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는 성소수자의 인권 신장과 사회 연대를 목표로 활동하는 단체이다. 1997년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으로 시작하여, 1998년 동성애자인권연대로 이름을 변경했고, 201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활동으로는 성소수자 상담 및 권리 구제, HIV/AIDS 감염인 인권 보호, 성소수자 노동권 보호, 청소년 동성애자 보호, 성소수자 부모 모임 지원 등이 있다. 국정교과서 내용 수정 요구, 홍석천 커밍아웃 지지, 청소년보호법상 동성애 차별 조항 반대 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으며, 노동 운동에도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우당 (활동가) - 장병권
장병권은 동성애자인권연대 사무국장으로서 병영 내 성 소수자 차별 철폐 운동, 성전환자 호적 변경 과정에서의 인권 문제, 성 소수자 차별금지법 제정 운동 등 다양한 성 소수자 인권 옹호 활동을 펼치며 사회적 인식 개선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성 소수자 인권 운동가이다. - 육우당 (활동가) - 정욜
정욜은 동성애자인권연대 대표를 역임하며 청소년 성소수자, HIV/AIDS 감염인 인권 문제 해결과 청소년보호법의 동성애 금칙어 지정 철폐 운동 등 다양한 사회 운동에 참여한 대한민국의 성 소수자 인권 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단체 -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는 1998년 성소수자 잡지 BUDDY 창간을 계기로 설립되어 성적지향과 성별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의 활동 공간을 목표로 교육, 연구, 인권 옹호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단체 - 제주퀴어문화축제
제주퀴어문화축제는 제주도에서 열리는 성소수자 인권 축제로, 2017년 첫 개최 이후 혐오 세력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법원의 결정으로 신산공원에서 열렸으며, 부스 행사, 공연, 자긍심 행진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2018년 2회 축제에는 약 2,000명이 참여했다. - 1998년 설립된 단체 - 경제사회노동위원회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노동자, 사용자, 정부, 공익 대표가 노동 및 경제·사회 정책을 협의하고 대통령에게 자문하는 사회적 대화 기구로서, 노사정위원회에서 확대 개편되었으며, 사회적 합의를 통해 노동시장 구조개선 등에 기여했다. - 1998년 설립된 단체 - 한국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대학은 국민 평생 직업능력 개발법에 따라 설립된 직업 교육 훈련 기관으로, 기능사 양성을 목표로 취업 희망자, 미취업자, 실직자 등을 교육하며, 국가 기간 산업 및 신산업 분야의 기술 인력 양성에도 힘쓴다.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Haengdonghaneun Seongsosuja In-gwonyeondae |
한글 표기 | 행동하는 성소수자 인권연대 |
한자 표기 | 行動하는 姓少數者 人權連帶 |
약칭 | 행성인, SLRK |
결성 | 1997년 9월 9일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 |
공식 웹사이트 | 행동하는 성소수자 인권연대 |
설립 위치 | 서울, 한국 |
대표 | 곽이경 |
이전 명칭 | |
이전 명칭 | 대학생동성애자인권연합 (1997년) |
이전 명칭 | 동성애자 인권연대 (1998년) |
조직 정보 | |
유형 | NGO, 성소수자 인권단체, 시민단체 |
모기관 | 대학동성애자인권연합 |
제휴 기관 | 무지개행동 |
운영위원장 | 남웅 |
2. 주요 활동
행성인은 게이, 레즈비언,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인터섹슈얼 등 다양한 성소수자들이 모여 함께 활동하며, 성소수자 인권을 지지하는 이성애자들도 동등한 위치에서 참여한다.[4] 2003년에는 대한민국군 이라크 파병 및 아프간 파병 반대 운동에 동참하였다.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4]
- HIV/AIDS 감염인 인권 및 권익 보호 운동: HIV/AIDS 감염인과 에이즈로 인해 억압받는 취약 그룹 간의 연대를 통해, 감염인의 인권 보장이 진정한 에이즈 예방임을 알리는 활동이다.
- 성소수자 노동권 보호 운동: 다양성을 존중하고 성소수자를 지지하는 평등한 일터를 지향하며, 노동운동과의 연대, 성소수자 노동자 모임 지원, 관련 조사 및 연구를 진행한다.
- 청소년 동성애자 보호 및 상담 활동
- 성소수자 자녀를 둔 부모 모임 지원, 자료집 발간
2. 1. 성소수자 인권 신장
1999년 7월 동성애를 비하하는 내용이 담긴 국정교과서(윤리, 교련, 성과 행복 외 1권)의 수정을 요청하는 신청서를 제출하고 기자회견을 열었다.[1] 2000년 10월에는 홍석천의 커밍아웃을 지지하는 모임에서 활동했다.[2] 2001년에는 인터넷 내용 등급제 반대 운동에 참여했다.[3]2003년에는 청소년보호법 상의 동성애 차별 조항에 반대하는 운동을 주도했다.[4] 그 결과, 2003년 4월 29일 '동성애' 단어가 음란물 지정에서 철폐되었다. 이전까지 '동성애'는 음란물로 지정되어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 주요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 시 성인 인증을 거쳐야 했다. 2004년 4월 20일, 지속적인 유해매체 해제 운동을 통해 청소년보호위원회는 동성애 관련 매체를 청소년 유해매체에서 삭제했다.
2. 2. 사회 연대 활동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는 성소수자 억압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 억압과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 여성, 장애인, 이주노동자, HIV/AIDS 감염인 등 모든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에 반대하며 노동자들의 권리 찾기 운동을 지지한다.[4] 이러한 연대 정신에 따라 반전운동, 한미FTA반대운동, 2008년 촛불운동 등 여러 사회운동에 동참했다.연도 | 내용 |
---|---|
1997년 11월 1일 | 노동법안기부법 개악에 반대하는 동성애자연대투쟁위원회 활동에 참여.[4] |
1998년 2월 9일 | 민주노총 임시총회에 참여하여 노사정 합의안 부결을 위한 전단 "노동자와 동성애자의 총연대를 위하여"를 배포. |
1998년 2월 14일 | 전국연합과 한총련 집회연대투쟁에 참여하여 "양심수 석방과 정리해고 반대"를 주제로 탑골공원 집회에 참석. |
1998년 5월 1일 | 서울 탑골공원에서 열린 민주노총 주최 노동절 집회에 참가하여 전단지를 배포. |
1998년 5월 8일 | 인권운동사랑방 등과 연대하여 한양대학교 강당에서 동성애 비정상인가! 토론회를 공동 주최. |
1998년 | 왜곡된 언론보도와 에이즈정책에 대항하는 범동성애자 비상대책위원회 활동 |
1999년 4월 7일 | 정부의 인권법 날치기 당정협의에 반대하는 18개 단체 인권활동가 단식 농성에 참여. |
3. 연혁
4. 역대 지도부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는 1997년 9월 13일에 창립된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인권 단체이다. 역대 지도부로는 운영위원장과 사무국장이 있다.
4. 1. 운영위원장
4. 2. 사무국장
참조
[1]
웹사이트
about DONGINRYUN
http://lgbtpride.or.[...]
2019-06-06
[2]
웹사이트
청소년동성애자 故육우당 10주기 동인련, 김한길 발언은 "무지의 소산"
http://www.redian.or[...]
2023-03-28
[3]
웹사이트
South Korean Group Creates a Literary Award
https://glreview.org[...]
2014-09-01
[4]
뉴스
차이가 차별이 되지 않는 평등한 세상을 위해
http://www.snujn.com[...]
서울대저널 제68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