-06
[51] 웹사이트 『まんぷく』安藤百福の即席麺「発明は嘘」と異論噴出 https://smart-flash.[...] 2019-03-05
[52] 웹사이트 なぜNHK「まんぷく」は、安藤百福の“台湾ルーツ”を隠したのか(野嶋 剛) @gendai_biz https://gendai.ismed[...] 2018-11-11
[53] 웹사이트 会社の沿革 https://web.archive.[...]
[54] 웹사이트 「ベビースターラーメン」-“もったいない”の心から生まれた日本初のラーメンスナック|飲食品でヒット商品をつくる|J-Net21[中小企業ビジネス支援サイト]中小企業基盤整備機構 http://j-net21.smrj.[...]
[55] 뉴스 【底流 ニュースの裏側】愛されて半世紀 ご長寿商品 止まらぬ進化で定番に(産経新聞)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09-08-23
[56] 웹사이트 南極食糧ハンドブック https://ci.nii.ac.jp[...]
[57] 웹사이트 南極OB会 http://www.jare.org/[...]
[58] 뉴스 <甦る経済秘史>「即席」もう一つのルーツ 長寿麺 製法特許 日清食品が購入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15-06-12
[59] 웹사이트 熾烈な争いが生んだ世界に冠たる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 http://jbpress.ismed[...]
[60] 웹사이트 日清食品クロニクル http://www.nissinfoo[...]
[61] 간행물 チキンラーメンは世界初の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か? と学会 2010-01
[62] 웹사이트 特許情報プラットフォーム|J-PlatPat https://www.j-platpa[...]
[63] 라디오 伊集院光 日曜日の秘密基地 2008-01-13
[64] 웹사이트 伊集院光・日曜日の秘密基地 https://web.archive.[...]
[65] 문서 ラーメンと愛国
[66] 문서 日清焼そば50周年記念限定「しなやか麺」5食パック
[67] 뉴스 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大研究 半世紀に渡る進化の歴史と次の商品 https://trendy.nikke[...] 2008-09-24
[68] 광고 スナックめんはJASマークで選びましょう 朝日新聞 1978-03-26
[69] 서적 インスタントラーメンのひみつ 学習研究社 1998
[70] 뉴스 即席ラーメン「マルちゃん正麺」、1年間で2億食販売の大ヒット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12-11-08
[71] 문서
[72] 뉴스 즉석면, 세계의 반은 중국이 생산 원료 고가여도 생산 증가 https://web.archive.[...] 서치나(중국정보국) 2008-01-09
[73] 웹사이트 세계 인스턴트 라면 사정 http://www.instantra[...]
[74] 뉴스 중국 쇼크 감속의 현장에서 서민의 편, 이변 맥주·즉석면 아사히신문사 2015-11-08
[75] 웹사이트 세계 라면 협회 즉석면의 세계 총 수요 http://instantnoodle[...]
[76] 웹사이트 도록▽인스턴트라면(즉석면) 소비량의 국제 비교 http://honkawa2.saku[...] 2024-11-22
[77] 웹사이트 인스턴트 라면의 세계 총 수요 TOP15 https://instantnoodl[...] 2024-11-22
[78] 문서
[79] 웹사이트 일본 인스턴트 라면 사정 http://www.instantra[...]
[80] 웹사이트 랭킹의 화원 http://www.mbs.jp/ra[...] 2012-08-31
[81] 웹사이트 제4장 즉석면의 생산 수량의 추이 http://www.instantra[...]
[82] 웹사이트 주식회사 쓰바메식품 즉석봉지면(프라이면) 전업의 OEM 메이커 https://www.tsubaro.[...] 2023-10-13
[83] 웹사이트 스가키야식품 쓰바메식품을 100% 자회사화 즉석봉지면의 생산체제를 증강 https://shokuhin.net[...] 2023-04-05
[84] 웹사이트 면·면의 OEM 제조, 오리지널 면 상품 개발(주)쿠리키상점 - Just another WordPress site https://kuriki2151.c[...] 2023-10-13
[85] 웹사이트 리시리 어협의 상표품『리시리 다시마라면』을 소개합니다 https://rishiri-gyok[...] 2023-10-13
[86] 웹사이트 제품정보 - 주식회사 미우라식품 https://www.ngw.co.j[...] 2023-10-13
[87] 웹사이트 つららSHOPシバレ / TOP페이지 https://shibare.shop[...] 2023-10-13
[88] 웹사이트 즉석면 업계 매상고 랭킹(2020 - 2021년) https://gyokai-searc[...]
[89] 웹인용 라면 http://kitchen.naver[...] 네이버 2013-08-06
[90] 서적 한국인, 무엇을 먹고 살았나: 한국 현대 식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91] 방송 최초의 라면, 그 역사 속으로. 문화방송 2005-04-17
[92]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93] 웹인용 박정희 전 대통령이 ‘매운 라면 열풍’의 원조?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20-11-10
[94] 뉴스 북한서도 라면 대중화 길 들어서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01-09-28
[95] 뉴스 북한 "라면 대량생산 통해 식생활 개선한다" http://news.sbs.co.k[...] SBS 2008-12-01
[96] 웹사이트 주간 북한 동향 http://www.unikorea.[...] 통일부 2000-10
[97] 뉴스 북한 최고 추석 선물은 '신라면'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2-11-22
[98] 뉴스 라면 50년:라면에 관한 진실 혹은 거짓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3-07-18
[99] 웹인용 코로나 비상 식량으로 팔린 라면…지난해 수출 사상 최고치 https://imnews-imbc-[...] MBC 2021-02-21
[100] 뉴스 ‘팜유 트랜스지방 이상적 대체제’ http://www.foodnara.[...] 식음료신문 2011-04-15
[101] 웹인용 '우지'라면 이어 ‘팜유’라면도 퇴장? http://www.hani.co.k[...] 2011-09-19
[102] 뉴스 억울한 라면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4-02-10
[103] 뉴스 MSG 다른 식품엔 써도 라면만은 안 돼?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0-02-18
[104] 뉴스 'MSG'에 얽힌 오해와 진실 http://www.moneyweek[...] 머니위크 2013-03-21
[105] 뉴스 덜 짜야 잘 팔려… 신라면도 나트륨 7% 다이어트 http://biz.chosun.co[...] 조선일보 2014-06-05
[106] 웹인용 Global Demand For Noodles, 세계라면협회(WINA) http://instantnoodle[...] 2009-07-13
[107] 뉴스 [단독] 라면, 이젠 편의점서 더 산다 http://www.sedaily.c[...] 서울경제 2018-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