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버스터미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안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함안군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이다. 2005년 9월에 완공되었으며, 8,380m² 부지에 건축면적 4,433m², 연면적 5,530m² 규모로 하루 최대 6,500명까지 이용 가능하다. 서울, 부산, 마산, 의령, 진주, 김해 등지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과 함안군 관내를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노선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안군의 건축물 - 군북역
군북역은 경전선에 위치한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에 있는 철도역으로, 1923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97년 새 역사 준공, 2005년 화물 취급 중단, 2012년 역사 이전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 함안군의 건축물 - 함안역
함안역은 경상남도 함안군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1923년 영업을 시작하여 2012년 역사를 이전했으며, 현재 ITX-새마을과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함안군의 교통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함안군의 교통 - 군북역
군북역은 경전선에 위치한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에 있는 철도역으로, 1923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97년 새 역사 준공, 2005년 화물 취급 중단, 2012년 역사 이전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 경상남도의 버스 교통 - 창녕시외버스터미널
창녕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위치하며 수도권과 영남권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터미널이다. - 경상남도의 버스 교통 - 밀양시외버스터미널
밀양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밀양시에 위치하여 시외버스와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영남권 주요 도시와 밀양시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그리고 밀양시 전역과 주변 지역을 잇는 시내버스 노선망을 제공한다.
함안버스터미널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함안버스터미널 |
종류 | 터미널 |
주소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함마대로 1636-16 (말산리) |
이전 | 2005년 9월 14일 |
운영 기관 | 함안버스터미널(주) |
표기 | 함안 |
운행 정보 |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2. 역사
함안군은 1981년 터미널 이전 계획을 세웠으나 여러 문제로 오랫동안 지연되었다. 2005년 6월 착공하여 같은 해 9월에 완공되었다.[1][2]
2. 1. 이전 배경
본래 터미널은 지금의 터미널에서 남쪽으로 약 200m 떨어진 구 함안역 근처인 가야읍 말산리 48-27번지에 있었다. 하지만 당시 하루 평균 이용객이 5천 명에 이르렀음에도 대합실이 불과 10여 평에 불과했고, 승차홈과 같은 시설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대합실 바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경우가 많았다. 가야읍 일대는 이 터미널을 중심으로 항상 정체를 빚어왔다.[1] 이 때문에 함안군에서는 1981년 현재 터미널 인근 지역을 정류장 지역으로 지정고시했지만, 터미널 이전은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다. 1997년 현 위치에 5천여 평 규모의 터미널을 짓기로 계획을 수정했지만, 사업비 부족으로 예정 부지 일부를 매입하지 못하고, 또한 이를 운영할 민간사업자를 구하지 못해 약 7년 동안 차질을 빚었다.[1]2. 2. 이전 과정
함안버스터미널은 원래 현재 위치에서 남쪽으로 약 200m 떨어진 구 함안역 근처인 가야읍 말산리 48-27번지에 있었다. 그러나 당시 하루 평균 5천 명의 이용객에도 불구하고 대합실은 불과 10여 평에 불과했고, 승차홈과 같은 시설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대합실 바깥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가야읍 일대는 이 터미널을 중심으로 항상 정체를 빚었다.[1]이러한 문제 때문에 함안군은 터미널 이전을 위해 1981년 현재 터미널 인근 지역을 정류장 지역으로 지정고시했지만,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다. 1997년 현재 위치에 5천여 평 규모의 터미널을 짓기로 계획을 수정했지만, 사업비 부족으로 예정 부지 일부를 매입하지 못하고 운영할 민간사업자를 구하지 못해 약 7년 동안 사업 추진에 차질을 빚었다.[1]
2005년 6월이 되어서야 터미널 착공이 시작되었고, 같은 해 9월에 완공되었다. 새로 지어진 터미널은 8380m2 부지에 건축면적 4433m2, 연면적 5530m2에 달하며, 하루 최대 6,500명까지 이용 가능하다.[2]
2. 3. 신 터미널
1997년 현 위치에 5천여 평 규모의 터미널을 짓기로 계획을 수정했지만, 사업비 부족으로 예정 부지 일부를 매입하지 못하고 운영할 민간사업자를 구하지 못해 약 7년 동안 차질을 빚었다.[1] 결국 터미널은 2005년 6월에 착공되어 같은 해 9월에 완공되었다. 새로 지어진 터미널은 8380m2 부지에 건축면적 4433m2, 연면적 5530m2 에 달하며 하루에 최대 6,500명까지 이용 가능하다.[2]3. 운행 노선
함안버스터미널에서는 시외버스와 농어촌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시외버스'''
- 군북 방면: 경전여객, 신흥여객이 운행하며, 무정차로 하루 9회 운행한다.
- 서울 방면: 서울남부행 노선은 경전여객, 천일여객이 운행하며, 칠원을 경유하여 하루 4회 운행한다.[3]
- 부산 방면: 부산서부행 노선은 경전여객이 운행하며, 무정차로 하루 9회 운행한다.
- 경남 (마산, 창원, 진주 등) 방면:
- 마산: 마산행 노선은 경전여객, 신흥여객이 운행하며, 당산을 경유하여 30~5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마산남부행 노선은 경전여객이 운행하며, 강명리, 여항, 참색, 봉곡, 대현, 대티, 부평, 연동, 진동을 경유하여 하루 1회 운행한다.
- 진주: 진주행 노선은 경전여객, 대한여객이 운행하며, 군북을 경유하여 하루 2회 운행한다.
- 그 외 지역 방면:
- 의령: 의령행 노선은 경전여객, 신흥여객이 운행하며, 군북을 경유하여 하루 6회 운행한다.
- 김해: 김해행 노선은 김해여객, 태영고속이 운행하며, 마산대, 장유를 경유하여 하루 4회 운행한다.[4]
'''농어촌버스'''
함안군 농어촌버스는 동일익스프레스와 동일익스프레스에서 운행한다.
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
---|---|---|---|
114-1 | 가야도향주공(게티, 군북) ↔ 마산터미널(창원터미널) | 가야사거리, 함안역, 대천마을, 수동, 산인공단, 마산대학, 마산농산물시장, 중리역, 중리삼거리, 마산역 | 100분 |
252-2 | 가야도향주공(군북역) ↔ 남마산터미널 | 가야사거리, 함안역, 푸른주유소, 산인면사무소, 산인역, 마산대학, 중리역, 중리삼거리, 경남대학교 | 52분 |
기·종점 | 행선지 | ||
함안 기점 | 농협하나로마트, 성당, 군청, 산인면 사무소, 성진맨션, 당산, 부동, 이수정, 읍내, 송정, 파수, 평기, 서촌, 동촌, 구혜, 대산, 평림, 운곡, 송정, 강명리, 여항, 봉곡, 내곡, 주동, 진동, 남마산, 석무, 주물, 사평, 유뇌, 정곡, 법수, 강주, 내송, 대평, 문현, 백산, 의령, 월촌, 죽산, 사정, 토현, 매곡, 오당, 소포, 군북, 박곡, 오곡, 명동, 유현, 게티, 필동 | ||
777번 | 산인면 사무소, 성진맨션, 학산, 입곡, 대천, 수동마을, 문암, 산익마을, 산인농공단지, 신동마을, 운곡, 용담, 마산대학, 농수산물공판장, GS자이, 벽산블루밍, 야촌, 양정, 무기, 칠원, 기공A, 운곡, 송정 |
3. 1. 시외버스
함안버스터미널에서는 군북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운행 노선 | 운행 업체 | 운행 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 시간표 |
---|---|---|---|---|---|
함안 ↔ 군북 | 경전여객, 신흥여객 | 함안 ↔ 군북 | 무정차 | 9회 | 07:30, 08:40, 10:10, 11:50, 14:50, 15:15, 17:20, 18:30, 21:15 |
3. 1. 1. 서울 방면
3. 1. 2. 부산 방면
운행 노선 | 운행 업체 | 운행 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 시간표 |
---|---|---|---|---|---|
함안 ↔ 부산 | 경전여객 | 함안 ↔ 부산서부 | 무정차 | 9회 | 07:30, 09:00, 10:30, 12:00, 13:30, 15:00, 17:00, 18:30, 20:00 |
3. 1. 3. 경남 (마산, 창원, 진주 등) 방면
운행 노선 | 운행 업체 | 운행 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 시간표 |
---|---|---|---|---|---|
함안 ↔ 마산 | 경전여객, 신흥여객 | 함안 ↔ 마산 | 당산 | 30~50분 | 첫차: 06:40 (함안 기준) 막차: 22:00 (함안 기준) |
함안 ↔ 마산남부 | 경전여객 | 함안 ↔ 마산남부 | 강명리, 여항, 참색, 봉곡, 대현, 대티, 부평, 연동, 진동 | 1회 | 07:00 |
함안 ↔ 진주 | 경전여객, 대한여객 | 함안 ↔ 진주 | 군북 | 2회 | 08:00, 18:00 |
3. 1. 4. 그 외 지역 방면
운행 노선 | 운행 업체 | 운행 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 시간표 |
---|---|---|---|---|---|
함안 ↔ 의령 | 경전여객, 신흥여객 | 함안 ↔ 의령 | 군북 | 6회 | 07:30, 08:40, 11:50, 17:20, 18:30, 21:15 |
함안 ↔ 김해[4] | 김해여객, 태영고속 | 함안 ↔ 김해 | 마산대, 장유 | 4회 | 09:00, 13:00, 15:00, 19:00 |
3. 2. 농어촌버스
(게티, 군북)(창원터미널)
(군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