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는 1902년 매사추세츠주에서 태어난 미국의 정치인으로,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기자로 활동했다. 매사추세츠 주 하원 의원과 상원 의원을 거쳐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중령으로 복무했다. 이후 상원 의원으로 복귀했으며,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유엔 대사, 남베트남 대사를 역임했다. 1960년에는 리처드 닉슨의 부통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으며, 1985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 미국 부통령 후보 - 린든 B. 존슨
린든 B. 존슨은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후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위대한 사회"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 개혁을 추진하고 시민권법과 투표권법을 통과시켰으나, 베트남 전쟁 개입으로 비판을 받으며 정치적 유산에 영향을 받았다. - 1960년 미국 부통령 후보 - 스트롬 서먼드
스트롬 서먼드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와 미국 상원의원을 지낸 미국의 정치인으로, 인종차별 정책 옹호 논란에도 불구하고 후반기 흑인 사회와의 관계 개선을 시도하며 20세기 남부 정치 변화를 상징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 남베트남 주재 미국 대사 - 맥스웰 테일러
맥스웰 테일러는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고 미국 육군사관학교 교장, 육군참모총장,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역임한 미국의 5성 장군이자 군사 사상가로서,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마켓 가든 작전 등에 참여했으며, 존 F. 케네디 대통령 시절에는 베트남 전쟁 초기 미국 개입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그의 군사적 결정과 리더십은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 남베트남 주재 미국 대사 - 새뮤얼 D. 버거
새뮤얼 D. 버거는 1911년 미국에서 태어나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주한 미국 대사로 재임하며 5·16 군사 정변 이후 민정 이양을 위한 선거를 실시하도록 압박했으나 실패하고 한일 관계 개선에 기여했으며, 1980년 암으로 사망했다. - 냉전기의 외교관 - 헨리 키신저
헨리 키신저는 미국 외교 정책을 주도한 유대인 출신 외교관으로, 현실주의 외교와 데탕트 정책을 통해 미소 관계 완화 및 중 relations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베트남 전쟁 종식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100세에 사망했다. - 냉전기의 외교관 - 조지 마셜
조지 마셜은 미국의 5성 장군이자 국무장관, 국방장관을 역임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군 확장과 유럽 침공 작전을 지휘하여 연합군 승리에 기여하고, 전후 마셜 플랜을 통해 유럽 경제 재건과 냉전 시대 안정에 기여하여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진주만 공습 정보 실패와 맥아더 장군 해임 관련 논란도 있다.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 |
원어 이름 | Henry Cabot Lodge Jr. |
출생일 | 1902년 7월 5일 |
출생지 | 매사추세츠주 나헌트 |
사망일 | 1985년 2월 27일 |
사망지 | 매사추세츠주 베벌리 |
배우자 | 에밀리 시어스 |
자녀 | 2명 (조지 캐벗 로지, 헨리 시어스 로지 포함) |
부모 | 조지 캐벗 로지, 마틸다 프렐링후이센 데이비스 |
친척 | 로지 가문 |
학력 | 하버드 대학교 (BA) |
종교 | 미국 성공회 |
정당 | 미국 공화당 |
군사 복무 | |
소속 | 미국 육군 |
계급 | 중령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가지라 전투 |
정치 경력 | |
직책 | 미국 대통령의 교황청 개인 대표 |
대통령 | 리처드 닉슨 제럴드 포드 지미 카터 |
임기 시작 | 1970년 6월 5일 |
임기 종료 | 1977년 7월 6일 |
이전 | 해럴드 H. 티트먼 주니어 (대행) |
이후 | 데이비드 M. 월터스 |
직책 1 | 서독 주재 미국 대사 |
대통령 1 | 린든 B. 존슨 |
임기 시작 1 | 1968년 5월 27일 |
임기 종료 1 | 1969년 1월 14일 |
이전 1 | 조지 C. 맥기 |
이후 1 | 케네스 러시 |
직책 2 | 남베트남 주재 미국 대사 |
대통령 2 | 린든 B. 존슨 |
임기 시작 2 | 1965년 8월 25일 |
임기 종료 2 | 1967년 4월 25일 |
이전 2 | 맥스웰 D. 테일러 |
이후 2 | 엘스워스 벙커 |
대통령 3 | 존 F. 케네디 린든 B. 존슨 |
임기 시작 3 | 1963년 8월 26일 |
임기 종료 3 | 1964년 6월 28일 |
이전 3 | 프레더릭 놀팅 |
이후 3 | 맥스웰 D. 테일러 |
직책 3 | 제3대 주 유엔 미국 대사 |
대통령 4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임기 시작 4 | 1953년 1월 26일 |
임기 종료 4 | 1960년 9월 3일 |
이전 4 | 워런 오스틴 |
이후 4 | 제리 워즈워스 |
직책 5 | 미국 상원 의원 |
주 5 | 매사추세츠주 |
임기 시작 5 | 1947년 1월 3일 |
임기 종료 5 | 1953년 1월 3일 |
이전 5 | 데이비드 I. 월시 |
이후 5 | 존 F. 케네디 |
임기 시작 6 | 1937년 1월 3일 |
임기 종료 6 | 1944년 2월 3일 |
이전 6 | 마커스 A. 쿨리지 |
이후 6 | 싱클레어 위크스 |
주 7 | 매사추세츠주 |
선거구 7 | 매사추세츠 하원 15번 에섹스 선거구 |
임기 시작 7 | 1932년 |
임기 종료 7 | 1936년 |
이전 7 | 허버트 윌슨 포터 |
이후 7 | 러셀 P. 브라운 |
2. 어린 시절과 경력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는 1902년 7월 5일 매사추세츠주 너한트에서 태어났다.[47] 로지 가문은 매사추세츠 주에서 정치와 예술 분야에서 명성이 높은 가문이었다.[47] 그의 조부 헨리 캐벗 로지는 미국 상원이자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의 가까운 친구이자 정치적 동맹자였다. 그는 세인트 올번스 스쿨과 미들섹스 스쿨을 졸업하고 1924년 하버드 대학교를 우등으로 졸업했다.[4] 졸업 후에는 〈보스턴 이브닝 트랜스크립트〉와 뉴욕 헤럴드 트리뷴에서 기자로 활동했다.[5]
1932년 매사추세츠주 입법부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33년부터 1936년까지 2개의 임기를 역임했다.[5] 1936년 상원의원에 당선되어 1942년 재선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을 위해 1944년 사임했다.[50] 그는 남북 전쟁 이후 처음으로 군 복무를 위해 의원직을 사퇴한 상원의원이었다.[51] 종전 후 1945년 다시 상원의원에 복귀했다.[53]
로지는 미국 육군에 입대하여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 중령까지 진급했다. 1942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군무 겸직 금지 명령으로 의원직을 유지하기 위해 잠시 군 복무를 중단했으나,[49] 1944년 다시 군에 복귀하여 독일군 정찰병 4명을 포로로 잡는 등 전공을 세웠다.[52] 프랑스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과 크로아 드 게르 훈장을 받았다.[53]
2. 1. 가문과 배경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는 1902년 7월 5일 매사추세츠주 너한트에서 태어났다.[47] 로지 가문은 매사추세츠 주에서 정치와 예술 분야에서 명성이 높은 가문이었다.[47] 그의 아버지는 시인 조지 캐벗 로지였으며, 이를 통해 상원의원 헨리 캐벗 로지의 손자이자, 상원의원 일라이자 H. 밀스의 증손자, 상원의원 조지 캐벗의 고손자가 되었다. 어머니는 마틸다 엘리자베스 프렐링후이젠 (데이비스) 로지였고, 상원의원 프레드릭 시어도어 프렐링후이젠[1]의 증손자이자 상원의원 존 데이비스의 고손자였다.[2][3] 아버지가 1909년에 사망하자 그의 성장에 할아버지가 큰 영향을 미쳤다.[47]로지는 세인트 올번스 스쿨에 다녔고 미들섹스 스쿨을 졸업했다. 1924년에는 하버드 대학교를 우등으로 졸업했으며, 하스티 푸딩과 폭스 클럽 회원이었다.[4] 헤럴드 트리뷴(Herald Tribune)지 등의 신문 기자를 거쳐, 1931년에 매사추세츠주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어 1936년까지 재직했다.
로지는 뉴잉글랜드의 강력한 공화당 가족 출신으로, 그의 할아버지 헨리 캐벗 로지 (1850년 ~ 1924년)는 미국 상원이자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의 가까운 친구이자 정치적 동맹자였다.
2. 2. 학력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는 1902년 7월 5일 매사추세츠주 너한트에서 태어났다.[47] 세인트 올번스 스쿨과 미들섹스 스쿨을 졸업하고, 1924년 하버드 대학교를 우등으로 졸업했다.[4] 하버드 대학교 재학 시절 하스티 푸딩과 폭스 클럽 회원이었다.[4]2. 3. 초기 경력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는 1902년 7월 5일 매사추세츠주 너한트에서 태어났다.[47] 로지 가문은 매사추세츠 주에서 정치와 예술 분야에서 명성이 높은 가문이었다.[47] 그의 조부 헨리 캐벗 로지는 미국 상원이자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의 가까운 친구이자 정치적 동맹자였다. 그는 세인트 올번스 스쿨과 미들섹스 스쿨을 졸업하고 1924년 하버드 대학교를 우등으로 졸업했다.[4] 졸업 후에는 〈보스턴 이브닝 트랜스크립트〉와 〈뉴욕 헤럴드 트리뷴〉에서 기자로 활동했다.[5]1932년 매사추세츠주 입법부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1933년부터 1936년까지 2개의 임기를 역임했다.[5] 1936년 상원의원에 당선되어 1942년 재선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을 위해 1944년 사임했다.[50] 그는 남북 전쟁 이후 처음으로 군 복무를 위해 의원직을 사퇴한 상원의원이었다.[51] 종전 후 1945년 다시 상원의원에 복귀했다.[53]
로지는 미국 육군에 입대하여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 중령까지 진급했다. 1942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군무 겸직 금지 명령으로 의원직을 유지하기 위해 잠시 군 복무를 중단했으나,[49] 1944년 다시 군에 복귀하여 독일군 정찰병 4명을 포로로 잡는 등 전공을 세웠다.[52] 프랑스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과 크로아 드 게르 훈장을 받았다.[53]
3. 미국 상원의원 (1937–1944, 1947–1953)과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44–1945)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는 1936년 11월, 공화당 소속으로 미국 상원 의원에 당선되어 1937년 1월부터 1944년 2월까지 재직했다.[47] 1902년 7월 5일 매사추세츠주 나한트에서 태어난 로지는, 매사추세츠주에서 정치와 예술 분야에서 명성이 높은 가문 출신이었다.[47] 그는 헨리 캐벗 로지의 손자이자, 조지 캐벗의 후손이며, 하원의원 오거스터스 피바디 가드너의 조카였다.[47] 로지는 미들섹스 스쿨을 졸업하고, 1924년 하버드 대학교를 우등으로 졸업했다.[47] 헤럴드 트리뷴지 등의 신문 기자를 거쳐 1931년 매사추세츠주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어 1936년까지 재직했으며, 같은 해 상원의원 선거에서 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여 전 주지사 제임스 마이클 커리를 누르고 당선되었다.[47]
로지는 미국 육군에 입대하여 중령까지 진급했다.[47] 제2차 세계 대전에는 두 차례 복무했는데, 처음에는 1942년에 상원의원직을 겸임했지만, 1944년부터 1945년까지는 의원직을 사퇴하고 군무에 전념했다.[47] 그는 남북 전쟁 이후 처음으로 군무에 복무하기 위해 의원직을 사퇴한 의원이었다.[51] 첫 번째 복무 기간 동안, 그는 제1기갑사단 소령으로, 북아프리카에서 영국군 전차부대와 함께 이집트와 리비아에서 활동했다.[48] 이 부대는 지상에서 독일군과 처음 접촉한 미군 기갑부대였다.[49]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은 군무를 겸임하는 국회의원에 대해 겸임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고, 로지는 의원직을 유지하기로 선택했기 때문에 1942년 7월에 임무가 종료되었다.[49] 헨리 스팀슨 육군장관의 명령으로 워싱턴 D.C.로 귀환한 그는 1942년 11월 재선에 성공했다.[49][50] 1944년 2월 3일, 로지는 의원직을 사퇴하고 군무에 복귀했다.[50] 이탈리아 전선과 서부 전선에서 실전 경험을 쌓고 중령으로 진급했으며, 1944년 가을에는 독자적으로 독일군 정찰병 4명을 포로로 잡았다.[52] 1945년 3월까지 프랑스의 레지옹 도뇌르 훈장과 크로아 드 게르를 수훈했다.[53] 종전 시에는 제이콥 드베어스 장군의 연락 및 통역 담당 장교로서 서오스트리아에서 독일군의 항복 협상에 참석했다.
1946년 데이비드 I. 윌시를 누르고 상원의원으로 복귀했다.[47] 그는 공화당 내 온건, 국제주의 계파를 대변하며, 미국의 고립주의가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방 국가의 이상은 우리가 세계 최강국이 되었다는 깨달음에 자리를 내주었습니다... 2차 세계 대전은 처음으로 우리에게 집단 안보의 가치를 가르쳐 주었습니다."라고 말했다.[48][49][50][51][52][53]
1950년, 로지는 조셉 매카시가 제기한 국무부 내 공산주의자 명단 조사에 참여했다. 로지는 청문회 과정에서 밀러드 타이딩스 위원장이 매카시를 부당하게 대우하고 국무부의 보안 유출 문제를 은폐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1950년 7월, 청문회 기록이 편집된 채 공개되자 로지는 자신의 반대 의견과 우려가 누락된 점을 지적하며 항의했다. 그는 곧 매카시와 갈등을 겪었고, 그의 영향력을 줄이려는 노력에 동참했다.[15][16][17][18][19]
1951년 말, 로지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장군에게 공화당 대통령 후보 출마를 설득했다. 아이젠하워가 동의한 후, 로지는 그의 선거 운동 본부장을 맡아 아이젠하워의 후보 지명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아이젠하워가 로버트 A. 태프트 상원의원의 준고립주의적 외교 정책에서 벗어나 공화당을 이끌기를 원했다.
1952년 가을, 로지는 당시 미국 하원의원이었던 존 F. 케네디와 접전을 벌이며 재선을 위한 치열한 선거 운동을 벌였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지원에 힘쓴 결과 로지는 자신의 선거 운동을 소홀히 하게 되었다.[20] 게다가 매사추세츠주에서 태프트 지지자 중 일부는 로지의 아이젠하워 지지에 분노하여 케네디 선거 운동으로 돌아섰다.[20] 1952년 11월 선거에서 로지는 케네디에게 패배했는데, 로지는 득표율 48.5%를, 케네디는 51.5%를 얻었다.[20] 이는 공화당 로지 가문과 민주당 피츠제럴드-케네디 가문의 일원 간에 치러진 세 번의 상원 선거 중 두 번째였으며, 로지와 케네디의 할아버지 간의 1916년 선거 이후, 그리고 로지의 아들과 케네디의 동생 테드 간의 1962년 특별 선거 이전에 있었다.
케네디의 승리를 두고 그의 아버지인 조지프 케네디는 아일랜드계 가톨릭 신자가 마침내 WASP 출신 보스턴 브라만 엘리트의 자손을 꺾었다며, 이는 그의 아들 중 가장 만족스러운 선거 승리라고 말하며 축하했다.
3. 1. 상원의원 당선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는 1936년 11월, 공화당 소속으로 미국 상원 의원에 당선되어 1937년 1월부터 1944년 2월까지 재직했다.[47] 1902년 7월 5일 매사추세츠주 나한트에서 태어난 로지는, 매사추세츠주에서 정치와 예술 분야에서 명성이 높은 가문 출신이었다.[47] 그는 헨리 캐벗 로지의 손자이자, 조지 캐벗의 후손이며, 하원의원 오거스터스 피바디 가드너의 조카였다.[47] 로지는 미들섹스 스쿨을 졸업하고, 1924년 하버드 대학교를 우등으로 졸업했다.[47] 헤럴드 트리뷴지 등의 신문 기자를 거쳐 1931년 매사추세츠주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어 1936년까지 재직했으며, 같은 해 상원의원 선거에서 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여 전 주지사 제임스 마이클 커리를 누르고 당선되었다.[47]로지는 미국 육군에 입대하여 중령까지 진급했다.[47] 제2차 세계 대전에는 두 차례 복무했는데, 처음에는 1942년에 상원의원직을 겸임했지만, 1944년부터 1945년까지는 의원직을 사퇴하고 군무에 전념했다.[47] 그는 남북 전쟁 이후 처음으로 군무에 복무하기 위해 의원직을 사퇴한 의원이었다.[51] 첫 번째 복무 기간 동안, 그는 제1기갑사단 소령으로, 북아프리카에서 영국군 전차부대와 함께 이집트와 리비아에서 활동했다.[48] 이 부대는 지상에서 독일군과 처음 접촉한 미군 기갑부대였다.[49]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은 군무를 겸임하는 국회의원에 대해 겸임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고, 로지는 의원직을 유지하기로 선택했기 때문에 1942년 7월에 임무가 종료되었다.[49] 헨리 스팀슨 육군장관의 명령으로 워싱턴 D.C.로 귀환한 그는 1942년 11월 재선에 성공했다.[49][50] 1944년 2월 3일, 로지는 의원직을 사퇴하고 군무에 복귀했다.[50] 이탈리아 전선과 서부 전선에서 실전 경험을 쌓고 중령으로 진급했으며, 1944년 가을에는 독자적으로 독일군 정찰병 4명을 포로로 잡았다.[52] 1945년 3월까지 프랑스의 레지옹 도뇌르 훈장과 크로아 드 게르를 수훈했다.[53] 종전 시에는 제이콥 드베어스 장군의 연락 및 통역 담당 장교로서 서오스트리아에서 독일군의 항복 협상에 참석했다.
3.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두 차례 복무했다.[7] 첫 번째는 1942년으로, 상원 의원 신분으로 제1기갑사단 소령으로 복무했다.[48] 그는 가잘라 전투에서 미군 전차 부대를 지휘하여, 전쟁 중 육상에서 독일군과 교전한 최초의 미국인 중 하나였다.[7] 이집트와 리비아에서 연합군을 시찰하며 토브루크에서 영국군의 후퇴를 목격하기도 했다.[6][7] 그러나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의 군 복무 중인 의원 겸직 금지 명령으로 상원에 남기 위해 워싱턴으로 돌아와야 했다.[7]1942년 11월 재선에 성공한 후, 1944년 2월 3일 현역 복귀를 위해 상원 의원직을 사퇴했다.[8] 이는 미국 남북 전쟁 이후 최초의 사례였다.[9] 이탈리아와 프랑스 전선에서 전투에 참여했으며, 1944년 가을에는 단독으로 4명의 독일군 순찰대를 사로잡기도 했다.[10]
1945년 전쟁이 끝날 무렵, 프랑스어 실력과 문화 지식을 바탕으로 제6미군 집단 사령관 제이콥 L. 드버스를 도와 프랑스 제1군 사령관 장 드 라트르 드 타시니와의 활동을 조정하고, 서부 오스트리아에서 독일군과 항복 협상을 진행했다.
전쟁 중 공로로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과 종려잎이 달린 크루아 드 게르 훈장을 받았다.[11] 미국 훈장으로는 공로훈장과 청동별 훈장이 있다.[12][13][14]
전쟁 후, 예비군 장교 신분을 유지하며 소장까지 진급했다.[12][13][14]
3. 3. 상원의원 복귀와 아이젠하워 대통령 만들기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는 1946년 데이비드 I. 윌시를 누르고 상원의원으로 복귀했다.[47] 그는 공화당 내 온건, 국제주의 계파를 대변하며, 미국의 고립주의가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방 국가의 이상은 우리가 세계 최강국이 되었다는 깨달음에 자리를 내주었습니다... 2차 세계 대전은 처음으로 우리에게 집단 안보의 가치를 가르쳐 주었습니다."라고 말했다.[48][49][50][51][52][53]1950년, 로지는 조셉 매카시가 제기한 국무부 내 공산주의자 명단 조사에 참여했다. 로지는 청문회 과정에서 밀러드 타이딩스 위원장이 매카시를 부당하게 대우하고 국무부의 보안 유출 문제를 은폐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1950년 7월, 청문회 기록이 편집된 채 공개되자 로지는 자신의 반대 의견과 우려가 누락된 점을 지적하며 항의했다. 그는 곧 매카시와 갈등을 겪었고, 그의 영향력을 줄이려는 노력에 동참했다.[15][16][17][18][19]
1951년 말, 로지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장군에게 공화당 대통령 후보 출마를 설득했다. 아이젠하워가 동의한 후, 로지는 그의 선거 운동 본부장을 맡아 아이젠하워의 후보 지명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아이젠하워가 로버트 A. 태프트 상원의원의 준고립주의적 외교 정책에서 벗어나 공화당을 이끌기를 원했다.
3. 4. 1952년 상원의원 선거 패배
1952년 가을, 로지는 당시 미국 하원의원이었던 존 F. 케네디와 접전을 벌이며 재선을 위한 치열한 선거 운동을 벌였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지원에 힘쓴 결과 로지는 자신의 선거 운동을 소홀히 하게 되었다.[20] 게다가 매사추세츠주에서 태프트 지지자 중 일부는 로지의 아이젠하워 지지에 분노하여 케네디 선거 운동으로 돌아섰다.[20] 1952년 11월 선거에서 로지는 케네디에게 패배했는데, 로지는 득표율 48.5%를, 케네디는 51.5%를 얻었다.[20] 이는 공화당 로지 가문과 민주당 피츠제럴드-케네디 가문의 일원 간에 치러진 세 번의 상원 선거 중 두 번째였으며, 로지와 케네디의 할아버지 간의 1916년 선거 이후, 그리고 로지의 아들과 케네디의 동생 테드 간의 1962년 특별 선거 이전에 있었다.케네디의 승리를 두고 그의 아버지인 조지프 케네디는 아일랜드계 가톨릭 신자가 마침내 WASP 출신 보스턴 브라만 엘리트의 자손을 꺾었다며, 이는 그의 아들 중 가장 만족스러운 선거 승리라고 말하며 축하했다.
4. 유엔 주재 미국 대사 (1953–1960)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는 1953년 2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에 의해 미국 유엔 대사로 임명되었으며, 그의 직책은 내각급으로 격상되었다.[21] 국제 연맹의 주요 반대자였던 할아버지와는 달리, 로지는 평화 증진을 위한 기구로서 유엔을 지지했다. 그는 유엔에 대해 "이 기구는 여러분이 지옥에 가지 못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여러분을 천국으로 데려다주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닙니다."라고 말한 것으로 유명하다.[21] 로지는 7년 반 동안 유엔 대사직을 역임하며,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냉전 정책을 지지했으며, 종종 소련 유엔 대표들과 논쟁을 벌였다.[21] 그는 텔레비전에 자주 출연하여 소련 외교관들에게 "강경한 태도"를 보였고, 미국이 전 세계의 침략에 책임이 있다는 비난에 대해 "유엔 회원국은 누구나 스스로 어리석은 짓을 할 권리가 있으며, 이 경우 소련이 충분히 활용한 권리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중앙정보국(CIA)이 지원한 과테말라 합법 정부 전복 당시, 미국이 침략에 연루된 것에 대해 영국과 프랑스가 우려하자, 로지는 영국과 프랑스가 미국의 행동을 지지하지 않으면 이집트와 키프로스에 대한 영국 지원, 튀니지와 모로코에 대한 프랑스 지원을 철회하겠다고 위협했다.[22] 정부가 전복되자, 로지가 상당한 주주였던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23][24][25]는 과테말라에서 다시 자리를 잡았다. 이러한 사건들은 그 이전까지 훌륭했던 그의 경력에 오점을 남겼고, 로지를 미국의 제국주의와 예외주의의 얼굴로 묘사했다.[26]
1959년 그는 소련 지도자 니키타 흐루쇼프를 미국 순방에 동행했다. 대대적으로 알려진 순방이었다. 1960년 그는 사마르칸트의 비비하눔 모스크를 포함하여 소련을 상호 방문했다.[27]
5. 1960년 부통령 후보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는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리처드 닉슨 공화당 대통령 후보의 러닝메이트로 부통령 후보에 출마하기 위해 유엔 대사직을 사임했다.[28] 당시 그의 상대는 숙적 존 F. 케네디였다. 닉슨은 로지를 선택하기에 앞서 제럴드 포드 하원의원과 서스턴 B. 모튼 상원의원도 고려했었다. 닉슨은 로지가 부통령 후보로 참여하면 케네디가 매사추세츠주에 시간과 자원을 할애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지만, 케네디는 자신의 고향 주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28] 또한 닉슨은 외교 정책 전문가로서 유엔에서 명성을 쌓은 로지의 이름이 케네디에 맞서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닉슨과 로지는 박빙의 승부 끝에 선거에서 패배했다.[28]
로지의 부통령 후보 지명은 결과적으로 닉슨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자신의 고향 주에서 승리도 가져오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일부 보수 공화당원들은 로지가 선거에서 패배하는 원인 중 하나를 제공했다고 비난했다. 특히 로지가 (닉슨의 승인 없이) 닉슨이 당선되면 최소한 한 명의 흑인을 내각에 임명할 것이라고 약속한 것이 남부에서 표를 잃게 만들었다고 비난했다.[29][28] 그는 랄프 번치를 임명하는 것을 "훌륭한 아이디어"라고 제안했다.[28] 닉슨은 로지가 뉴욕에서 흑인을 내각에 임명하겠다고 한 연설에 격분하여 그가 백인 다수가 아닌 소수 민족 그룹과 선거 운동에 너무 많은 시간을 보냈다고 비난했다.[29][28]
6. 남베트남 주재 미국 대사 (1963–1964, 1965–1967)
1963년 8월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가 남베트남에 도착했을 때, 남베트남 정부는 1954년 제네바 회담의 결과로 북베트남과 분단된 이후 정치적 생존을 위한 투쟁을 벌이고 있었다.[30] 제네바 회담은 1956년에 베트남을 통일하는 자유 선거를 열도록 규정했지만, 미국과 남베트남은 공산당 통치를 우려하여 선거를 거부하였다.[30] 남베트남이 선거를 거부하자 북베트남과 베트콩은 응오딘지엠 정부에 대한 게릴라전을 시작했고, 미국은 남베트남을 지원했다.[30]
로지는 대사로 부임한 후, 응오딘지엠 정부의 부패와 억압으로 인해 남베트남 국민의 지지를 얻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했다.[30] 1963년 가을, 로지는 비밀리에 남베트남 군사 장교들로부터 연락을 받았고, 그들은 미국이 쿠데타를 지지할 것인지 문의했다.[30] 로지는 케네디 대통령에게 쿠데타 지지를 촉구했고, 케네디 행정부는 몇 주간의 불확실성 끝에 쿠데타에 방해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다.[30] 11월 1일, 군사 쿠데타가 성공하여 응오딘지엠이 처형되고 새로운 정부가 수립되었다.[30]
로지는 응오딘지엠의 사망에 대해 후회를 표했지만, 쿠데타가 미국과 남베트남 장군들에게 유일한 실용적인 대안이었다고 주장했다.[30] 그는 1964년 2월 보고에서 "이 국가에서 중요한 일을 성취하는 데 선거가 효율적이거나 적절한 방법이라는 것에 드물게 일어나고 있다"라고 언급하며, "여기서 중요한 것들을 하는 전통적 방향은 힘의 잘 계획되고, 잘 생각한 사용이다."라고 덧붙였다.[30]
응오딘지엠 정권이 제거된 후 몇 달 동안, 로지는 북베트남에 대한 결정적인 군사 행동을 지지했다.[30] 1963년 11월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이후 대통령직을 승계한 린든 B. 존슨 대통령에게 북베트남 공습을 승인하도록 격려했다.[30] 로지 대사는 효과적인 폭격 캠페인이 남베트남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북베트남의 사기를 떨어뜨릴 것이라고 주장했다.[30] 또한 북베트남에 대한 "비밀 작전"을 지지했다.[30]
그러나 로지는 존슨 행정부가 전쟁 개입을 제한할 것을 촉구했다.[30] 그는 미국이 남베트남의 군사 전략 개발과 농민들의 지지 확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도와야 한다고 생각했다.[30] 또한 남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군사 및 재정적 지원 패키지를 지지했다.[30] 하지만 그는 미국이 전쟁 수행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을 져서는 안 된다고 믿었다.[30] 그는 베트남 지상군 파병에 대해 경고하며, 이는 미군을 전쟁에 깊이 끌어들이거나 중화인민공화국 혹은 소련 공산 정부의 군사적 대응을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30]
1964년 6월, 로지는 펜실베이니아주 공화당 주지사 윌리엄 스크랜턴의 대통령 선거 운동을 돕기 위해 남베트남 주재 대사직을 사임했다.[30] 그의 후임은 맥스웰 테일러 장군이었다.[30] 그러나 스크랜턴은 공화당 후보 지명을 얻지 못했고, 로지는 1965년 6월 대사직에 복귀했다.[30]
로지는 1965년 미국 대사로서 사이공으로 돌아와, 일반 시민들 사이에 남베트남 정부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높이기 위한 "강화" 프로그램들을 시행하였다.[30] 그는 북베트남에 대한 폭격의 레벨을 높이는 데 존슨 행정부에 압력을 가했지만, 몰래는 국가의 미래에 대한 작은 자신감을 표현하였다.[30] 그는 지속적으로 남베트남의 정치와 군사 리더십에 대해 매우 낮은 의견을 가졌으며, 베트남에서 미국의 군사 전략은 너무 참을성이 없었고 국가의 정치와 경제적 문제들에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고 주장하였다.[30] 그는 《The Ten Thousand Day War》에서 "우리는 비용이 적게 드는 일을 할 수 있고, 더욱 오래 끌어 지속적인 결과를 얻을 것이었다."라고 주장하였다.[30]
6. 1. 임명 배경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는 1963년부터 1964년까지 남베트남 주재 미국 대사를 역임했다. 1963년 1월 2일 아프박 전투 이후, 케네디 대통령은 응오딘지엠 남베트남 대통령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 1963년 5월 8일, 후에에서 경찰이 불교도 군중에게 발포하여 9명이 사망하면서 불교 위기가 시작되었고, 불교도들의 전국적인 시위가 잇따랐다. 케네디는 상황이 악화되자 지엠에게 사과를 요구했지만, 지엠은 이를 거부했다.케네디는 지엠에게 강경하게 대처할 새로운 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당시 대사 프레드릭 놀팅은 지엠에게 우호적이었고, 언론 보도를 통제하려 했기 때문이다. 케네디는 1963년 6월 27일, 로지를 남베트남 대사로 임명했다. 로지는 1930년대에 기자로 베트남을 방문한 적이 있었고, 프랑스어에 능통했다. 케네디는 남베트남을 잃을 경우 공화당의 공격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하여, 저명한 공화당 정치인인 로지를 임명하여 정치적 위험을 분산시키려 했다.
로지는 대통령이 되려는 야망이 있었고, 위기에 처한 동맹국 대사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아이젠하워는 케네디가 로지의 명성을 훼손하려 한다고 경고했지만, 로지는 가문의 전통에 따라 대사직을 수락했다.
1963년 8월 22일, 로지는 사이공에 도착했다. 당시 남베트남은 특수부대가 불교 사찰을 급습하면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로지는 기자 회견에서 언론의 자유를 강조하며, 지엠 정권에 비판적인 기자들로부터 환영을 받았다. 로지는 지엠에게 개혁을 요구했지만, 지엠은 이를 거부했다. 로지는 미국의 소리 방송을 통해 불교 사찰 급습 책임을 남베트남 군에서 면제하는 발표를 하여 지엠을 압박했다.
로지는 지엠 정권이 개혁되지 않으면 남베트남이 붕괴할 것이라고 판단했다.[30] 그는 미국 정부에 군사 원조 중단을 통해 지엠을 압박하고 쿠데타를 지원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케네디는 로지에게 베트남 문제에 대한 전권을 위임했다. 1963년 9월 2일, 케네디는 텔레비전 인터뷰에서 지엠 정권이 국민과 동떨어졌다고 비판했다.
로지는 쿠데타를 추진했지만, 남베트남 장성들은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로지는 미국 중앙정보국(CIA) 요원 루시엔 코네인을 통해 쿠데타를 지원하고, 쿠데타 이후에도 원조를 계속 제공할 것을 약속했다. 로지와 폴 D. 하킨스 장군은 쿠데타에 대한 이견으로 갈등을 빚었고, 케네디는 결정을 주저했다. 10월 29일, 케네디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하여 대책을 논의했지만, 로버트 케네디 법무장관은 쿠데타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지엠 지지를 주장했다.
6. 2. 응오딘지엠 정권과의 갈등
1963년 8월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가 남베트남에 도착했을 때, 남베트남은 1954년 제네바 회담의 결과로 북베트남과 분단된 상황이었다.[30] 북베트남은 호찌민이 이끄는 공산당 정부가 통치했고, 남베트남은 미국의 지원을 받는 응오딘지엠이 이끌었다.[30] 제네바 회담은 1956년 전국 자유 선거를 통해 베트남을 통일할 예정이었으나, 미국과 남베트남은 공산당의 통치를 우려하여 선거를 거부했다.[30] 이에 베트콩은 응오딘지엠 정부에 대한 게릴라전을 시작했고, 미국은 남베트남을 지원했다.[30]로지는 대사 부임 후 남베트남 상황을 분석한 결과, 응오딘지엠 정부의 부패와 억압으로 인해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한다고 판단했다.[30] 그는 사이공에서 리더십 변화를 요구하는 다른 미국 공무원들과 의견을 같이하며, 8월 29일 국무장관 딘 러스크에게 "돌이킬 수 없는 과정"이 시작되었다고 선언했다.[30]
1963년 가을, 로지는 남베트남 군사 장교들로부터 비밀리에 연락을 받았다.[30] 그들은 미국이 쿠데타를 지지할 것인지 문의했고, 로지는 케네디 대통령에게 쿠데타 지지를 촉구했다.[30] 케네디 행정부는 몇 주간의 불확실성 끝에 쿠데타 계획에 방해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다.[30] 11월 1일, 군사 쿠데타가 성공하여 응오딘지엠은 처형되었고, 새로운 정부가 수립되었다.[30]
로지는 응오딘지엠의 사망에 대해 후회를 표했지만, 쿠데타가 유일한 실용적인 대안이었다고 주장했다.[30] 그는 1964년 2월 보고에서 "선거가 이 국가에서 중요한 일을 성취하는 데 효율적이거나 적절한 방법이라는 것에 드물게 일어나고 있다"라고 말했다.[30]
6. 3. 1963년 쿠데타 지원
1963년 8월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가 남베트남에 도착했을 때, 남베트남 정부는 1954년 제네바 회담의 결과로 북베트남과 분단된 이후 정치적 생존을 위한 투쟁을 벌이고 있었다. 제네바 회담은 1956년에 베트남을 통일하는 자유 선거를 열도록 규정했지만, 미국과 남베트남은 공산당 통치를 우려하여 선거를 거부하였다. 남베트남이 선거를 거부하자 북베트남과 베트콩은 응오딘지엠 정부에 대한 게릴라전을 시작했고, 미국은 남베트남을 지원했다.로지는 대사로 부임한 후, 응오딘지엠 정부의 부패와 억압으로 인해 남베트남 국민의 지지를 얻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1963년 가을, 로지는 비밀리에 남베트남 군사 장교들로부터 연락을 받았고, 그들은 미국이 쿠데타를 지지할 것인지 문의했다. 로지는 케네디 대통령에게 쿠데타 지지를 촉구했고, 케네디 행정부는 몇 주간의 불확실성 끝에 쿠데타에 방해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다. 11월 1일, 군사 쿠데타가 성공하여 응오딘지엠이 처형되고 새로운 정부가 수립되었다.
로지는 응오딘지엠의 사망에 대해 후회를 표했지만, 쿠데타가 미국과 남베트남 장군들에게 유일한 실용적인 대안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1964년 2월 보고에서 "이 국가에서 중요한 일을 성취하는 데 선거가 효율적이거나 적절한 방법이라는 것에 드물게 일어나고 있다"라고 언급하며, "여기서 중요한 것들을 하는 전통적 방향은 힘의 잘 계획되고, 잘 생각한 사용이다."라고 덧붙였다.
케네디는 1963년 6월 27일, 로지를 남베트남 대사로 임명했다.[30] 로지는 1930년대에 기자로서 베트남을 방문한 적이 있었고, 남베트남 엘리트들이 사용하는 프랑스어에 능통했다. 케네디는 로지가 남베트남을 "잃었다"는 공화당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저명한 공화당 정치인을 대사로 임명하고자 했다.
1963년 8월 22일, 로지는 사이공에 도착하여, 불교 사찰 급습 사건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에 직면했다. 로지는 응오딘지엠에게 개혁을 요구했지만, 지엠은 이를 거부했다. 로지는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라디오 방송을 통해 불교 사찰 급습의 책임을 남베트남 군에서 면제하는 발표를 하여 지엠에게 압력을 가했다.
로지는 남베트남 군이 미국의 군사 원조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여, 케네디에게 모든 원조를 중단하고 쿠데타를 촉구했다. 케네디는 로지에게 베트남 문제를 처리할 권한을 부여하고, 필요한 경우 미국 원조를 중단할 권한을 부여했다.
10월 5일, 로지는 CIA 요원 루시엔 코네인(Lucien Conein)이 쿠데타를 "방해하지 않겠다"는 미국의 약속을 전달했다고 케네디에게 보고했다. 로지는 쿠데타를 지지하겠다고 약속한 것이 아니라 "방해하지 않겠다"고만 했을 뿐이라고 주장하며, 이후 비판에 대한 방어로 사용했다.
6. 4. 베트남 전쟁 개입 제한 주장
응으딘지엠 정권이 제거된 후 몇 달 동안, 로지는 북베트남에 대한 결정적인 군사 행동을 지지했다.[47] 1963년 11월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이후 대통령직을 승계한 린든 B. 존슨 대통령에게 북베트남 공습을 승인하도록 격려했다.[47] 로지 대사는 효과적인 폭격 캠페인이 남베트남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북베트남의 사기를 떨어뜨릴 것이라고 주장했다.[47] 또한 북베트남에 대한 "비밀 작전"을 지지했다.[47]그러나 로지는 존슨 행정부가 전쟁 개입을 제한할 것을 촉구했다.[47] 그는 미국이 남베트남의 군사 전략 개발과 농민들의 지지 확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도와야 한다고 생각했다.[47] 또한 남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군사 및 재정적 지원 패키지를 지지했다.[47] 하지만 그는 미국이 전쟁 수행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을 져서는 안 된다고 믿었다.[47] 그는 베트남 지상군 파병에 대해 경고하며, 이는 미군을 전쟁에 깊이 끌어들이거나 중화인민공화국 혹은 소련 공산 정부의 군사적 대응을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47]
1964년 6월, 로지는 펜실베이니아주 공화당 주지사 윌리엄 스크랜턴의 대통령 선거 운동을 돕기 위해 남베트남 주재 대사직을 사임했다.[47] 그의 후임은 맥스웰 테일러 장군이었다.[47] 그러나 스크랜턴은 공화당 후보 지명을 얻지 못했고, 로지는 1965년 6월 대사직에 복귀했다.[47]
6. 5. 남베트남 대사 재임 (1965–1967)
로지는 1965년 미국 대사로서 사이공으로 돌아와, 일반 시민들 사이에 남베트남 정부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높이기 위한 "강화" 프로그램들을 시행하였다.[30] 그는 북베트남에 대한 폭격의 레벨을 높이는 데 존슨 행정부에 압력을 가했지만, 몰래는 국가의 미래에 대한 작은 자신감을 표현하였다.[30] 그는 지속적으로 남베트남의 정치와 군사 리더십에 대해 매우 낮은 의견을 가졌으며, 베트남에서 미국의 군사 전략은 너무 참을성이 없었고 국가의 정치와 경제적 문제들에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고 주장하였다.[30] 그는 《The Ten Thousand Day War》에서 "우리는 비용이 적게 드는 일을 할 수 있고, 더욱 오래 끌어 지속적인 결과를 얻을 것이었다."라고 주장하였다.[30]7. 1964년 대통령 후보 지명전
1960년 대선 패배에도 불구하고,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는 전국적인 이미지에 손상을 입지 않아 1964년 대선의 유력 후보로 거론되었다.[32][33][34] 1962년 "가장 존경받는 남성" 목록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32][33][34]
1964년, 로지는 여전히 남베트남 대사였지만, 공화당 뉴햄프셔 예비선거에서 기입으로 승리하며, 배리 골드워터(Barry Goldwater)와 넬슨 록펠러(Nelson Rockefeller)를 물리쳤다.[36] 그의 선거 운동은 소규모 정치 아마추어 그룹에 의해 조직되었는데, 이들은 로지에게 대의원을 얻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생각하여 그들의 노력을 돕지 않았다.[36] 뉴햄프셔주에서 이변을 일으키자, 로지와 언론, 공화당 지도자들은 갑자기 그의 출마를 진지하게 고려하기 시작했다.[36]
1962년, 아들 조지 C. 로지(George C. Lodge)의 상원 선거 유세를 돕던 중, 로지 상원의원의 자리를 채웠던 상원의원 레버릿 살턴스톨(Leverett Saltonstall)의 조카 등이 보스턴에 '로지 대통령 후원 사무실'을 열었지만, 1964년 로지와의 연관성을 증명하지 못하고 폐쇄되었다.[35] 그러나 이들은 뉴햄프셔주 콘코드로 사무실을 이전하여 9만 6천 명의 공화당 유권자 명단을 확보, 뉴햄프셔주에서 로지의 기반을 성공적으로 구축했다.[35] 1960년 아이젠하워 전 대통령이 로지를 부통령으로 지지하는 영상이 TV 광고에 사용되었고, 아이젠하워가 로지를 대통령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35]
많은 관찰자들은 이 상황이 1952년 아이젠하워가 당시 공화당 보수파의 지도자였던 상원의원 로버트 A. 태프트(Robert A. Taft)를 예상치 못하게 물리친 것과 유사하다고 말했다.[37] 그러나 공개적인 후보가 되기를 거부한 로지는 후속 예비선거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고, 결국 골드워터가 대통령 후보 지명을 받았다.[37]
대부분의 자유주의 공화당원들처럼, 로지는 골드워터, 특히 민주당과 공화당을 자유주의당과 보수당으로 재편하려는 그의 제안을 "혐오스럽다"고 반대했고, 어느 누구도 미국인을 돕는 데 있어 연방 정부의 지원에 반대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38][39] 전당대회 중 한때 로지는 골드워터에 반대한 것을 비난하는 골드워터의 열렬한 지지자와 대면했고, 로지는 "당신도 끔찍해요."라고 답했다.[38][39]
8. 이후 외교 경력
로지는 1967년 남베트남 주재 대사직에서 물러났으나, 국제 정치에는 계속 활동하였다.[40] 서독 주재 대사로 잠시 근무하였고, "이동대사"로서 미국을 대표하기도 했다.[40] 1968년 3월, 로지를 비롯한 존경받는 보좌관들은 린든 B. 존슨 대통령에게 베트남에서의 미군 군사 작전 축소를 권고했다. 이들은 미국 전역의 공동체에서 엄청난 고통과 분노의 근원이 되었던 전쟁에서 미국이 우아하게 철수하도록 존슨 대통령을 설득했다. 존슨 대통령은 마지못해 그들의 조언을 받아들여 북베트남에 대한 3년간의 롤링 썬더 작전을 중단시켰다. 1969년,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로지를 북베트남과의 평화 회담에서 미국 대표로 임명했으나, 회담은 협정을 맺는 데 실패하였고, 미국은 조약이 체결되기 전까지 4년간 베트남에 더 주둔하였다.[40]
1970년 로지는 바티칸 주재 미국 특별 교섭인으로 임명되었으며, 1977년 매사추세츠 주 베벌리의 자택으로 은퇴할 때까지 그 직책으로 조국에 봉사하였다.[40] 1985년 2월 27일 8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9. 사망
헨리 캐벗 로지 주니어는 오랜 투병 끝에 1985년 2월 27일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5] 그는 매사추세츠주 워터타운의 마운트 오번 묘지에 안치되었다.[45] 로지 사후 2년 후, 그의 아내 에밀리 에스터 시어스는 포레스터 A. 클락과 재혼했다.[46] 그녀는 1992년 폐암으로 사망하여 캐벗 로지 가족 납골당에 첫 번째 남편 옆에 안치되었다.[46]
10.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선거인단) | 결과 | 당락 |
---|---|---|---|---|---|---|---|
1936년 선거 | 상원의원 (매사추세츠 제2부) | 75대 | 공화당 | 48.53% | 875,160표 | 1위 | |
1942년 선거 | 상원의원 (매사추세츠 제2부) | 78대 | 공화당 | 52.44% | 721,239표 | 1위 | 25px |
1946년 선거 | 상원의원 (매사추세츠 제1부) | 80대 | 공화당 | 59.55% | 989,736표 | 1위 | 25px |
1952년 선거 | 상원의원 (매사추세츠 제1부) | 83대 | 공화당 | 48.35% | 1,141,247표 | 2위 | 낙선 |
1960년 선거 | 미국의 부통령 | 37대 | 공화당 | 49.55% | 34,108,157표 (219명) | 2위 | 낙선 |
참조
[1]
서적
The Scribner Encyclopedia of American Lives: 1981-1985
https://books.google[...]
Charles Scribner's Sons
[2]
백과사전
LODGE, John Davis, (1903–1985)
http://bioguide.cong[...]
2011-07-29
[3]
웹사이트
Henry Cabot Lodge, Jr. Photographs II
http://www.masshist.[...]
MHS
2011-12-24
[4]
뉴스
Lodge at Harvard: Loyal Conservation 'Who Knew Just What He Wanted to Do'
https://www.thecrims[...]
1960-11-04
[5]
백과사전
LODGE, Henry Cabot, Jr.,(1902 - 1985)
http://bioguide.cong[...]
2016-01-15
[6]
잡지
Into the Funnel
https://web.archive.[...]
Time
1942-07-04
[7]
잡지
For Services Rendered
https://web.archive.[...]
Time
1942-07-20
[8]
잡지
Lodge in the Field
https://web.archive.[...]
Time
1944-02-14
[9]
웹사이트
Lodge, Henry Cabot, Jr. - Biographical Information
http://bioguide.cong[...]
2018-06-07
[10]
잡지
People
https://web.archive.[...]
Time
1944-10-09
[11]
잡지
Reservations
https://web.archive.[...]
Time
1945-03-19
[12]
서적
Hearings Before the Committee on Foreign Relations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5
[13]
서적
Army, Navy, Air Force Journal
https://books.google[...]
Army and Navy Journal Incorporated
1960
[14]
잡지
Obituary: Henry Cabot Lodge
https://books.google[...]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y
1985
[15]
문서
Tydings hearing
[16]
간행물
Congressional Record
1950-07-24
[17]
간행물
Congressional Record
1950-07-24
[18]
문서
Tydings report
[19]
서적
Blacklisted by History
https://archive.org/[...]
Crown Forum
[20]
서적
Kennedy versus Lodge: The 1952 Massachusetts Senate Race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Homework Help and Textbook Solutions | bartleby
https://www.bartleby[...]
[22]
학술지
Great Britain's Latin American Dilemma: The Foreign Office and the Overthrow of 'Communist' Guatemala, June 1954
[23]
서적
The Fish that Ate the Whale
https://archive.org/[...]
Farrar, Straus & Giroux
[24]
서적
American Sugar Kingdom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5]
서적
A History of Latin America
Wadsworth
2013
[26]
서적
Bitter Fruit: The Untold Story of the American Coup in Guatemala
Doubleday & Company, Inc.
[27]
잡지
People
https://content.time[...]
1960-02-22
[28]
뉴스
The New York Times
1960-10-14
[29]
웹사이트
The Atlantic Council—The Early Years
http://www.nato.int/[...]
NATO
1998-06-01
[30]
비디오
Interview with Henry Cabot Lodge
http://openvault.wgb[...]
Open Vault, WGBH Media Library and Archives
1979
[31]
서적
Triumph Forsaken: The Vietnam War, 1954–196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뉴스
Poll Shows Kennedy Again Most Admired
https://www.newspape[...]
1963-01-01
[33]
뉴스
Rockefeller Leads GOP Voter Survey
https://www.newspape[...]
1963-01-13
[34]
뉴스
Curtis and Graham Lead GOP Poll For Governor's Seat
https://www.newspape[...]
1963-06-22
[35]
뉴스
How Henry Cabot Lodge, Jr. Won the 1964 New Hampshire Primary Without Lifting a Finger
https://slate.com/ne[...]
[36]
웹사이트
Union-Leader: Lodge's write-in victory
http://www.unionlead[...]
2007-08-02
[37]
웹사이트
Draft Lodge
https://web.archive.[...]
2018-10-01
[38]
서적
Before the Storm: Barry Goldwater and the Unmaking of the American Consensus
2009
[39]
뉴스
Lodge Denounces Party Realigning; 'Totally abhorrent', he says of Goldwater's proposal
The New York Times
1964-11-16
[40]
웹사이트
Henry Cabot Lodge Jr. (1902–1985)
https://history.stat[...]
2018-10-24
[41]
웹사이트
Henry Cabot Lodge, Jr. Photographs II, ca. 1880-1979
http://www.masshist.[...]
[42]
간행물
Milestones, Aug. 8, 1960
http://content.time.[...]
1960-08-08
[43]
뉴스
Henry S. Lodge, Author of 'Younger Next Year' Books, Dies at 58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3-03-02
[44]
문서
Roster of the Society of the Cincinnati
1974
[45]
웹사이트
Henry Cabot Lodge, Jr. (1902-1985) | Mount Auburn Cemetery
https://mountauburn.[...]
[46]
뉴스
Emily Lodge Clark, 86; Was Senator's Widow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2-06-10
[47]
웹사이트
The Political Graveyard
http://politicalgrav[...]
2007-07-06
[48]
간행물
Into the Funnel,
http://www.time.com/[...]
1942-07-02
[49]
간행물
For Services Rendered,
http://www.time.com/[...]
1942-07-20
[50]
간행물
Lodge in the Field,
http://www.time.com/[...]
1944-02-14
[51]
웹사이트
http://bioguide.cong[...]
[52]
간행물
People,
http://www.time.com/[...]
1944-10-09
[53]
간행물
Reservations,
http://www.time.com/[...]
1945-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