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르베르투스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베르투스 1세는 9세기 프랑크 왕국의 귀족으로, 베르망두아 백작 피핀 2세의 아들이자 카롤링거 왕조의 후손이다. 그는 수아송 백작, 모 백작, 마드리에 백작 등을 역임하며 여러 영지를 다스렸고, 바이킹의 침략에 맞서 싸웠다. 또한, 서프랑크 왕국 내 권력 투쟁에서 샤를 3세를 지지하며 왕위 계승에 관여했다. 그는 896년 플랑드르 백작 라울을 공격하여 제거했으나, 이로 인해 907년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2세에게 암살당했다. 그의 딸들은 로베르 가문, 콘라딘 가문 등과 혼인하며 가문의 세력을 확장했고, 아들 헤르베르투스 2세가 그의 지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아송 백작 - 프랑수아 드 방돔 백작
    프랑수아 드 방돔 백작은 카페 왕조의 일원으로, 방돔 백작위를 계승하여 마리 드 룩셈부르크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으며, 25세에 사망하고 장남 샤를 4세가 백작위를 물려받았다.
  • 수아송 백작 - 루이 1세 도를레앙 공작
    루이 1세 도를레앙 공작은 프랑스 왕 샤를 5세의 아들이자 샤를 6세의 동생으로, 섭정권 다툼과 불륜, 암살 등으로 아르마냐크-부르고뉴 내전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루이 12세와 프랑수아 1세의 조상이다.
  • 907년 사망 - 보리스 1세
    보리스 1세는 9세기에 불가리아를 기독교 국가로 만들고 슬라브 문화를 발전시킨 군주이며, 불가리아 정교회의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907년 사망 - 아르파드
    아르파드는 9세기 말 마자르족을 이끌고 카르파티아 분지로 이동하여 정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마자르족 연합체의 첫 번째 수장으로, 도나우강 중류 지역으로 이주 및 세력 확장, 그리고 헝가리의 민족적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전사 - 골리앗
    골리앗은 블레셋 출신의 거인으로, 다윗과의 대결로 유명하며, 이스라엘 군에게 일대일 대결을 제안했으나 다윗에게 죽임을 당한다.
  • 전사 - 용기병
    용기병은 말을 타고 이동하여 전투 시 하마하여 싸우는 화기 장비 기마병으로, 16세기부터 유럽에서 운용되어 시대 변화에 따라 기병화되었으며, 현재도 여러 나라에 그 명맥을 잇는 부대가 존재한다.
헤르베르투스 1세
기본 정보
에르베르 1세
에르베르 1세
작위
작위명수아송 백작
계승 순서자리 생성
이전자리 생성
이후에르베르 2세
작위명베르망두아 백작
이전피핀
이후에르베르 2세
생애
출생일848년/850년 경
사망일907년
통치
수아송 백작 통치 시작889년
수아송 백작 통치 종료907년
베르망두아 백작 통치 시작893년
베르망두아 백작 통치 종료907년
가문
왕조카롤링거 왕조
아버지피핀
자녀베아트리스
에르베르 2세
쿠네곤다

2. 생애

헤르베르투스 1세는 베르망두아 백작 피핀의 아들이며, 카롤루스 대제의 증손자이다. 그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부족하지만, 동시대 기록에 따르면 그는 카롤링거 왕조의 후손이라는 혈통적 이점을 누렸다고 전해진다.

889년 이전에 수아송 백작이 되었으며, 바이킹의 침입에 맞서 우아즈강 유역을 방어하는 역할을 맡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생캉탱과 페론 지역을 지배했으며, 솜강 상류 지역에서 활동했다. 896년에는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2세의 동생 라울을 생포하여 살해했는데, 이 사건이 907년 보두앵 2세에 의해 살해당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딸 베아트리스를 로베르 1세와, 아들 헤르베르투스 2세를 로베르 1세의 딸 아델과 결혼시키는 등 혼인을 통해 로베르 가문과 동맹을 강화했다. 또한 다른 딸 쿤디공데는 콘라딘 가문의 베테라우 백작 오도와 결혼했다.

2. 1. 출생과 가계

헤르베르투스 1세의 정확한 출생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848년생, 850년생, 840년생 등의 여러 설이 존재한다. 아버지는 페로네, 생 캉탱, 상 리스, 베르망두아의 백작이었던 피핀이다. 아버지 피핀은 카롤링거 왕조의 후손이었으나, 그의 아버지이자 헤르베르투스의 할아버지인 롬바르디아 왕 베른하르트는 카롤루스 대제의 손자이자 이탈리아 왕 피핀의 서자였다. 베른하르트는 818년 루트비히 경건왕의 상속령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하고 장님이 된 후 사망하여 왕위 계승권을 박탈당했다. 이로 인해 헤르베르투스의 가계는 카롤링거 왕조의 직계에서 벗어나 있었다.

헤르베르투스의 어머니 이름은 전해지지 않으나, 니벨룽기드 가문의 테오도리히 니벨룽기데스로 추정된다. 니벨룽기드 가문은 샤를마뉴의 종조부이자 카를 마르텔의 동생인 역사가 킬데브란트 1세 백작이 세운 가문이다. 결과적으로 헤르베르투스는 카롤루스 대제의 현손이었으며, 동시대 기록에 따르면 이러한 카롤링거 왕조 혈통의 이점을 누렸다고 한다.

헤르베르투스의 초기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그는 서프랑크의 왕 카를 2세의 봉신이었으며, 877년 카를 2세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888년에는 랭스 대주교 풀크와 함께 카롤링거 왕조 출신이 아닌 외드의 왕위 즉위를 반대하는 귀족들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으나, 889년 이후에는 외드 왕의 충실한 지지자로 활동하는 정치적 변화를 보였다. 889년 이전에 수아송 백작이 되었으며, 바이킹의 침입에 맞서 우아즈강 주변을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생캉탱과 페론 지역을 지배했으며, 솜강 상류 유역에서 활동했다. 896년에는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2세의 동생 라울을 생포하여 살해했는데, 이는 훗날 907년 보두앵 2세가 헤르베르투스를 살해하는 원인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헤르베르투스는 혼인을 통해 정치적 동맹을 강화했다. 딸 베아트리스를 로베르 가문의 수장이자 훗날 서프랑크의 왕이 되는 로베르와 결혼시켰다. 또한 아들 헤르베르투스 2세를 로베르 1세의 딸 아델과 결혼시켜 로베르 가문과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했다. 다른 딸 쿤디공데는 콘라딘 가문의 베테라우 백작 오도와 결혼했다.

2. 2. 초기 활동

헤르베르투스 1세는 베르망두아 백작 피핀의 아들이며, 카롤루스 대제의 아들인 이탈리아 왕 피핀의 증손자이다. 그의 어머니는 니벨룽기드 가문 출신으로 추정된다. 헤르베르투스의 생애 전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으나, 동시대 기록에 따르면 그는 카롤링거 왕조의 일원으로서 카롤루스 대제의 현손이라는 혈통적 이점을 누렸다고 한다.

877년 무렵, 그는 서프랑크 왕국의 대머리 카를 2세의 측근으로 활동했다. 같은 해 형 베른하르트로부터 베르망두아 백작령을 상속받았는데, 이 백작령은 그의 외가로 추정되는 니벨룽기드 가문으로부터 내려온 것으로 여겨진다. 886년부터 898년까지는 수아송백작이었으며, 889년 이전에는 수아송 백작령을 직접 신설하고 백작에 취임하기도 했다.

888년 혹은 889년에는 마드리에(madrie) 백작이 되었다. 또한 888년부터 뫼욱스(Meaux) 백작이자 마드리에 백작이었던 테오데베르트(Theodebert 또는 Tetbert)가 바이킹과의 전투 중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헤르베르투스는 뫼욱스 백작직과 마드리에 백작직도 겸하게 되었다.[1] 테오데베르트와의 정확한 혈연관계는 알 수 없지만, 외가 쪽 친척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뫼욱스 백작직은 본래 서프랑크의 왕 말더듬이 루이 2세가 가지고 있다가 877년 왕위에 오르면서 테오데베르트에게 넘겨준 자리였다.

893년에는 형 피핀의 뒤를 이어 상리스와 페로네, 생캉탱의 영주가 되어 생캉탱 및 페론 지역을 지배했다. 또한 888년부터 889년까지는 생 캉탱 평신도 수도원장과 수아송의 생 크레핀 수도원의 원장직을 겸임했으며, 896년에서 898년 사이에도 성 크레핀 평신도 수도원의 원장으로 재직하며 주요 후원자 역할을 했다.

어느 시점에는 니벨룽기드 가문으로부터 카스트룸 테오도리히(현 샤토 티에리) 지역도 상속받았다. 헤르베르투스 1세 또는 그의 후손들은 샹파뉴 시를 건설하고 샤토 티에리를 그 중심지로 삼았다.

889년 바이킹 족이 침략하자, 오이세 강(또는 우아즈강) 변에서 이들과 교전하며 영지를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890년 무렵에도 바이킹에 대항해 군사를 일으켰다.

정치적으로는 889년 무렵 외드의 추종자였으나, 이후 단순왕 샤를 3세 생쁠의 지지자가 되었다.[2] 893년 1월 28일, 랭스 대주교 풀크와 함께 샤를마뉴의 기일을 기해 샤를 3세를 서프랑크의 국왕으로 즉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 이후 샹파뉴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려 시도했다.

896년 6월 28일, 그는 국왕 단순왕 샤를의 동의 없이 플랑드르를 공격하여 플랑드르 백작보두앵 2세의 동생 라울을 사로잡아 살해했다.[3] 이 사건은 솜강 상류 유역에서의 그의 공격적인 행동의 예시이며, 훗날 907년 보두앵 2세가 헤르베르투스를 살해하는 원인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 시기 랭스의 풀크 대주교도 그와의 싸움에서 전사했다.

헤르베르투스는 로베르 가문의 로베르와 동맹을 맺기 위해, 딸 베아트리스를 로베르의 두 번째 부인으로 삼았다. 또한, 아들 헤르베르투스 2세와 로베르의 딸 아델을 결혼시켰다. 또 다른 딸 쿤디공데는 콘라딘 가문의 베테라우 백작 오도와 결혼했다.

2. 3. 바이킹과의 전쟁 및 서프랑크 왕위 계승 분쟁

헤르베르투스 1세는 889년 이전에 수아송백작이 되었으며, 바이킹의 침입에 맞서 우아즈강 주변 지역을 방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동시대 기록에 따르면, 헤르베르투스는 카롤링거 왕조의 일원으로서 카롤루스 대제의 현손이라는 이점을 누렸다고 한다. 889년 바이킹이 침략했을 때, 그는 오이세 강변에서 직접 바이킹과 교전하였고, 890년 무렵에도 바이킹의 위협에 맞서 군사를 일으켰다.

서프랑크 왕국의 왕위 계승 문제에서는 초기에 외드를 지지했으나(889년 무렵), 이후 카롤링거 왕조의 적통인 단순왕 샤를 3세 생쁠의 강력한 지지자로 돌아섰다.[2] 그는 893년 랭스 대주교 풀크와 협력하여, 말더듬이 루이 2세의 아들인 샤를 3세를 서프랑크의 국왕으로 추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샤를 3세의 즉위식은 그해 1월 28일, 샤를마뉴의 기일에 맞춰 거행되었다.[2]

그러나 헤르베르투스 1세의 공격적인 영토 확장 시도는 다른 귀족들과의 갈등을 유발하기도 했다. 그는 솜강 상류 유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896년 6월 28일에는 국왕 단순왕 샤를의 승인 없이 플랑드르를 공격하여 플랑드르 백작보두앵 2세의 동생인 라울을 사로잡아 살해하였다.[3] 이 사건은 훗날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2세와의 깊은 원한 관계를 만들었고, 결국 907년 보두앵 2세에게 살해당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랭스의 대주교 풀크 역시 헤르베르투스 1세와의 싸움 중에 사망하였다.

2. 4. 생애 후반

모라비아 출신 베르타와 결혼했다. 그는 독실한 신앙인으로 자신의 영지 내에 많은 성당수도원을 세웠다. 또한 그는 독일의 니벨룽겐을 비롯하여 이탈리아 밀라노, 파나마 등 일부 영지를 상속받았다. 이때부터 그는 개인 사병을 양성했는데, 이는 후에 그의 사위 로베르 1세바이킹을 물리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884년 서프랑크의 루이 3세와 샤를로망이 후사 없이 사망하고 새 왕을 선출할 때, 헤르베르투스 1세와 그의 가문 사람들은 카롤링거 왕조의 정통 계승자인 샤를 3세 단순왕을 지지하지 않고, 파리 백작이었던 외드를 지지했다.[4] 이는 당시 강력한 귀족 가문이었던 로베르 가문과의 관계를 고려한 정치적 선택으로 해석된다. 그는 로베르 가문과의 동맹을 공고히 하기 위해 딸 베아트릭스를 외드의 동생이자 훗날 왕위에 오르는 로베르 1세의 두 번째 부인으로 삼았다. 또한 아들 헤르베르투스 2세를 로베르 1세의 딸 아델과 결혼시켰고, 다른 딸 쿤디공데는 콘라딘 가문의 베테라우 백작 오도와 결혼시켰다.

890년 헤르베르투스는 군사를 이끌고 노르망디 해변에 나타난 바이킹 족을 격퇴하였다. 한편 그의 형 피핀 2세의 딸 포파는 노르망디에 정착한 바이킹 족 수령 롤로와 결혼하였다.

896년에는 솜강 상류 유역에서 활동하며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2세의 동생 라울을 사로잡아 살해했는데, 이는 플랑드르 가문과의 적대 관계를 심화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결국 907년 11월 6일, 헤르베르투스 1세는 라울 살해에 대한 보복으로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2세에게 암살되었다.[3]

2. 5. 사후

매장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의 지위는 아들 헤르베르트 2세가 물려받았다.[5] 헤르베르트 2세는 처음에는 카를 2세에게 충성을 보였으나, 그의 가문은 경건왕 루트비히 1세의 후손들에게 대대로 깊은 원한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818년 헤르베르트 2세의 선조인 베른하르트가 경건왕 루트비히 1세에 의해 두 눈이 뽑혀 장님이 되고, 그 후유증으로 병을 얻어 사망한 사건 때문이었다.

3. 가계

(리트가르트와 동일 인물 또는 혼동 가능성 있음)배우자벨트 드 모보(Berthe de Morvois)벨트 드 모보와 사이에 자녀를 두었다고 여겨짐딸베아트릭스c. 880년/883년 ~ 931년 3월 26일사위로베르 1세서프랑크 왕, 베아트릭스의 남편아들헤르베르트 2세c. 880년 ~ 943년 2월 23일며느리아델레로베르 1세의 딸, 헤르베르트 2세의 아내 (헤르베르투스 1세의 외손녀)딸아델라(Adela)딸구네곤다(Cunegonde de Vermandois)[5]또는 쿠니군디스(Cunigundis), c. 890년 ~ 949년 12월 12일사위베테라우의 오도베테라우 백작, 구네곤다의 남편 (895년 ~ 949년 12월 2일)



'''자녀 및 후손 상세'''



'''조카 가계 (형 피핀 3세)'''

4. 기타

일설에는 니벨룽겐의 테오도리히가 그의 어머니 쪽 할아버지이며, 그를 통해 니벨룽겐 가문의 영지를 일부 상속받았다고도 한다.

참조

[1] 서적 Kingship and Politics in the Late Ninth Century: Charles the Fat and the end of the Carolingian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 간행물 Reginonis Chronicon 0892
[3] 서적 The Carolingians; A Family who Forged Europ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3
[4] 문서
[5] 서적 The Frankish Kingdoms under the Carolingians Pearson Education Limited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