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티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티재는 경상북도 안동시, 영양군, 포항시, 대구광역시 군위군/경상북도 칠곡군 등 여러 지역에 위치한 고개들을 지칭한다. 안동시의 한티재는 중앙고속도로 한티교차로가 있는 곳이며, 영양군의 한티재는 국도 제88호선이 지나고, 과거 하천 쟁탈로 분수계가 이동한 곳이다. 포항시의 한티재는 국도 제31호선과 한티터널이 있으며, 군위군/칠곡군의 한티재는 국지도 제79호선이 지나고 팔공산터널이 개통되었다.
경상북도 안동시 수상동에 있다. 과거 안동에서 대구로 갈 때 넘던 고개이다. 현재 중앙고속도로 한티교차로가 있는 곳이다.
영양군의 한티재는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에 있는 고개로, 높이는 해발 430m이다. 국도 제88호선이 통과하며 정상 부근에 오일뱅크 한티재 주유소가 있다. 경사는 최대 10%다. 낙동정맥이 통과한다.
경상북도 포항시 죽장면과 기계면의 경계에 있는 고개로, 국도 제31호선이 통과한다. 고개 정상에는 길이 200m의 한티터널이 있다. 경사도는 고개 동쪽이 7~10%, 고개 서쪽이 8%이다. 낙동정맥이 통과한다.[3]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과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의 경계에 있는 고개로, 국지도 제79호선이 통과한다. 과거에는 국지도 제79호선이 고개를 그대로 넘어갔으나, 2017년 12월 1일 동명~부계 간 도로 14.24 km 구간 및 팔공산터널이 개통하여, 기존 21.14 km 구간이 폐지되었다.[4] 2023년 7월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과 함께 개통한 군위 방면 급행버스도 팔공산터널을 거쳐서 간다. 강원특별자치도의 미시령처럼 겨울철 강설 시에는 전면 통제된다.
[1]
웹인용
낙동강 상류와 왕피천의 하안단구
https://s-space.snu.[...]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2. 경상북도 안동시의 한티재
3. 경상북도 영양군의 한티재
3. 1. 한티재와 하천쟁탈
과거 왕피천은 동해로, 반변천은 낙동강으로 각각 흘러들어가는 분수계가 현재의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 영양반딧불이천문대 부근에 있었다. 그러나 왕피천의 지속적인 두부 침식으로 인해 수하리에서 수비면소재지까지 약 6 km 정도 들어와 반변천 유역을 쟁탈하였고, 분수계는 현재 국도 제88호선이 지나는 한티재로 옮겨 갔다.[1] 풍극이 된 한티재 정상에는 하천퇴적물이 분포하며, 한티재 정상은 가장 가까이에서 흐르는 발리천의 하상보다 30m 정도 높다. 풍극의 퇴적층은 34±2 ka에 형성된 것이다. 왕피천의 침식은 앞으로도 반변천 방향으로 계속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2]
3. 2. 가송동층 노두
국도 제88호선 도로변에는 경상 누층군 가송동층의 자색 및 백색 노두(암석이 지표에 드러나 있는 부분)가 나타나 있다.
4. 경상북도 포항시의 한티재
5. 대구광역시 군위군/경상북도 칠곡군의 한티재
참조
[2]
논문
하안단구와 수비분지의 지형발달 (River Terraces and Geomorphic Development of Subi Basin, Yeongyang)
https://kiss.kstudy.[...]
2017-06
[3]
뉴스
迎日 한티재터널공사 완공
https://news.v.daum.[...]
연합뉴스
1992-07-31
[4]
뉴스
한티재 대체하는 칠곡~군위 팔공산터널 오늘 개통식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7-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