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충원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충원역은 대전 도시철도 1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이다. 2003년 7월 25일 역명이 확정되었으며, 2007년 4월 17일 1호선 정부청사역 ~ 반석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출구는 4개이다. 국립대전현충원, 한밭대학교, 시내버스 환승, 셔틀버스 이용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 유성구의 전철역 - 구암역 (대전)
구암역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암동에 있는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철역으로, 2007년 개통하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유성온천역과 현충원역 사이에 위치하고 유성시장, 유성시외버스터미널 등과 가깝다. - 대전 유성구의 전철역 - 지족역
지족역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지족동에 위치한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철역으로, 곡선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인근에 여러 시설이 있다. -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대전역 (도시철도)
대전역은 대전 동구 중앙동에 위치한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역으로, 한국철도공사 대전역과 인접해 있으며 1호선 역들 중 승객이 가장 많다. -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오룡역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오룡역은 오류동과 용두동의 이름을 딴 지하철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서대전역, 코스트코 대전점, 을지대학교 대전캠퍼스 등 주변 시설과 함께 2006년 개통되었다. - 대전 도시철도 - 서대전역
1936년 개업한 서대전역은 호남선의 분기점으로서, 대전시 성장과 함께 발전하여 호남선 복선화 이후 주요 경유지가 되었고, KTX 개통 후 신축되어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거점역이 되었으며, 현재는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열차의 주요 연결 역할을 수행하고 대전 도시철도 1호선과도 인접해 있다. - 대전 도시철도 - 세천역
세천역은 충청남도에 위치한 경부선의 폐쇄된 역으로, 과거 상대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이었으나 현재는 KTX 운행을 위한 선로 개량으로 승강장이 철거되어 여객 및 화물 영업을 하지 않으며, 주변에 호소카와 체육공원 등의 시설이 있다.
현충원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암동 |
노선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2면 2선 |
개업일 | 2007년 4월 17일 |
역 번호 | 118 |
운영 기관 | 대전교통공사 |
인접역 | 구암역: 판암역 방면 월드컵경기장역 (대전): 반석역 방면 |
한국어 역명 | |
한글 | 현충원역 |
로마자 표기 | Hyeonchungwon yeok |
일본어 역명 | |
역명 | 顕忠院駅 |
요미가나 | ヒョンチュンウォン |
로마자 표기 | National Cemetery |
부역명 | 한밭대 - Hanbat Nat'l Univ. |
기타 정보 | |
관리 | 대전교통공사 |
2. 연혁
(내용 없음)
2. 1. 역명 확정
2003년 7월 25일에 역명이 '''현충원(한밭대)역'''으로 확정되었다.[2]2. 2. 개통
- 2003년 7월 25일: '''현충원(한밭대)역'''으로 역명이 확정되었다.[2]
- 2007년 4월 17일: 대전 도시철도 1호선 2단계 구간인 정부청사역 ~ 반석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영업을 시작하였다.
3. 역 구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출구는 4개이다.
3. 1.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4개이다.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부여되지 않았다.
4. 역 주변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역명을 따왔으나, 실제 국립대전현충원과는 2.6km 정도 떨어져 있다. 병기역명인 국립한밭대학교와도 2.8km 정도 떨어져 있다. 하지만 이 역에서 시내버스로 환승하여 국립대전현충원과 한밭대학교로 갈 수 있으며, 국립대전현충원까지 운행하는 셔틀버스도 있어 접근성은 좋은 편이다. 호국 보훈의 달인 매년 6월에는 도착 안내 방송 배경음으로 애국가 전주 부분이 나온다.
주변의 주요 시설 및 교통편은 다음과 같다.
분류 | 시설명 | 교통편 |
---|---|---|
교육/연구 | 한밭대학교 | 시내버스 102번, 103번, 104번, 113번 이용 |
보훈 | 국립대전현충원 | 시내버스 48번, 107번 이용, 셔틀버스 운행 |
기업/기관 | 삼성화재 유성연수원 | |
기업/기관 | 신협 연수원 | |
정부기관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측위정보원 | |
정부기관 | 국토교통부 위성항법중앙사무소 | |
자연/휴양 | 수통골 |
5. 연계 교통
공주를 경유하여 서대전, 대전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1번 출입구 옆 시내버스 정류장에 정차하여 승객을 하차시킨다. 단, 이 정류장에서는 승차가 불가능하며, 시외버스를 타려면 유성으로 가야 한다.
6. 승차량 변동
wikitext
역 노선 | 1일 평균 승차 인원[3] | |||||||||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1호선 | 미개통 | 853 | 1,135 | 1,594 | 1,628 | 2,057 | 2,580 | 2,726 | 2,695 | 2,594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2,600 | 2,564 | 2,503 | 2,524 |
7. 인접한 역
(판암 방면)
(반석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