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혼다 아스코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혼다 아스코트는 1989년부터 1997년까지 생산된 혼다의 준중형 세단이다. 1세대는 4세대 어코드의 자매 차종으로 출시되어 세단다운 디자인과 고급 사양을 갖추었으며, 아스코트 이노바라는 하드톱 모델도 파생되었다. 2세대는 1세대 인스파이어의 플랫폼을 공유하여 1993년 풀 모델 체인지를 거쳤으나, 판매 부진으로 1997년에 단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9년 도입된 자동차 - 마쓰다 MX-5
    마쓰다 MX-5는 로터스 엘란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과 뛰어난 핸들링으로 인기를 얻은 마쓰다의 경량 2인승 로드스터로, 4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2인승 스포츠카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 1989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캐피탈
    기아 캐피탈은 기아가 1989년 프라이드와 콩코드 사이의 차종 공백을 메우기 위해 콩코드의 차체를 기반으로 디자인을 차별화하여 개발한 승용차로, 대한민국 최초로 DOHC 엔진을 추가하기도 했으나 시대에 뒤쳐진 디자인과 경쟁력 약화로 1996년에 단종되었다.
  • 혼다 자동차 차종 - 혼다 CR-V
    혼다 CR-V는 혼다에서 생산하는 승용형 SUV로, 1995년 1세대 출시 이후 현재 6세대까지 판매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시장에는 2세대부터 정식 수입되었고, 2023년 6세대 모델이 출시되었다.
  • 혼다 자동차 차종 - 혼다 NSX
    혼다 NSX는 F1 기술을 응용한 알루미늄 차체와 VTEC 엔진을 탑재한 미드십 스포츠카로, 운전자 중심 설계를 통해 슈퍼카의 대중화를 이끌었으며, 2016년에는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적용한 2세대 모델이 출시되었다.
  • 혼다 - 혼다 CR-V
    혼다 CR-V는 혼다에서 생산하는 승용형 SUV로, 1995년 1세대 출시 이후 현재 6세대까지 판매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시장에는 2세대부터 정식 수입되었고, 2023년 6세대 모델이 출시되었다.
  • 혼다 - 혼다 센터
    혼다 센터는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에 위치한 다목적 실내 경기장으로, NHL 애너하임 덕스의 홈구장이자 NBA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의 제2 홈구장으로 사용되며, 콘서트, UFC, 프로 레슬링 등 다양한 행사 개최를 통해 서부 해안의 주요 공연장으로 자리매김했고 2028년 하계 올림픽 배구 경기장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혼다 아스코트 - [자동차]에 관한 문서
혼다 어스코트
제조사혼다
조립 공장사이타마현사야마시
차종준중형차
구동 방식전륜구동
생산 기간1989년–1997년
후속 차종혼다 토르네오

2. 1세대 (1989년~1993년)

1989년 9월 13일4세대 어코드의 자매 차종으로 출시되었다.[3] 어코드와는 달리, 6라이트 윈도우의 밝은 외관과 세단다운 보수적이고 포멀한 디자인을 채택했으며, 아코드에는 없는 가죽 시트를 장착한 등급도 있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도 어코드와는 다른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그 외에는 기본적으로 4세대 어코드와 동일하며, 일부 등급에는 제조사 옵션으로 4WS도 제공되었다.

혼다 아스코트 정측면


혼다 아스코트 이노바 정측면


엔진은 어코드와 동일한 알루미늄 합금 블록을 사용한 신형 F형으로, 1.8L와 2.0L가 라인업되었으나, 1991년 8월의 마이너 체인지로 2.0L 전자 제어 기화기 사양(110PS)이 폐지되었다.[4]

혼다 프리모점에서 판매가 이루어졌으며, 스마트하고 진취적인 분위기의 아코드와는 달리, 6라이트 윈도우의 밝은 외관과 세단다운 보수적이고 포멀한 디자인을 채택했다. 또한, 혼다 인스파이어에서 차용한 헤드라이트 유닛을 적용하여 고급스러운 외관을 더했으며, 트렁크 리어 스포일러에 LED 고정식 브레이크등을 설치했다. 아코드에는 없는 가죽 시트를 장착한 등급도 있었다.

초기 광고에는 스가와라 분타와 야마시타 신지가 출연했으며, ''"A-Train"'' 재즈 스탠다드가 광고 음악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혼다는 차량의 마케팅 이미지를 변경하기로 결정하고 에릭 클랩튼을 기용하여 광고를 제작했다.

1990년, 스포츠 감각의 등급 "FBT-i"가 추가되었다. 광고 노래는 에릭 클랩튼의 "BAD LOVE"였으며, TVCM에도 위 두 명을 대신하여 출연했다.

1991년 7월 마이너 체인지. 프런트와 테일 주변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인스트루먼트 패널 디자인이 어코드와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1992년3월 3일에 유럽 사양 어코드 및 그 형제차 로버 600을 하드톱화한 아스코트 이노바가 등장했다.

1993년 9월[4]에 생산 종료. 재고 대응분만 판매되었다.

1993년 10월에 2세대와 교체되는 형태로 판매 종료.

2. 1. 디자인 및 특징

1989년 9월 13일에 출시된 혼다 아스코트는 4세대 어코드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외관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4세대 어코드와 동일했다.[3] 혼다 프리모 판매망을 통해 판매되었으며, ''혼다 클리오''에서 판매되던 어코드와 차별화를 두기 위해 혼다 인스파이어의 헤드라이트 유닛을 차용하고 트렁크 리어 스포일러에 LED 고정식 브레이크등을 설치하는 등 고급스러운 외관을 강조했다.[4]

6개의 라이트 온실을 갖추고 격식 있는 그릴과 아스코트 고유의 후미등 처리를 적용했으며, 리어 범퍼에는 번호판을 들여쓴 디자인을 채택했다. 이러한 스타일링은 혼다 콘체르토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엔진은 1.8L ''F18A'' SOHC I4 엔진과 2.0L ''F20A1'' SOHC I4 엔진, 2.0L ''F20A'' DOHC I4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4단 자동변속기 또는 5단 수동변속기와 조합되었다. 트림 레벨에 따라 4륜 안티록 디스크 브레이크, 트랙션 컨트롤, 점성 커플링 차동 장치, 기계식 4륜 조향 장치, 4륜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등이 제공되었다.

1992년에는 유럽 사양의 5세대 어코드에 프레임리스 도어를 장착한 아스코트 이노바가 출시되었다.

초기 광고에는 스가와라 분타와 야마시타 신지가 출연했으며, ''"A-Train"'' 재즈 스탠다드가 광고 음악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에릭 클랩튼이 광고 모델로 기용되기도 했다. 1991년 7월에는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디자인이 일부 변경되었고, 1993년 10월에 2세대 모델로 교체되며 판매가 종료되었다.

2. 2. 엔진 및 변속기

혼다 아스코트는 F형 엔진을 탑재하였으며, 1.8L와 2.0L 엔진이 라인업되었다. 1991년 8월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2.0L 전자 제어 기화기 사양(110PS)이 폐지되었다.

  • 2,000cc SOHC F20A 엔진 (135 PS)
  • * 2.0i・C
  • * 2.0i
  • * 2.0i・4WS
  • 2,000cc DOHC F20A 엔진 (150 PS)
  • * 2.0Si
  • * 2.0Si・4WS
  • 2,300cc DOHC H23A 엔진 (165 PS)
  • * 2.3Si-Z
  • * 2.3Si-Z・4WS
  • * 2.3Si-Z・TCV
  • * 2.3Si-Z・TCV・4WS


4단 AT 또는 5단 MT가 제공되었다.

2. 3. 아스코트 이노바 (1992년~1996년)

1992년 3월 5일에 출시된 아스코트 이노바(Ascot Innova/ホンダ・アスコットイノーバ일본어)는 CB 어코드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혼다 프렐류드 BB4 시리즈 (1992–1996)와 유사한 스타일의 새롭고 현대적인 디자인의 차체를 갖추었다.[1] 로버 그룹과의 합작으로 탄생하여, 로버 600 시리즈와 유럽형 어코드를 제공하였다.[1]

아스코트 이노바는 기존 아스코트의 6개의 창 배열과 수평형 테일램프, 그리고 길고 매끄럽고 낮은 차체 비율을 유지했다. 프레임이 없는 측면 유리를 장착하여 "필러리스 하드톱" 스타일을 구현했으며, 토요타 카리나 ED/토요타 코로나 EXiV, 닛산 블루버드 ARX, 미쓰비시 에메로드와 같은 차량에 대한 혼다의 답변이었다. 아스코트 이노바는 아스코트와 함께 판매되었으며 아스코트를 대체하지는 않았다.

3가지 4기통 엔진 옵션이 제공되었다. 2.0리터 F20A 유닛 (SOHC)은 2.0iC 및 2.0i 버전에서 135마력, DOHC를 장착한 2.0Si 트림에서 150마력, H 시리즈 2.3리터 H23A 엔진은 165마력을 생산했다. 2.0리터 버전은 유리한 세금 등급을 위해 너비 1,695mm를 유지했지만, 2.3리터 이노바는 1,710mm의 너비를 가져 일본 구매자들은 더 높은 자동차세를 부담해야 했다.

4륜 조향 시스템이 2.0i, 2.0Si, 2.3Si-Z 버전에 제공되었다. 5단 수동 변속기는 2.0iC 버전을 제외하고 제공되었고, 모든 모델에는 4단 자동 변속기가 제공되었다. 아스코트 이노바의 가격은 ¥1,558,000부터 시작했으며, [https://www.youtube.com/watch?v=1DXUKrgmucU 텔레비전 광고 캠페인]은 "하드톱 혁신"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지나 데이비스가 출연했다.

아스코트 이노바는 JDM 전용 모델이었으며, ''혼다 프리모'' 전용 모델이었다. 로버 그룹과의 공동 노력의 결과로 유럽형 어코드로 판매되었으며, 영국의 스윈던에서 제조되어 북미 버전 대신 유럽에서 혼다 어코드로 판매되었다. 유럽형 어코드와 아스코트 이노바는 약간의 차이만 있었으며, 유럽형 어코드는 더 넓고 프레임이 있는 창을 특징으로 했다.

유럽형 어코드는 로버 600의 기반이 되었으며, 로버 600과 스윈던 어코드는 아스코트 이노바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혼다의 F18A 1.8리터 유닛과 로버의 2.0리터 L 시리즈 터보 디젤 엔진도 공유했다. 아스코트 이노바는 1996년까지 생산되었으며, 유럽형 어코드 살룬은 1998년까지 생산되었고, 1996년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다. 1998년에는 완전히 새로운 모델로 대체되었다.

3. 2세대 (1993년~1997년)

wikitext

혼다 아스코트 정측면


2세대 아스코트는 1세대 인스파이어의 플랫폼을 공유하여 1993년 10월 14일에 풀 모델 체인지를 거쳤다.[5] 4도어 세단만 선보였으며, 전륜구동임에도 엔진이 세로로 배치되었다.[5] 차세대(CD) 혼다 어코드가 북미 시장을 위해 크기가 커지면서 일본 세금 등급에 적합한 소형 세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 임무는 새로운 아스코트에게 할당되었다.

새로운 아스코트는 자체 플랫폼(코드명 CE4/5)을 사용했는데, 이는 이전 세대의 플랫폼을 개선한 것이다. 혼다 인스파이어, 혼다 비거 및 혼다 레전드와 마찬가지로, CE 아스코트는 세로로 엔진을 장착했다. 이는 가로 배치 설정을 사용하는 FF 차량과 달리 엔진의 무게를 정렬하고 전면 차축 뒤에 배치하여 차량의 전후 축 사이의 무게 배분을 개선하기 위함이었다. 일본에서 더 작은 G20A 엔진은 일반 등급 연료를 사용했고, 더 큰 G25A 엔진은 고급 등급 연료를 사용했다.

쿠페를 연상시키는 경사진 외관을 가진 새로운 아스코트는 CD 어코드, 아스코트 이노바 및 인스파이어보다 더 짧고 키가 컸으며, 프리미엄 엔트리 레벨의 정통 세단으로서의 첫 번째 아스코트의 역할을 이어갔다. 5기통 직렬 혼다 G 엔진이 장착되었으며, 2.0리터 및 2.5리터의 두 가지 배기량 버전으로 제공되었으며, 기어박스는 그 뒤에 장착되었다. 아스코트의 휠베이스는 인스파이어와 비거보다 짧아 뒷좌석 승객을 위한 공간이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5기통 엔진의 길이 방향 설치와 "소형"으로 분류되는 차량에 관한 일본 정부 규정을 준수하기 위한 차량 전체 길이 요구 사항으로 인해 뒷좌석 승객 수용과 관련하여 타협이 이루어졌다.

아스코트는 자매차인 혼다 라파가를 낳았는데, 이는 ''혼다 베르노'' 매장에서 판매되었으며, 아스코트와는 외부 트림 세부 사항만 달랐다. 1997년 8월[6]에 생산이 종료되었고, 9월에 6세대 혼다 어코드혼다 토르네오가 출시되면서 아스코트는 단종되었다. 래퍼가와 통합되었고, 사실상의 후속 차종은 6세대 아코드의 자매 차종인 토르네오이다.[7]

1993년 10월 14일 아코드에서 독립, 풀 모델 체인지가 실시되었다. 새롭게 벨노점 전용인 래퍼가가 자매차가 되었다. 플랫폼은 초대 아코드 인스파이어/3세대 비거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차체는 4도어 세단뿐이며, 베이스인 초대 인스파이어보다 전체 길이는 짧았지만, 전체 높이가 넉넉하게 확보되어 거주성 및 트렁크 공간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실내에 미션이 튀어나오는 FF 미드십 레이아웃 때문에, 같은 해에 데뷔한 정통적인 가로 배치 레이아웃을 채택한 5세대 아코드에 비해 넓은 느낌에서는 떨어진다.

초대 인스파이어/비거의 3넘버 차량에 탑재되었던 직렬 5기통 엔진의 G20A형과 G25A형을 설정했다. 인스파이어/비거의 3넘버 차량에 탑재되었던 밸런서가 없는 개량형으로, 모두 레귤러 가솔린 사양이었다.

기본적으로는 5넘버 사이즈를 유지하고 있지만 2.5L 차량만 배기량 때문에, 베이스인 초대 인스파이어/비거 및 이노바의 2.3L 차량과 마찬가지로 3넘버 등록이 된다.

주력인 미국 시장의 안전 기준에 따라, 3넘버 바디를 채택한 5세대 아코드의 국내 시장 보완과 중형 승용차 시장 확보를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다. 그러나 버블 붕괴 후 개발된 장식이 없는 플레인 바디는 다소 임팩트가 부족했고, 또한 플랫폼을 공유하는 인스파이어/비거와의 명확한 세그먼트 구분이 모호했던 것도 악재로 작용하여, 혼다가 기대하는 판매량을 얻지 못했다. 이후 댐퍼, 스프링, 서스펜션 부시를 다소 하드하게 마감한 스포티 그레이드인 "CS"를 2.0L에 추가했지만, 2.5L 모델에서도 개발이 진행되어 이미 완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영업 측의 의향으로 출시되지 못했다.

3. 1. 디자인 및 특징

2세대 아스코트는 1세대 인스파이어의 플랫폼을 공유하여 1993년 10월 14일에 풀 모델 체인지를 거쳤다.[5] 4도어 세단만 선보였으며, 전륜구동임에도 엔진이 세로로 배치되었다.[5] 차세대(CD) 혼다 어코드가 북미 시장을 위해 크기가 커지면서 일본 세금 등급에 적합한 소형 세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 임무는 새로운 아스코트에게 할당되었다.

새로운 아스코트는 자체 플랫폼(코드명 CE4/5)을 사용했는데, 이는 이전 세대의 플랫폼을 개선한 것이다. 혼다 인스파이어, 혼다 비거 및 혼다 레전드와 마찬가지로, CE 아스코트는 세로로 엔진을 장착했다. 이는 가로 배치 설정을 사용하는 FF 차량과 달리 엔진의 무게를 정렬하고 전면 차축 뒤에 배치하여 차량의 전후 축 사이의 무게 배분을 개선하기 위함이었다. 일본에서 더 작은 G20A 엔진은 일반 등급 연료를 사용했고, 더 큰 G25A 엔진은 고급 등급 연료를 사용했다.

쿠페를 연상시키는 경사진 외관을 가진 새로운 아스코트는 CD 어코드, 아스코트 이노바 및 인스파이어보다 더 짧고 키가 컸으며, 프리미엄 엔트리 레벨의 정통 세단으로서의 첫 번째 아스코트의 역할을 이어갔다. 5기통 직렬 혼다 G 엔진이 장착되었으며, 2.0리터 및 2.5리터의 두 가지 배기량 버전으로 제공되었으며, 기어박스는 그 뒤에 장착되었다. 아스코트의 휠베이스는 인스파이어와 비거보다 짧아 뒷좌석 승객을 위한 공간이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5기통 엔진의 길이 방향 설치와 "소형"으로 분류되는 차량에 관한 일본 정부 규정을 준수하기 위한 차량 전체 길이 요구 사항으로 인해 뒷좌석 승객 수용과 관련하여 타협이 이루어졌다.

아스코트는 자매차인 혼다 라파가를 낳았는데, 이는 ''혼다 베르노'' 매장에서 판매되었으며, 아스코트와는 외부 트림 세부 사항만 달랐다. 두 모델 모두 1997년에 CF 시리즈 어코드 플랫폼의 쌍둥이인 혼다 토르네오로 대체되었다.[6][7]

1993년 10월 14일 아코드에서 독립, 풀 모델 체인지가 실시되었다. 새롭게 벨노점 전용인 래퍼가가 자매차가 되었다. 플랫폼은 초대 아코드 인스파이어/3세대 비거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차체는 4도어 세단뿐이며, 베이스인 초대 인스파이어보다 전체 길이는 짧았지만, 전체 높이가 넉넉하게 확보되어 거주성 및 트렁크 공간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실내에 미션이 튀어나오는 FF 미드십 레이아웃 때문에, 같은 해에 데뷔한 정통적인 가로 배치 레이아웃을 채택한 5세대 아코드에 비해 넓은 느낌에서는 떨어진다.

초대 인스파이어/비거의 3넘버 차량에 탑재되었던 직렬 5기통 엔진의 G20A형과 G25A형을 설정했다. 인스파이어/비거의 3넘버 차량에 탑재되었던 밸런서가 없는 개량형으로, 모두 레귤러 가솔린 사양이었다.

기본적으로는 5넘버 사이즈를 유지하고 있지만 2.5L 차량만 배기량 때문에, 베이스인 초대 인스파이어/비거 및 이노바의 2.3L 차량과 마찬가지로 3넘버 등록이 된다.

주력인 미국 시장의 안전 기준에 따라, 3넘버 바디를 채택한 5세대 아코드의 국내 시장 보완과 중형 승용차 시장 확보를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다. 그러나 버블 붕괴 후 개발된 장식이 없는 플레인 바디는 다소 임팩트가 부족했고, 또한 플랫폼을 공유하는 인스파이어/비거와의 명확한 세그먼트 구분이 모호했던 것도 악재로 작용하여, 혼다가 기대하는 판매량을 얻지 못했다. 이후 댐퍼, 스프링, 서스펜션 부시를 다소 하드하게 마감한 스포티 그레이드인 "CS"를 2.0L에 추가했지만, 2.5L 모델에서도 개발이 진행되어 이미 완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영업 측의 의향으로 출시되지 못했다.

3. 2. 엔진 및 변속기

2세대 아스코트는 1세대 인스파이어의 플랫폼을 공유하여 1993년 10월 14일에 출시되었다.[5][6][7] 4도어 세단만 선보였으며, 전륜구동임에도 엔진이 세로로 배치되었다. 엔진은 직렬 5기통 엔진인 G20A형과 G25A형이 있었다. 인스파이어/비거의 3넘버 차량에 탑재되었던 밸런서가 없는 개량형으로, 모두 레귤러 가솔린 사양이었다.[5]

기본적으로 5넘버 사이즈를 유지했지만, 2.5L 차량은 배기량 때문에 3넘버로 등록되었다. 1997년토르네오6세대 어코드가 선보이면서 아스코트는 단종되었다.[6][7]

3. 3. 판매 부진 및 단종

2세대 아스코트는 1세대 인스파이어의 플랫폼을 공유하여 1993년 10월 14일에 풀 모델 체인지를 거쳤다.[5] 4도어 세단 형태로, 전륜구동임에도 엔진이 세로로 배치되었다.[5] G20A형 2.0L 직렬 5기통 엔진과 G25A1형 2.5L 직렬 5기통 엔진이 장착되었으며, 각각 160PS, 180PS의 최고 출력을 냈다.[5] 변속기는 4단 자동 또는 5단 수동 변속기가 제공되었다.[5]

차세대(CD) 혼다 어코드가 북미 시장을 겨냥하여 크기가 커짐에 따라, 일본 세금 등급에 적합한 소형 세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아스코트는 자체 플랫폼(CE4/5)을 사용하여 일본 내수 시장을 공략했다.[5] 혼다 인스파이어, 혼다 비거 및 혼다 레전드와 마찬가지로 세로 배치 엔진을 장착하여 무게 배분을 개선했다.[5]

새로운 아스코트는 경사진 외관을 통해 쿠페를 연상시키는 디자인을 가졌으며, 프리미엄 엔트리 레벨의 정통 세단으로서의 역할을 이어갔다.[5] 혼다 라파가와는 외부 트림 세부 사항만 달랐다.[5] 그러나 버블 붕괴 이후 개발된 단순한 디자인과 인스파이어/비거와의 모호한 차별화로 인해 판매 부진을 겪었다.[5]

1997년 8월[6]에 생산이 종료되었고, 9월에 6세대 혼다 어코드토르네오가 출시되면서 아스코트는 단종되었다.[5][7]

4. 한국 시장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Honda Ascot Innova (Japanese) http://www.honda.co.[...]
[2] 웹사이트 Ascot & Rafaga 1993.10 http://www.honda.co.[...]
[3] 서적 데아고스티니 자판 주간 일본의 명차 제83호 11페이지
[4] 웹사이트 아스코트(혼다)1989년 9월~1993년 9월 생산 모델의 카탈로그 https://www.carsenso[...] 리크루트 주식회사 2020-01-21
[5] 웹사이트 "아스코트&라파가FR로 나올 예정이었다!?" 익명 인터뷰로 소문의 진상에 다가서다! https://motor-fan.jp[...] 2022-04-21
[6] 웹사이트 아스코트(혼다)의 카탈로그 https://www.carsenso[...] 리크루트 주식회사 2020-01-20
[7] 서적 데아고스티니 자판 주간 일본의 명차 제65호 9페이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