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무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무승은 17세기 일본에서 시작된, 샤쿠하치를 연주하며 탁발하는 승려의 일종이다. 당나라의 보화를 조상으로 하는 보화종에서 유래되었으며, 삭발하지 않고 깊은 삿갓을 쓰고 다녔다. 에도 시대에는 도쿠가와 막부의 통제를 받았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쇠퇴했지만, 현재도 일부 사찰과 단체에서 그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허무승은 삿갓을 쓰고 샤쿠하치를 연주하는 모습으로 일본 대중문화에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허무승 | |
---|---|
개요 | |
![]() | |
종파 | 후케 종 |
특징 | 샤쿠하치 연주 덴가이 착용 |
관련 인물 | 푸화/후케 교치쿠 젠지/키치쿠 잇큐 가쿠신 킨코 구로사와 장백 창포/초하쿠 |
상세 정보 | |
다른 이름 | 허무승 (虛無僧) |
정의 | 샤쿠하치를 연주하는 방랑하는 탁발승 |
기원 | 엔닌 |
철학 | 선 |
종교 | 린자이 종 |
역사적 맥락 | 에도 시대 |
역할 | 탁발 연주 (스이젠) |
복장 | 덴가이 (바구니 모자) 검은 옷 |
악기 | 샤쿠하치 |
관련된 장소 | 레이호지 이치게츠지 잇초켄 고코쿠지 도후쿠지 묘안지 젠케이인 고쿠타이지 슈쿠가와라 고쿠조도 |
관련된 항목 | 불교 음악 혼교쿠 로닌 도쿠가와 막부 스이젠 전통 일본 음악 |
관련된 문학 작품 | |
문학 작품 | 보로노테초 교타쿠 덴키 [고쿠지 카이] |
관련 음반 | |
음반 | https://www.amazon.com/dp/B000000GHX |
2. 어원
허무승(虛無僧)이라는 명칭은 처음에는 '코모소'(薦僧, 짚자리 승려)로 불렸다.[18] 17세기 중반 무렵부터 '코무소'(虛無僧|Komusō일본어, 로마자 표기로는 'komusou' 또는 'komuso')로 표기되었는데, 이는 "무(無)의 승려" 또는 "공(空)의 승려"를 의미한다. 처음 두 글자 虚無|kyomu일본어(또는 'komu')는 "무(無), 공(空)"을 의미하며, 여기서 虚|kyo일본어(또는 'ko')는 "무, 텅 빈, 거짓"을 의미하고, 無|mu일본어는 "무, ~없는"을 의미한다. 마지막 글자 僧|sō일본어는 "승려, 수도승"을 의미한다.
보화종은 당나라의 보화를 조상으로 하며, 일본에는 임제종의 승려 심지각심이 남송으로 건너가 보화의 법계 '''장참'''에게 대나무 피리 불기의 오묘함을 전수받았다. 장참의 제자 "보복" 등 4명의 거사와 함께 1254년(겐초 6년)에 귀국하여 기이국 유라의 흥국사에 보화암을 설치하여 살게 한 데서 시작되었다. 옛날에는 "코모소(삿갓승)"라고 불렸는데, 이는 삿갓을 허리에 두른 데서 유래했다.[18]
普化宗|Fuke sect일본어라는 명칭은 중국 선불교의 임제록에 언급된 기인(奇人) 선승(禪僧) 푸화(중국어: 普化, 영어: Puhua)와 '슈'(宗, school, sect)에서 유래되었는데, '슈'는 학교 또는 종파를 의미한다. 보화종은 당나라의 보화를 조상으로 하며, 일본에는 임제종의 승려 심지각심이 남송으로 건너가 보화 법계의 '''장참'''에게 대나무 피리 불기의 오묘함을 받아 장참의 제자 "보복" 등 4명의 거사를 데리고 겐초 6년(1254년)에 귀국하여 기이국 흥국사에 보화암을 설치하여 살게 한 데서 시작되었다.[18]
3. 역사
허무승은 "승려"라고 칭하면서도 삭발하지 않는 반승반속의 존재로, 샤쿠하치를 불며 희사를 청하고 여러 나라를 행각수행하는, 머리카락이 있는 승려[18]로 여겨졌다. 이들은 대부분 소매에 가사를 걸치고, 깊은 삿갓을 쓰고 칼을 차고 다녔다.[18]
1614년 (게이초 19년)에 성립되었다는 『게이초 정서』(케이초조쇼)에는 "무사 수행의 종문으로 간주하여 전국을 자유롭게 왕래하는 것이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허락되었다"라는 기술이 있지만, 원본은 도쿠가와 막부나 보화종 본산 등에 존재하지 않아 위서라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죄를 범한 무사가 보화종의 승려가 되면 형벌을 면하고 보호받았기 때문에, 에도 시대 중기 이후에는 유탕무뢰한 자들이 허무승 모습으로 횡행하게 되었고, 막부는 허무승을 규제하게 되었다.
1871년(메이지 4년), 메이지 정부는 막부와의 관계가 깊은 보화종을 폐지하는 태정관포고를 발표했고, 허무승은 승려의 자격을 잃고 민적으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1888년(메이지 21년)에 교토 도후쿠지의 탑두 중 하나인 선혜원을 묘암사로 하여 명암교회가 설립되어 허무승 행각이 부활했다.
자택에 방문한 허무승에게 희사를 거절할 때에는 "손 안의 것은 필요 없다"라고 말하고 거절한다.[19]
3. 1. 기원 (14-16세기)
허무승의 전신은 14세기경 '보로(ぼろ)', '보로보로(ぼろぼろ)' 또는 '보론지(ぼろんじ)'라고 불리던, 깎지 않은 머리의 거지 승려들이었다.[18] 15세기 말, 이들은 '코모소(薦僧, 짚자리 승려)'로 불리며 샤쿠하치를 연주하기 시작했고,[18] 16세기부터는 '허무승(虛無僧)'虛無僧|Komusō일본어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8]
3. 2. 에도 시대 (17-19세기)
에도 시대에 허무승은 단순한 거지 승려가 아닌, 조직적인 집단으로 변화했다. 초기에는 가난한 사람들이 주를 이루었지만, 15~16세기 내전 이후 주인을 잃은 낭인(浪人|로닌일본어)들이 대거 허무승에 합류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1] 17세기 전반, 여러 차례 낭인 관련 봉기가 일어나자 도쿠가와 막부는 이들을 통제하기 위해 허무승을 종파로 인정하고, 구성원을 사무라이(武士)의 후손으로 제한했다.[1]
막부는 허무승에게 전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특권을 부여했는데, 이는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7][2] 이들은 이러한 특권의 대가로 막부의 첩자 역할을 수행하며 지방의 상황을 중앙 정부에 보고했다.[7][2] 그러나 일부 허무승은 이러한 특권을 악용하여 범죄를 저지르거나 횡포를 부리기도 했다.
18세기에는 쿠로사와 킨코(黒沢琴古)가 등장하여 각지의 허무승 사찰을 여행하며 지역 샤쿠하치 곡(本曲|혼쿄쿠일본어)들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킨코류(琴古流)를 창시했다.[5]
19세기에는 히사마츠 후요(久松風陽)가 샤쿠하치 연주를 '취선(吹禪)'으로 정의하고, '일음성불(一音成佛, 한 소리로 깨달음을 얻다)' 등의 개념을 제시하며 샤쿠하치 연주의 정신적 측면을 강조했다.[6]
허무승의 복장은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규정되었는데, 탁발 시에는 남색 또는 쥐색 무늬 없는 옷을 입고, 남대를 앞으로 매고, 허리에 예비 샤쿠하치를 착용했다. 목에는 자루를, 등에는 가사를 걸치고, 머리에는 "천개"라고 불리는 깊은 삿갓을 썼으며, 5겹의 짚신을 신고, 손에는 샤쿠하치를 들었다.
3. 3. 메이지 유신 이후 (19세기 말-현재)
1871년(메이지 4년), 메이지 정부는 보화종을 폐지하고 허무승을 승려 신분에서 제외시켰다.[18] 메이지 정부는 샤쿠하치 연주를 4년 동안 완전히 금지했다가, 이후 세속적인 연주를 허용하고 샤쿠하치를 세속적인 악기로 가르치도록 했다.[8]
1888년(메이지 21년), 교토 도후쿠지(東福寺)의 선혜원(禅慧院)을 묘암사(明暗寺)로 개칭하고 명암교회(明暗教会)를 설립하여 허무승 행각이 부활했다.[18] 현재는 묘안교회를 비롯한 일부 사찰과 단체에서 허무승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5][10] 현대에는 영적인 목적이나 배움을 위해 일시적으로 허무승 생활을 하는 개인들도 있다.
4. 특징
허무승(虚無僧|こむそう일본어)은 일본 에도 시대에 샤쿠하치를 불며 탁발하던 보화종 승려들을 말한다. 이들은 머리에 '天蓋|텐가이일본어'라는 깊은 삿갓을 쓰고 다녔는데, 이는 자아를 없애고 신분을 숨기기 위한 것이었다.[16]
허무승은 원래 느슨한 관계의 승려와 평신도 순례자들의 모임이었으나, 1600년대에 조직적인 단체로 굳어졌다.[1] 15세기~16세기 내전 이후 주인을 잃은 사무라이(로닌)들이 허무승에 합류하면서, 이 종파는 문제아들을 숨기는 곳이라는 평판을 얻기도 했다.[1]
도쿠가와 막부는 로닌과 허무승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고,[1] 허무승은 이에 대응하여 종파를 형성했다.[1] 허무승에게 특권을 부여하는 가장 오래된 문서로 알려진 것은 '게이초 정서(慶長掟書)'인데, 이는 위조된 문서로 추정되지만, 막부는 이를 받아들여 로닌에게 피난처를 제공하고 그들을 통제했다.[1]
에도 시대에는 일본 전역의 여행이 엄격하게 제한되었지만, 허무승은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드문 예외를 인정받았다.[7][2] 이는 정치적인 이유 때문으로 추정되며, 허무승은 지방의 상황을 중앙 정부에 보고하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7][2]
허무승은 쇼군에 의해 샤쿠하치를 연주할 수 있는 독점적인 권한을 부여받았다.[3] 그러나 17세기 초에는 120개 이상의 허무승 관련 "사찰 숙소"가 있었지만, 구성원이 엄격하게 사무라이로 제한되면서 그 수는 감소했다.[1]
허무승은 "승려"라고 칭했지만 삭발하지 않는 반승반속의 존재였다.[18] 이들은 샤쿠하치를 불며 희사를 청하며 여러 나라를 행각수행했다.[18]
메이지 4년(1871년), 메이지 정부는 막부와의 관계가 깊은 보화종을 폐지하는 태정관포고를 발표했고, 허무승은 승려의 자격을 잃었다.[18] 그러나 메이지 21년(1888년)에 교토 도후쿠지의 탑두 중 하나인 선혜원을 묘암사로 하여 명암교회가 설립되면서 허무승 행각이 부활했다.[18]
4. 1. 복장
허무승은 머리 전체를 덮는 깊은 삿갓인 天蓋|천개일본어를 쓰는 것이 특징인데,[16] 이는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자아를 없앤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16][17] 허무승은 탁발 시 남색 또는 쥐색의 무늬 없는 옷을 입고, 남대를 앞으로 매고, 허리에 자루에 넣은 예비 샤쿠하치를 착용한다.[18] 목에는 자루를, 등에는 가사를 걸치고, 머리에는 천개를 쓴다.[18] 발에는 5겹의 짚신을 신고, 손에는 샤쿠하치를 든다.[18]여행 시에는 남색 면 옷, 각반, 갑걸이, 짚신을 신었다. 시대극에서 자주 사용되는 '명암(明暗)'이라고 쓰인 게바코는 메이지 시대 말부터 나타난 것으로, 허무승의 모습을 흉내 낸 문부 예인이 사용한 것이다.[18] 실제 에도 시대에는 황실의 뒷문장인 원에 오삼의 동 문양이 게바코에 들어가 있었으며, '명암' 등으로는 쓰여 있지 않았다.[18]
4. 2. 샤쿠하치와 취선(吹禪)
허무승은 샤쿠하치(尺八)라는 대나무 피리를 불며 탁발 수행을 했다. 샤쿠하치는 길이가 1척 8촌(약 54.5cm)인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허무승에게 샤쿠하치 연주는 단순한 악기 연주가 아니라, '취선(吹禪)'(吹禪|스이젠일본어)이라고 불리는 수행의 일종이었다. 이는 샤쿠하치 소리를 통해 깨달음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6] 허무승이 연주하는 샤쿠하치 곡을 本曲|혼쿄쿠일본어("원곡")라고 하며, 킨코류(琴古流)를 비롯한 여러 유파에서 다양한 혼쿄쿠가 전승되고 있다.本曲|혼쿄쿠일본어("원곡")는 선불교의 후케 종의 유산을 기반으로 하는 샤쿠하치의 독주곡 레퍼토리를 포함한다. 다음은 킨코류 샤쿠하치 혼쿄쿠 레퍼토리, 즉 킨코 학파에서 연주하는 곡들이다.
최소한 세 개의 곡이 나중에 킨코 류 레퍼토리에 추가되었다.
5. 대중문화 속 허무승
허무승은 일본 시대극에서 암살자, 첩자, 또는 신분을 숨긴 무사 등으로 자주 등장한다. 삿갓으로 얼굴을 가리고 샤쿠하치를 불며 다가와 기습하는 장면이 대표적이다.
참조
[1]
서적
The Changing World Religion Map: Sacred Places, Identities, Practices and Polit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02-03
[2]
서적
Warriors of Medieval Japan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3]
서적
Death and Social Order in Tokugawa Japan: Buddhism, Anti-Christianity, and the Danka System
https://www.jstor.or[...]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07
[4]
웹사이트
Fuke Shakuhachi Official Site
https://web.archive.[...]
[5]
간행물
Japan. SII, 5(ii): Emergence of the Modern Shakuhachi In The New Grove Encyclopedia of Music and Musicians, edited by Stanley Sadie and John Tyrrell
Macmillan
2001
[6]
간행물
'The Annals of the International Shakuhachi Society'
[7]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Shakuhachi Society
https://www.komuso.c[...]
2023-12-27
[8]
웹사이트
Komuso and Shakuhachi-Zen From Historical Legitimation to Spiritualisation of a Buddhist Denomination in the Edo Period
https://www.academia[...]
[9]
웹사이트
Japanese music - Koto, Traditional, Folk
https://www.britanni[...]
2023-12-27
[10]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Shakuhachi Society
https://www.komuso.c[...]
2023-12-27
[11]
웹사이트
The Shakuhachi of the Komuso: A Tradition Alive and Well in Hakata
http://www.fukuoka-n[...]
2023-12-27
[12]
웹사이트
Ichi-on Jobutsu
http://www.stanricha[...]
[13]
간행물
'The Annals of the International Shakuhachi Society'
[14]
간행물
'The Annals of the International Shakuhachi Society'
[15]
간행물
'The Annals of the International Shakuhachi Society'
[16]
서적
Edo Culture: Daily Life and Diversions in Urban Japan, 1600-186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7]
웹사이트
"Komuso: Japanese Zen Priest", 2008 article by David Michael Weber
http://english.ohmyn[...]
2014-04-26
[18]
문서
『国語大辞典』(新装版)小学館、1988年
[19]
서적
糸魚川市史 - 昭和編〈デジタル版〉
http://www.city.itoi[...]
糸魚川市
2004-10-01
[20]
문서
『国語大辞典』(新装版) 小学館、1988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