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통합 한자는 유니코드 및 ISO/IEC 10646에서 한자를 통합하여 표현하기 위한 문자 집합이다. 이 집합은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베트남어의 쯔놈 문자 등을 포함하며, 기본 블록에는 20,992개의 한자가 수록되어 있다. 유니코드 버전별로 확장이 이루어져, 현재는 여러 확장 블록을 통해 97,680개 이상의 한자를 포함한다. CJK 통합 한자는 각국의 표준 한자 코드를 기반으로 하며, 한자 통합 과정에서 글리프 모양의 차이, 중복 수록, 잘못된 통합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했다. 유니코드에는 한중일 통합 한자 외에도 CJK 관련 부호, 기호, 호환성 문자 등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유니코드에 관한 - UTF-8 UTF-8은 유니코드 문자를 표현하는 가변 길이 문자 인코딩 방식으로, ASCII 코드와 호환성을 유지하며 다양한 언어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보안 문제점과 공간 효율성 측면에서 단점을 가진다.
유니코드에 관한 - UTF-1 UTF-1은 유니코드 초기 버전을 인코딩하기 위해 1992년에 설계된 가변 길이 문자 인코딩 방식으로, ASCII 호환성을 유지하고 ISO 2022 및 MIME과의 호환성을 고려했지만, "모듈로 190" 산술을 사용하는 특징과 현대 유니코드 표준과의 차이점을 가진다.
한중일 - 동아시아 정상회의 동아시아 정상회의(EAS)는 아세안 10개국과 주변 국가들이 참여하는 연례 회의로, 경제 협력 및 지역 안보 현안을 논의하며 동아시아 공동체 구축을 목표로 하지만, 회원국 간 이해관계 및 협력 구도의 복잡성으로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한중일 - 동아시아 동아시아는 중국, 일본, 한국, 몽골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정의가 다양하며, 지리적으로 복잡한 지형과 다양한 기후대를 가지고 있고, 역사적으로 문화 교류가 활발했으나 근대에는 갈등을 겪었으며, 현재는 경제적 통합과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다.
유니코드 - 이모지 이모지는 1999년 NTT 도코모에서 처음 도입된 그림 문자로, 유니코드 표준 제정 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언어적 기능을 수행하며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플랫폼별 표현 방식 차이와 의미 해석 논란도 존재한다.
유니코드 - 국제 음성 기호 국제 음성 기호는 국제 음성 협회가 개발한 언어의 음성 표기 문자 기호 체계로,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자음, 모음, 초분절 기호 등을 포함하여 모든 언어의 음성을 정확하게 표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JK 통합 한자 확장 A CJK 통합 한자 확장 B CJK 통합 한자 확장 C CJK 통합 한자 확장 D CJK 통합 한자 확장 E CJK 통합 한자 확장 F CJK 통합 한자 확장 G CJK 통합 한자 확장 H CJK 통합 한자 확장 I CJK 호환용 한자 CJK 부수 보충 CJK 획수 CJK 문자/그림 기호 문자 부호 목록
: 기본 다국어 평면(BMP) + IVS(자형 선택자 보조/Variation Selectors Supplement영어)
64비트
: 추가 평면 + IVS
2. 1. 한중일 통합 한자
유니코드 기본 다국어 평면(BMP)의 U+4E00부터 U+9FFF까지의 영역에 20,992개의 한자가 수록되어 있다.[4] 초기 20,902자는 강희자전의 부수 순서에 따라 배열되었으며, 이후 추가된 한자들은 부수 순서와 관계없이 배열되었다.
CJK 통합 한자 (4E00–9FFF)라고 명명된 기본 블록은 U+4E00부터 U+9FFF까지의 범위에 20,992개의 기본 한자를 포함한다. 이 블록은 중국어뿐만 아니라 일본어의 가나 및 한자, 한글의 한자, 베트남어의 쯔놈 문자까지 포함한다. 이 블록의 많은 문자는 세 문자 체계에서 모두 사용되는 반면, 다른 문자는 세 체계 중 하나 또는 두 개에서만 사용된다.[4]
이 블록은 한자 통합의 결과이며, 이는 동아시아에서 다소 논란이 있었다.[5] 중국어, 일본어 및 한국어 문자가 동일한 위치에 인코딩되면서 선택된 글리프의 모양은 사용 중인 특정 글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었다. 그러나 ''소스 분리 규칙''에 따르면 이전 문자 집합에서 별도로 인코딩된 문자는 새로운 유니코드 인코딩에서도 별도로 유지된다.[6]
변형 선택자를 사용하면 유니코드 내에서 특정 변형 CJK 표의 문자를 지정할 수 있다.[7]
유니코드 3.0(1999)에서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A(3400–4DBF)에는 U+3400부터 U+4DB5까지 6,582개의 한자가 수록되었다. CJK 통합 한자 확장 A라고 명명된 블록(3400–4DBF)은 U+3400부터 U+4DBF까지의 범위에 있는 6,592개의 추가 문자를 포함한다.
K5 Korean IRG Hanja Character Set 5th Edition: 2001
K6 KS X 1027-5:2014
KC 한국 역사 정보 통합 시스템
KU 원전 없음
''참고 K2, K3, K4 및 K5에 포함된 한자는 새로운 한국 규격군에서 개정 작업이 진행 중이다.''
2. 3.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B
유니코드 3.1(2001)에서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B(20000–2A6DF)에는 U+20000부터 U+2A6D6까지 42,711개의 한자가 수록되었다. 여기에는 강희자전에서 사용된 대부분의 문자와 과거 베트남어를 표기하는데 사용되었던 많은 쯔놈 문자가 포함되어 있다.
K5 Korean IRG Hanja Character Set 5th Edition: 2001
K6 KS X 1027-5:2014
KC 한국 역사 정보 통합 시스템
KU 원전 없음
''참고 K2, K3, K4 및 K5에 포함된 한자는 새로운 한국 규격군에서 개정 작업이 진행 중이다.''
2. 8.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G
유니코드 13.0(2020)에서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G 영역(30000-3134F)에는 U+30000부터 U+3134F까지 4,939개의 한자가 수록되었다.[13] CJK 통합 한자 확장 G라는 블록은 유니코드 13.0의 일부로 제3 표의 평면에 U+30000부터 U+3134F까지의 범위로 추가되었으며, 4,939개의 문자를 포함하고 있다.[13]
K5 Korean IRG Hanja Character Set 5th Edition: 2001
K6 KS X 1027-5:2014
KC 한국 역사 정보 통합 시스템
KU 원전 없음
''참고 K2, K3, K4 및 K5에 포함된 한자는 새로운 한국 규격군에서 개정 작업이 진행 중이다.''
2. 9.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H
유니코드 15.0(2022)에서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H 영역(31350–323AF)에는 U+31350부터 U+323AF까지 4,192개의 한자가 수록되었다. CJK 통합 한자 확장 H로 명명된 블록은 U+31350부터 U+323AF까지의 범위에서 4,192개의 문자를 포함하며, 보조 표의 문자 영역에 유니코드 15.0의 일부로 추가되었다.[14] 31350–323AF
2. 9. 1. 목록
31350–323AF
2. 10.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I
유니코드 15.1(2023)에서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I 영역(2EBF0–2EE5F)에는 U+2EBF0부터 U+2EE5F까지 622개의 한자가 수록되었다.[15] CJK 통합 한자 확장 I이라고 불리는 블록이 유니코드 15.1의 일부로 U+2EBF0부터 U+2EE5F 범위에 보조 표의 문자 평면에 추가되었으며, 622개의 문자를 포함하고 있다.[15]
2. 10. 1. 목록
2EBF0–2EE5F.
2EBF0–2EE5F.
2. 11.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J
중국은 강희자전이나 고장자를 비롯한 소수 민족이 사용하는 특수 한자 등 모든 문자를 UCS에 수록하려 하고 있으며, 일본과 한국, 베트남에서도 한자(국자, 한국 국자, 쯔놈 등)의 추가 제안이 있기 때문에, 유니코드 16.0에서는 확장 J의 추가가 예정되어 있으며, 유니코드의 향후 버전에서는 CJK 통합 한자의 확장 블록이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갑골 문자, 금문, 소전 등 고대 문자에 대해서는 세 번째 한자 면에 추가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한자의 부품과 가나나 알파벳 등을 조합한 문자(⿸广K(경의 약자), ⿱宀R(료의 약자), ⿰木キ(기의 약자), ⿱⿰⿱콘⿱크리土(콘크리트) 등)과, 불교의 석전(釋典)의 주문 등에서 사용된 기묘한 자형의 문자(인 (불자)), ⿴〇⿻𠃊冂(엔) 등)은, 일반적인 한자와는 다른 블록으로 추가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2. 12. 한중일 호환용 한자
F900–FAFF 블록은 U+F900~U+FAFF 영역에 해당하며, 다른 표준과의 왕복 호환성을 위해 만들어졌다. 유니코드 3.1에서는 제2면(추가 한자면)에 U+2F800~U+2FA1F 블록(한중일 호환용 한자 보충)이 추가되었다. 이 블록들에는 기본적으로 CJK 통합 한자와 중복되는 한자가 할당되어 있다.[1]
CJK 통합 한자는 하나의 한자에 하나의 부호 위치만 주어지기 때문에, KS X 1001처럼 각국의 규격에서 완전히 같은 형태의 한자가 중복 수록된 경우, 유니코드 변환 시 가역성 손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KS X 1001의 경우, 독음에 따라 분리되어 있어 독음을 알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블록이 만들어졌다. Big5에서 잘못 중복된 두 글자도 이 블록에 있다. IBM 확장 한자 중 CJK 통합 한자에 포함되지 못한 것도 있으며, 그중 U+FA1F(﨟)나 U+FA24(﨤) 등 12자는 CJK 통합 한자에 같은 한자가 없어 CJK 통합 한자와 동일하게 취급된다.
유니코드 3.2에서는 JIS X 0213에서 포섭 기준 변경으로 분리된 "侮󠄁󠄁", "僧󠄁󠄁", "社󠄁" 등이 이 블록에 추가되었다. 이는 CJK 통합 한자가 일본뿐 아니라 중국, 한국의 한자도 포함하기 때문에, 일본만을 위해 포섭 기준을 변경하면 다른 나라(특히 한국)가 국내 규격과 대응하는 유니코드 코드 값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社󠄁"의 경우, GB 18030에서는 ⽰ 부가 "⺭" 형태이지만, 한국의 KS X 1001에서는 "⺬" 형태를 채용한다. 따라서 "社󠄁"를 CJK 통합 한자에 새로 추가하면, GB 18030은 문제가 없지만, KS X 1001의 "社󠄀"는 새로 추가된 쪽으로 코드를 변경해야 한다.
F900–FAFF는 U+F900~U+FAFF 블록에 해당한다. 유니코드 3.1에서는 보조 집합으로서 제2면(추가 한자면)에 U+2F800~U+2FA1F 블록이 추가되었다. 기본적으로 CJK 통합 한자와 중복되는 한자가 할당되어 있다.
CJK 통합 한자에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한자에 하나의 부호 위치만 주어지기 때문에, KS X 1001 등 각국의 규격에서 완전히 같은 형태의 한자가 중복되어 수록되었을 경우, 유니코드와의 상호 변환을 수행할 때 가역성이 손실될 수 있다. (KS X 1001의 경우, 독음에 따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독음을 알 수 없게 되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블록이 만들어졌다. Big5에서 잘못 중복된 두 글자도 이 블록에 있다. IBM 확장 한자 중 CJK 통합 한자에 들어가지 못한 것도 있으며, 그중에는 U+FA1F(﨟)나 U+FA24(﨤) 등 CJK 통합 한자에 같은 한자가 존재하지 않아 CJK 통합 한자와 같은 취급을 하는 것이 12자 있다.
유니코드 3.2에서는 JIS X 0213에서 포섭 기준이 변경되어 분리된 것 중 "侮󠄁󠄁"나 "僧󠄁󠄁", "社󠄁" 등 유니코드에서는 포섭되는 것이 이 블록에 추가되었다. 이는 CJK 통합 한자는 일본 외에도 중국과 한국의 한자를 포함한 것이며, 일본만을 위해 포섭 기준을 변경하여 포섭 분리하여 추가하면 다른 나라가 국내 규격과 대응하는 유니코드 코드 값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社󠄁" 등 ⽰ 부의 한자는 GB 18030에서는 부가 "⺭"의 형태를 채용하고 있지만, KS X 1001에서는 부가 "⺭"이 아닌 "⺬"의 형태를 채용하고 있다. 만약 "社󠄁"를 포섭 분리하여 CJK 통합 한자의 새로운 부호 위치에 추가하면, GB 18030은 그대로 괜찮지만, KS X 1001의 "社󠄀"의 코드와의 대응은 새로 추가된 쪽으로 변경해야만 한다.
3. 역사
한중일 통합 한자 코드에 대한 논의는 1980년대부터 시작되었다.[24] 1978년 일본에서 최초의 ISO 2022 기반 한자 코드 규격 JIS C 6226이 제정되었고, 1980년대에는 중국, 대만, 한국에서 각 국가 및 지역용 한자 코드 규격이 제정되었지만, 이들은 서로 관련성이 없어 혼용해서 사용하기 어려웠다.[24]
1980년, 국립국회도서관의 다카하시 도쿠타로는 서지학의 관점에서 동아시아의 통일 한자 코드의 필요성을 지적했다.[24] 같은 해, 대만에서 제정된 3바이트 한자 코드 규격 CCCII는 일본, 중국, 대만의 한자를 통일적으로 취급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규격 중 하나로, 미국에서도 ANSI Z 39.64로 채택되었다.
1984년, ISO의 문자 코드 규격 위원회 (ISO/TC 97 - SC2)는 전 세계 문자를 단일 문자 집합으로 처리할 수 있는 문자 코드 규격 (ISO 10646)을 만들기로 결정하고, 전문 워크 그룹 (WG2)을 설치했다. 초기에는 16비트를 예상했으나, 중국의 반대로 각국의 한자 코드를 통합한 한자 집합 HCC의 아이디어가 제안되었다.[24]
1990년, ISO 10646의 초판 드래프트는 한자 코드를 32비트로 표현하고 각국의 한자 코드를 그대로 넣는 방식이었으나, 중국은 한자를 통일하여 취급할 것을 요구하며 반대했다. 이에 따라, 워크 그룹은 CJK-JRG를 설치하여 한자 코드 방침을 계속 검토했다.
1987년경부터 제록스의 조 베커[25]와 리 콜린스[26]는 전 세계 문자를 통일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문자 코드 Unicode를 개발하고 있었다. 1989년에 발표된 Unicode 개요에서는 16비트로 모든 문자를 취급하고, 일본, 중국, 한국의 한자를 통합하는 것을 기본 정책으로 했다. 1991년 1월에는 유니코드 컨소시엄이 설립되었다.
1991년, ISO/IEC 10646의 초판 드래프트는 Unicode와의 일원화를 요구하는 각국에 의해 부결되었고, CJK-JRG에서 ISO 10646과 Unicode의 일원화가 추진되었다. CJK-JRG는 각국의 한자 코드에 기반하여 독자적인 통합 기준을 정하고, 통합 한자 코드표 Unified Repertoire and Ordering (URO)를 작성했다.
1992년, URO를 반영한 ISO 10646의 2판 드래프트가 완성되어 국제 규격화되었다. 1993년 5월, 최초의 CJK 통합 한자 20,902자가 할당된 ISO/IEC 10646이 정식으로 제정되었고, 한 달 후에는 내용을 동일하게 하는 Unicode 1.1이 제정되었다.
이후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새로운 한자들이 추가되었다. 1999년 Unicode 3.0에서는 CJK 통합 한자 확장 A로 6,582자가 추가되었고[27][28], 2001년 Unicode 3.1에서는 CJK 통합 한자 확장 B에 42,711자가 추가되었다. 2005년 Unicode 4.1, 2008년 Unicode 5.1, 2009년 Unicode 5.2, 2010년 Unicode 6.0, 2012년 Unicode 6.1, 2015년 Unicode 8.0, 2017년 Unicode 10.0, 2018년 Unicode 11.0, 2020년 Unicode 13.0, 2021년 Unicode 14.0, 2022년 Unicode 15.0, 2023년 Unicode 15.1을 거치면서 한자가 계속 추가되었다. 2024년 9월에는 Unicode 16.0에서 확장 J의 4,300자가 추가될 예정이다.[31]
4. 특징 및 문제점
유니코드 버전 5.0까지 U+4039(䀹)에는 夾(협)이 들어간 한자와 㚒(섬)이 들어간 한자가 통합되어 있었다.[16] 그러나 두 글자는 훈과 음이 모두 다른 한자로, 사실 통합되어서는 안 될 한자였다.[38]
U+4039의 분리 제안이 받아들여져 유니코드 5.1에서 U+9FC3 (鿃)으로 새로 분리되었다.[16][38]
MS 한글 IME에서는 U+4039를 U+9FC3의 음인 "섬"으로 입력해야 하는 문제가 남아있다.
확장 한자 B 영역에는 수백 개의 이체자가 수록되어 있으며,[39] 그 중 일부는 유니코드 글자 수록 과정에서의 실수 등으로 인해 중복 수록되었다.[40]
U+34A8 㒨 = U+20457 𠑗 : U+20457는 중국(간체권) 한자 U+34A8와 같음, 그러나 중국(번체권)의 글자 U+34A8와는 모양이 약간 다름.[40][19]
U+3DB7 㶷 = U+2420E 𤈎 : 모양이 같은 한자[40][19]
U+8641 虁 = U+27144 𧅄 : U+27144는 한국 한자 U+8641와 같음, 그러나 일본, 중국(간체권, 번체권)의 글자 U+8641와는 모양이 약간 다름.[40][19]
U+204F2 𠓲 = U+23515 𣔕 : 모양이 같은 한자, 그러나 부수가 다름.[40][19]
U+249BC 𤦼 = U+249E9 𤧩 : 모양이 같은 한자[40][19]
U+24BD2 𤯒 = U+2A415 𪐕 : 모양이 같은 한자, 그러나 부수가 다름.[40][19]
U+26842 𦡂 = U+26866 𦡦 : 모양이 같은 한자[40][19]
U+FA23 﨣 = U+27EAF 𧺯 : 모양이 같은 한자 (은 한중일 호환용 한자로 분류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통합 한자임.)[40][19]
CJK 통합 한자 확장 B에는 일부 문자가 다른 문자와 잘못 통합된 경우가 있다. U+2017B(𠅻), U+204AF(𠒯) 및 U+24CB2(𤲲)가 그러한 예인데, 처음 두 문자는 중국 본토와 베트남의 글꼴 소스가, 마지막 문자는 중국 본토와 대만의 글꼴 소스가 잘못 통합되었다.[17]
또한 CJK 통합 한자 확장 B에서는 수백 개의 글리프 변형이 실수로 인코딩되었고,[18] ISO/IEC JTC 1/SC 2 보고서에 따르면 6개의 정확한 중복 문자와 2개의 반 중복 문자가 실수로 인코딩되었다.[19]
4. 1. U+4039 문자
유니코드 버전 5.0까지 U+4039(䀹)에는 夾(협)이 들어간 한자와 㚒(섬)이 들어간 한자가 통합되어 있었다.[16] 그러나 두 글자는 훈과 음이 모두 다른 한자로, 사실 통합되어서는 안 될 한자였다.[38]
U+4039의 분리 제안이 받아들여져 유니코드 5.1에서 U+9FC3 (鿃)으로 새로 분리되었다.[16][38]
MS 한글 IME에서는 U+4039를 U+9FC3의 음인 "섬"으로 입력해야 하는 문제가 남아있다.
4. 2. 확장 B 한자 영역의 같은 모양의 글자
확장 한자 B 영역에는 수백 개의 이체자가 수록되어 있으며,[39] 그 중 일부는 유니코드 글자 수록 과정에서의 실수 등으로 인해 중복 수록되었다.[40]
U+34A8 㒨 = U+20457 𠑗 : U+20457는 중국(간체권) 한자 U+34A8와 같음, 그러나 중국(번체권)의 글자 U+34A8와는 모양이 약간 다름.[40][19]
U+3DB7 㶷 = U+2420E 𤈎 : 모양이 같은 한자[40][19]
U+8641 虁 = U+27144 𧅄 : U+27144는 한국 한자 U+8641와 같음, 그러나 일본, 중국(간체권, 번체권)의 글자 U+8641와는 모양이 약간 다름.[40][19]
U+204F2 𠓲 = U+23515 𣔕 : 모양이 같은 한자, 그러나 부수가 다름.[40][19]
U+249BC 𤦼 = U+249E9 𤧩 : 모양이 같은 한자[40][19]
U+24BD2 𤯒 = U+2A415 𪐕 : 모양이 같은 한자, 그러나 부수가 다름.[40][19]
U+26842 𦡂 = U+26866 𦡦 : 모양이 같은 한자[40][19]
U+FA23 﨣 = U+27EAF 𧺯 : 모양이 같은 한자 (은 한중일 호환용 한자로 분류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통합 한자임.)[40][19]
CJK 통합 한자 확장 B에는 일부 문자가 다른 문자와 잘못 통합된 경우가 있다. U+2017B(𠅻), U+204AF(𠒯) 및 U+24CB2(𤲲)가 그러한 예인데, 처음 두 문자는 중국 본토와 베트남의 글꼴 소스가, 마지막 문자는 중국 본토와 대만의 글꼴 소스가 잘못 통합되었다.[17]
또한 CJK 통합 한자 확장 B에서는 수백 개의 글리프 변형이 실수로 인코딩되었고,[18] ISO/IEC JTC 1/SC 2 보고서에 따르면 6개의 정확한 중복 문자와 2개의 반 중복 문자가 실수로 인코딩되었다.[19]
기본 다국어 평면의 일부인 CJK 통합 한자 블록과 CJK 통합 한자 확장 A는 대부분의 CJK 글꼴에서 지원된다. 그러나 일본어 및 한국어 글꼴은 일반적으로 중국어보다 적은 수의 문자(각각 약 13,000자 및 8,000자)를 가지고 있다. 확장 B, C, D는 Vista 이후 Microsoft Windows에 포함된 추가 글꼴인 MingLiU-ExtB, MingLiU_HKSCS-ExtB, PMingLiU-ExtB, SimSun-ExtB에서 지원된다.[21]
6. 기타 CJK 관련 문자 블록
유니코드에는 한중일 통합 한자 외에도 CJK 관련 문자 블록이 존재한다.[20] CJK 부수, 획, 구두점, 기호 및 호환성 문자 등이 포함된다.[20]
CJK 기호 및 구두점 블록의 과 같은 문자는 "CJK 통합 한자"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다른 모든 목적에서는 CJK 문자로 취급된다.[20]
레거시 텍스트 처리 시스템 및 구식 문자 집합과의 호환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개의 호환성 문자 블록이 포함되어 있다.
CJK 호환성 (3300–33FF)
CJK 호환성 양식 (FE30–FE4F)
CJK 호환성 한자 (F900–FAFF)
CJK 호환성 한자 보충 (2F800–2FA1F)
이 블록들에는 세로 텍스트 레이아웃을 위한 문자 형식과 유니코드가 다른 방식을 통해 처리할 것을 권장하는 서식 있는 텍스트 문자가 포함되어 있어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