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토리 마사나리 (154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핫토리 마사나리는 1542년 미카와 국에서 태어난 무사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다양한 전투에서 활약했다. 그는 1582년 혼노지의 변 이후 이에야스의 '이가 고에'를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이후에도 오사카 여름 전투까지 이에야스를 보좌했다. 핫토리 마사나리는 1597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묘는 도쿄의 사이넨지 절에 있다. 그는 닌자 이미지를 통해 대중문화에서 널리 알려지며 다양한 작품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핫토리씨 - 한조몬
한조몬은 도쿄도 지요다구에 위치한 황거의 문 중 하나로, 에도 막부 쇼군 경호 무사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유사시 쇼군이 피난하는 데 사용되었고 현재는 황족의 출입에 주로 사용되며 일반인 통행은 제한된다. - 닌자 - 야마모토 간스케
야마모토 간스케는 센고쿠 시대의 외눈에 다리를 저는 불구의 몸이었음에도 뛰어난 전략가로 이름을 날린 다케다 신겐의 군사로, 가와나카지마 전투에서 전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 속에서 고문서 발견을 통해 존재를 뒷받침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닌자 - 후마 고타로
후마 고타로는 가나가와현을 중심으로 활동한 닌자 가문인 후마 일족의 수장들이 사용한 이름이며, 민간 전승과 대중문화에서 괴물 같은 모습으로 묘사된다. - 1596년 사망 - 장 보댕
장 보댕은 프랑스의 법학자, 정치철학자, 경제학자이자 저술가로서, 『국가론』에서 제시한 주권 개념으로 절대주의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나, 마녀사냥에 대한 견해와 저술은 비판받으며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596년 사망 - 프랜시스 드레이크
프랜시스 드레이크는 잉글랜드 해군 제독이자 탐험가, 사략선 선장으로, 세계 일주를 성공하고 무적함대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노예 무역과 사략 행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핫토리 마사나리 (1542년)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핫토리 한조 |
본명 | 핫토리 마사나리 (服部 正成) |
별명 | 귀신 한조 (鬼の半蔵), 창 한조 (槍の半蔵) |
출생일 | 1542년경 |
사망일 | 1597년 1월 2일 |
출생지 | 미카와국 (현재의 아이치현 오카자키시 이가초) |
사망지 | 무사시국 에도 |
아버지 | 핫토리 야스나가 (服部 保長) |
아들 | 핫토리 마사나리 (服部 正成) |
이명 | 이와미노카미 (石見守) |
혼명 | 야타로 (弥太郎) |
시호 | 센쇼인덴안요사이넨다이코지 (専称院殿安誉西念大居士) |
묘소 | 사이넨지 (西念寺) |
관직 | |
직위 | 이가 닌자 지도자 |
임기 시작 | 1557년 |
임기 종료 | 1597년 |
전임자 | 핫토리 야스나가 |
후임자 | 핫토리 마사나리 |
관위 | 이와미노카미 (石見守) |
군사 정보 | |
소속 | 마쓰다이라 씨 도쿠가와 씨 |
참전 전투 | 우도성 공격 가미노고성 포위전 가케가와 포위전 아네가와 전투 미카타가하라 전투 덴쇼진고 전쟁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오다와라 포위전 (1590년)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핫토리 야스나가, 초대 한조 (服部保長) |
아들 | 핫토리 마사나리, 3대 한조 |
형제자매 | 여자 (다카야마 히다노카미 부인) 센가지 야스모토 여자 (우에시마 사콘 시게야스 부인) 여자 (마쓰모토 다이가쿠 다다시게 부인) 핫토리 야스토시 핫토리 야스마사 핫토리 간주로 핫토리 규다유 핫토리 마사토키 여자 (나카네 마사시게 부인) 여자 (가네다 쇼노스케 부인) |
아내 | 나가사카 노부마사의 딸 |
자녀 | 핫토리 마사나리 핫토리 마사시게 핫토리 마사히로 핫토리 야스시게 (서자라는 설 있음) |
기타 | |
묘지 | 도쿄 신주쿠의 사이넨지 (西念寺) |
2. 생애
핫토리 마사나리는 1542년 미카와 국(현재의 아이치현 오카자키시)에서 핫토리 야스나가(服部保長)의 아들로 태어났다.[94] 그의 가문은 이가 국에 뿌리를 둔 무사 가문이었다. 1557년, 16세에 미카와 우토 성(上ノ郷城) 야습에 참가하여 첫 전공을 세웠고,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술잔과 창을 받았다.[98][99][100][101][102][103] 1562년에는 가미노고 성(上ノ郷城)에서 이마가와 우지자네에게 인질로 잡혀 있던 도쿠가와 가문의 가족을 구출했다.[8] 1563년 미카와 잇코잇키(三河一向一揆) 때는 잇코슈(一向宗) 신자였음에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대한 충성을 지켜 반란군과 싸웠다.[9]
겐키 원년(1570년) 아네가와 전투에서는 아네가와 제방에서 선봉으로 공을 세웠고,[122] 겐키 3년(1572년) 미카타가하라 전투에서도 선봉으로 활약했다.[123] 미카타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군이 패했을 때, 마사나리는 부상에도 불구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호위하여 하마마쓰 성으로 돌아왔다.[123] 이 공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창을 하사받고 150명의 이가 출신 병사들을 지휘하게 되었다.[129]
덴쇼 2년(1574년) 다케다 가쓰요리의 엔슈 출진 때는 덴류 강을 건너려는 적군을 공격했고,[130][131] 덴쇼 7년(1579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들 마쓰다이라 노부야스가 할복할 때 검사역을 맡았으나 차마 주군의 아들을 베지 못하고 눈물을 흘렸다.[135]
1582년 혼노지의 변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사카이에서 미카와 국으로 탈출할 때, 핫토리 마사나리는 '이가 고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마사나리는 이가 국과 고카 지역 토호들과 교섭하여 경호를 맡겨 도쿠가와 이에야스 일행을 안전하게 통과시켰다.[141]
덴쇼징고 전쟁(1582년)에서 핫토리 한조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편에서 참전하여 이가 출신 전사들을 이끌고 여러 요새를 함락시키는 등 활약했다.[30][31][32][33]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는 이가와 고카 닌자 100명을 이끌고 토요토미 군의 공격을 막아냈다.[34] 1590년 오다와라 전투에서는 기이 출신 네고로슈 50명을 이끌었다.[35]
핫토리 마사나리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으로서 이가 출신 무사 200명으로 구성된 이가 동심(伊賀同心)을 이끄는 지휘관 역할을 맡았다.[7][6] 이가 동심은 에도 성 주변을 경비했다.[187][188]
1597년 1월 2일, 핫토리 한조는 병으로 사망했다.[36] 그의 유해는 사이넨지에 안치되어 있으며, 절에는 그의 애용 창과 의식용 투구가 보관되어 있다.[44]
오늘날에도 한조의 유산은 남아 있다. 도쿄 황궁(옛 쇼군의 궁전)에는 한조몬(半蔵門)이라는 성문이 있으며, 도쿄 중심부의 한조몬 역에서 도쿄 남서부 교외까지 운행하는 한조몬 지하철 노선은 그의 집이 있던 성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0][41][42]
2. 1. 출생과 초기 활동
핫토리 마사나리는 1542년 미카와 국(현 아이치현 오카자키시)에서 핫토리 야스나가(服部保長)의 아들로 태어났다.[94] 그의 가문은 이가 국에 뿌리를 둔 무사 가문이었으며, 마사나리는 어릴 때부터 무예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1557년, 16세의 나이에 미카와 우토 성(上ノ郷城) 야습 작전에 참가하여 첫 전공을 세웠다. 이때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술잔과 창을 받았다고 한다.[98][99][100][101][102][103] 그러나 이 전투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불분명하며, 에이로쿠 5년(1562년)의 우도 합전(上ノ郷城合戦)과 혼동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12][113][114]
1562년, 가미노고 성(上ノ郷城)에서 이마가와 우지자네에게 인질로 잡혀 있던 도쿠가와 가문의 가족을 구출하는 데 성공했다.[8]
1563년, 미카와 잇코잇키(三河一向一揆) 진압에 참여했다. 마사나리는 잇코슈(一向宗) 신자였음에도 불구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대한 충성심을 지켜 반란군과 싸웠다.[9]
2. 2. 주요 전투 활약
겐키 원년(1570년) 아네가와 전투에서 핫토리 마사나리는 아네가와 제방에서 선봉으로 공을 세웠다.[122] 우연히 만난 아사이 군 병사들에게 자신도 아사이 측이라고 속여 기회를 엿보던 중, 동생 한스케의 외침에 적군에게 들켜버렸다. 이에 마사나리는 적병의 주인과 여러 명을 쓰러뜨리고 한스케에게 그 목을 넘겼다. 이 전투에서 마사나리는 젊은 병사들의 후견인 역할도 맡았다고 한다.[122]겐키 3년(1572년) 미카타가하라 전투에서는 선봉 오오스가 야스타카 부대에 배속되어 선봉으로 공을 세웠다.[123] 그러나 도쿠가와 군은 크게 패했고, 마사나리는 오오쿠보 타다치카, 스가누마 사다마사 등과 함께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호위하여 하마마쓰 성으로 향했다.[123] 이때 마사나리는 얼굴과 무릎에 부상을 입었지만, 이에야스의 말을 쫓아온 적과 싸워 물리쳤다. 하마마쓰 성에 돌아와서는 패전에 당황하는 아군을 격려하기 위해 홀로 성 밖으로 나가 적과 일대일로 싸워 목을 베어 돌아왔다.[124] 이러한 공으로 마사나리는 하마마쓰 성 이노마루에 불려가 이에야스로부터 헤이안 성 나가요시의 창을 포함한 두 자루의 창을 받았으며,[125][126][127][128] 150명의 이가 출신 병사들을 지휘하게 되었다.[129]
덴쇼 2년(1574년) 9월, 다케다 가쓰요리가 엔슈로 출진했을 때, 마사나리는 범람하는 덴류 강을 건너려던 이타가키 노부미치의 가신과 하마마쓰 성 아래에서 밭을 갈려던 야마가타 마사카게 휘하의 고스가 모토나리 등을 공격했다.[130][131]
덴쇼 7년(1579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들 마쓰다이라 노부야스가 오다 노부나가에게 의심을 받아 엔슈 니마타 성에서 할복하게 되었을 때, 마사나리는 검사역으로 파견되었다. 자결의 보조를 맡은 시부카와 시로우에몬이 "3대에 걸친 주군의 아들에게 칼을 댈 수 없다"며 도망치자, 마사나리가 대신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마사나리는 차마 주군의 아들 목을 베지 못하고 눈물을 흘리며 칼을 던져버렸고, 결국 아마가타 미치쓰나가 대신했다. 이 광경을 본 이에야스는 "귀신(오니)이라 불릴 정도라도 주군의 자식은 벨 수 없는가"라며 마사나리를 더욱 높이 평가했다고 한다.[135] 다만, 노부야스 할복 일화는 『미카와 이야기』[136]에 묘사된 것으로, 마사나리가 노부야스의 측근이었다는 설도 있지만, 실제로는 거의 만난 적이 없어 후세의 창작이라는 설과 와타나베 한조가 했다는 설[137]도 있다. 최근에는 노부야스의 할복이 이에야스와 노부야스 사이의 갈등 때문이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
덴쇼징고 전쟁(1582년)에서 핫토리 한조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편에서 참전하여 호쿠토 시 지역에 주둔한 호조 우지나오에 대항하여 고후 분지의 여러 요새에 병력을 배치했다. 한조는 이가 출신 전사들을 이끌고 가쓰야마 성(고후 시 가미소네 정), 미사쿠치 성, 고토히라야마 성(고후 시 미사쿠치 정)으로 가서 카이와 스루가를 잇는 나카미치 도로를 감시했다. 사쿠 군을 침공할 때는 오비 스케미쓰가 이끄는 쓰가네 씨의 신슈 지역 사무라이 전사들의 지원도 받았다. 9월 초, 폭우를 틈타 에구스쿠 성(시시쿠 성)을 야습하여 함락시켰고,[30][31][32] 이즈의 사노고야 성도 함락시켰다. 이러한 공적으로 이에야스의 칭찬을 받았다.[33]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 핫토리 한조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다. 이세로 행군하여 마쓰가시마 성에서 이가와 고카 닌자 100명의 병력을 증원군으로 이끌었다. 그의 부대는 토요토미 군의 공격으로부터 성을 방어하는 데 소총을 사용했다.[34]
1590년 오다와라 전투에서 핫토리 한조는 기이 출신의 화기를 사용하는 용병 집단인 네고로슈 50명을 이끌었다.[35]
2. 3. 이가 고에(伊賀越え)
1582년, 혼노지의 변으로 오다 노부나가가 사망하자,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아케치 미쓰히데의 추격을 피해 사카이에서 미카와 국으로 탈출해야 했다. 이때 핫토리 한조(핫토리 마사나리)는 선조의 출신지인 이가 국을 활용, 차야 시로지로 기요노부와 함께 이가와 고카 지역 토호들과 교섭하여 경호를 맡겼다.[141] 이들의 협력을 얻어 이에야스 일행은 안전하게 미카와까지 이동할 수 있었는데, 이를 '이가 고에'라고 부른다.이가 고에 당시, 핫토리는 구리(栗)라는 곳에 있다가 불려나와 이세의 시라코(白子)까지 동행했다.[141] 마사나리는 일치 세력에게 길을 비키라고 큰 소리로 외치고 그 틈을 타 이에야스 일행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상대가 공격해 왔기 때문에 말을 타고 돌격하여 응전했지만, 토루(土塁)에 올라갔을 때 구덩이에 떨어져 다리를 십여 군데 창에 찔리고 실신했다. 가신 시바야마 코헤이는 이에야스에게 "마사나리는 전사했다"고 전했으나, 시체를 회수하려고 돌아왔을 때 살아 있었기 때문에, 이를 간호하며 함께 돌아왔다고 한다.[142]

이에야스 일행이 택한 경로는 여러 기록에 따라 다른데, ''도쿠가와 일기''에서는 시조나와테와 손엔지로를 거쳐 기즈 강을 따라 야마구치 성에서 하룻밤을 보낸 후, 고카 이키 씨족의 거점인 타라오에서 피신하고, 시로코에서 배를 이용하여 오카자키 성에 도착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7] 그러나 이 경로는 사카이에서 미카와로 가는 최단 경로가 아니었기 때문에 현대 역사가들에게 의심받고 있다.[18]
''미카와 토다혼''에서는 이에야스가 오가와다테에서 북쪽으로 가서 고카를 건너 시가라키에서 세이슈 세키로 들어가 아부라히를 지나 이가의 츠게에 들어갔다고 기록되어 있다.[20] 미에 대학의 후지타 다쓰오 같은 현대 일본 역사학자들은 이 경로를 지지하며, 핫토리 한조의 닌자가 이에야스를 도왔다는 이야기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20]
어떤 경로가 사실이든, 역사가들은 이 여정이 카다(카메야마 마을과 이가 사이의 산길)에서 끝났다는 데 동의한다. 도쿠가와 일행은 카다 고개에서 지자무라이인 고카 이키 씨족의 영토에 도착했을 때 '''오치무샤가리''' 무법자들의 마지막 공격을 받았다. 고카 이키 사무라이들은 이에야스가 약탈자들의 위협을 제거하도록 도왔고, 그들이 이가 국에 도착할 때까지 호위했다. 그곳에서 이에야스 일행은 이가 이키의 다른 동맹 씨족의 보호를 받아 미카와에 무사히 도착했다.[16]
포르투갈 선교사 루이스 프로이스는 저서 ''일본사''에서 이 여정 동안 도쿠가와의 가신들이 이에야스를 호위하며 오치무샤가리 무법자들의 습격과 괴롭힘에 맞서 싸웠고, 때로는 협상이 가능한 자들에게 금과 은으로 뇌물을 주기도 했다고 기록했다.[23] 마쓰다이라 이에타다는 ''이에타다 일기''(家忠日記)에서 이에야스의 호위대가 산적과 무법자들의 습격으로 인해 약 200명의 사상자를 냈다고 기록했다.[24][25]
2. 4. 도쿠가와 가문에서의 역할
핫토리 한조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신뢰를 받는 가신으로서, 이가 출신 무사 200명으로 구성된 이가 동심(伊賀同心)을 이끄는 지휘관 역할을 맡았다.[7][6] 이가 동심은 에도 성 주변을 경비하는 역할을 담당했으며, 핫토리 한조는 그들의 지휘관으로서 막부의 안전에 기여했다.[187][188]하지만 이가 동심들은 핫토리 가문을 자신들의 가신으로 여기지 않았고, 핫토리 한조의 아버지 대부터 이가를 떠나 미카와에 살았다는 점, 그리고 이가에서 핫토리 가문의 서열이 자신들보다 낮았다는 점 등을 이유로 그에게 지휘받는 것을 불쾌하게 생각했다는 기록도 남아있다.[187][188]
핫토리 한조 사후, 그의 아들 핫토리 마사나리(正就)가 이가 동심의 지휘권을 이어받았으나, 이가 동심과의 마찰 등으로 인해 결국 지휘권을 잃게 되었다.[39] 이후 이가 동심은 여러 개의 조로 분할, 재편성되었으며, 핫토리 가문은 이가 동심에 대한 지휘권을 상실했다.
2. 5. 죽음과 유산
1597년 1월 2일, 핫토리 한조는 병으로 사망했다.[36] 그의 유해는 현재 사이넨지 (도쿄 요츠야(四谷))에 안치되어 있다. 절에는 그의 애용 창과 의식용 투구가 보관되어 있다.[44] 원래 길이 14척(424cm), 무게 7.5kg이었던 이 창은 이에야스로부터 받은 것으로 한조가 절에 봉납했지만, 1945년 도쿄 대공습 당시 손상되었다.[44] 그의 다른 소지품 중 일부는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으며 볼 수 있지만, 1606년 에도 성 화재로 그의 숙소가 불타 없어지고, 그의 아들이 군 지휘관직에서 물러나고, 오사카 전투의 혼란 속에서 대부분의 무기, 갑옷, 표창장 등은 유실되었다.핫토리 한조는 이가(伊賀일본어) 출신 무사 200명을 지휘하는 지휘관으로서 전설적인 명성을 쌓았다. 핫토리의 활약상을 그린 이야기에는 순간이동, 염력, 예지 능력과 같은 초자연적인 능력이 자주 등장한다.[7][6]
사망 후, 핫토리 한조는 그의 아들 핫토리 마사나리(正就)(세 번째 한조)에게 계승되었다. 아들의 이름은 아버지와 다른 한자(正成 대신 正就)를 사용했다.[39] 그는 이와미노카미(石見守)라는 칭호를 받았고,[39] 그의 이가 출신 부하들은 통일된 일본 정부의 중심지인 에도 성의 경비를 담당했다. "한조"는 핫토리 가문 지휘관들에게 계승된 이름이므로, 그의 아버지와 후계자도 한조라고 불렸다. 실제로 역사적으로 핫토리 한조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은 최소 5명 이상이다.[7]
오늘날에도 한조의 유산은 남아 있다. 도쿄 황궁(옛 쇼군의 궁전)에는 한조몬(半蔵門)이라는 성문이 있으며, 도쿄 중심부의 한조몬 역에서 도쿄 남서부 교외까지 운행하는 한조몬 지하철 노선은 그의 집이 있던 성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0][41][42] 한조문 밖 지역은 와카바(若葉)로 알려져 있지만, 1943년 이전에는 이가초(伊賀町)라고 불렸다.[43]
3. 현대적 평가
핫토리 한조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충신이자 뛰어난 무장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용맹함과 지략은 도쿠가와 막부의 기틀을 다지는 데 큰 역할을 했다.[6][7] 특히, "오니노 한조(鬼の半蔵)"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용맹을 떨쳤으며, 미카타가하라 전투 등에서 큰 공을 세웠다.[6]
현대 대중문화에서는 닌자의 이미지가 강하게 부각되지만, 실제 역사 기록에서는 닌자보다는 무사로서의 활동이 더 많이 나타난다. 핫토리 한조는 이가 출신 무사 200명을 지휘하는 지휘관으로서 전설적인 명성을 쌓았으며, 순간이동, 염력, 예지 능력과 같은 초자연적인 능력을 지닌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7][6]
오늘날에도 핫토리 한조의 유산은 남아 있다. 도쿄 황궁(옛 쇼군의 궁전)에는 한조문(半蔵門)이라는 성문이 있으며, 한조몬 지하철 노선은 그의 집이 있던 성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0][41][42] 그의 유해는 현재 사이넨지 절 묘지에 안치되어 있으며, 절에는 그의 애용 창과 의식용 투구가 보관되어 있다.[44]
3. 1. 한국과의 관계
핫토리 한조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으로서, 1592년부터 1598년까지 벌어진 임진왜란에 직접 참전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도쿠가와 가문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에 따라 조선 침략에 필요한 병력과 물자를 지원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에, 핫토리 한조 역시 이와 간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한편, 핫토리 한조는 닌자라는 독특한 이미지로 인해 한국 대중문화에서 일본 닌자를 대표하는 캐릭터 중 하나로 자주 등장한다. 게임, 만화, 소설 등 다양한 매체에서 핫토리 한조를 모티브로 한 인물들이 등장하며, 이는 한국 대중들에게 일본 닌자에 대한 강렬한 인상을 심어주는 데 영향을 미쳤다.
4. 대중문화 속 핫토리 한조
핫토리 한조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긴 무사였지만, 현대에는 닌자의 대명사로 널리 알려져 있다. 다이쇼 시대(1912~1926)에는 사루토비 사스케와 키리가쿠레 사이조가 닌자의 원형으로 더 알려져 있었으나, 1950년대부터 소설, 만화, 애니메이션,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매체에서 핫토리 한조가 닌자로 묘사되기 시작했다.[45]
특히 시바타 렌자부로의 "아카이 카게보시"(1960)와 야마다 후타로의 단편 소설 "닌자 핫토리 한조"(1964)는 핫토리 한조를 전설적인 닌자로 묘사하여 그의 명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5] 전자는 한조를 이야기의 중심인물로, 후자는 "핫토리 한조"라는 이름이 특정 인물이 아닌 핫토리가의 지휘관에게 계승되는 이름임을 보여준다.[45]
여러 이야기에서 핫토리 한조는 순간이동, 염력, 예지 능력과 같은 초능력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7][6]
4. 1. 등장 작품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이었던 핫토리 한조는 현대에는 전형적인 닌자 인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많은 허구적인 작품에 등장한다. 한조는 다이쇼 시대(1912-1926)의 첫 번째 닌자 붐에는 등장하지 않았는데, 당시 허구 작품에서 닌자 원형 인물은 사루토비 사스케와 키리가쿠레 사이조가 더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 1950년대에 소설, 만화, 애니메이션, 일본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및 일본 연극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허구 작품에서 전설적인 닌자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닌자 핫토리 한조"라는 명성을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한 작품으로는 시바타 렌자부로의 "아카이 카게보시"(1960)와 야마다 후타로의 단편 소설 "닌자 핫토리 한조"(1964)가 있다.[45] 전자는 한조를 주인공과 깊이 관련되어 이야기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중심 인물로 묘사한다. 후자는 "핫토리 한조"가 특정 인물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계승되는 이름임을 보여주는 작품이다.[45]서념사 (신주쿠구)에는 신주쿠구 등록 유형문화재인 "핫토리 반조의 창(服部半蔵の槍)"이 봉납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공개되지 않으며, 창 관람은 문의가 필요하다. 이 창은 미카타가하라 전투의 공적으로 마사나리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서 하사받은 것이라고 전해진다.[223]
4. 1. 1. 영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이었던 핫토리 한조는 현대에는 전형적인 닌자 인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많은 허구적인 작품에 등장한다. 그러나 한조는 다이쇼 시대(1912-1926)의 첫 번째 닌자 붐에는 등장하지 않았는데, 당시 허구 작품에서 닌자 원형 인물은 사루토비 사스케와 키리가쿠레 사이조가 더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 한조는 1950년대에 소설, 만화, 애니메이션, 일본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및 일본 연극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허구 작품에서 전설적인 닌자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닌자 핫토리 한조"라는 명성을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한 작품으로는 시바타 렌자부로의 "아카이 카게보시"(1960)와 야마다 후타로의 단편 소설 "닌자 핫토리 한조"(1964)가 있다.[45] 전자는 한조를 주인공과 깊이 관련되어 이야기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중심 인물로 묘사한다. 후자는 "핫토리 한조"가 특정 인물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계승되는 이름임을 보여주는 작품이다.[45]4. 1. 2. 텔레비전 드라마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이었던 핫토리 한조는 현대에는 전형적인 닌자 인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많은 허구적인 작품에 등장한다. 그러나 한조는 다이쇼 시대(1912~1926)의 첫 번째 닌자 붐에는 등장하지 않았는데, 당시 허구 작품에서 닌자 원형 인물은 사루토비 사스케와 키리가쿠레 사이조가 더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 한조는 1950년대에 소설, 만화, 애니메이션, 일본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및 일본 연극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허구 작품에서 전설적인 닌자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닌자 핫토리 한조"라는 명성을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한 작품으로는 시바타 렌자부로의 "아카이 카게보시"(1960)와 야마다 후타로의 단편 소설 "닌자 핫토리 한조"(1964)가 있다.[45] 전자는 한조를 주인공과 깊이 관련되어 이야기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중심 인물로 묘사한다. 후자는 "핫토리 한조"가 특정 인물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계승되는 이름임을 보여주는 작품이다.[45]참조
[1]
문서
[2]
서적
Ninja Ancient Shadow Warriors of Japan (The Secret History of Ninjutsu)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24-05-09
[3]
harvtxt
2009
[4]
서적
徳川十六将図再考
https://cir.nii.ac.j[...]
Nagoya City Museum Research Bulletin
2024-05-06
[5]
서적
The Mystic Arts of the Ninja
1985
[6]
서적
Ninja AD 1460–1650
2003
[7]
서적
Ninja: The Shadow Warrior
2008
[8]
문서
Tools and Techniques
2009
[9]
harvtxt
2021
[10]
문서
服部半三正成武功記 附 伊予国今治藩服部氏略家系
[11]
서적
Samurai: The Code of the Warrior
2008
[12]
서적
The Maker of Modern Japan: The Life of Tokugawa Ieyasu
C. E. Tuttle Co.
1978
[13]
harvtxt
2021
[14]
서적
刀狩り: 武器を封印した民衆
岩波書店
2005
[15]
서적
真説本能寺 (学研M文庫 R き 2-2)
学研プラス
2001
[16]
서적
天皇と天下人
新人物往来社
1993
[17]
서적
THE NINJA BOOK: The New Mansenshukai
https://books.google[...]
Mie University Facultyof Humanities, Law and Economics
2024-05-10
[18]
웹사이트
(Editorial) Regarding the original of Ietada's diary
https://www.hi.u-tok[...]
2022-11-16
[19]
서적
(Michi-monogatari) Ieyasu's "Iga's crossing (Shiga Prefecture, Mie Prefecture) Was it really "Koka-goe"? A new theory advocated by a ninja descendant
https://www.asahi.co[...]
Asahi Shimbun
2024-05-19
[20]
학술지
「神君伊賀越え」再考
https://doi.org/10.2[...]
愛知県
2005
[21]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徳川家康・伊賀越えの危難
https://books.google[...]
鳥影社
2024-05-24
[23]
서적
戦国戦記本能寺の変・山崎の戦 (1958年)
https://ndlsearch.nd[...]
春秋社
2024-05-09
[24]
웹사이트
(Editorial) Regarding the original of Ietada's diary
https://www.hi.u-tok[...]
2022-11-16
[25]
서적
家康家臣の戦と日常 松平家忠日記をよむ (角川ソフィア文庫) Kindle Edition
https://www.amazon.c[...]
KADOKAWA
2024-05-10
[26]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the Iga ninja who supported Ieyasu's conquest of Japan from behind the scenes
https://www.rekishij[...]
ABC ARC, inc.
2024-06-24
[27]
웹사이트
Tensho Migo Rebellion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 Honnoji Incident and the history of the Sengoku period in the Togoku region
https://sengokumap.n[...]
Ebisukosyo
2024-05-17
[28]
서적
Japanese Castle History Research Series Vol. 8 Various Studies on Osaka Castle
https://www.kosho.or[...]
名著出版
2024-06-06
[29]
harvtxt
1982
[30]
서적
山梨県史: Chūsei IV (kōko shiryō)
https://books.google[...]
山梨県
2024-06-09
[31]
서적
甲斐国志: 上, Volume 1
https://books.google[...]
天下堂書店
2024-06-09
[32]
harvtxt
2021
[33]
harvtxt
2021
[34]
harvtxt
2021
[35]
harvtxt
2021
[36]
문서
今治拾遺附録 士族一之巻 服部速水正宣家譜
[37]
문서
西念寺服部半蔵墓碑
[38]
문서
寛政重修諸家譜第1168巻
[39]
웹사이트
Sengoku Era Ranks and Titles
http://www.samurai-a[...]
Samurai-archives.com
2013-07-07
[40]
서적
Fodor's Japan: The Complete Guide With the Best of Tokyo, Kyoto and Old Japan
Fodor's Travel Publications
1996
[41]
서적
Fodor's Japan: Expert Advice and Smart Choices: Where to Stay, Eat, and Explore On and Off the Beaten Path
Fodor's Travel Publications
2000
[42]
서적
One Hundred Views of Edo: Woodblock Prints by Ando Hiroshige
Parkstone Press
1997
[43]
뉴스
Tokyo's really, really real ninja hideouts
http://www.cnngo.com[...]
2011-11-23
[44]
서적
The Samurai Swordsman: Master of War
2008
[45]
논문
「忍者・服部半蔵」の誕生──昭和三九年までの作品を対象に
http://id.ndl.go.jp/[...]
2024-07-16
[46]
문서
伊賀上島家所蔵文書
[47]
문서
伊賀国近地(服部)系譜 服部彌之助・編/武術史研究1(武芸帖社)
[48]
문서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49]
문서
今治拾遺附録 士族一之巻 服部速水正宣家譜
[50]
문서
伊賀上島家所蔵文書
[51]
문서
伊賀国近地(服部)系譜 服部彌之助・編/武術史研究1(武芸帖社)
[52]
문서
貞享松平隠岐守家来服部半蔵書上
[53]
문서
伊賀上島家所蔵文書
[54]
문서
伊賀国近地(服部)系譜 服部彌之助・編/武術史研究1(武芸帖社)
[55]
문서
伊賀上島家所蔵文書
[56]
문서
伊賀国近地(服部)系譜 服部彌之助・編/武術史研究1(武芸帖社)
[57]
문서
伊賀上島家所蔵文書
[58]
문서
伊賀国近地(服部)系譜 服部彌之助・編/武術史研究1(武芸帖社)
[59]
문서
伊賀史叢考
[60]
문서
伊賀上島家所蔵文書
[61]
문서
伊賀国近地(服部)系譜 服部彌之助・編/武術史研究1(武芸帖社)
[62]
문서
伊賀上島家所蔵文書
[63]
문서
伊賀国近地(服部)系譜 服部彌之助・編/武術史研究1(武芸帖社)
[64]
문서
寛政重修諸家譜第552巻
[65]
문서
伊賀上島家所蔵文書
[66]
문서
伊賀国近地(服部)系譜 服部彌之助・編/武術史研究1(武芸帖社)
[67]
문서
寛政重修諸家譜第552巻
[68]
문서
伊賀上島家所蔵文書
[69]
문서
伊賀国近地(服部)系譜 服部彌之助・編/武術史研究1(武芸帖社)
[70]
문서
寛政重修諸家譜第552巻
[71]
문서
大樹寺過去帳抜書
[72]
문서
伊賀上島家所蔵文書
[73]
문서
伊賀上島家所蔵文書
[74]
간행물
伊賀国近地(服部)系譜
武芸帖社
[75]
문서
寛政重修諸家譜第552巻
[76]
문서
伊賀上島家所蔵文書
[77]
문서
寛政重修諸家譜第552巻
[78]
문서
伊賀上島家所蔵文書
[79]
간행물
伊賀国近地(服部)系譜
武芸帖社
[80]
문서
寛政重修諸家譜第552巻
[81]
문서
岡崎市 中根家文書
[82]
문서
伊賀上島家所蔵文書
[83]
간행물
伊賀国近地(服部)系譜
武芸帖社
[84]
문서
寛政重修諸家譜第552巻
[85]
문서
服部半三正成武功記 附 伊予国今治藩服部氏略家系
[86]
간행물
津軽藩旧記傳類
青森県文化財保護協会
[87]
웹사이트
服部半蔵の子?康成の肖像画か/鯵ケ沢で展示
https://www.navitabi[...]
[88]
웹사이트
服部半蔵の子?康成の肖像画か/鯵ケ沢で展示
https://www.navitabi[...]
[89]
문서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90]
문서
今治拾遺附録 士族一之巻 服部速水正宣家譜
[91]
문서
伊賀上島家所蔵文書
[92]
간행물
伊賀国近地(服部)系譜
武芸帖社
[93]
문서
服部半三正成武功記 附 伊予国今治藩服部氏略家系
[94]
웹사이트
第35回 忍者の階級の巻
http://www.rekishiji[...]
[95]
간행물
2019岡崎市発行観光地図
岡崎市
[96]
문서
岡崎市郷土史料
[97]
문서
服部半三正成武功記 附 伊予国今治藩服部氏略家系
[98]
문서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99]
문서
今治拾遺附録 士族一之巻 服部速水正宣家譜
[100]
간행물
週刊新説戦乱の日本史 第16号 伊賀忍者影の戦い
小学館
[101]
문서
寛政重修諸家譜第1168巻
[102]
문서
干城録
[103]
문서
貞享松平越中守家来服部半蔵書上
[104]
문서
朝野舊聞裒藁
[105]
문서
断家譜
[106]
문서
三河後風土記
[107]
문서
甲賀古士訴願状(乍恐以訴状言上仕候)
[108]
문서
今治拾遺附録 士族一之巻 服部速水正宣家譜
[109]
문서
寛政重修諸家譜第1168巻
[110]
문서
干城録
[111]
문서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112]
문서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113]
문서
今治拾遺附録 士族一之巻 服部速水正宣家譜
[114]
문서
貞享松平越中守家来服部半蔵書上
[115]
웹사이트
家康公と偉業を支えた人々~徳川家臣団を中心に~
http://www.okazakicc[...]
2011
[116]
문서
大三川志
[117]
문서
貞享松平越中守家来服部半蔵書上
[118]
문서
大三川志
[119]
문서
伊東法師物語
[120]
문서
伊賀者由緒書
[121]
문서
守綱記
[122]
문서
服部半三正成武功記 附 伊予国今治藩服部氏略家系
[123]
문서
干城録
[124]
문서
服部半三正成武功記 附 伊予国今治藩服部氏略家系
[125]
문서
貞享松平隠岐守家来服部半蔵書上
[126]
문서
服部半三正成武功記 附 伊予国今治藩服部氏略家系
[127]
문서
貞享松平越中守家来服部半蔵書上
[128]
문서
伊賀者由緒書
[129]
문서
伊賀者由緒書
[130]
문서
伊賀者由緒書
[131]
문서
甲陽軍鑑
[132]
문서
服部半三正成武功記 附 伊予国今治藩服部氏略家系
[133]
문서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134]
문서
今治拾遺附録 士族一之巻 服部速水正宣家譜
[135]
문서
岡崎市史別巻 徳川家康と其周囲 中巻p221
[136]
문서
三河物語
[137]
문서
柏崎物語
[138]
문서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139]
문서
今治拾遺附録 士族一之巻 服部速水正宣家譜
[140]
문서
服部半三正成武功記 附 伊予国今治藩服部氏略家系
[141]
문서
貞享伊賀者書上
[142]
문서
服部半三正成武功記 附 伊予国今治藩服部氏略家系
[143]
문서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144]
서적
天正壬午の乱 本能寺の変と東国戦国史
学研パブリッシング
2011
[145]
문서
国朝大業廣記
[146]
문서
甲斐国史
[147]
문서
国朝大業廣記
[148]
문서
甲斐国史
[149]
문서
国朝大業廣記
[150]
문서
寛永小尾譜
[151]
문서
大三川志
[152]
문서
国朝大業廣記
[153]
문서
貞享松平諏訪守書状
[154]
문서
大三川志
[155]
문서
国朝大業廣記
[156]
문서
寛永神尾譜
[157]
문서
貞享伊賀者書上
[158]
문서
国朝大業廣記
[159]
문서
貞享伊賀者書上
[160]
문서
武徳編年集成
[161]
문서
貞享伊賀者書上
[162]
문서
国朝大業廣記
[163]
문서
伊賀者由緒書
[164]
문서
大三川志
[165]
문서
国朝大業廣記
[166]
문서
甲斐国史
[167]
문서
武徳編年集成
[168]
서적
改正三河風土記
[169]
문서
服部半三正成武功記 附 伊予国今治藩服部氏略家系
[170]
서적
岡崎市史別巻 徳川家康と其周囲 下巻
岡崎市
[171]
문서
寛永神尾譜
[172]
문서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173]
문서
今治拾遺附録 士族一之巻 服部速水正宣家譜
[174]
문서
寛政重修諸家譜第1168巻
[175]
문서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176]
서적
今治拾遺附録 士族一之巻 服部速水正宣家譜
[177]
서적
新編武蔵風土記稿 巻之129
[178]
서적
服部半三正成武功記 附 伊予国今治藩服部氏略家系
[179]
서적
慶長年中卜斎記
[180]
서적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181]
서적
今治拾遺附録 士族一之巻 服部速水正宣家譜
[182]
서적
干城録
[183]
서적
西念寺服部半蔵墓碑
[184]
서적
史籍雑纂第三 二百頁「家傳史料第七 服部半蔵正成」
[185]
서적
姓氏家系大辞典
[186]
서적
寛政重修諸家譜第1168巻
[187]
서적
朝野舊聞裒藁
[188]
서적
林鐘談
[189]
서적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190]
서적
松山叢談 第四(豫陽叢書第七集)附録第一
[191]
서적
白洲正子『鶴川日記』
[192]
서적
本間信治『消えてゆく東京の地名』
月刊ペン社
1983
[193]
서적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194]
서적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195]
서적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196]
서적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197]
서적
今治拾遺附録 士族一之巻 服部速水正宣家譜
[198]
서적
寛政重修諸家譜第1168巻
[199]
서적
干城録
[200]
서적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201]
서적
貞享松平越中守家来服部半蔵書上
[202]
전시자료
忍秘展:初公開沖森文庫所蔵忍秘伝書のすべて:企画展(伊賀上野観光協会 編)より服部正武書写(享保2年/1717年)・服部勘助書写(万延元年/1860年)部分
伊賀上野観光協会
[203]
서적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204]
서적
貞享松平隠岐守家来服部半蔵書上
[205]
서적
服部半三正成武功記 附 伊予国今治藩服部氏略家系
[206]
서적
貞享松平越中守家来服部半蔵書上
[207]
서적
伊賀者由緒書
[208]
서적
天明由緒
[209]
서적
貞享松平隠岐守家来服部半蔵書上
[210]
서적
服部半三正成武功記 附 伊予国今治藩服部氏略家系
[211]
문서
貞享松平越中守家来服部半蔵書上
[212]
문서
伊賀者由緒書
[213]
문서
天明由緒
[214]
문서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215]
문서
干城録
[216]
문서
伊賀者由緒書
[217]
문서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218]
문서
干城録
[219]
문서
伊賀者由緒書
[220]
문서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221]
문서
服部半三正成武功記 附 伊予国今治藩服部氏略家系
[222]
문서
古今要覧稿第百二十六 器材部 武具(国書刊行会/国会図書館蔵)三百八十四頁
[223]
서적
忍術の歴史 伊賀流忍術のすべて
上野市観光協会
[224]
전시자료
忍秘展:初公開沖森文庫所蔵忍秘伝書のすべて:企画展(伊賀上野観光協会 編)より服部正武書写(享保2年/1717年)・服部勘助書写(万延元年/1860年)部分
伊賀上野観光協会
[225]
전시자료
忍秘展:初公開沖森文庫所蔵忍秘伝書のすべて:企画展(伊賀上野観光協会 編)より服部正武書写(享保2年/1717年)・服部勘助書写(万延元年/1860年)部分
伊賀上野観光協会
[226]
문서
桑名藩 元御家人筋并御由緒有之蒙仰御用相勤候家附服部家畧系
[227]
전시자료
忍秘展:初公開沖森文庫所蔵忍秘伝書のすべて:企画展(伊賀上野観光協会 編)より服部正武書写(享保2年/1717年)・服部勘助書写(万延元年/1860年)部分
伊賀上野観光協会
[228]
문서
貞享松平隠岐守家来服部半蔵書上
[229]
문서
貞享松平越中守家来服部半蔵書上
[230]
문서
天明由緒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