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광역시 시내버스는 1952년 계룡버스의 운행을 시작으로 도입되었으며, 도시 발달에 따라 노선이 변천해 왔다. 1979년에는 여러 업체로 분사되었고, 1990년대 이후 둔산신도시 개발과 유성 부도심화에 따라 세 자리 번호 체계로 변경되었다. 2003년 노선 대개편, 2005년 준공영제 시행, 2006년 대전 도시철도 1호선 개통을 거쳐 현재 광역, 급행, 일반, 외곽, 맞춤, 유성구 마을버스, 인접 시·군 노선으로 구분되어 운행된다. 2008년 12월 30일 노선 전면 개편을 통해 요금 체계, 노선 분류, 환승 시스템 등이 변경되었으며, 버스 운행 정보, 와이파이 존, 테마 버스 운영, 안내 방송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내버스 운임은 2011년부터 기본 운임 제도를 따르며, 교통카드 사용, 환승 할인, 시외 운임 등이 적용된다. 또한, 버스전용차로 운영과 무인단속 시스템을 통해 버스 운행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광역시의 버스 교통 - 대전복합터미널
    대전복합터미널은 1979년 개장한 종합 버스터미널로 고속버스터미널과 시외버스터미널을 통합 운영하며, 전국 각지로 운행하는 버스 노선을 제공한다.
  • 대전광역시의 버스 교통 - 대전청사버스정류장
    대전청사버스정류장은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에 위치하며, 서울, 광주, 전주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버스 노선과 김포국제공항, 동서울, 인천국제공항 등 다양한 지역을 잇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정류장이다.
  • 교통에 관한 - 고속철도
    고속철도는 시속 200km 이상으로 운행되는 철도 시스템으로, 국가별 기술과 운영 방식의 차이가 있으며 경제 성장과 국토 개발에 기여하지만 환경 문제와 사회적 비용에 대한 논의가 있는 교통 시스템이다.
  • 교통에 관한 - 대중교통
    대중교통은 다수를 위한 유료 교통수단으로, 수상 교통과 역마차에서 시작하여 트램, 철도, 버스, 지하철, 항공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발전과 과제 해결을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개요
지역대전광역시
구분시내버스
관리 기관대전광역시청 버스운영과
차적지대전광역시
운행 지역대전광역시 전역 및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계룡시, 공주시, 금산군, 충청북도 청주시, 옥천군 일부
노선수111개
인가대수1,030대
지불 수단교통카드
선불 카드티머니(대전에서는 한꿈이카드로 나옴), 레일플러스(대전 도시철도 1호선에서도 사용 가능), 한페이
후불 카드국민, 농협, 롯데(T형과 MT형 사용가능, M형 사용불가.), BC, 삼성, 신한, 하나, 현대(T형 사용가능, M형 사용불가.)
사이트대전교통정보센터
대전 버스
(시계방향으로)직행좌석버스, 급행버스, 지선버스, 간선버스
유성구 마을버스
지역대전광역시 유성구
구분마을버스
관리 기관대전광역시 유성구청 교통과
차적지대전광역시
운행 지역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선수3개
인가대수18대
지불 수단교통카드
선불 카드대전시내버스와 동일
후불 카드대전시내버스와 동일
유성구 마을버스
유성구 마을버스

2. 역사

개편 전 도색


2003년 10월 1일, 노선 수가 많아지고 중복 및 굴곡 노선이 심해짐에 따라 시내버스 노선이 대개편되었다.[8] 2005년부터는 시에서 운영 비용을 보조하는 준공영제가 시행되었고, 2006년 대전 도시철도 1호선 개통으로 중복 노선이 제거되고 도시철도 연계 환승 체계가 구축되었다.

2. 1. 초기 역사 (1952년 ~ 1990년대)



대전 시내버스는 1952년 계룡버스가 운행을 시작하면서 처음 도입되었다.[8] 대전의 버스 노선은 도시 발달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1979년에는 당시 대전 시내버스 4개 업체가 14개 업체로 분사되었다. 1990년대 이전에는 대전역서대전역을 중심으로 시가지를 이루고 있었으며, 두 자리 번호의 버스가 운행되었다.

2. 2. 1990년대 이후 ~ 2008년 대개편 이전



1990년대 이전에는 대전역서대전역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어, 두 자리 번호의 버스들이 운행되었다.[8] 1990년대 이후 둔산신도시 개발과 유성의 부도심화에 따라 버스 번호 체계가 세 자리로 변경되었고, 장거리 노선을 위해 좌석버스가 신설되어 운행되었다. (적어도 1987년에 냉방 좌석버스 도입 이후로 추정)[8]

2. 3. 2008년 시내버스 대개편

2008년 12월 30일 노선이 전면 개편되면서 일반버스와 좌석버스의 구분이 없어졌다. 버스 요금은 현금으로 낼 경우 성인 1,000원, 중고생 700원, 초등학생은 300원으로 통일되었으며, 교통카드를 이용할 경우 성인과 중고생은 50원씩 할인된 금액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노선 형태를 급행, 간선, 지선, 외곽 노선으로 분류하고, 각 노선에 다른 색상을 적용하여 구분하기 쉽게 하였다. 급행노선은 빨간색, 간선노선은 파란색, 지선노선은 초록색 도색을 사용하였다. 버스 노선 번호도 모두 변경되었는데, 100번대는 유성지역, 200번대는 진잠·원내동, 300번대는 안영동, 500번대는 산내·구도동 일대, 600번대는 원도심, 700번대는 신탄진, 800번대는 대덕테크노밸리, 900번대[9]는 둔산지역을 운행하는 노선임을 알 수 있게 하였다.

환승 시스템도 변경되어 무료 환승 횟수가 기존 60분 이내 1회에서 80분 이내 3회(평일 기준 배차간격 15분까지는 30분, 배차간격 16분 이상은 60분 이내 무료환승)로 늘어났다. (현재는 하차단말기 시행에 따라 하차 태그 후 30분 이내(배차간격 15분 이하 노선), 60분 이내(배차간격 16분 이상 노선)로 변경되었으며, 횟수는 동일하다.) 또한, 부모와 동승하는 만 6세 미만 어린이의 무임승차 인원은 기존 1명에서 3명으로 확대되었다.[10][11]

3. 노선

급행1번 3문 저상버스


대전 시내버스는 급행, 광역, 일반, 외곽, 맞춤, 유성구 마을버스, 그리고 인접 시·군 노선으로 구분된다. 각 노선은 번호를 통해 구분하는데, 한 자릿수는 주요 구간을 급행으로 운행하는 급행버스, 두 자릿수는 외곽버스, 세 자릿수는 시내버스이다.

대전 시내버스의 노선 목록은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운행 중인 대전 시내버스와 인접 시·군 노선은 다음과 같다.

구분노선
광역B1(BRT) BRT영어 · 1001 · 1002
급행급행1 · 급행2 · 급행3 · 급행4
일반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13 · 114 · 115 · 119 · 201 · 202(계룡2002· 203 · 211 · 213 · 216 · 301 · 311 · 312 · 314 · 315 · 316 · 318 · 501 · 511 · 512 · 513 · 514 · 601 · 602 · 603 · 604 · 605 · 607(대전,옥천· 608 · 611 · 612 · 613 · 615 · 616 · 617 · 618 · 619 · 701 · 703 · 704 · 705 · 706 · 707 · 711 · 802 · 116 · 117 · 121 · 212 · 313 · 317 · 606 · 614 · 620 · 622 · 712 · 911 · 912 · 916 · 918
외곽11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30 · 31 · 32 · 33 · 34 · 41 · 42 · 46 · 52 · 60 · 61 · 62 · 63 · 66 · 71 · 72 · 73 · 74 · 75
맞춤특구1
유성구 마을버스마을1 · 마을3 · 마을5
세종300 · 655 · 661 · 691 · B2 · B4 · 1000 · 1001(세종) · 1004 · 1005
공주300 · 301 · 302 · 303 · 340 · 341 · 342
계룡43 · 45 · 47 · 48 · 2002
청주32 · 41 · 42 · 405 · 407
옥천607(옥천)
금산81


3. 1. 번호 체계

두 자릿수 번호는 외곽버스이며, 세 자리수 번호는 시내버스이다. 간선 및 지선버스의 경우 개편 초기에는 십의 자리가 0인 세 자리 번호는 간선버스, 십의 자리가 0이 아닌 세 자리 번호는 지선버스로 구분하였으나, 현재는 간선과 지선의 구분이 모호해져서 노선 번호의 십의 자리와는 관계없이 차량의 크기를 기준으로 대형 및 중형 노선으로 구분한다.

3. 2. 노선 목록



현재 운행 중인 모든 노선 목록은 다음과 같다.

구분노선
광역B1(BRT) BRT영어 · 1001 · 1002
급행급행1 · 급행2 · 급행3 · 급행4
일반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13 · 114 · 115 · 119 · 201 · 202(계룡2002· 203 · 211 · 213 · 216 · 301 · 311 · 312 · 314 · 315 · 316 · 318 · 501 · 511 · 512 · 513 · 514 · 601 · 602 · 603 · 604 · 605 · 607(대전,옥천· 608 · 611 · 612 · 613 · 615 · 616 · 617 · 618 · 619 · 701 · 703 · 704 · 705 · 706 · 707 · 711 · 802 · 116 · 117 · 121 · 212 · 313 · 317 · 606 · 614 · 620 · 622 · 712 · 911 · 912 · 916 · 918
외곽11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30 · 31 · 32 · 33 · 34 · 41 · 42 · 46 · 52 · 60 · 61 · 62 · 63 · 66 · 71 · 72 · 73 · 74 · 75
맞춤특구1
유성구 마을버스마을1 · 마을3 · 마을5



인접 시·군 노선은 다음과 같다.


4. 운임

2008년 12월 30일 노선 전면 개편으로 일반버스와 좌석버스 구분이 없어졌다. 버스 요금은 교통카드를 이용할 경우 성인은 50원 할인된 금액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버스 노선 번호는 100번대는 유성지역, 200번대는 진잠·원내동, 300번대 안영동, 500번대 산내·구도동 일대, 600번대 원도심, 700번대 신탄진, 800번대 대덕테크노밸리, 900번대[9]는 둔산지역을 운행하도록 변경되었다.

환승 시스템도 변경되어 무료 환승 횟수가 기존 60분 이내 1회에서 80분 이내 3회(평일 기준 배차간격 15분까지는 30분, 배차간격 16분 이상은 60분 이내 무료환승)로 늘어났다. 현재는 하차 단말기 시행에 따라 하차 태그 후 30분 이내(배차간격 15분 이하 노선), 60분 이내(배차간격 16분 이상 노선)에 3회까지 환승할 수 있다. 부모와 동승하는 6세 미만 어린이의 무임승차 인원은 1명에서 3명으로 늘었다.[10][11]

4. 1. 운임 체계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운임의 현행 기본 운임 제도는 2011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으며[16], 대전광역시 시내 구간만을 이용했을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 시내 외곽 지역은 지역별로 추가 운임을 징수하고 있다.[17][18] 2015년 7월 1일부터 시내버스 운임이 인상되었고,[20] 2024년 1월 1일부터 성인 운임이 인상되었다.

종류나이카드 (원)종류나이카드 (원)종류나이카드 (원)
바로타대인 (만 19세 이상)1700KRW일반대인 (만 19세 이상)1500KRW[21][22][23]유성구
마을버스
대인 (만 19세 이상)1350KRW[24]
청소년 (만 13세 ~ 18세)1100KRW청소년 (만 13세 ~ 18세)750KRW
어린이 (만 7세 ~ 12세)700KRW어린이 (만 7세 ~ 12세)350KRW어린이 (만 7세 ~ 12세)350KRW


  • 운임은 선불교통카드인 티머니(신형 한꿈이카드), 레일플러스, 이즐, 한페이, 신용/체크카드겸용 후불교통카드로 지불할 수 있다.
  • 6살 이하의 미취학 아동의 무임승차는 최대 3명까지 가능하다. 4명 이상 승차시 3명의 운임을 내지 않지만, 나머지 아동은 초등학생 운임을 지불해야 한다.
  • 2022년 7월 1일부터 BRT B1번과 특구1번의 현금 지불이 폐지되었고, 2022년 9월 1일부터 전체 노선 현금 승차가 폐지되었다.

4. 2. 지불 방식

티머니(신형 한꿈이카드), 레일플러스, 이즐, 한페이, 신용/체크카드 겸용 후불교통카드로 운임을 지불할 수 있다.[16][17][18][19][20][21][22][23][24] 2011년 2월 14일까지 판매한 구형 한꿈이카드는 2018년 6월 1일부터 사용이 완전히 불가능하다. 승차권은 2008년 1월 1일 이후로 판매하지 않는다.

부모와 동승하는 6세 미만 어린이는 3명까지 무임승차가 가능하다.[10][11] 4명 이상 승차할 경우 3명의 운임은 내지 않지만, 나머지 아동은 초등학생 운임을 지불해야 한다.

2022년 7월 1일부터 BRT B1번과 특구1번은 현금 지불이 폐지되었고, 2022년 9월 1일부터 모든 노선에서 현금 승차가 폐지되었다.

4. 3. 환승 할인

환승 할인 제도는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사람에게만 적용되며, 버스에서 내린 후 3회까지 버스 노선 간 환승은 물론 대전 도시철도까지(환승 후 10km 이상 이용하는 경우 2구간 운임 적용)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하차 시 교통카드 단말기에 카드를 댄 시간을 기준으로 급행버스 노선, 일부 일반버스 노선 등 40개 노선은 30분까지, 배차간격이 16분 이상인 일반버스 노선과 외곽버스 노선, 유성구 마을버스 노선 등 55개 노선은 60분까지 적용된다.[25] 같은 노선 간의 환승은 종점 부근에 편도 구간이 있거나 출발지와 종점이 같은 노선 등 특정 노선과 정류소에 한해서만 가능하다.[25]

2024년 8월 26일 광역권 환승 할인제가 적용되어,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과 일부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시 시내버스), 청주시 (청주시 시내버스), 공주시 (공주시 시내버스) 노선 간의 상호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26]

시내버스, 마을버스, 도시철도 간 환승 시 운임 변화
구분환승 전환승 후대인청소년어린이
시내버스마을버스1,500원 → 0원750원 → 0원350원 → 0원
마을버스시내버스1,350원 → 150원650원 → 100원300원 → 50원
시내버스대전 도시철도1,500원 → 50원750원 → 0원350원 → 0원
도시철도시내버스1,550원 → 0원880원 → 0원550원 → 0원
마을버스도시철도1,350원 → 200원650원 → 230원300원 → 250원
도시철도마을버스1,550원 → 0원880원 → 0원550원 → 0원


4. 4. 시계외 운임

대전광역시 시내버스는 시외로 운행할 때 추가 운임을 징수한다.[17][18] 시계외 운행 지역 및 노선은 다음과 같다.



시외 구간만 이용할 경우 바로타(BRT) B1 노선은 일반 1,700원, 청소년 1,100원, 어린이 700원이다.

5. 교통카드

대전 시내버스에서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는 2011년 2월 15일부터 새로 발급된 한꿈이카드(티머니)이며 서울/경기 지역 등에서 사용한 티머니, 레일플러스, 한페이, 이즐, 원패스 그리고 지정된 후불 교통카드만 사용가능하다. 교통카드 단말기는 티머니에서 대행하고 교통카드 관리는 하나은행에서 대행하고 있다. 한꿈이카드로는 대전지역의 GS25, CU, 세븐일레븐 등 제휴가맹점, 인식기를 장착한 자판기 등에서 상품구매도 가능하며 GS25, CU, 세븐일레븐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단, 구형 비자캐시 한꿈이카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캐시비와 원패스 카드는 2018년 5월 31일부터 사용이 가능해졌고 캐시비는 국토교통부 인증 전국호환 규격 카드가 먼저 사용이 가능해졌으며 모바일캐시비는 2019년 5월 31일부터 사용이 가능해졌다. 기존 캐시비, 구형 이비카드, 구형 한꿈이카드, 구형 마이비카드 등은 사용이 불가능하다.[1]

6. 버스전용차로 운영

대전광역시는 버스의 운행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계백로에 버스전용차로를 시범 운영한 이후 계룡로, 도산로, 동서대로, 한밭대로, 대덕대로 등에도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다.

대전광역시는 대한민국 최초로 2008년 9월부터 시내버스를 이용한 무인단속 시스템을 도입하여 버스전용차로를 위반한 차량을 단속하고 있다.[27][28] 시내버스 10대에 무인단속 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단속 방법은 앞차가 먼저 불법 주차된 차량을 발견해서 단속한 다음에 뒷차가 해당 차량을 단속하면 과태료가 부과되는 방식이다.[29] 이를 이용하여 인도 위의 불법 주정차 차량도 단속하고 있다. 또한 별도로 4대의 단속 전용차량에도 무인 단속 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30]

6. 1. 운영 구간

계백로에 버스전용차로를 시범 운영한 이후 계룡로, 도산로, 동서대로, 한밭대로, 대덕대로에도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다. 운영시간은 오전 7시부터 9시까지, 그리고 오후 6시부터 8시까지이며 토요일 오후와 일요일, 공휴일은 운영하지 않지만 이는 중앙버스전용차로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최근에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이 크게 늘어나 도안동로, 도안대로, 대전로, 오정로, 갑천도시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에서 24시간 전일제로 중앙버스전용차로제를 실시하고 있다.[27][28]

구간구간 상세
계룡로유성온천역 ~ 큰마을네거리 ~ 용문역 ~ 서대전네거리 7.8km
계백로진잠네거리 ~ 도마네거리 ~ 서대전역 ~ 서대전네거리 8.3km
계족로중리네거리 ~ 법동 ~ 대전지방국세청 ~ 읍내삼거리 2.4km
대덕대로큰마을네거리 ~ 정부청사역 ~ 대덕대교 ~ 연구단지 4.2km
도산로용문역 ~ 변동오거리 ~ 구농도원네거리 ~ 도마네거리 3.3km
동서대로비래동 ~ 복합터미널 ~ 용전네거리 ~ 중촌네거리 ~ 오룡역 ~ 태평오거리 5.9km
대전로삼성네거리 ~ 대전역 ~ 원동네거리 ~ 인동네거리 ~ 효동네거리 2.6km
중앙로서대전네거리 ~ 중구청역 ~ 중앙로역 ~ 대전역 2.1km
한밭대로중리네거리 ~ 한밭대교 ~ 정부청사역 ~ 월평역 ~ 충대정문오거리 7.9km
갑천도시고속도로당산교 ~ 한빛대교 ~ 용신교 ~ 문평대교 7.8km
구즉세종로문평대교 ~ 둔곡동 ~ 세종특별자치시 경계 4.7km
대전로한남오거리 ~ 홍도육교오거리 ~ 삼성네거리 1.4km
도안대로용계동 ~ 원골네거리 ~ 원신흥동 ~ 유성온천역 3km
도안동로만년교 ~ 용반교 ~ 옥녀봉네거리 ~ 용소삼거리 ~ 가수원네거리 5.1km
북유성대로외삼동 ~ 남세종IC ~ 세종특별자치시 경계 2.9km
오정로농수산시장오거리 ~ 오정동주민센터 ~ 한남오거리 1.3km


6. 2. 운영 시간

계백로에 버스전용차로를 시범 운영한 이후 계룡로, 도산로, 동서대로, 한밭대로, 대덕대로에도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다. 일반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간은 평일 오전 7시부터 9시까지, 그리고 오후 6시부터 8시까지이며 토요일 오후와 일요일, 공휴일은 운영하지 않는다. 중앙버스전용차로는 이에 해당되지 않으며, 최근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이 크게 늘어나 도안동로, 도안대로, 대전로, 오정로, 갑천도시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에서 24시간 전일제로 운영되고 있다.[27][28][29][30]

6. 3. 무인단속 시스템

대전광역시대한민국 최초로 2008년 9월부터 시내버스를 이용한 무인단속 시스템을 도입하여 버스전용차로를 위반한 차량을 단속하고 있다.[27][28] 시내버스 10대에 무인단속 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단속 방법은 앞차가 먼저 불법 주차된 차량을 발견해서 단속한 다음에 뒷차가 해당 차량을 단속하면 과태료가 부과되는 방식이다.[29] 이를 이용하여 인도 위의 불법 주정차 차량도 단속하고 있다. 또한 별도로 4대의 단속 전용차량에도 무인 단속 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30]

7. 첨단교통서비스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지능형 교통 체계(ITS)를 도입하여 버스의 정시 운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2009년 4월부터 인공위성 위치 추적 시스템을 활용한 실시간 버스 운행 관리 시스템을 구축 가동하고있다.[31] 대전·세종·청주 축의 광역버스정보시스템 구축에 따라 버스 정류장에서 세종·청주 소속 노선의 운행 정보도 제공된다.[32]

7. 1. 버스 운행 정보 제공

대전광역시 시내버스는 지능형 교통 체계를 도입하여 버스의 정시 운행을 가능하게 하고, 버스 운행 정보를 인터넷으로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으로 버스의 현재 위치를 검색할 수 있고, 버스 정류장에서는 버스 도착 예정 시간을 안내하고 있다. 또한 2009년 4월부터 인공위성 위치 추적 시스템을 활용한 실시간 버스 운행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가동하고 있다.[31] 대전·세종·청주 축의 광역버스정보시스템 구축에 따라 서로 버스 운행 정보가 공유되며, 버스 정류장에서 세종·청주 소속 노선의 운행 정보도 제공된다.[32]

8. 와이파이 존

대전광역시에서는 대한민국 최초로 SK텔레콤과 협력하여 2010년 6월 105번 버스 등에 와이파이존을 시범 구축하였다. 시범 운영 결과, 오류 현상은 없었으며 추후 전 노선으로 확대할 예정이었다. 단말기는 대부분 출입문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경익운수 소속 및 차적의 노선버스 차량에는 KT 와이파이도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들 와이파이 이용은 해당 통신사 가입자만 가능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18년부터 시행하는 전국 공공 와이파이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버스 내 노후된 구형 와이파이 장비들의 상당수가 교체되었다. 이에 따라 특정 통신사에 구애받지 않고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33][34]

9. 테마 시내버스

대전 오-월드를 경유하는 버스에는 동물원 테마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10. 안내 방송

대전 시내버스에서는 관공서, 유적지, 지하철역 등 주요 정류장에서 영어 안내 방송을 제공한다. 안내 방송은 방송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송출된다.[1]

버스 운행 시작 시에는 "이 버스의 노선 번호는 ○○○번입니다. 기사님 친절 안전 운행하시기 바랍니다."라는 안내 방송이 나온다. 다만, 102번, 71번, 72번처럼 임시 경유지를 운행하는 경우에는 안내 방송이 나오지 않는다.[1]

2017년, 대전 BRT를 제외한 모든 버스 업체의 안내 방송이 기존 영광사에서 유니비전으로 변경되었다. 2018년부터는 교통카드 단말기가 B650 모델로 교체되었다.[1]

11. 운행 업체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여러 운수 업체에서 운영하고 있다. 각 업체의 차고지 위치, 홈페이지 등 자세한 정보는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11. 1.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업체

업체명차고지홈페이지
경익운수대전광역시 유성구 계백로801번길 31 (원내동)[http://www.kicitybus.co.kr/ 홈페이지]
계룡버스대전광역시 대덕구 대화로32번길 521 (대화동)[http://www.kyeryoungbus.com/ 홈페이지]
국민버스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로 756번안길 68-1 (신탄진동)
금남교통대전광역시 대덕구 대전로 1032번길 40 (오정동)
대전교통대전광역시 중구 계룡로 742 (오류동)[http://cafe.daum.net/daejeontransport/ 홈페이지]
대전버스대전광역시 중구 대둔산로137번길 23 (안영동)[http://cafe.naver.com/5869977 홈페이지]
대전승합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로315번길 72 (신대동)rowspan=3|
대전운수
한일버스
동건운수대전광역시 대덕구 산업단지로87번길 56 (신일동)
동인여객대전광역시 동구 금산로 471 (구도동)[http://cafe.daum.net/sunjinkt/ 홈페이지]
산호교통[https://web.archive.org/web/20130518125722/http://sanhobus.co.kr/ 홈페이지]
협진운수대전광역시 유성구 금남구즉로 1377 (봉산동)
대전비알티대전광역시 유성구 금남구즉로 1170 (금고동)


11. 2. 유성구 마을버스 업체

유성마을버스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계산로 194-1 (계산동)에 차고지를 두고 있다. 유성구 마을버스의 노선 선정은 대전광역시가 담당하며, 관리는 유성구가 담당한다.

12. 면허 체계

대전 시내버스는 다음과 같은 면허 체계를 갖추고 있다.

업체명면허 번호
계룡버스대전 75 자 20##, 90##
대전교통대전 75 자 21##
대전버스대전 75 자 22##
경익운수대전 75 자 23## (준대형), 25## (중형)
대전운수대전 75 자 32## (준대형, 구 한밭여객→선진여객), 35## (구 한밭여객→선진여객), 36## (중형, 구 한밭여객→선진여객)
금남교통대전 75 자 33##
대전승합대전 75 자 91## (구 충진교통)
한일버스대전 75 자 92##
협진운수대전 75 자 93##
산호교통대전 75 자 94## (구 신일교통)
국민버스대전 75 자 95## (구 금성교통)
동인여객대전 75 자 96## (구 대흥교통→선진교통)
산호교통대전 75 자 97## (구 서진교통, 2004년 합병)
동건운수대전 75 자 98##


참조

[1] 문서 계룡시의 시내버스
[2] 문서 한꿈이카드
[3] 문서 대전 도시철도 1호선
[4] 문서 T형과 MT형 사용가능, M형 사용불가
[5] 문서 T형 사용가능, M형 사용불가
[6] 뉴스 대전 버스 준공영제 7월4일 시행 http://www.hani.co.k[...] 한겨레 2005-06-22
[7] 웹인용 대전사랑 교통정보 https://web.archive.[...] 2007-08-30
[8] 뉴스 대중교통을 이용합시다 - 대전시 노선 개편안 확정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9] 문서 912번 제외
[10] 뉴스 30일부터 대전시내버스 노선 개편 https://news.naver.c[...] 대전일보 2008-12-29
[11] 뉴스 "[대전/충남]대전 시내버스 노선 56년 만에 확 바뀐다"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8-12-30
[12] 문서 317번 제외
[13] 문서 617번 제외
[14] 문서 74번, 706번, 707번 제외
[15] 문서 912번 제외
[16] 뉴스 대전 시내버스 운임 14.5% 인상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6-10-16
[17] 문서 대전시계부터 1km당 107.84원이 추가된다.
[18] 웹사이트 대전시버스운송사업조합 페이지 http://www.daejeonbu[...]
[19] 뉴스 대전~충남 시내버스 운임 인상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0-02-04
[20] 웹사이트 시내버스 운임조정 안내문 http://www.daejeon.g[...] 대전광역시청
[21] 문서 2024년 1월 1일부터 1,500원으로 인상
[22] 웹사이트 https://www.chosun.c[...]
[23] 문서 현금(계좌이체) 요금 1,700원
[24] 웹사이트 https://n.news.naver[...]
[25] 웹사이트 http://www.daejeonbu[...]
[26] 웹사이트 https://traffic.daej[...]
[27] 뉴스 시내버스에 CCTV 달아 버스전용차로 단속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8] 뉴스 ‘독수리의 눈’을 아시나요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9] 뉴스 도로변 불법 주차 발붙이지 못한다 http://www.jejunews.[...] 제주일보
[30] 뉴스 대전시 버스전용차로, 불법주차 집중단속 http://www.gocj.net/[...] 시티저널
[31] 뉴스 대전 시내버스 개편 ‘효과 톡톡’ http://daejonilbo.co[...] 대전일보
[32] 문서 2015년 2월 기준 아직 완벽하지는 않지만 세종버스와 청주버스도 서비스 중이다.
[33] 뉴스 "데이터 걱정마세요"…전국 시내버스서 와이파이 터진다 https://news.mt.co.k[...] 머니투데이
[34] 뉴스 2025년까지 대전 5564개소에 무료 공공와이파이 터진다 https://www.newspim.[...] 뉴스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