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A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A는 유니코드 3.0에 추가된 블록으로, 6,582개의 한자를 포함한다. 1996년 한국, 중국 등의 제안을 시작으로 국제 표준화 과정을 거쳐 1999년에 최종 확정되었다. 이 블록은 한국, 중국, 일본에서 사용되는 한자 외에도 베트남의 쯔놈 문자를 일부 포함하며, 희귀하거나 역사적으로 사용된 한자들이 주를 이룬다. 이 블록에는 한국의 국자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니코드 영역 - 딩뱃
딩뱃은 장식 문자, 강조 표시, 비텍스트 상징을 포함하는 문자 집합으로, 유니코드 표준의 딩뱃 블록과 장식 딩뱃 블록을 통해 코드 포인트를 제공하며, 장식적 요소 외에도 정치적, 사회적 의미를 담을 수 있다. - 유니코드 영역 - 한중일 호환용 한자
한중일 호환용 한자는 유니코드에서 기존 문자 코드와의 호환성을 위해 추가된 한자 블록으로, 다양한 문자 집합의 한자들이 추가되면서 중복 및 정의 오류, CJK 통합 한자와의 호환 문제 등 기술적 고려 사항이 존재한다.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A | |
---|---|
블록 정보 | |
블록 이름 (영어) | CJK Unified Ideographs Extension A |
범위 시작 | 3400 |
범위 끝 | 4DBF |
문자 | 한자 |
3.0 버전 | 6582 |
13.0 버전 | 10 |
비고 | 유니코드 문자 데이터베이스유니코드 표준 버전하늘글 음절은 유니코드 2.0 이전 버전에 할당되었다.역사적인 단일 글리프 (유니코드 4.0) 코드 차트 |
참고 | CJK 통합 한자 확장 A의 범위는 유니코드 2.0까지 Hangul Syllables에 할당되었다. |
표준화된 변형 시퀀스 | 유니코드 문자 데이터베이스: 표준화된 변형 시퀀스 |
표의 문자 변형 데이터베이스 | 표의 문자 변형 데이터베이스 |
UTS #37 | UTS #37, 유니코드 표의 문자 변형 데이터베이스 |
2. 역사적 배경
유니코드 3.0 버전에서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A 블록(U+3400..4DB5)이 추가되었다. 이 블록에는 6,582개의 한자가 포함되었다.
1996년 8월 1일, CJK 통합 한자 확장 A에 대한 초기 제안 문서들이 제출되었다. 여기에는 대한민국의 제안, 중화인민공화국의 제안 등이 포함되었다. 국제 표준화 기구(ISO)와 유니코드 컨소시엄은 이 제안들을 검토하고 통합하는 과정을 진행했다. 1997년 1월 10일, BMP에 6,585개의 한자를 할당하는 것에 대한 설문 결과가 발표되었고, 1997년 1월 15일에는 확장 A에 대한 일본의 의견에 대한 IRG 입장이 발표되었다.
이후 1998년 3월 20일, FPDAM #17 초안이 작성되었고, 5월 1일에는 ISO 10646-1 수정 17 초안이 발표되었다. 1999년 1월 8일에는 CJK 통합 표의 문자 확장 A에 대한 10646-1 부록 T 개정 초안이 나왔다. 이 과정에서 중복되거나 유사한 한자들은 통합되었고, 일부 한자들은 제외되거나 다른 블록으로 이동되었다.
2. 1. 초기 제안 및 통합 과정
1996년 8월 1일, CJK 통합 한자 확장 A에 대한 초기 제안이 이루어졌다. 여기에는 한국의 제안, 중국의 제안 등이 포함되었다. 국제표준화기구(ISO)와 유니코드 컨소시엄은 이 제안들을 검토하고 통합하는 과정을 진행했다. 1997년 1월 10일, BMP에 6585개의 한자를 할당하는 것에 대한 설문 결과가 발표되었고, 1997년 1월 15일에는 확장 A에 대한 일본의 의견에 대한 IRG 입장이 발표되었다.이후 1998년 3월 20일, FPDAM #17 초안이 작성되었고, 5월 1일에는 ISO 10646-1 수정 17 초안이 발표되었다. 1999년 1월 8일에는 CJK 통합 표의 문자 확장 A에 대한 10646-1 부록 T 개정 초안이 나왔다. 이 과정에서 중복되거나 유사한 한자들은 통합되었고, 일부 한자들은 제외되거나 다른 블록으로 이동되었다.
2. 2. 대한민국 기여 및 특징
3. 주요 특징
3. 1. 문자 구성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A 블록은 6,582개의 한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은 희귀하거나 역사적으로 사용된 한자들이다. 이 블록에는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사용되는 한자 외에도 베트남의 쯔놈 문자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다음은 이 블록에 포함된 몇 가지 예시이다.
- 㐂(U+3402): '희'의 약자이며, 희수의 유래이다.
- 㐃(U+3403): 마/ma/로 읽는 한국의 국자로, 지명에 사용된다.
- 㐅(U+3405): '오'의 고자(古字)이다.
- 㐎(U+340E): 글/geul/로 읽는 한국의 국자로, "한글"은 한㐎로 쓰여진다.
- 㐧(U+3427): '제'의 약자이다.
- 㐰(U+3430): '신'의 고자, 또는 일본에서의 '개'의 약자이다.
- 㒲(U+34B2): '재'의 속자(俗字)이다.
- 㔔(U+3514): 강/gang/로 읽는 한국의 국자이며, 한국어 고유어의 음역에 사용된다.
- 㔫(U+352B): 일본에서의 '좌'의 이체자(異體字)이다.
- 㔺(U+353A): '세'의 동자(同字)이다.
- 㖌(U+358C): 굿/gut/로 읽는 한국의 국자로, 한국어 고유어의 음역에 사용된다.
- 㘴(U+3634): '좌'의 이체자이다.
- 㚻(U+36BB): "남"과 "녀"의 합자로, 중국어로 jī로 읽으며, 남성 동성애를 나타내는 글자이다.
- 㝉(U+3749): '선'의 이간자 또는 중국에서의 (녕의 간체자와 구별하기 위한) '녕'의 약자이다.
- 㞮(U+37AE): '출'의 속자이다.
- 㠪(U+382A): '오'의 대자 중 하나이다.
- 㢴(U+38B4): '서'의 고자이다.
- 㪲(U+3AB2): 둑/duk/로 읽는 한국의 국자로, 한국어 고유어의 음역에 사용된다.
- 㪽(U+3ABD): '소'의 이체자이다.
- 㫖(U+3AD6): '지'의 이체자이다.
- 㾱(U+3FB1): '폐'의 확장 신자체이나, 일반적인 신자체에서는 '폐'의 신자체인 '폐'로 통합되었다.
3. 2. 한국 국자
CJK 통합 한자 확장 A 블록에는 다음과 같은 한국 국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U+3402 㐂: '''희'''의 약자이며, 희수의 유래이다.
- U+3403 㐃: 마/ma/로 읽는 한국의 국자이다. 지명에 사용된다.
- U+3405 㐅: '''오'''의 고자이다.
- U+340E 㐎: 글/geul/로 읽는 한국의 국자이다. 예를 들어, "한글"은 한㐎로 쓰여진다.
- U+3427 㐧: '''제'''의 약자이다.
- U+3430 㐰: '''신'''의 고자이다. 또는 일본에서의 '''개'''의 약자이다.
- U+34B2 㒲: '''재'''의 속자이다.
- U+3514 㔔: 강/gang/로 읽는 한국의 국자이다. 한국어 고유어의 음역에 사용된다.
- U+358C 㖌: 굿/gut/로 읽는 한국의 국자이다. 한국어 고유어의 음역에 사용된다.
- U+3AB2 㪲: 둑/duk/로 읽는 한국의 국자이다. 한국어 고유어의 음역에 사용된다.
4. 현대적 응용
4. 1. 학술 연구
4. 2. 전산화
참조
[1]
웹사이트
Unicode character database
https://www.unicode.[...]
2023-07-26
[2]
웹사이트
Enumerated Versions of The Unicode Standard
https://www.unicode.[...]
2023-07-26
[3]
간행물
18.1: Han (§ Blocks Containing Han Ideographs)
https://www.unicode.[...]
[4]
웹사이트
Unicode Character Database: Standardized Variation Sequences
https://www.unicode.[...]
The Unicode Consortium
[5]
웹사이트
Ideographic Variation Database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6]
웹사이트
UTS #37, Unicode Ideographic Variation Database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7]
웹사이트
Unicode character database
https://www.unicode.[...]
2016-07-09
[8]
웹사이트
Enumerated Versions of The Unicode Standard
https://www.unicode.[...]
2016-07-09
[9]
웹사이트
Unicode Character Database: Standardized Variation Sequences
https://www.unicode.[...]
The Unicode Consortium
2019-05-21
[10]
웹사이트
Ideographic Variation Database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020-05-09
[11]
웹사이트
UTS #37, Unicode Ideographic Variation Database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2018-01-29
[12]
문서
label|U3400_as_of_Unicode_version|1
https://www.unicode.[...]
Official Unicode Consortium
[13]
웹인용
Unicode character database
http://www.unicode.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