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보철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보철강은 1957년 초석건설로 시작하여 1979년 한보그룹에 인수된 후 한보종합건설로 사명을 변경했다. 1980년 한보그룹이 청주 철구공장을 인수하여 한보철강공업을 설립하고, 1989년 두 회사를 합병하여 한보철강공업으로 통합되었다. 1989년부터 당진제철소 건설을 시작했으나, 무리한 자금 조달로 1997년 부도 처리되었고, 이는 한국의 IMF 외환 위기를 초래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이후 자산관리공사를 거쳐 2004년 INI스틸 및 현대하이스코에 매각되었고, 현재는 현대제철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없어진 제조 기업 - 스프링필드 조병창
    스프링필드 조병창은 1777년 미국 독립 전쟁 중 설립되어 미국 육군에 무기를 공급했으며, 1795년 미국 최초의 머스킷을 생산하고 M1 개런드 소총 등을 개발하며 주요 무기 생산 시설로 자리 잡았으나, 1968년 폐쇄된 후 현재는 국립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상표권은 민간 회사에 판매되었다.
  • 없어진 제조 기업 - LJN
    LJN은 1970년 잭 프리드먼이 설립한 장난감 회사로, 1985년 MCA에 인수된 후 비디오 게임 퍼블리싱 사업을 시작했으나 2000년 사업을 종료했다.
  • 대한민국의 철강생산업체 - KG스틸
    KG스틸은 2022년 KG동부제철에서 사명을 변경한 대한민국의 철강 제조 기업으로, 열연강판, 냉연강판, 컬러강판 등을 생산하며 컬러강판 사업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강생산업체 - 현대제철
    현대제철은 1953년 대한중공업공사로 설립되어 인천제철 흡수합병, 현대그룹 편입, 한보철강 인수를 거쳐 자동차용 강판, H형강 등을 생산하는 대한민국의 철강 제조 기업으로, 세계 1위 H형강 생산능력과 당진제철소의 초대형 고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산업재해 및 안전 문제 논란과 함께 지속가능경영 및 탄소 배출량 감축 노력을 요구받고 있다.
  • 2009년 해체된 기업 - OCI (기업)
    OCI는 1959년 동양화학공업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화학 기업으로, 무기화학, 정밀화학, 석유화학, 카본소재, 단열재, 사파이어 잉곳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며, 반도체용 고순도 화학제품과 태양광 산업의 핵심 소재인 고순도 폴리실리콘 생산, 고성능 단열재 ENERVAC 등 혁신적인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 2009년 해체된 기업 - 동화약품
    동화약품은 1897년 설립되어 활명수를 개발, 판매한 대한민국 제약 회사로, 까스활명수, 판콜 등의 주요 제품을 발매하고 의약품 외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며 부채표 가송재단을 통해 사회공헌 활동도 진행한다.
한보철강
기업 정보
이름한보철강공업 주식회사
원어Hanbo Steel Co., Ltd.
창립1957년 1월 30일
해체2009년 5월 25일
장소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212 (대치동)
산업열간 압연 및 압출 제품 제조업
기타 정보
매각 관련미국 회사에 매각되었으며, 가격이 너무 낮다는 의견이 있었다. 매각 가격 논란 관련 동아일보 기사
관련 인물정몽구, 현정은 관련 기사
철강 기업의 숙명[김종대의 철태만상(44)] 철강기업의 숙명

2. 역사

한보철강의 역사는 크게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1957년 박해원 창업주가 세운 '초석건설'과 1980년 한보그룹이 청주 철구공장을 인수해 설립한 '한보철강공업'이 그것이다. 1989년 이 두 회사는 합병하여 '한보철강공업'이라는 이름으로 건설 및 철강 사업을 함께 운영하게 되었다.

1989년부터 아산만 공유수면 매립을 시작으로, 1992년 당진제철소 1차 공사에 착수하여 1995년 완공하였다. 그러나 미검증된 '코렉스' 공법 도입과 설계 변경으로 투자 규모가 5.7조에 달했고, 무리한 자금 조달은 1996년 말 자금난을 초래했다.[7]

1997년 1월 23일, 한보철강은 극심한 자금난으로 부도 처리되었고, 이는 한국 IMF 외환 위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8] 이 배경에는 1991년 수서동 비리 사건과 김영삼 전 대통령, 정태수 한보그룹 회장의 관계, 그리고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당시 김현철과 정보근 한보그룹 회장 간의 깊은 관계, 김영삼의 수천억 원대 선거 자금 수수 의혹 등이 얽혀 있었다.

한보철강 부도는 삼미그룹, 진로그룹, 대농, 한신공영, 해태그룹, 한라그룹, 한일그룹, 고려증권 등 여러 기업의 연쇄 부도로 이어졌다.

2003년 자산관리공사의 AK 캐피탈 매각 시도는 무산되었고, 2004년 INI스틸 및 현대하이스코(현 현대제철)에 인수되었다.[4] 2019년 6월, 정태수의 사남 정한근이 강제 송환되었고, 정태수는 2018년 말 에콰도르에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5]

2. 1. 초석건설 설립과 한보그룹 인수 (1957년 ~ 1989년)

1957년 박해원 창업주가 초석건설을 설립했다. 초석건설은 1968년 토목건축업, 1972년 도로 및 전기공사업 허가를 받았고, 1975년 요르단을 시작으로 중동 건설사업에 진출하여 1977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했다. 1979년 경영난으로 한보그룹에 인수된 후 '한보종합건설'로 사명을 변경하고, 1981년 철강재 설치공사업 면허를 취득했다.[7]

1980년 한보그룹은 청주 철구공장을 인수해 한보철강공업을 설립했다. 1984년 (주)금호로부터 철강사업부를 인수하여 본격적으로 철강업을 시작했다. 당시 본사는 구 한보철강공업이 설립된 1980년을 공식 창립일로 보았다. 1989년 두 회사를 합병하여 존속법인을 구 한보종합건설로 하고, 사명을 한보철강공업으로 변경하여 건설-철강 2개 사업본부 체제로 운영했다.[7]

2. 2. 한보철강공업으로의 통합과 당진제철소 건설 (1989년 ~ 1997년)

1957년 박해원 창업주가 세운 '초석건설'은 1968년 토목건축업, 1972년 도로 및 전기공사업 허가를 받았고, 1975년 요르단을 시작으로 중동 건설사업에도 진출하여 1977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했다. 1979년 경영난으로 한보그룹에 인수된 후 '한보종합건설'로 사명을 바꾸고 1981년 철강재 설치공사업 면허를 취득했다.

1980년 한보그룹은 청주 철구공장을 인수해 '한보철강공업'을 설립했다. 1984년 (주)금호로부터 철강사업부를 인수하여 본격적으로 철강업을 시작했다. 1989년 한보종합건설과 한보철강공업을 합병하여 존속법인을 한보종합건설로 하고, 사명을 '한보철강공업'으로 변경하여 건설-철강 2개 사업본부 체제를 갖추었다.

1989년부터 아산만 공유수면 매립공사를 시작했고, 같은 해 12월에는 1.2조을 투자해 충청남도 당진군에 100만 평의 제철소 부지 매립공사를 착수했다. 1992년에는 당진제철소 1차 공사를 개시했다. 1995년 6월 23일 1차 공사를 완료하여 열연 연산 300만 톤, 철근 100만 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추게 되었다.[9] 당시 미검증된 신종 공법인 '코렉스' 도입을 위해 설계변경 등의 이유로 투자 규모가 5.7조에 달했고, 이를 회사채 발행, 차입 등 무리한 자본 조달로 인해 1996년 말 자금이 바닥났다.[7]

1991년 수서동 관련 비리 사건 당시 신한국당 대표 최고위원이자 대통령이었던 김영삼정태수 한보그룹 회장의 관계가 시작되었다.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를 계기로 김현철과 정태수 총회장의 3남인 정보근 한보그룹 회장의 관계가 깊어지면서, 김영삼은 당시 선거에서 수천억 원대의 선거 자금 수수 의혹을 받았다.

2. 3. 부도와 IMF 외환 위기 (1997년)

1997년 1월 23일, 한보철강은 극심한 자금난에 시달리며 주식포기 각서 제출을 거부하고 부도처리되었다. 이는 한국의 IMF 위기를 초래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8]

이러한 부도의 배경에는 1991년 수서동 비리 사건이 있었다. 당시 신한국당 대표 최고위원이자 대통령이었던 김영삼 전 대통령과 한보그룹 회장 정태수의 관계가 시작되었고,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를 계기로 김영삼 대통령 당선자의 차남 김현철과 정태수 총회장의 3남 정보근 한보그룹 회장의 관계가 깊어졌다. 김영삼은 당시 선거에서 수천억 원대의 선거 자금 수수 의혹을 받았다.

한보철강의 부도는 한보그룹 전체를 위태롭게 만들었으며, 삼미그룹의 삼미특수강 등 다른 기업들의 연쇄 부도로 이어졌다. 진로그룹, 대농, 한신공영, 해태그룹, 한라그룹, 한일그룹, 고려증권 등 굴지의 기업들이 잇따라 부도를 맞으면서, 1997년은 대한민국 경제에 큰 시련을 안겨준 해로 기록되었다.

2. 4. 부도 이후와 현대제철로의 인수 (1997년 ~ 현재)

1997년 1월 23일, 한보철강은 극심한 자금난으로 부도 처리되었다. 당시 한보철강은 회사채 발행과 차입 등 무리한 자본 조달로 인해 1996년 말 자금이 바닥난 상태였다.[7] 이 사건은 한국의 IMF 위기를 초래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8]

한보철강 부도의 배경에는 1991년 수서동 비리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당시 신한국당 대표 최고위원이자 대통령이었던 김영삼과 한보그룹 정태수 총회장의 관계가 시작되었다.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영삼 대통령 당선자의 차남 김현철과 정태수 총회장의 3남 정보근 한보그룹 회장의 관계가 깊어졌고, 김영삼은 당시 선거에서 수천억 원대의 선거 자금 수수 의혹을 받았다.

부도 이후, 한보철강의 주력 제철소인 당진제철소는 포항제철의 위탁 운영을 거쳐 법정관리에 들어갔다.[9] 2004년 9월 25일, 한보철강은 INI스틸, 현대하이스코 등에 인수되었다가 통합 과정을 거쳐 현재의 현대제철이 되었다.[10] 2009년 5월 25일, 한보철강 법인은 해체되었다.[11]

2019년 6월, 해외로 도피했던 정태수의 사남 정한근이 국내로 강제 송환되었다. 정한근은 도피 중이던 아버지 정태수가 2018년에콰도르에서 사망했다고 증언했으며, 검찰도 이를 공식적으로 발표했다.[5]

3. 주요 연혁


  • 1957년: 소규모 건설업이었던 초석건설을 시초로 설립
  • 1979년: 한보그룹에 인수되면서 한보종합건설로 사명 변경
  • 1984년: ㈜금호의 철강사업부 인수 합병하여 철강사업 진출
  • 1989년 12월: 한보철강, 충청남도 당진군에 1백만 평의 제철소 부지매립공사 착수(1.2조 투자).
  • 1995년: 건설사업부를 ㈜한보로 양도
  • 1995년 6월 23일: 당진제철소 1단계 공사 완료(열연 연산 3백만, 철근 1백만 규모)[9]
  • 1996년: 부산제강소를 ㈜한보로 양도
  • 1997년 1월 23일: 한보그룹 부도. 이후 당진제철소는 포항제철의 위탁 운영 및 법정관리 돌입.
  • 2004년 9월 25일: INI스틸, 현대하이스코 등으로 이양되었다가 통합, 현재의 현대제철로 이어짐.[10]
  • 2009년 5월 25일: 법인 해체[11]

참조

[1] 웹사이트 韓宝鉄鋼、米社への「売却価格は安すぎる」の声 東亜日報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6-11-13
[2] 웹사이트 鄭夢九対玄貞恩…果たして誰の手が大きいだろう 東亜日報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0-11-15
[3] 웹사이트 IMF危機の引き金韓宝鉄鋼6年ぶり正常化へ 総合 ニュース 東洋経済日報 http://www.toyo-keiz[...] 東洋経済日報 2003-02-14
[4] 웹사이트 還元鉄生産の現状と将来の展望 http://www.texreport[...] TEX Report 2005
[5] 웹사이트 【ソウルからヨボセヨ】韓国人は大胆不敵?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9-07-06
[6] 뉴스 [김종대의 철태만상(44)] 철강기업의 숙명 http://www.g-enews.c[...] 2023-08-21
[7] 뉴스 한보사건 관련 논란빚고 있는 코렉스공법, 외국 가동현황 및 경제성 https://news.kbs.co.[...] 1997-03-24
[8] 뉴스 한보, 부도로 쓰러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7-01-23
[9] 뉴스 한보철강 아산만에 광진공장 준공 https://news.kbs.co.[...] 1995-06-23
[10] 뉴스 한보철강 매각 ‘7년만에 매듭’ https://n.news.naver[...] 2004-09-25
[11] 뉴스 법원, 한보철강 회사정리절차 종결 https://n.news.naver[...] 2009-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