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단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단순은 후한 말에서 삼국 시대 위나라에 걸쳐 활동한 학자이자 서예가이다. 그는 효녀 조아의 비문을 작성하며 이름을 알렸고, 유표, 유종을 섬기다 조조에게 귀순하여 조식의 밑에서 학문적 재능을 발휘했다. 조비 또한 그를 중용하여 위나라 건국 후 박사 및 급사중에 임명했다. 한단순은 다양한 서체에 능통했고, 특히 전서는 당대 최고, 예서는 양곡에 버금간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의 작품으로는 유머 모음집인 《소림》, 투호 놀이를 묘사한 《투호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2년 출생 - 후한 환제
후한 환제는 외척과 환관 세력의 갈등 속에서 통치하며 당고의 금으로 정치적 혼란을 겪었고, 사후에는 영제가 즉위했다. - 132년 출생 - 도겸 (삼국지)
도겸은 후한 말 양무도위를 거쳐 서주 자사에 오른 관료로, 황건적 토벌과 선정으로 백성들의 지지를 받았으나 조조의 공격을 받아 유비의 도움을 받았으며, 유비에게 서주를 맡기고 사망했고, 삼국지연의에서는 유비에게 서주를 양보하는 관대한 인물로 묘사된다. - 한나라의 서예가 - 채옹
채옹은 후한 말 다재다능한 인물로, 희평 석경 제작에 기여하고 동탁에게 중용되었으나 왕윤에게 미움을 받아 옥사했으며, 그의 학문과 예술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한나라의 서예가 - 종요
후한 말부터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서예가였던 종요는 조조를 도와 옹주 내정을 담당했고 위나라 건국 후 상국, 태위에 올랐으며, 특히 해서체 발전에 기여하여 "해서체의 아버지"로 불린다. - 후한의 유학자 - 상랑
상랑은 후한 말부터 촉한 시대까지 유표, 유비, 유선을 섬긴 관료이자 학자로, 촉한의 세력 확장에 기여했으며 제갈량 사후 좌장군까지 올랐고, 은퇴 후 고전 연구와 제자 양성에 힘썼으나 가정 전투 이후 마속을 비호한 일로 비판받기도 했다. - 후한의 유학자 - 곽태
곽태는 후한 시대의 학자로, 굴백언에게 학문을 배우고 이응과 교류하며 명성을 얻었으며, 사도 황경의 초빙을 거절하고 교육에 전념하여 제자 1,000명을 배출했으며, 채옹은 그의 비문만이 부끄럽지 않다고 평했다.
한단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단순 |
다른 이름 | 자숙 (子叔) 자례 (子禮) 한단죽 (邯鄲竺) |
국적 | 조위 |
활동 시기 | 삼국 시대 |
분야 | 작가 |
주요 작품 | 소림 |
2. 생애
원가(元嘉) 원년, 상우령(上虞令) 탁상이 효녀 조아의 비를 세울 때 한단순이 비문을 훌륭하게 작성하여 명성을 얻었다.[12] 초평 연간에는 전란을 피해 유표와 유종을 섬겼고, 이후 조조에게 귀순했다. 조조는 한단순의 재능을 높이 사 조식 휘하에 두었으며, 문제 또한 그를 중용하여 위 건국 후 박사(博士) · 급사중(給事中)에 임명하였다.[12]
한단순은 설문해자를 비롯한 여러 옛 서체에 정통한 서예가로도 명성을 떨쳤다. 전서는 당대 최고였으며, 예서는 양곡에 버금가는 평가를 받았다.[12]
《삼국지》에는 열전이 없지만, 동시대에 쓰인 《위략》에 열전이 실려 있다.
2. 1. 초기 생애와 명성
원가(元嘉) 원년, 상우령(上虞令) 탁상이 효녀 조아의 비를 세우려 했는데, 탁상은 제자 한단순에게 비문을 적도록 하였다. 한단순은 바로 붓을 들어 비문을 써내려갔고, 비문의 내용은 더없이 훌륭하였다. 한단순은 이때부터 명성을 떨치기 시작했다.[12]《후한서》의 주석에 인용된 會稽典錄|회계전록중국어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두상은 먼저 魏朗|위랑 (삼국)|lt=위랑중국어에게 비문을 쓰도록 의뢰했다. 두상이 위랑에게 술자리에서 비문을 완성했는지 묻자, 위랑은 부정적으로 대답하며 실력 부족을 사과했다. 그러자 두상은 즉시 연회에 참석했던 한단에게 비문을 쓰도록 요청했다. 한단은 수정 없이 신속하게 비문을 완성했다. 그 결과는 매우 훌륭하여 위랑은 자신의 초고를 찢어 버렸다.[12]
2. 2. 유표, 유종 섬김
초평 연간에 전란을 피해 유표가 다스리던 형주(荊州)로 이주했다. 유표가 죽은 후에는 유종을 섬기다가 조조에게 항복했다.[12][3]2. 3. 조조, 조식, 조비 섬김
초평 연간에 전란을 피해 유표가 다스리던 형주로 갔다. 유표 사후 유종을 섬기다가 조조에게 항복했다.[12]조조는 한단순의 학식과 재능을 높이 평가했고, 아들 조식이 그를 원했기 때문에 조식의 휘하에 두었다. 조조는 매일 한단순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그의 박식함에 감탄했다고 한다. 조식과 사이가 좋지 않았던 문제 또한 그를 중용하여, 위 건국 후에는 한단순을 박사(博士) · 급사중(給事中)에 임명하였다.[12]
2. 4. 서예가로서의 명성
한단순은 서예가로도 명성이 높았다. 설문해자를 비롯하여 여러 옛 서체에 관한 지식이 풍부했으며, 전서는 당대 최고였을 뿐만 아니라 예서는 양곡에 버금가는 사람으로 평가받았다.[12]사체서세(四體書勢)는 삼국지 배송지의 주석에서 인용되었는데, 한단순이 고전을 와서로 가르쳤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의 서체를 위기가 너무 잘 모방하여 자신의 서경 필사본과 위기의 것을 구분할 수 없었다고 언급한다.[6]
삼국지의 호조 열전에 따르면, 한단순의 서예는 호조, 종요, 위기,[7] 그리고 위단의 서예와 함께 다른 사람들에게 널리 모방되었다.[8]
3. 작품
한단순의 저서로는 《소림》, 《예경》이 있으며, 한시 작품으로는 《투호부》, 「증오처현시」(贈吳處玄詩)가 전해진다. 「증오처현시」는 "답증시"(答贈詩)라고도 불리며, 한단순이 임치에서 낙양으로 떠날 때 지은 작별 시이다. "상수명술표"(上受命述表)는 새로운 조위 왕조를 칭찬하는 시 "수명술"(受命述)을 발표한 것이다.[10][11]
3. 1. 소림(笑林)
한단순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유머스러운 일화 모음집인 ''소림''(笑林)이다. 학자들은 이 작품을 중국 문학 최초의 농담 모음집이자, 가장 초기의 "지인 소설"(志人小説, 인물 기록)로 간주한다. 이 작품은 처음으로 ''수서''에 기록되었으며, 한단순의 저작으로 기록되어 3권(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오대사''와 ''신오대사''에도 3권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이후 다른 이십사사의 공식 왕조 역사서에는 언급되지 않는다. 남송 시대에 오증(吳曾)은 ''능개재만록''(能改斋漫录)에서 황궁에 10권 분량의 ''고소림''(古笑林) 사본이 있었다고 기록했다. 왕리치는 이 텍스트가 아마도 ''소림''의 확장판이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 책은 송나라 이후에 소실되었으며, 개별 이야기는 다양한 컬렉션에 흩어져 있었다. ''소림''의 현존하는 다양한 이야기를 처음으로 수집한 사람은 명나라 학자 진우모(陳禹謨)였으며, 그는 자신의 저서 ''광활계''(廣滑稽)에서 10개의 현존하는 단편을 수집했다. 청나라 학자 마국한(馬國翰)은 ''옥함산방집일서''(玉函山房輯佚書)에서 26개의 단편을 수집했다. 그 후 루쉰은 마국한의 수집을 바탕으로, 자신이 직접 찾아낸 3개의 이야기를 추가하여 총 29개의 이야기로 구성된, 지금까지 가장 완벽한 ''소림'' 이야기 모음을 그의 저서 古小說鉤沉|고소설구침중국어에서 편집했다.[10]3. 2. 예경(藝經)
한단순의 저서로는 『강식논서표』, 『서단』[10], 『소림』, 『예경』이 알려져 있으며, 문학 작품으로는 「증오처현시」[11], 『투호부』가 있다.3. 3. 투호부(投壺賦)
"투호부"()는 220년 한단순이 지은 부이다. 이 작품은 당시 교육받은 엘리트 계층에서 인기를 얻고 있던 투호 놀이를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11] 《위략》에는 한단순이 220년에 천 자가 넘는 시를 지어 조비에게 바쳤고, 조비는 이를 매우 기뻐하여 그에게 비단 천 필을 하사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시는 《예문유취》에 보존되어 있으며, 현재는 389자만 남아 있다.3. 4. 증오처현시(贈吳處玄詩)
「증오처현시」(贈吳處玄詩)는 한단순이 220년에 임치를 떠나 낙양의 조위 조정으로 가서 박사급사중(博士給事中) 직을 맡으면서 쓴 작별 시이다. 이 시는 오처현(吳處玄)이 쓴 시에 대한 답시로, 그는 아마도 조식의 궁정에서 시종을 맡았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외의 기록은 없다.[11] 이 시는 또한 역사적 정보의 원천이기도 하며, 한단순의 생애에 대한 《위략》의 기록의 정확성을 뒷받침한다.4. 평가 및 영향
한단순에 대한 역사 기록은 거의 없으며, 때로는 상반된 내용이 나타난다. 배송지가 쓴 《삼국지》 주석에 인용된 《위략》은 한단순의 자(字)가 자숙(子叔)이라고 언급하고 있지만, 《회계전록》과 《수경주》는 그의 자가 자례(子禮)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구회산과 같은 학자들은 한단순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 두 명일 수도 있다고 추측했다.[12]
선유성과 석현총은 조아비의 비문을 쓴 한단순과 《소림》을 쓴 한단순이 서로 다른 사람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회계전록》에 기록된 일화가 사실이고, 동일 인물이 《소림》을 썼다면, 한단순은 그것을 쓸 때 90대에 이르렀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2]
또한 한단순의 본관에 대한 기록에도 불일치가 있다. 일반적으로 한단순은 영천군 출신으로 알려져 있지만, 《위서》와 《북사》는 그가 진류군 출신이라고 기록하고 있다.[12]
4. 1. 당대 평가
한단순은 서예가로도 명성이 높았다. 《설문해자》를 비롯하여 여러 옛 서체에 관한 지식이 풍부했으며, 전서는 당대 최고였을 뿐만 아니라 예서는 양곡에 버금가는 사람으로 평가받았다.[12]4. 2. 후대 평가
한단순은 서예가로도 명성이 높았다. 설문해자를 비롯하여 여러 옛 서체에 관한 지식이 풍부했으며, 전서는 당대 최고였을 뿐만 아니라 예서는 양곡에 버금가는 사람으로 평가받았다.[12]참조
[1]
서적
[2]
서적
[3]
간행물
Handan Chun
Brill
[4]
간행물
Handan Chun
Brill
[5]
서적
[6]
서적
[7]
문서
father of [[Wei Guan]]
[8]
서적
[9]
서적
[[魏略]] 卷十六 傳〈儒宗傳(董遇、賈洪、邯鄲淳、薛夏、隗禧、蘇林、樂詳)
[10]
웹사이트
邯鄲淳 {{!}} 中國古代名人錄 {{!}} 中華博物
http://www.gg-art.co[...]
2012-06-22
[11]
웹사이트
魏诗卷五
http://gj.zdic.net/a[...]
[12]
문서
[13]
서적
[[수경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