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화석 산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화석 산지는 금호방조제 건설로 담수호가 조성되면서 드러난, 백악기 퇴적암으로 이루어진 지역이다. 이 지역에서는 공룡, 익룡, 새 발자국 화석이 다량 발견되었으며, 특히 익룡 발자국은 세계 최대 크기를 자랑한다. 다양한 종류의 화석 발견은 학술적 가치를 높이며, 익룡과 새가 서식지를 공유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가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고생물학 - 경상 분지
    경상 분지는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 분지로, 경상 누층군(신동층군, 하양층군, 유천층군)과 불국사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밀양, 의성, 영양 소분지로 나뉘며, 다양한 담수 생물과 공룡 화석이 발견되는 등 퇴적 환경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고대 생물상 - 화이난 생물군
    화이난 생물군은 중국 안후이성 화이난시의 트라이아스기 후기 지층에서 발견된 다양한 식물 화석군으로, 당시 식물상 연구와 고생물학, 식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양치류, 구과식물, 은행나무류, 초기 속씨식물 화석을 포함한다.
  • 해남군의 문화유산 - 해남 전라우수영
    해남 전라우수영은 1377년 무안 당곶포에 설치되어 해남군 황원곶으로 이전된 전라도 수군의 본영으로, 임진왜란 때 명량대첩의 배후 기지 역할을 했으며 조선 시대 수군 제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 해남군의 문화유산 - 해남 명량대첩비
    해남 명량대첩비는 1688년 박신주가 이순신 장군의 명량 해전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한 비석으로, 명량대첩의 상황과 이순신 장군의 충의를 기리는 내용이 담겨 있으며, 국난 시 눈물을 흘린다는 전설이 있다.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화석 산지
기본 정보
이름우항리층
종류지질 지층
시대캄파니아누스절
나이약 8100만 년 전 ~ 7900만 년 전
위치전라남도 해남군
구성사암, 셰일
소속해남층군
대한민국
대한민국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화석 산지
종류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394호
지정일1998년 10월 17일
소재지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 산13-1

2. 우항리 공룡 화석 산지

해남 우항리 공룡 화석 산지에서는 공룡 발자국 화석 823개, 익룡 발자국 화석 443개, 발자국 화석, 공룡 화석 등 다양한 화석이 많이 발견되었다.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새 발자국 두 종류와 아시아 최초의 익룡 발자국이 한 지층에서 발견되어, 익룡과 새가 서식지를 공유했다는 것을 입증하는 최초의 사례이다. 또한 세계 최대 규모의 익룡 발자국 화석 산지로, 2002년 황구근 등에 의해 가장 큰 익룡 발자국에 ‘해남이크누스 우항리엔시스’라는 학명이 붙여졌다. 익룡의 가장 긴 보행열도 발견되어 익룡이 4족 보행에 능숙했음을 증명해 주었으며, 물갈퀴 새 발자국 화석과 희귀한 별 모양 줄기를 가진 대형 조각류 공룡 발자국 화석도 발견되었다.[3]

우항리 공룡 화석 산지는 원래 바다였으나, 금호 방조제 건설로 인해 담수호가 만들어지면서 주변 지역과 함께 드러났다.

2. 1. 지질학적 특징

담수호는 높이가 3m~4m에 달하는 절벽을 이루고 있으며, 약 5km에 걸쳐 뻗어 있다. 이 절벽은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호수 주변의 암석층에는 수천만 년 전 이 지역에 살았던 공룡, 익룡, 물새의 화석 발자국이 박혀 있다.[3]

2. 2. 발견의 의의

해남 우항리에서는 공룡 발자국 화석 823개, 익룡 발자국 화석 443개, 발자국 화석, 공룡 화석 등 다양한 화석이 많이 발견되었다.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새 발자국 두 종류와 아시아 최초의 익룡 발자국이 한 지층에서 발견되어, 익룡과 새가 서식지를 공유했다는 것을 입증하는 최초의 사례이다. 또한 세계 최대 규모의 익룡 발자국 화석 산지로, 2002년 황구근 등에 의해 가장 큰 익룡 발자국에 ‘해남이크누스 우항리엔시스’라는 학명이 붙여졌다. 익룡의 가장 긴 보행열도 발견되어 익룡이 4족 보행에 능숙했음을 증명해 주었으며, 물갈퀴 새 발자국 화석과 희귀한 별 모양 줄기를 가진 대형 조각류 공룡 발자국 화석도 발견되었다.[3]

이처럼 다양한 공룡 화석 발자국이 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것은 세계적으로 드문 사례이며, 이 지역에서 발견된 익룡 발자국은 20cm~35cm로 세계 최대 크기이다.[3]

3. 화석 내용

공룡 발자국 화석 823개, 익룡 발자국 화석 443개, 발자국 화석, 공룡 화석 등 다양한 화석이 많이 발견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새 발자국 두 종류와 아시아 최초의 익룡 발자국이 한 지층에서 발견되어, 익룡과 새가 서식지를 공유했다는 것을 입증하는 최초의 사례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익룡 발자국 화석 산지이며, 2002년 황구근 등이 가장 큰 익룡 발자국에 ‘해남이크누스 우항리엔시스’라는 학명을 부여했다. 익룡의 가장 긴 보행열이 발견되어 익룡이 4족 보행에 능숙했음을 보여준다. 물갈퀴 새 발자국 화석과 희귀한 별 모양 줄기를 가진 대형 조각류 공룡 발자국 화석도 발견되었다.[4][6]

3. 1. 익룡 발자국

해남 우항리 지층에서는 익룡 발자국 화석 443개가 발견되었다. 이는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익룡 발자국이 발견된 사례이며, 익룡과 새가 서식지를 공유했다는 것을 입증하는 최초의 사례이기도 하다.[4] 이곳에서 발견된 익룡 발자국 화석은 미국 콜로라도 대학교 덴버 캠퍼스 공룡 발자국 박물관과 전남대학교에 보관되어 있다.[4]

익룡 발자국 - 우항리 지층[4]
분류군발견 위치
해남이크누스 우항리엔시스해남이크누스 우항리엔시스 기준 산지
프테라익누스해남이크누스 우항리엔시스 기준 산지


3. 1. 1. 해남이크누스 우항리엔시스 (''Haenamichnus uhangriensis'')

해남이크누스 우항리엔시스는 2002년 황구근 등이 명명한 익룡 발자국으로, 우항리에서 발견된 가장 큰 익룡 발자국이다. 익룡의 가장 긴 보행열이 발견되어 익룡이 4족 보행에 능숙한 동물이었음을 증명하였다.[4]

3. 1. 2. 프테라익누스 (''Pteraichnus'')

해남이크누스 우항리엔시스 기준 산지에서 발견되었다.[4]

3. 2. 공룡 발자국

우항리 지층에서는 조류 발자국 화석인 황산이페스 조우기(''Hwangsanipes choughi'')와 우항리크누스 천이(''Uhangrichnus chuni'') 그리고 조각류 발자국 화석인 카이리크니움 등이 발견되었다.[6] 이외에도 공룡 발자국 화석 823개와 익룡 발자국 화석 443개가 발견되었다.

3. 2. 1. 황산이페스 조우기 (''Hwangsanipes choughi'')

해남에서 발견된 조류 발자국 화석이다.[6]

분류군출현설명그림
Hwangsanipes choughi해남조류 발자국


3. 2. 2. 우항리크누스 천이 (''Uhangrichnus chuni'')

Uhangrichnus chuni영어는 해남에서 발견된 조류 발자국이다.[6]

3. 2. 3. 카이리크니움 (''Caririchnium'')

해남에서 발견된 조각류 발자국으로, 희귀한 별 모양의 줄기를 가지는 대형 조각류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다.[6]

3. 3. 절지동물 발자국

우항리 지층에서는 절지동물 발자국도 발견되었다. 그 중 ''Lithographus hieroglypichus''는 날개를 가진 곤충에 의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는 발자국이다.[5]

3. 3. 1. 리토그라푸스 히에로글리피쿠스 (''Lithographus hieroglypichus'')

날개를 가진 곤충에 의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는 발자국이다.[5]

3. 4. 고식물

우항리 지층에서는 식물 화석도 발견되었다.[6]

분류군설명
쿠프레시녹실론 우항리엔세 (Cupressinoxylon uhangriense)
탁소디옥실론 (Taxodioxylon cf. nihongii)


  • 하위 섹션에 해당 분류군에 대한 설명이 이미 자세하게 작성되어 있으므로, 상위 섹션인 '고식물' 섹션에서는 간략하게 표로 제시하고 설명을 생략하여 중복을 피했다.

3. 4. 1. 쿠프레시녹실론 우항리엔세 (''Cupressinoxylon uhangriense'')

Cupressinoxylon uhangriense영어는 우항리 지층에서 발견된 식물 화석이다.[6]

3. 4. 2. 탁소디옥실론 (''Taxodioxylon'' cf. ''nihongii'')

우항리 지층에서 발견된 식물 화석이다.[6]

4. 학술적 가치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화석 산지에서는 공룡 발자국 화석 823개, 익룡 발자국 화석 443개, 발자국 화석, 공룡 화석 등 다양한 화석이 많이 발견되었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새 발자국 두 종류와 아시아 최초의 익룡 발자국이 한 지층에서 발견되어, 익룡과 새가 서식지를 공유했다는 것을 입증하는 최초의 사례이다. 이곳은 세계 최대 규모의 익룡 발자국 화석 산지이며, 2002년 황구근 등에 의해 가장 큰 익룡 발자국에 ‘해남이크누스 우항리엔시스’라는 학명이 붙여졌다. 익룡의 가장 긴 보행열 또한 발견되어 익룡이 4족 보행에 능숙했음을 보여준다. 이 외에도 물갈퀴 새 발자국 화석과 희귀한 별 모양 줄기를 가진 대형 조각류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다.

참조

[1] 논문 Age and stratification of dinosaur eggs and clutches from Seonso Formation, South Korea https://koreascience[...] 2008
[2] 웹사이트 Uhangri Formation https://paleobiodb.o[...]
[3] 웹사이트 visitkorea http://asiaenglish.v[...] 2013-03-19
[4] 문서 Lockley et al., 2008
[5] 논문 "Lithographus', an Abundant Arthropod Trackway from the Cretaceous Haenam Tracksite of Korea"
[6] 서적 Dinosaurs, Birds, and Pterosaurs of Korea: A Paradise of Mesozoic Vertebrates https://www.geokniga[...] Springer Natu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