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명 (백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명은 백제 16관등 중 한솔을 지냈으며, 동성왕 시기 백가의 반란을 진압한 인물이다. 501년 동성왕은 백가에게 가림성을 지키도록 명했으나 백가는 이를 거부하고 동성왕을 암살했다. 이후 백가는 가림성을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켰고, 무령왕은 해명에게 백가를 토벌하도록 했다. 해명은 백가를 토벌하고 백가의 시신을 백강에 버렸다. 해씨는 부여족 출신으로 백제 건국 초기부터 중앙 정계에서 활약했으며, 해명의 활약은 백제 국정 참여 세력 확대를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제의 한솔 - 귀실복신
    귀실복신은 백제 왕족 출신으로 백제 멸망 후 도침과 함께 부흥운동을 일으키고 부여풍을 옹립하려 일본의 지원을 요청했으나, 내부 권력 다툼으로 살해당했으며 한국에서는 역적으로, 일본에서는 지략가로 평가받는다.
  • 해씨 (백제) - 해구 (백제)
    해구는 백제 문주왕을 시해하고 삼근왕을 옹립하여 국정을 장악했으나,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당한 인물이다.
  • 해씨 (백제) - 해충 (백제)
    아신왕 사후 전지왕 옹립에 기여한 해충은 해씨 가문 출신으로, 전지왕 즉위 후 달솔에 임명되어 조세를 하사받는 등 백제 초기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 무령왕 - 서동요
    서동요는 백제 무왕의 아명인 서동이 신라 선화공주를 얻기 위해 노래를 지어 퍼뜨린 설화로, 미륵사 창건, 익산 천도 등과 연결되어 다양한 해석과 논란을 낳고 있다.
  • 무령왕 - 동성왕
    동성왕은 백제 제22대 왕으로 왕권 강화, 활발한 외교, 탐라 정벌 등 국력 신장에 기여했으나 말년의 폭정으로 암살당했으며, 무령왕과의 관계는 기록이 엇갈려 논쟁거리가 된다.
해명 (백제)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해명
원어 이름해명 (解明)
작위
작위백제의 한솔
재위미상
재임미상
전임자미상
공동 재위자미상
후임자미상
군주백제 무령왕
섭정미상
개인 정보
국적백제
성별남성
출생일미상
출생지미상
사망일미상
사망지미상
매장지미상
능묘미상
가문
왕조백제
가문해씨
아버지미상
어머니미상
배우자미상
형제자매미상
자녀미상
친인척미상
종교미상
군사 정보
복무미상
복무 기간미상
소속미상
근무미상
근무 기간미상
최종 계급미상
충성미상
주군미상
지휘미상
참전미상

2. 생애

해명은 백제의 16관등 중 5등급인 한솔(扞率)을 지냈다. 501년 무령왕은 해명에게 백가의 난을 토벌하도록 명했다. 백가는 항복했지만, 참수형에 처해졌고, 시체는 백강에 버려졌다.[1]

2. 1. 동성왕 암살

501년(동성왕 23) 8월, 동성왕백가에게 새로 지은 가림성(지금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산성)을 지키라는 왕명을 내렸으나, 백가는 부임하기를 원하지 않아 병을 핑계로 부임하지 않으려 하였다.

그러나 동성왕은 이를 허락하지 않고 강제로 백가를 가림성에 부임시켰고, 백가는 이를 계기로 동성왕에게 앙심을 품었다. 마침내 같은 해 11월, 사냥을 막 끝낸 후였던 동성왕을 자객을 시켜 칼로 찌르게 했고, 동성왕은 결국 12월에 사망했다.[1]

2. 2. 백가의 난과 최후

501년(동성왕 23) 8월, 동성왕백가에게 새로 지은 가림성(加林城, 지금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산성)을 지키라는 명을 내렸으나, 백가는 부임하기를 원하지 않아 병을 핑계로 거절하였다.

그러나 동성왕은 이를 허락하지 않고 강제로 백가를 가림성에 부임시켰다. 백가는 이에 앙심을 품고, 같은 해 11월 사냥을 마친 동성왕을 자객을 시켜 칼로 찌르게 했고, 동성왕은 결국 12월에 사망했다.[1]

이후 백가는 가림성을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켰으나, 새로 즉위한 무령왕이 군대를 이끌고 우두성(牛頭城, 지금의 충청남도 청양군)에 이르러 해명에게 토벌을 명하자, 백가는 저항하지 않고 항복하였다. 그러나 백가는 죽임을 당했고, 그의 시체는 백강(白江)에 던져졌다.[1]

3. 출신 배경

시조 온조왕의 부친은 주몽이라고 하는데, 북부여에서 난을 피해 졸본부여에 도착했다. 부여왕은 주몽을 비범하게 여겨 둘째 딸을 아내로 삼게 했다. 얼마 후 부여왕이 죽자 주몽이 왕위를 이었고, 두 아들을 낳았는데, 큰아들이 비류, 작은아들이 온조였다. 주몽이 북부여에 있을 때 낳은 아들이 찾아와 태자가 되자, 비류와 온조는 오간, 마려 등 열 명의 가신과 함께 남쪽으로 도망쳤다. 한산에서 부아악에 올라 살 곳을 찾았는데, 비류는 미추홀에, 온조는 위례성에 도읍을 정했다.[2]

3. 1. 백제 건국 세력과 해씨

대성팔족 중 하나인 해씨는 부여족 출신이다.[2] 해씨는 백제 건국 초기부터 중앙 정계에서 크게 활약했지만, 백제의 건국자인 온조와는 다른 세력이었기 때문에, 해씨의 국정 참여는 백제 국정에 참여하는 세력이 확대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2]

비류온조는 "십제"와 "미추홀"의 건국자로 기록되었으며, 개인적인 정치 세력이 아닌 일정한 집단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들은 열 명의 가신과 많은 사람들을 거느리고 졸본부여를 떠나 이민 후에 소국을 건국하였다.[3] "십제"의 건국지였던 한강 유역에는 비류온조 집단 외에도 북방에서 온 이민 집단이 있었다.[3]

삼국사기》 온조왕 41년조에 따르면, 오부의 북부에 속하는 해루를 "우보"로 삼았는데, 해루는 본래 부여인이었다. 이를 통해 "십제"의 북쪽에 부여로부터 이주해 온 자들이 정착했으며, 이들이 "십제"에 통합되어 "백제"로 성장했음을 알 수 있다.[3]

4. 역사적 의의

(내용 없음)

참조

[1] 뉴스 백가가 가림성에서 반란을 일으키다 https://db.history.g[...] 국사편찬위원회 2022-10-08
[2] 뉴스 41년 1월 북부의 해루를 우보에 임명하다(0023년 01월 (음))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2022-11-22
[3] 서적 백제 初期國家로서 十濟의 形成 국사편찬위원회 1996-07
[4] 문서 삼국사기 백제본기 무령왕조
[5] 뉴스 백가가 가림성에서 반란을 일으키다 https://db.history.g[...] 국사편찬위원회 2022-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