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치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치례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66년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성종 즉위 후 왕의 외척으로 중용되어 좌리공신에 봉해지고, 이조판서와 좌참찬을 역임했다. 명나라에 사은부사, 성절사로 다녀오기도 했다. 말년에는 이철견의 범간사건에 연루되어 사직했으나 복직하여 영돈녕부사, 서릉부원군에 이르렀으며, 시호는 장간이다. 그의 묘는 도봉구 죽산 안씨 묘역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99년 사망 - 존 캐벗
존 캐벗은 이탈리아 출신 탐험가로, 헨리 7세의 후원을 받아 북미 대륙을 탐험하여 뉴펀들랜드에 상륙, 영국령을 선포했으며, 1498년 탐험 중 실종되었다. - 1499년 사망 - 마르실리오 피치노
마르실리오 피치노는 1433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태어나 코시모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아 플라톤 아카데미를 이끌며 플라톤 철학을 연구하고, 플라톤 전집을 라틴어로 번역하여 서양에 플라톤 철학을 알리는 데 기여한 르네상스 시대의 철학자이다. - 좌리공신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 좌리공신 - 윤사흔
윤사흔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정희왕후의 동생이자 왕족 및 사대부와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음보로 관직에 입문하여 계유정난과 성종 옹립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고 영돈녕부사에 이르렀으나 훈척으로서 병권 운영에 대한 비판을 받았고 우의정, 영경연사를 역임 후 사망하여 양평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441년 출생 - 알리셰르 나보이
알리셰르 나보이는 15세기 티무르 제국에서 활동하며 차가타이어와 페르시아어로 시를 쓴 시인이자 정치가, 건축가, 신비주의자로서, 호라산 지역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차가타이어 문학을 발전시켜 "튀르크인의 제프리 초서"라는 평가를 받으며 우즈베키스탄에서 국민 시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 1441년 출생 - 레 인종
레 인종은 1442년 즉위하여 섭정과 친정을 거치며 과거 제도 개혁과 참파 침공 격퇴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형에 의해 살해당한 베트남 레 왕조의 황제이다.
한치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치례 |
원어 이름 | 韓致禮 |
출생일 | 1441년 |
사망일 | 1499년 (59세) |
국적 | 조선 |
직업 | 무관 |
작위 | 서릉부원군(西陵府院君) |
별칭 | 자 자절(子節) 시호(諡號) 장간(莊簡) |
종교 | 유교(성리학) |
가족 관계 | |
부모 | 한확(부), 홍씨 부인(모) |
친척 | 한영정(할아버지) 소혜왕후 한씨(누이동생) 한치인(형) 한치의(아우) 한치형(사촌 형) |
2. 생애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세조 대부터 관직에 나아가 성종 대에는 왕의 외척으로서 중용되었다. 1471년(성종 2) 좌리공신 4등으로 책록되어 서릉군(西陵君)에 봉해졌고, 이후 병조참판, 이조판서, 호조, 병조, 공조의 판서 등 여러 요직을 두루 거쳤다.
두 차례에 걸쳐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활동을 수행하기도 했다. 1494년 잠시 관직에서 물러났으나 이듬해 복직되었으며, 1499년(연산군 5)에는 서릉부원군(西陵府院君)에 진봉되었다.
사후 장간(莊簡)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묘는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죽산 안씨 묘역에 있다.
2. 1. 관직 생활
무과에 급제하여 1466년(세조 12) 훈련원도정이 되고, 이어 병조참지를 거쳐 이듬해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승진하였다.1469년 성종이 즉위하자 왕의 외숙으로서 중용되어 동지중추부사에 오르고, 1471년(성종 2) 3월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으로 서릉군(西陵君)에 봉하여졌으며, 1473년 병조참판이 되었다.
1477년 사은부사(謝恩副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1479년 성절사(聖節使)로 다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80년 이조판서에 올랐고, 이듬해 좌참찬이 되었다. 1485년 판중추부사를 거쳐, 그뒤 호조, 병조, 공조의 판서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494년 이철견(李鐵堅)의 범간사건(犯奸事件)에 관련되었다는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가, 이듬해 겸도총부도총관으로 복직되었다.
1499년(연산군 5) 영돈녕부사로 서릉부원군(西陵府院君)에 진봉되었다.
2. 2. 외교 활동
1477년(성종 8년) 사은부사(謝恩副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후 1479년(성종 10년)에는 성절사(聖節使)로서 다시 명나라를 방문하였다.2. 3. 말년
1485년 판중추부사를 거쳐, 이후 호조, 병조, 공조의 판서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1494년 이철견의 범간사건(犯奸事件)에 관련되었다는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으나, 이듬해인 1495년 겸도총부도총관으로 복직되었다.
1499년(연산군 5) 영돈녕부사로 서릉부원군에 진봉되었다.
사후 시호는 장간이며, 묘는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죽산 안씨 묘역에 있다.
3. 가족 관계
아버지는 좌의정 한확(韓確)이며, 어머니는 이조판서 홍여방(洪汝方)의 딸인 남양부부인 홍씨이다. 형으로는 한치인(韓致仁), 한치의(韓致義)가 있다.
여러 누이 중 한 명은 세종의 아들인 계양군에게 시집갔으며[1], 또 다른 누이는 덕종(의경세자)의 비이자 조선 성종과 월산대군의 어머니인 인수대비(소혜왕후)이다. 이로 인해 한치례는 성종의 외숙부가 된다.
부인은 죽산 안씨로, 세종의 부마이자 정의공주의 남편인 연창위 안맹담(安孟聃)[2]의 딸이다.[3] 슬하에 아들 한익(韓翊)을 두었으며, 손자로는 한세창(韓世昌)과 한숙창(韓叔昌) 등이 있다.
3. 1. 가계도
아버지는 좌의정 한확(韓確)이며, 어머니는 이조판서 홍여방(洪汝方)의 딸이다. 누이는 계양군의 처 정선군부인 한씨와 조선 성종과 월산대군의 모후인 인수대비 한씨이다. 부인은 죽산 안씨로 세종의 부마이며 정의공주의 남편인 연창위 안맹담(安孟聃)의 딸이다.- '''5대조''' : 한방신(韓方信) - 첨의부찬성사, 서원군
- * '''증조할아버지''' : 한녕(韓寧) - 신호위녹사
- ** '''할아버지''' : 한영정(韓永矴) - 순창군수
- ** '''할머니''' : 의성 김씨(? - 1423년 3월 13일) - 의성군 양소공 김영렬(金英烈)의 딸
'''숙부''' : 한전(韓磌)
* '''사촌''' : 한충인(韓忠仁)
'''숙부''' : 한질(韓𥑇)
* '''사촌''' : 한치원(韓致元)
* '''사촌''' : 한치형(韓致亨, 1434년 ~ 1502년) - 연산조 영의정
* '''사촌''' : 한치량(韓致良, 1436년 ~ 1525년)
* '''사촌''' : 한치미(韓致美)
'''고모''' : 여비 한씨 - 명나라 영락제의 후궁
'''고모''' : 공신부인 한계란(韓桂蘭) - 명나라 선덕제의 후궁
'''아버지''' : 한확(韓確, 1403년 ~ 1456년) - 좌의정
'''어머니''' : 남양부부인 홍씨 - 남양 홍씨 이조판서, 대제학 문양공 홍여방(洪汝方)의 딸
* '''형''' : 한치인(韓致仁, 1421년 ~ 1480년) - 영돈녕부사, 서릉부원군
* '''형''' : 한치의(韓致義, 1440년 ~ 1473년) - 좌찬성, 서성군
* '''누나''' : 한씨
* '''매형''' : 이계년(李季秊)
* '''누나''' : 정선군부인 한씨(? ~ 1480년)
* '''매형''' : 계양군 이증(李璔, 1427년 ~ 1464년)[1]
* '''누나''' : 한씨
* '''매형''' : 김자완(金自?)
* '''누나''' : 한씨
* '''매형''' : 최연(崔演)
* '''누나''' : 한씨
* '''매형''' : 권집(權?)
* '''누나''' : 인수대비(소혜왕후, 1437년 ~ 1504년)
* '''매형''' : 의경세자(덕종, 1438년 ~ 1457년)
** '''조카''' : 월산대군 이정(李婷, 1454년 ~ 1488년)
** '''조카''' : 성종(자을산군 혈, 1457년 ~ 1494년)
* '''본인''' : '''한치례'''(韓致禮, 1441년 ~ 1499년)
* '''부인''' : 죽산 안씨 - 안맹담(安孟聃, 1415년 ~ 1462년)[2]의 딸[3]
** '''아들''' : 한익(韓翊, 1460년 ~ 1488년) - 보조공신, 군기시판관, 증 병조참판, 서성군
** '''며느리''' : 순천 박씨 - 판중추부사 평양군(平陽君) 박중선(朴仲善, 1435년 ~ 1481년)의 딸
*** '''손자''' : 한세창(韓世昌, 1480년 ~ 1534년) -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 4등, 영흥 대도호부사, 증 호조판서, 청원군
*** '''손자''' : 한숙창(韓叔昌, 1482년 ~ 1546년) -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 4등, 장례원 판결사, 증 공조판서, 서평군
'''증손자''' : 한자(韓慈) - 현감, 증 이조참판
* '''고손자''' : 한경희(韓景禧) - 군자판관
* '''고손자''' : 한경우(韓景祐, 1515년 ~ ?) - 오위도총부도총관, 청천위(淸川尉), 중종 부마(정신옹주)
'''증손자''' : 한혜(韓蕙) - 신천군수
* '''고손자''' : 한경지(韓景祉) - 군기판관, 증 병조참판
'''증손자''' : 한온(韓蘊, 1509년 ~ 1585년) - 장흥부사, 증 병조판서, 충의(忠毅)
* '''고손자''' : 한경유(韓景猷) - 청단찰방, 증 호조참판
4. 묘소
묘소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4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묘는 부인 안씨와의 단분합장묘이며, 서남향이다. 묘역에는 묘표, 상석, 향로석, 장명등, 문인석 2쌍, 신도비 등이 갖추어져 있다.
묘표의 앞면에는 '영돈녕부사 서릉 부원군 증 시 장간 한공 지묘(領敦寧府事 西陵 府院君 贈 諡 莊簡 韓公 之墓)'라고 새겨져 있으며, 뒷면 상단에는 '정경부인 안씨 묘갈(貞敬夫人 安氏 墓碣)'이라고 새겨져 있다. 묘표는 1492년(성종 23년) 5월 1일에 장손인 한세창(韓世昌)이 세웠다.
신도비는 1500년(연산군 6년)에 세워졌다. 비석의 머리 부분인 전액(篆額)은 '장간 한공 신도비명(莊簡 韓公 神道碑銘)'이며, 비문은 어세겸(魚世謙)이 짓고 임사홍(任士洪)이 글씨를 썼다.
참조
[1]
문서
세종의 서자
[2]
문서
세종의 부마, 정의공주의 남편
[3]
서적
《국역 국조인물고》 권1 상신(相臣) 한확의 비명(碑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