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군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군위군은 대구광역시 북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1914년 의흥군을 편입하여 현재의 행정 구역을 갖추었다. 2023년 7월 1일 대구광역시로 편입되었으며, 대구경북신공항 유치를 통해 군위군 전역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되었다. 팔공산의 영향으로 산악 지형이 많지만, 낙동강 지류인 위천 유역에 농경지가 발달했다. 쾨펜 기후 분류상 온대 습윤 기후에 속한다. 군위군은 1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위읍에 군청이 소재한다. 군위군은 1966년 8만 명 이상이었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7년에는 약 2만 4천 명으로 기록되었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국도 5호선, 중앙고속도로, 영천상주고속도로 등이 있으며, 중앙선 철도 노선이 운행된다. 교육 기관으로는 고등학교 2개교, 중학교 5개교, 초등학교 7개교가 있다. 또한, 일연 스님이 삼국유사를 저술한 인각사가 위치하여 '삼국유사의 고장'으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위군 - 군위읍
    군위읍은 경상북도 군위군의 읍으로 17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위군청과 군위읍 행정복지센터가 동부리에 있고 경북대로를 비롯한 주요 도로망과 대구군위초등학교, 군위중학교, 군위고등학교 등의 교육 기관이 위치한다.
  • 군위군 - 삼국유사면
    대구광역시 군위군에 위치한 삼국유사면은 일제강점기 지명인 고로면에서 《삼국유사》를 저술한 일연의 인각사 터를 기려 개칭되었으며 2023년 대구광역시로 편입되었다.
  • 대구광역시의 행정 구역 - 달성군
    대구광역시의 군인 달성군은 1914년 대구부와 현풍군이 통합되어 형성되었고, 1995년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으며, 2010년대 이후 인구 증가와 함께 2021년 26만 명을 넘어 6읍 3면으로 구성, 비슬산맥과 낙동강을 중심으로 지형이 나뉜다.
  • 대구광역시의 행정 구역 - 수성구
    대구광역시 수성구는 1980년 동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구로, 2021년 기준 418,883명의 인구와 76.46km²의 면적을 가지며, 범어동과 황금동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수성못 주변에 관광 및 문화 시설이 발달하였고, 23개의 행정동과 26개의 법정동, 대구도시철도 2, 3호선, 국립대구박물관, 대구미술관, 수성대학교 등이 위치하며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1914년 폐지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914년 폐지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군위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군위
고유 이름군위군
원어 이름 (언어)ko
로마자 표기 (언어)한국어
로마자 표기 (한글)군위군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 표기법)Gunwi-gun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Kunwi-gun
유형
지역영남
방언경상
위치 정보
위치대구광역시
대구 내 위치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1읍, 7면
행정 구역 분류 코드?
인구 정보
총 인구34293
총 인구 (2023년)23,515
총 인구 (행정안전부, 2023년)22,988
남성 인구 (2023년)11,886
여성 인구 (2023년)11,102
인구 밀도55명/km²
면적 정보
총 면적614.15 km²
총 면적 (2021년)614.31 km²
정치 정보
군수김진열 (국민의힘)
국회의원강대식 (국민의힘, 동구·군위군 을)
국회의원 상세 정보동구 도평동, 불로봉무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 공산동, 군위군 일원
상징
군위 로고
군위 휘장
군위 군기
군목느티나무
군화개나리
군조왜가리
기타 정보
URL군위군청 웹사이트
주소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군청로 200

2. 역사

2. 1.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일제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의흥군이 '''군위군'''에 편입되었다. 이로써 군위군은 소보면, 군위면, 효령면, 캔계면, 우보면, 의흥면, 산성면, 고로면의 8개 면으로 구성되었다.[5]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의성군억곡면군위면용대리
군위군현내면동부동, 상곡동, 서부동, 오곡동, 정동, 하곡동
남면금구동, 무성동, 사직동, 수서동
서성면내량동, 대북동, 첨령동, 외량동
화곡면소보면달산동, 보현동, 복성동, 사리동, 위성동
석본면산법동, 서경동, 송원동, 신계동, 평호동
소본면내의동, 대흥리, 봉소리, 봉황동
중리면효령면내이동, 노행동, 병수동, 불로동, 성동, 오천동, 중구동
효령면거매동, 금매동, 마시동, 장군동, 장기동, 화계동
의흥군현내면캔계면가호동, 창평동, 춘산동
캔서면고곡동, 매곡동, 명산동, 신화동
캔남면남산동, 대율동, 동산동
캔동면산성면무암동, 백학동, 봉림동, 삼산동, 운산동
신남면금양동, 원산동, 화본동, 화전동
중리면의흥면
하리면
파립면
내화면우보면두북동, 나호동, 선곡동, 이화동
우산면문덕동, 모산동
우보면달산동, 미성동, 봉산동
소수면고로면괴산동, 인곡동, 장곡동, 학성동, 화북동, 화수동
소야면가암동, 석산동, 락전동, 양지동, 학암동


2. 2. 대구광역시 편입

2020년 대구국제공항의 군 공항 및 민항 기능을 대구경북신공항으로 이전하면서, 군위군을 대구광역시로 편입하기로 합의하였다. 2023년 6월 30일까지 군위군은 경상북도 소속이었다. 2023년 1월 3일 공포된 법률에 따라 2023년 7월 1일 군위군은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다.[9]

대구광역시 편입은 대구국제공항을 군위군 소보면으로 이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대신 군위군의 요구에 따라 이루어졌다.

3. 지리

대구광역시 북부에 위치하며, 서쪽 일부 낙동통(洛東統)을 제외하면 대부분 신라통(新羅統)으로 덮여 있다. 남동쪽은 팔공산(1,193m)이 높이 솟아 그 여파가 군 내부에 미쳐 군위군 전체가 산악 또는 구릉성 산지로 되어 있다. 다만 중앙을 흐르는 낙동강의 지류 위천과 사창천 유역에 비교적 넓은 침식분지가 발달하여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다.

3. 1. 기후

군위는 쾨펜 기후 분류온대 습윤 기후(Dwa)에 속하지만, -3°C 등온선을 기준으로 하면 온난 습윤 기후(Cwa)로 볼 수도 있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최고 기온 (°C)4.2°C7.4°C13.5°C20.1°C25.5°C28.7°C30.5°C31.2°C26.6°C21°C13.5°C6.1°C19°C
평균 기온 (°C)-2.7°C0.1°C5.6°C12°C17.5°C21.8°C24.9°C25.2°C19.8°C12.8°C5.8°C-1°C11.8°C
최저 기온 (°C)-8.6°C-6.4°C-1.5°C4.3°C10.1°C15.9°C20.6°C20.9°C15.1°C7°C-0.3°C-6.7°C5.9°C
강수량 (mm)14.4mm20.2mm40.5mm70.6mm74.1mm114.2mm197.5mm228.1mm133mm51.8mm30.2mm12.9mm987.5mm
강수일 수 (0.1 mm 이상)2.93.55.86.86.98.312.312.18.04.94.82.9



출처: 한국 기상청[1]

4. 행정 구역

군위군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위군청은 군위읍에 위치하고 있다. 군위군의 면적은 614.16km2이다. 2012년 말 기준으로 인구는 11,671세대, 24,553명이며, 이 중 남성은 12,355명, 여성은 12,198명이다. 전체 인구의 33%가 군위읍에 거주하고 있다. 1965년에는 80,261명이었으나 이후 인구가 감소하였다.[18]

군위군 행정구역도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km²)
군위읍軍威邑3,5068,12284.07
소보면召保面1,2712,492101.35
효령면孝令面1,9414,19998.43
부계면缶溪面1,0232,07064.81
우보면友保面1,1062,18760.02
의흥면義興面1,3882,82254.24
산성면山城面7051,31136.79
삼국유사면三國遺事面7311,350114.60



읍·면법정리
군위읍광현리, 금구리, 내량리, 대북리, 대흥리, 동부리, 무성리, 사직리, 신령리, 상곡리, 서부리, 수서리, 오곡리, 외량리, 용대리, 정리, 하곡리
소보면사리리, 보현리, 복성리, 위성리, 달산리, 송원리, 신계리, 도산리, 서경리, 평호리, 산법리, 내의리, 봉황리, 봉소리
효령면노행리, 오천리, 성리, 병수리, 불로리, 내리리, 중구리, 거매리, 장군리, 장기리, 금매리, 화계리, 마시리, 매곡리, 고곡리
부계면창평리, 가호리, 춘산리, 대율리, 동산리, 남산리, 명산리, 신화리
우보면나호리, 이화리, 두북리, 선곡리, 미성리, 모산리, 문덕리, 달산리, 봉산리
의흥면읍내리, 수북리, 수서리, 이지리, 파전리, 신덕리, 지호리, 연귀리, 매성리, 원산리, 금양리
산성면백학리, 삼산리, 봉림리, 무암리, 운산리, 화본리, 화전리
삼국유사면화수리, 화북리, 괴산리, 학성리, 장곡리, 인곡리, 양지리, 락전리, 가암리, 석산리, 학암리


5. 인구

군위군의 인구는 2012년 말 기준 11,671세대, 24,553명이다. 남성은 12,355명, 여성은 12,198명이다. 전체 인구의 33%가 군위읍에 거주한다. 1965년에는 80,261명을 기록했으나 이후 인구가 감소하였다.[18]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
군위읍軍威邑3,5068,12284.07
소보면召保面1,2712,492101.35
효령면孝令面1,9414,19998.43
부계면缶溪面1,0232,07064.81
우보면友保面1,1062,18760.02
의흥면義興面1,3882,82254.24
산성면山城面7051,31136.79
삼국유사면三國遺事面7311,350114.60


  • 군위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


연도총인구
1960년73,763명
1966년80,261명
1970년68,118명
1975년67,286명
1980년53,460명
1985년44,699명
1990년36,875명
1995년29,696명
2000년28,747명
2005년24,552명
2010년19,993명
2013년24,172명
2017년24,214명


6. 교통

중앙선 군위역


왕복 4차선의 국도 제5호선대구광역시, 칠곡군, 안동시와 연결된다. 군위읍 동부리 군위군청 남쪽에 군위터미널이 있으며, 군위교통의 사무실이 터미널 구내에 있다. 고속도로는 중앙고속도로 군위JC, 군위IC, 영천상주고속도로 서군위IC, 군위JC, 동군위IC가 있다. 철도 노선으로는 중앙선에 역이 있으나 2024년 12월 18일 중앙선의 복선 전철화와 함께 의흥면으로 중앙선 철로를 이설되었기 때문에 군 관내에 있는 우보역, 봉림역, 화본역 3개 역은 폐역되고, 의흥면 연계리에 들어서는 군위역으로 일괄 통합되었다. 다만 군위역군위읍과 정반대편에 있다. 군위읍 내에는 철도 노선이 없으며, 군위읍에서는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탑리역이 상대적으로 가깝지만, 탑리역2024년 12월 18일 화본역 등이 폐역될 때 함께 폐역되었다.

군위군과 대구 시내를 직접 연결하는 도로가 없기 때문에, 군위군에서 대구광역시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이나 가산면을 거쳐 가야 한다.

7. 교육

군위군에는 고등학교 2개교, 중학교 5개교, 초등학교 7개교가 있다.


8. 기타

일연 승려가 삼국유사 저술을 완성하고 입적(入寂)한 인각사가 있어 군위는 '삼국유사의 고장'으로 불린다.[20]

참조

[1]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3] 간행물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ko: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1895-05-26
[4] 간행물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5]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6] 간행물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7] 간행물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8] 간행물 대통령령 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9] 뉴스 군위군, 7월부터 대구시 편입… TK 정치지형도 바뀐다 http://www.kbmaeil.c[...] 2023-01-01
[10] 일반
[11] 뉴스 7월부터 ‘대구 군위군’…‘경북 군위군’에서 달라지는 점은? https://www.hani.co.[...] 한겨례신문 2023-06-10
[12] 간행물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1895-05-26
[13] 간행물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4]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5] 간행물 도령 제2호 1914-03-16
[16] 간행물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17] 간행물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8] 서적 군위군 통계 연보 2010
[19] 웹인용 군위군 문화·관광 https://www.gunwi.go[...]
[20] 뉴스 '아주 사적인 여행' 삼국유사가 탄생한 고장 대구 군위군, 김재화 출연 https://www.polinews[...] 2024-09-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