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르크 연극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부르크 연극론은 독일 작가이자 비평가인 레싱이 독일 국민극장의 전속 평론가로 활동하며 1767년부터 1769년까지 국민극장의 공연에 대해 쓴 평론집이다. 이 작품은 레싱의 비극론과 셰익스피어에 대한 찬사를 통해 프랑스 희곡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며, 괴테, 실러 등 다음 세대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레싱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토대로 시민 계급의 도덕성 함양을 목표로 하는 비극론을 주장했으며, 프랑스 작가들이 유럽의 드라마를 선도한다는 주장을 반박하고 셰익스피어를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부르크의 문화 - 햄버그 스테이크
햄버그 스테이크는 다진 고기를 뭉쳐 구운 요리로, 몽골에서 시작하여 독일 함부르크를 거쳐 미국으로 전파되었으며, 일본에서는 함바그라는 이름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 함부르크의 문화 - 톱 텐 클럽
- 드라마 - 멜로드라마
멜로드라마는 과장된 감정, 극적인 줄거리, 선악이 분명한 인물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마 장르로, 18세기 프랑스에서 음악 반주가 있는 연극으로 시작되어 19세기 영국과 프랑스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20세기 영화와 텔레비전으로 확장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음악 분야에서도 활용되었다. - 드라마 - 희비극
희비극은 비극과 희극의 요소를 결합한 연극 장르로, 고대 그리스에서 기원하여 르네상스 시대에 발전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매체에서 사회 비판이나 인간 심리 탐구 등의 주제를 다루는 데 활용된다.
함부르크 연극론 | |
---|---|
개요 | |
내용 | |
주제 | 연극 이론, 드라마 비평 |
언어 | 독일어 |
형식 | 에세이 모음 |
배경 | 함부르크 국립극장의 실패 |
주요 주장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대한 재해석 프랑스 고전주의 연극 비판 영국 셰익스피어 연극 옹호 독일 국민극 창작의 필요성 |
구성 | 총 104편의 비평 연극의 목적, 비극의 본질, 희극의 역할, 배우의 연기 등에 대한 논의 포함 |
영향 | |
영향 | 독일 연극 발전에 큰 영향 근대 드라마 이론의 기초 확립 슈투름 운트 드랑 운동에 영향 연극 연출 및 비평의 새로운 지평을 열음 |
기타 | |
중요성 | 서양 연극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 오늘날에도 연극 이론 및 드라마 비평에 큰 영향을 미침 |
2. 집필 배경 및 과정
독일의 작가이자 비평가인 레싱이 독일 국민극장의 전속 평론가로 활동하면서, 1767년 개관해서 1769년 3월 문을 닫을 때까지 국민극장 무대에 오른 작품과 공연에 대해 쓴 평론집이다.
1767년 4월 22일 개관한 국민극장은 1769년 3월 3일 문을 닫지만, 독일 연극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국민극장의 활성화와 발전, 궁극적으로는 독일 연극의 총체적 개혁이라는 목표를 위해 레싱은 전속평론가로 활동하면서 정기간행물의 영향력을 이용하기로 한다. 그렇게 해서 태어난 것이 바로 ≪함부르크 연극론≫이다. 그는 예고문을 통해 “본 ≪연극론≫은 공연되는 모든 작품의 비판적인 목록이 될 것이고, 작가뿐만 아니라 배우들의 예술이 여기서 떼어놓게 될 모든 발걸음을 따라갈 것이다”라고 밝히고 있다.
레싱은 ≪함부르크 연극론≫을 통해 공연 작품의 분석에서부터 배우들의 연기까지 모든 것을 대상으로 평을 썼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배우들과 평론가 사이에 갈등이 생기고, 그 결과 연기에 대한 비평과 연기술에 대한 탐구를 전면 중단하게 된다. 그 대신 희곡과 연극의 본질에 관한 탐구가 점점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레싱에 따르면 비극의 목표는 인간의 도덕적 교화이고, 교화는 인식의 증진이 아니라 지각 능력의 향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비극의 관객은 시민계급이다. 이 두 가지 전제하에서 레싱은 독일 시민계급의 도덕성과 자의식의 고취를 목표하는 자신의 비극론을 주장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토대로 삼아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레싱은 ≪함부르크 연극론≫을 통해 100년 동안 당연한 것으로 간주되어 온 주장, 즉 프랑스 작가들이 유럽의 드라마를 선도한다는 주장을 전면적으로 반박했다.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는 독일 희곡과 연극이 발전하려면 프랑스 드라마가 아니라 셰익스피어를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며 독일 드라마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레싱의 셰익스피어 찬사는 괴테, 실러와 같이 다음 세대인 ‘질풍노도’ 작가들의 셰익스피어 숭배로 이어지게 하는 중요한 공적을 남긴다.
2. 1. 독일 국민극장의 설립과 운영
1767년 4월 22일 개관한 독일 국민극장은 1769년 3월 3일 문을 닫지만, 독일 연극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국민극장의 활성화와 발전, 궁극적으로는 독일 연극의 총체적 개혁이라는 목표를 위해 레싱은 전속 평론가로 활동하면서 정기 간행물의 영향력을 이용하기로 한다. 그렇게 해서 태어난 것이 바로 ≪함부르크 연극론≫이다. 그는 예고문을 통해 “본 ≪연극론≫은 공연되는 모든 작품의 비판적인 목록이 될 것이고, 작가뿐만 아니라 배우들의 예술이 여기서 떼어놓게 될 모든 발걸음을 따라갈 것이다”라고 밝혔다.레싱은 ≪함부르크 연극론≫을 통해 공연 작품 분석에서부터 배우들의 연기까지 모든 것을 대상으로 평을 썼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배우들과 평론가 사이에 갈등이 생기고, 그 결과 연기에 대한 비평과 연기술에 대한 탐구를 전면 중단하게 된다. 그 대신 희곡과 연극의 본질에 관한 탐구가 점점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2. 2. 레싱의 전속 평론가 활동
레싱은 독일 국민극장의 전속 평론가로 활동하면서, 1767년 개관하여 1769년 3월 문을 닫을 때까지 국민극장 무대에 오른 작품과 공연에 대해 평론을 썼다. 이 평론들은 독일 연극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레싱은 국민극장의 활성화와 발전, 궁극적으로는 독일 연극의 총체적 개혁이라는 목표를 위해 정기간행물의 영향력을 이용하기로 하고, ≪함부르크 연극론≫을 통해 공연 작품 분석에서부터 배우들의 연기까지 모든 것을 대상으로 평을 썼다. 그는 예고문에서 "본 ≪연극론≫은 공연되는 모든 작품의 비판적인 목록이 될 것이고, 작가뿐만 아니라 배우들의 예술이 여기서 떼어놓게 될 모든 발걸음을 따라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배우들과 평론가 사이의 갈등으로 인해 연기에 대한 비평과 연기술에 대한 탐구는 전면 중단되었고, 희곡과 연극의 본질에 관한 탐구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레싱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토대로, 비극의 목표는 인간의 도덕적 교화이고 교화는 지각 능력의 향상을 통해 이루어지며 비극의 관객은 시민계급이라는 전제하에 독일 시민계급의 도덕성과 자의식 고취를 목표하는 자신의 비극론을 주장했다.
레싱은 ≪함부르크 연극론≫을 통해 프랑스 작가들이 유럽의 드라마를 선도한다는 주장을 반박하고, 독일 희곡과 연극이 발전하려면 셰익스피어를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셰익스피어 찬사는 괴테, 실러 등 '질풍노도' 작가들의 셰익스피어 숭배로 이어졌다.
3. 주요 내용
이 작품은 독일의 작가이자 비평가인 레싱이 독일 국민극장의 전속 평론가로 활동하면서, 1767년 개관해서 1769년 3월 문을 닫을 때까지 국민극장 무대에 오른 작품과 공연에 대해 쓴 평론집이다. 특히 레싱의 비극론과 셰익스피어에 대한 찬사는 100년 동안 추종되어 온 프랑스 희곡에 대한 전면적 비판으로 이어지면서, 괴테, 실러 등 다음 세대 작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
1767년 4월 22일 개관한 국민극장은 1769년 3월 3일 문을 닫지만, 독일 연극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국민극장의 활성화와 발전, 궁극적으로는 독일 연극의 총체적 개혁이라는 목표를 위해 레싱은 전속평론가로 활동하면서 정기간행물의 영향력을 이용하기로 한다. 그렇게 해서 태어난 것이 바로 ≪함부르크 연극론≫이다. 그는 예고문을 통해 “본 ≪연극론≫은 공연되는 모든 작품의 비판적인 목록이 될 것이고, 작가뿐만 아니라 배우들의 예술이 여기서 떼어놓게 될 모든 발걸음을 따라갈 것이다”라고 밝히고 있다.
레싱은 ≪함부르크 연극론≫을 통해 공연 작품의 분석에서부터 배우들의 연기까지 모든 것을 대상으로 평을 썼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배우들과 평론가 사이에 갈등이 생기고, 그 결과 연기에 대한 비평과 연기술에 대한 탐구를 전면 중단하게 된다. 그 대신 희곡과 연극의 본질에 관한 탐구가 점점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레싱에 따르면 비극의 목표는 인간의 도덕적 교화이고, 교화는 인식의 증진이 아니라 지각 능력의 향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비극의 관객은 시민계급이다. 이 두 가지 전제하에서 레싱은 독일 시민계급의 도덕성과 자의식의 고취를 목표하는 자신의 비극론을 주장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토대로 삼아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레싱은 ≪함부르크 연극론≫을 통해 100년 동안 당연한 것으로 간주되어 온 주장, 즉 프랑스 작가들이 유럽의 드라마를 선도한다는 주장을 전면적으로 반박했다.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는 독일 희곡과 연극이 발전하려면 프랑스 드라마가 아니라 셰익스피어를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며 독일 드라마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레싱의 셰익스피어 찬사는 괴테, 실러와 같이 다음 세대인 ‘질풍노도’ 작가들의 셰익스피어 숭배로 이어지게 하는 중요한 공적을 남긴다.
3. 1. 프랑스 고전주의 연극 비판
레싱은 ≪함부르크 연극론≫을 통해 100년 동안 유럽의 드라마를 선도한다는 프랑스 작가들의 주장을 전면적으로 반박했다. 그는 독일 희곡과 연극이 발전하려면 프랑스 드라마가 아니라 셰익스피어를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독일 드라마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레싱의 셰익스피어 찬사는 괴테, 실러와 같은 다음 세대인 ‘질풍노도’ 작가들의 셰익스피어 숭배로 이어지게 하는 중요한 공적을 남겼다.3. 2. 셰익스피어 옹호
레싱은 ≪함부르크 연극론≫을 통해 100년 동안 유럽의 드라마를 선도한다는 프랑스 작가들의 주장을 전면적으로 반박했다.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는 독일 희곡과 연극이 발전하려면 프랑스 드라마가 아니라 셰익스피어를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며 독일 드라마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레싱의 셰익스피어 찬사는 괴테, 실러와 같이 다음 세대인 ‘질풍노도’ 작가들의 셰익스피어 숭배로 이어지게 하는 중요한 공적을 남긴다.3. 3.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의 재해석
레싱은 ≪함부르크 연극론≫을 통해 독일 시민계급의 도덕성과 자의식 고취를 목표로 하는 자신의 비극론을 주장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토대로 삼아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레싱에 따르면 비극의 목표는 인간의 도덕적 교화이고, 교화는 인식의 증진이 아니라 지각 능력의 향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비극의 관객은 시민계급이다.레싱은 100년 동안 당연하게 여겨져 온 프랑스 작가들이 유럽의 드라마를 선도한다는 주장을 전면적으로 반박했다.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는 독일 희곡과 연극이 발전하려면 프랑스 드라마가 아니라 셰익스피어를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며 독일 드라마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3. 4. 시민 계급의 도덕성 함양
레싱은 비극의 목표가 인간의 도덕적 교화이며, 이는 인식의 증진이 아니라 지각 능력의 향상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비극의 관객은 시민계급이며, 레싱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토대로 독일 시민계급의 도덕성과 자의식 고취를 목표하는 자신의 비극론을 주장했다.3. 5. 배우 연기 분석
레싱은 ≪함부르크 연극론≫을 통해 공연 작품의 분석뿐만 아니라 배우들의 연기까지 모든 것을 대상으로 평을 썼다. 그러나 배우의 연기 분석은 극작가가 다루기 어려운 영역이라고 보았다.[10] 배우의 연기는 당시의 사건, 환경, 배우의 정신 상태 등 상황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반면, 텍스트 자체는 문학적 분석을 통해 판단하기가 더 쉽기 때문이다.[11]이러한 상황에서 레싱이 에세이를 출판하자, 함부르크 연극의 많은 배우들은 레싱이 그들의 재능을 소홀히 하고 무시했다고 불쾌하게 여겼다.[11][12] 결국 배우들과 평론가 사이에 갈등이 생기면서, 레싱은 연기에 대한 비평과 연기술에 대한 탐구를 전면 중단하게 되었다.
4. 영향 및 평가
이 작품은 독일의 작가이자 비평가인 레싱이 독일 국민극장의 전속 평론가로 활동하면서, 1767년 개관해서 1769년 3월 문을 닫을 때까지 국민극장 무대에 오른 작품과 공연에 대해 쓴 평론집이다. 특히 레싱의 비극론과 셰익스피어에 대한 찬사는 100년 동안 추종되어 온 프랑스 희곡에 대한 전면적 비판으로 이어지면서, 괴테, 실러 등 다음 세대 작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
1767년 4월 22일 개관한 국민극장은 1769년 3월 3일 문을 닫지만, 독일 연극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국민극장의 활성화와 발전, 궁극적으로는 독일 연극의 총체적 개혁이라는 목표를 위해 레싱은 전속평론가로 활동하면서 정기간행물의 영향력을 이용하기로 한다. 그렇게 해서 태어난 것이 바로 ≪함부르크 연극론≫이다. 그는 예고문을 통해 “본 ≪연극론≫은 공연되는 모든 작품의 비판적인 목록이 될 것이고, 작가뿐만 아니라 배우들의 예술이 여기서 떼어놓게 될 모든 발걸음을 따라갈 것이다”라고 밝히고 있다.
레싱은 ≪함부르크 연극론≫을 통해 공연 작품의 분석에서부터 배우들의 연기까지 모든 것을 대상으로 평을 썼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배우들과 평론가 사이에 갈등이 생기고, 그 결과 연기에 대한 비평과 연기술에 대한 탐구를 전면 중단하게 된다. 그 대신 희곡과 연극의 본질에 관한 탐구가 점점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레싱에 따르면 비극의 목표는 인간의 도덕적 교화이고, 교화는 인식의 증진이 아니라 지각 능력의 향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비극의 관객은 시민계급이다. 이 두 가지 전제하에서 레싱은 독일 시민계급의 도덕성과 자의식의 고취를 목표하는 자신의 비극론을 주장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토대로 삼아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레싱은 ≪함부르크 연극론≫을 통해 100년 동안 당연한 것으로 간주되어 온 주장, 즉 프랑스 작가들이 유럽의 드라마를 선도한다는 주장을 전면적으로 반박했다.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는 독일 희곡과 연극이 발전하려면 프랑스 드라마가 아니라 셰익스피어를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며 독일 드라마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레싱의 셰익스피어 찬사는 괴테, 실러와 같이 다음 세대인 ‘질풍노도’ 작가들의 셰익스피어 숭배로 이어지게 하는 중요한 공적을 남긴다.
4. 1. 독일 연극계에 미친 영향
이 작품은 독일의 작가이자 비평가인 레싱이 독일 국민극장의 전속 평론가로 활동하면서 쓰여졌다. 1767년 개관해서 1769년 3월 문을 닫을 때까지 국민극장 무대에 오른 작품과 공연에 대한 평론집이다. 특히 레싱의 비극론과 셰익스피어에 대한 찬사는 100년 동안 추종되어 온 프랑스 희곡에 대한 전면적 비판으로 이어지면서, 괴테, 실러 등 다음 세대 작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1767년 4월 22일 개관한 국민극장은 1769년 3월 3일 문을 닫지만, 독일 연극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국민극장의 활성화와 발전, 궁극적으로는 독일 연극의 총체적 개혁이라는 목표를 위해 레싱은 전속평론가로 활동하면서 정기간행물의 영향력을 이용하기로 한다. 그는 “본 ≪연극론≫은 공연되는 모든 작품의 비판적인 목록이 될 것이고, 작가뿐만 아니라 배우들의 예술이 여기서 떼어놓게 될 모든 발걸음을 따라갈 것이다”라고 밝히고 있다.
레싱은 ≪함부르크 연극론≫을 통해 공연 작품의 분석에서부터 배우들의 연기까지 모든 것을 대상으로 평을 썼다. 그러나 배우들과 평론가 사이에 갈등이 생기고, 그 결과 연기에 대한 비평과 연기술에 대한 탐구를 전면 중단하게 된다. 그 대신 희곡과 연극의 본질에 관한 탐구가 점점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레싱에 따르면 비극의 목표는 인간의 도덕적 교화이고, 교화는 인식의 증진이 아니라 지각 능력의 향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비극의 관객은 시민계급이다. 레싱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토대로 삼아 자신의 비극론을 전개하고 있다.
레싱은 100년 동안 당연한 것으로 간주되어 온 프랑스 작가들이 유럽의 드라마를 선도한다는 주장을 전면적으로 반박했다.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는 독일 희곡과 연극이 발전하려면 프랑스 드라마가 아니라 셰익스피어를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며 독일 드라마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레싱의 셰익스피어 찬사는 괴테, 실러와 같이 다음 세대인 ‘질풍노도’ 작가들의 셰익스피어 숭배로 이어지게 하는 중요한 공적을 남긴다.
4. 2. 질풍노도 운동과 낭만주의
이 작품은 독일의 작가이자 비평가인 레싱이 독일 국민극장의 전속 평론가로 활동하면서 쓴 평론집이다. 특히 레싱의 비극론과 셰익스피어에 대한 찬사는 100년 동안 추종되어 온 프랑스 희곡에 대한 전면적 비판으로 이어지면서, 괴테, 실러 등 다음 세대 작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레싱은 ≪함부르크 연극론≫을 통해 100년 동안 당연한 것으로 간주되어 온 주장, 즉 프랑스 작가들이 유럽의 드라마를 선도한다는 주장을 전면적으로 반박했다.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는 독일 희곡과 연극이 발전하려면 프랑스 드라마가 아니라 셰익스피어를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며 독일 드라마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레싱의 셰익스피어 찬사는 괴테, 실러와 같이 다음 세대인 ‘질풍노도’ 작가들의 셰익스피어 숭배로 이어지게 하는 중요한 공적을 남긴다.
4. 3. 현대 연극 이론에의 기여
''함부르크 연극론''은 독일의 작가이자 비평가인 레싱이 독일 국민극장의 전속 평론가로 활동하면서 쓴 평론집이다. 1767년 개관해서 1769년 3월 문을 닫을 때까지 국민극장 무대에 오른 작품과 공연에 대해 다루고 있다. 레싱의 비극론과 셰익스피어에 대한 찬사는 100년 동안 추종되어 온 프랑스 희곡에 대한 전면적 비판으로 이어졌으며, 괴테, 실러 등 다음 세대 작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레싱은 이 책을 통해 공연 작품 분석에서부터 배우들의 연기까지 모든 것을 대상으로 평을 썼다. 그러나 배우들과 평론가 사이의 갈등으로 인해 연기에 대한 비평은 중단되었고, 희곡과 연극의 본질에 관한 탐구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토대로, 비극의 목표는 인간의 도덕적 교화이고 교화는 지각 능력의 향상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레싱은 프랑스 작가들이 유럽의 드라마를 선도한다는 주장을 반박하고, 독일 희곡과 연극이 발전하려면 셰익스피어를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셰익스피어 찬사는 ‘질풍노도’ 작가들의 셰익스피어 숭배로 이어지게 하는 중요한 공적을 남겼다.
5. 번역 및 출판
1890년 헬렌 짐머른(Helen Zimmern)은 이 텍스트를 영어로 번역하여 출판했고, 이 번역본은 1962년 도버(Dover)에서 재출판되었다.[13] 짐머른의 번역본은 원문의 약 30%를 생략했다.[14] 번역가 웬디 아론스(Wendy Arons)와 사라 피갈/Sara Figal영어은 편집자 나탈리아 발디가/Natalya Baldyga영어와 함께 새롭고 완전하며 주석이 풍부한 번역본을 제작하고 있으며, 이 에세이는 [http://mcpress.media-commons.org/hamburg/ MediaCommons Press]에서 온라인으로 출판되고 테일러 앤 프랜시스(Taylor & Francis)의 루틀리지(Routledge)에서 인쇄물 형태로 출판될 예정이다.[15][16]
레싱의 에세이 모음집은 오늘날에도 연극학의 주제, 특히 자기 성찰의 배출구로서의 연극 예술, 그리고 희곡이 쓰여진 시대적 상황이 관객이 작품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대한 참고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17]
- 윤도중 역, 2009년, 지식을만드는지식
6. 한국어 번역
윤도중 역본은 2009년 지식을만드는지식에서 출판되었다.(ISBN 978-89-6228-328-0) 이 책은 지만지 지식공유 프로젝트에서 CC-BY-SA 3.0으로 배포한 책 소개글을 기초로 작성되었다.
6. 1. 윤도중 역본 (지만지)
윤도중 역본은 2009년 지식을만드는지식에서 출판되었다.(ISBN 978-89-6228-328-0) 이 책은 지만지 지식공유 프로젝트에서 CC-BY-SA 3.0으로 배포한 책 소개글을 기초로 작성되었다.참조
[1]
간행물
The "Open-Sourced" Hamburg Dramaturgy: A Twenty-first-Century Invitation to Interact with an Eighteenth-Century Work in Progress
https://muse.jhu.edu[...]
2014-06-30
[2]
서적
Gotthold Ephraim Lessing : his life, works, and thought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
웹사이트
Gotthold Ephraim Lessing: Hamburgische Dramaturgie (1767)
http://www.uni-due.d[...]
University of Duisburg
2012-08-10
[4]
서적
Dramaturgy: A Revolution in Theat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5]
웹사이트
Lessing's Preface to the "Hamburg Dramaturgy" {{!}} Hamburg Dramaturgy {{!}} MediaCommons Press
http://mcpress.media[...]
2017-12-22
[6]
서적
A history of the theatre
Crown Publishers
1968
[7]
서적
Gotthold Ephraim Lessing : his life, works, and thought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8]
서적
On German dramaturgy
Routledge
[9]
간행물
Corporeal Eloquence and Sensate Cognition: G. E. Lessing, Acting Theory, and Properly Feeling Bodies in Eighteenth-Century Germany
https://www.cambridg[...]
2017-05
[10]
웹사이트
Essay 101, 102, 103, & 104 {{!}} Hamburg Dramaturgy {{!}} MediaCommons Press
http://mcpress.media[...]
2018-05-28
[11]
기타
On German dramaturgy
Routledge
2015
[12]
웹사이트
Essay 25 {{!}} Hamburg Dramaturgy {{!}} MediaCommons Press
http://mcpress.media[...]
2017-12-22
[13]
서적
Hamburg Dramaturgy
Dover
[14]
간행물
The "Open-Sourced" Hamburg Dramaturgy: A Twenty-first-Century Invitation to Interact with an Eighteenth-Century Work in Progress
https://muse.jhu.edu[...]
2014-06-30
[15]
간행물
The "Open-Sourced" Hamburg Dramaturgy: A Twenty-first-Century Invitation to Interact with an Eighteenth-Century Work in Progress
https://muse.jhu.edu[...]
2014-06-30
[16]
웹사이트
Hamburg Dramaturgy {{!}} MediaCommons Press
http://mcpress.media[...]
2017-12-22
[17]
서적
Dramaturgy: A Revolution in Theat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