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시령은 강원도 인제군과 고성군을 잇는 고개이다. 2006년 개통된 미시령터널은 미시령 옛길의 교통량을 분산시키며, 미시령 톨게이트에는 하이패스가 설치되어 있다. 미시령터널에는 긴급제동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의 지리 - 금강산
금강산은 한반도에서 아름다운 산으로, 계절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으로 나뉘어 독특한 경관을 자랑했으나, 금강산 관광은 중단된 후 재개가 불투명하다.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의 지리 - 향로봉
향로봉은 향로봉에 대한 설명과 역사, 주요 특징, 한국 사회와의 관계, 미래 전망 등을 다루는 문서이다.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 - 진부령로
진부령로는 강원도 인제군과 고성군을 연결하는 국도 제46호선의 일부로, 1981년 국도로 승격되었고 용대 교차로에서 송죽 교차로까지 이어지며 진부령미술관 등 주변에 다양한 시설이 위치한다. - 인제군의 지리 - 금강산
금강산은 한반도에서 아름다운 산으로, 계절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으로 나뉘어 독특한 경관을 자랑했으나, 금강산 관광은 중단된 후 재개가 불투명하다. - 인제군의 지리 - 인제 단층
인제 단층은 경기 육괴의 남향 이동 중 형성된 역단층으로, 강원도 인제군을 비롯한 일대에 분포하며 87 Ma 이후 재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단층경면, 단층점토 등의 특징을 보이는 선형 구조이다.
미시령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미시령 |
원어표기 | 彌矢嶺 |
해발고도 | 826m |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인제군 북면 |
![]() |
2. 역사
미시령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미시파령(彌時坡嶺)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길이 험하고 산세가 가팔라 사용하지 않다가 성종 때부터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후에도 이 고개는 사용과 폐쇄를 거듭하다가 1950년경 자동차 통행이 가능해졌고, 한국 전쟁 이후 국군 공병단에 의해 관리되며 군 작전용 도로로 사용되었다. 1989년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차관으로 왕복 2차선 확·포장 공사가 완료된 후 민간에 개방되었다.
미시령 옛길은 매우 꼬불꼬불하고 경사가 급하며, 특히 겨울철에는 폭설로 통제되는 경우가 많다. 영동에서 고개 정상으로 오르는 방향에서는 설악산 울산바위를 정면에서 볼 수 있으며, 고개 정상에서는 속초시 전역과 동해를 조망할 수 있다. 미시령터널 개통 후에도 국도 제46호선과 44호선이 만나는 한계교차로 - 용대리 - 미시령터널 구간은 왕복 2차선이었으나, 2010년 7월 전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다. 동계 강설 시에는 군위군/칠곡군의 한티재처럼 미시령 옛길이 전면 통제된다.
2. 1. 미시령 휴게소
1990년 (주)미시령이 미시령휴게소를 준공하여 기부채납 조건에 따라 20년 동안 무상 임대하다가, 2010년 8월 계약 기간이 종료되면서 유상 임대로 전환되었다. 이후 2010년 12월 31일부터 구제역 여파로 옛길 구간이 수개월 간 폐쇄되는 등, 운영업체의 수익성 악화와 경영난으로 2011년 1월 31일 계약이 종료되었다.미시령휴게소는 시설 노후에 따른 안전 문제로 출입이 금지되었으나, 미시령 옛길 정상의 주차장은 2014년 5월 1일부터 개방되어 차량 주차가 가능해졌다.
3. 지리
미시령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미시파령(彌時坡嶺)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전부터 존재했던 고개였으나, 길이 험하고 산세가 가파랐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다가 성종 때부터 다시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에도 이 고개는 사용과 폐쇄를 거듭하다가 1950년경에 자동차가 다닐 수 있게 뚫린 뒤, 한국 전쟁 이후 국군 공병단에 의해 관리되며 군 작전용 도로로 사용되었다. 1989년에 국제부흥개발은행의 차관에 따른 왕복 2차선 확·포장 공사를 마친 후 민간에 개방되었다.[1]
미시령 옛길은 길이 매우 꼬불꼬불하며 경사가 급하다. 특히 겨울철에는 폭설 때문에 통행이 통제되는 경우가 많다. 영동 쪽에서 고개 정상으로 오르는 방향에서는 설악산 울산바위를 정면에서 볼 수 있으며, 고개 정상에 위치한 휴게소(겸 주유소)에서는 속초시 전역과 동해 바다를 조망할 수 있어 유명하다.[1]
미시령터널 개통 후에도 국도 제46호선과 44호선이 만나는 한계교차로 - 용대리 - 미시령터널 구간은 왕복 2차선이어서 불편을 겪었으나, 2010년 7월 전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다.[1]
미시령휴게소는 1990년 (주)미시령이 준공 후 기부채납 조건에 따라 20년 무상 임대하다가 2010년 8월 계약 기간이 종료되면서 유상 임대로 전환되었다. 이후 2010년 12월 31일부터 구제역 여파로 옛길 구간이 수개월 간 폐쇄되는 등, 운영업체가 수익성 악화에 따른 경영난을 이유로 계약 이행을 포기함으로써 2011년 1월 31일 계약이 종료됐다. 현재 미시령 옛길은 재개통되었으나 미시령휴게소는 시설 노후에 따른 안전 문제로 출입이 금지된 상태이며, 매입 의사를 나타낸 국립공원관리공단이 향후 이용 계획을 수립 중이다. 휴게소 운영 중단과 함께 폐쇄돼 그동안 운전자들의 불편을 초래해 왔던 미시령옛길 정상의 주차장은 2014년 5월 1일부터 개방되어 차량 주차가 가능해졌다.[1]
동계 강설 시에는 군위군/칠곡군의 한티재처럼 미시령 구길이 전면 통제된다.[1]
4. 교통
미시령 옛길은 매우 꼬불꼬불하고 경사가 급하며, 특히 겨울철에는 폭설로 인해 통행이 통제되는 경우가 많다. 영동 쪽에서 고개 정상으로 오르는 방향에서는 설악산 울산바위를 정면에서 볼 수 있으며, 고개 정상에 위치한 휴게소(겸 주유소)에서는 속초시 전역과 동해 바다를 조망할 수 있어 유명하다.
미시령터널 개통 후에도 국도 제46호선과 44호선이 만나는 한계교차로 - 용대리 - 미시령터널 구간은 왕복 2차선이어서 불편을 겪었으나, 2010년 7월 전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개통되었다.
겨울철 강설 시에는 군위군/칠곡군의 한티재처럼 미시령 옛길이 전면 통제된다.
4. 1. 미시령터널
미시령 톨게이트에 하이패스가 설치되어 2014년 7월 23일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미시령 톨게이트 하이패스는 상·하행선 각각 2개씩 모두 4개 차로에 설치되었고, 하이패스가 설치되지 않은 일반 차로에도 전자지불 교통카드로 통행료를 낼 수 있다. 설악권(속초, 고성, 양양, 인제) 지역주민들은 통행료의 50%를 감면받고 있는데, 하이패스 차로를 이용할 경우에는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없어 기존 일반차로를 이용해야 한다. 일반차로에서는 지역주민들도 할인된 요금으로 전자지불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1]미시령터널 진출입로는 급커브이기 때문에 사고가 잦다. 특히, 미시령터널 하행선(속초방향) 출구에서 톨게이트로 내려가는 내리막길(약 3.6km)은 급경사와 급커브로 이루어져 있어 브레이크 고장 사고, 빗길·눈길 미끄럼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이 구간은 사고 위험이 매우 높아 '구간 과속 단속'이 시행되고 있으며, 제한속도는 시속 60km이다.
5. 생태 복원
미시령터널 개통으로 이용객이 급감하면서 2011년 2월 폐쇄되었던 미시령 옛길 정상의 미시령 휴게소가 철거되고, 그 자리에 백두대간 생태축 복원 사업이 진행되었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국비와 도비 등 62억원이 투입되었다.
2016년 7월 휴게소 철거 작업을 시작으로, 2018년 8월부터 미시령 옛길 정상 일대 2만여m2 부지에 대해 생태축 복원공사가 진행되었다. 2019년 10월까지 진행된 복원공사를 통해 과거 휴게소와 주차장 조성으로 훼손된 절개지에 흙을 쌓아 원래의 지형으로 복원했고, 미시령 옛길 정상의 도로 150m 구간의 선형을 변경하여 생태 통로를 확보하였다.
5. 1. 미시령탐방지원센터
2020년 3월 개관한 미시령탐방지원센터는 백두대간과 미시령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는 전시 공간이다. 과거와 현재의 사진 자료를 통해 생태 복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미시령탐방지원센터 앞마당 전망대에서는 속초시 전역과 동해 바다를 조망할 수 있다.6. 사진
참조
[1]
카페
미시령 생태축 복원공사 완료, 미시령옛길 정상의 '미시령탐방지원센터' 전시관 개관 (2020년 3월)
http://cafe.daum.net[...]
2020-03
[2]
카페
미시령동서관통도로 구간과속단속 실시 (미시령터널 하행선(속초방향) 입구에서 톨게이트까지 7.1km 구간)
http://cafe.daum.net[...]
[3]
카페
미시령동서관통도로 긴급제동시설 진입로 선형개선 및 보강공사 완료 (2016년 11월 18일)
http://cafe.daum.net[...]
2016-11-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50㎝ 폭설 내린 강원 또 눈…동해안 · 산지 10∼30㎝ 예상
[포토뉴스] 춘래불사춘…눈 덮인 삼월의 미시령
‘봄 시샘하는 3월 폭설’…겨울왕국 된 미시령[현장 화보]
“내일 밤까지 최대 40cm 이상 더 내릴 수도” 미시령 등 강원 산간 40~50㎝ 폭설
밤사이 폭설에 '블랙 아이스' 주의…강원 등 눈·비 더 온다 | JTBC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