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종 (야구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문종은 일본과 한국에서 활약한 야구 선수이다. 일본 프로 야구에서는 1976년 드래프트에서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에 지명되어 1980년까지 활동했고, 롯데 오리온즈에서 1981년부터 1983년까지 선수 생활을 했다. 1983년 한국으로 돌아와 1990년까지 롯데 자이언츠와 태평양 돌핀스에서 선수로 뛰었다. 1984년에는 롯데 자이언츠 소속으로 타율 2위를 기록했으며, 같은 해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1세기 대한민국 사람 - 강형철
강형철은 《과속스캔들》, 《써니》, 《타짜: 신의 손》, 《스윙키즈》 등을 연출하고 각본을 담당한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 21세기 대한민국 사람 - 이성재 (배우)
이성재는 1995년 MBC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 선수 - 송재박
송재박은 일본과 한국 프로 야구에서 선수와 코치로 활동하며, 일본에서는 세이부 라이온스와 요코하마 다이요 훼일스에서, 한국에서는 OB 베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은퇴 후 두산 베어스 코치로 활동하며 우수 코치상을 수상했다. -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 선수 - 히가시오 오사무
히가시오 오사무는 니시테쓰 라이온스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NPB 최다 사구 기록과 '싸움 투구'라는 별명을 얻었고, 세이부 라이온스 감독 시절 리그 우승을 이끌었으며,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인물이다.
홍문종 (야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선수 이름 | 덕야마 후미무네 |
본명 | 홍문종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이쿠노구 |
생년월일 | 1954년 11월 11일 |
사망일 | 해당사항 없음 |
신장 | 180cm |
체중 | 72kg |
利き腕 | 왼손 |
타석 | 좌타 |
수비 위치 | 외야수 |
프로 입단 연도 | 1976년 |
드래프트 순위 | 드래프트 2위 |
첫 출장 | NPB / 1977년 4월 2일 KBO / 1984년 |
마지막 출장 | NPB / 1983년 6월 22일 KBO / 1990년 |
연봉 | 해당사항 없음 |
학력 및 경력 | |
고등학교 | 흥국고등학교 |
대학교 | 리쓰메이칸 대학 |
프로 경력 | 클라운라이터 라이온스/세이부 라이온스 (1977년 - 1980년) 롯데 오리온스 (1981년 - 1983년) 롯데 자이언츠 (1984년 - 1988년) 태평양 돌핀스 (1989년 - 1990년) |
개인 정보 (한국) | |
한글 이름 | 홍문종 |
로마자 표기 | Hong Mun-jong |
수상 | |
수상 내역 | 1984년 골든글러브 |
기타 정보 | |
이적 관련 기사 | 해태 趙(조)도연-삼성 崔(최)진영등 46명"자유계약" 洪(홍)문종 太平洋(태평양)이적 |
2. 일본 프로 야구 경력
홍문종은 1977년부터 1980년까지 크라운라이터/세이부 라이온스에서, 1981년부터 1983년까지 롯데 오리온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 시절 1977년 4월 2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경기에서 9회말 대타로 출장하며 데뷔전을 치렀다.[1] 롯데 오리온스로 이적한 후에는 통산 44경기에 출전하여 46타석 42타수 1안타, 타율 .024를 기록했다.
2. 1. 크라운라이터/세이부 라이온스 시절 (1977~1980)
1977년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1977년 4월 2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경기에서 9회말 대타로 출장하며 데뷔전을 치렀다.[1] 같은 해 9월 17일,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경기에서는 8번 타자 겸 우익수로 첫 선발 출장했다.[1]1977년부터 1980년까지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스와 세이부 라이온스에서 활동한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구단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 실패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77 | 크라운 | 23 | 22 | 21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 | 6 | 0 | .000 | .045 | .000 | .045 |
2. 2. 롯데 오리온스 시절 (1981~1983)
홍문종일본어은 1981년부터 1983년까지 일본 프로 야구의 롯데 오리온스에서 뛰었다. 1981년에는 3경기, 1982년에는 11경기, 1983년에는 7경기에 출전했다. 일본 프로 야구 통산 44경기에 출전하여 46타석 42타수 1안타, 타율 .024를 기록했다.일본 프로 야구에서의 연도별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구단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패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81 | 롯데(O) | 3 | 2 | 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000 | ||
1982 | 11 | 13 | 10 | 3 | 0 | 0 | 0 | 0 | 0 | 0 | 0 | 0 | 0 | 3 | 0 | 0 | 2 | 0 | .000 | .231 | .000 | .231 | ||
1983 | 7 | 9 | 9 | 1 | 1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0 | 4 | 0 | .111 | .111 | .111 | .222 | ||
NPB 통산 | 44 | 46 | 42 | 5 | 1 | 0 | 0 | 0 | 1 | 0 | 0 | 0 | 0 | 0 | 4 | 0 | 0 | 12 | 0 | .024 | .109 | .024 | .133 |
홍문종은 일본 프로 야구를 거쳐 1984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한국 프로 야구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89년에는 태평양 돌핀스로 이적하여 1990년까지 선수 생활을 하였다.[1]
3. 한국 프로 야구 경력
3. 1. 롯데 자이언츠 시절 (1984~1988)
홍문종은 1984년부터 1988년까지 롯데 자이언츠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1984년 시즌에는 100경기에 출장하여 타율 0.339, 11홈런, 53타점, 36도루를 기록하며 맹활약했다. 특히 출루율(0.415)과 장타율(0.539)을 합친 OPS는 0.954로 리그 정상급이었다.[1]
이후에도 1985년부터 1988년까지 롯데에서 꾸준히 활약했다. 1984년에는 타격왕 경쟁 과정에서 삼성 라이온즈의 고의사구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다.
3. 1. 1. 1984년 타격왕 경쟁과 삼성의 고의사구 논란
1984년 삼성의 이만수는 홈런, 타점 1위를 확정지은 상태에서 타율 1위를 달성하기 위해 출장하지 않았다. 홍문종이 이만수를 1리 차이의 타율로 추격하자, 마지막 경기인 삼성-롯데 전에서 삼성 투수들이 홍문종을 9연타석 볼넷으로 거르는 사건이 발생했다.[1] 결국 홍문종은 이만수에 이어 타격 2위에 머물렀다.[1]
3. 2. 태평양 돌핀스 시절 (1989~1990)
1989년 태평양 돌핀스로 이적하여 그 해 114경기에 출전해 타율 .241, 6홈런, 31타점을 기록했다.[1] 1990년에는 74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35, 1홈런, 14타점을 기록했다.[1]
연도 | 구단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패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89 | 태평양 | 114 | 433 | 381 | 60 | 92 | 15 | 3 | 6 | 131 | 31 | 16 | 8 | 10 | 1 | 39 | 2 | 2 | 40 | 5 | .241 | .314 | .344 | .658 |
1990 | 74 | 219 | 179 | 23 | 42 | 6 | 1 | 1 | 53 | 14 | 7 | 7 | 4 | 0 | 35 | 2 | 1 | 25 | 3 | .235 | .363 | .296 | .659 |
4. 학력 및 개인 이력
고코쿠 고등학교와 리쓰메이칸 대학을 졸업했다. 일본과 한국 프로 야구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4. 1. 학력
- 고코쿠 고등학교
- 리쓰메이칸 대학
4. 2. 개인 이력
연도 | 소속팀 |
---|---|
1977년 ~ 1980년 | クラウンライター / 西武ライオンズ, 크라운라이터 / 세이부 라이온스|구라 운 라이타 / 세이부 라이온즈일본어 |
1981년 ~ 1983년 | ロッテオリオンズ, 롯데 오리온스|롯테오리온즈일본어 |
1984년 ~ 1988년 | 롯데 자이언츠 |
1989년 ~ 1990년 | 태평양 돌핀스 |
흥국고 시절 1972년 여름 고시엔 부 예선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메이세이 고등학교에 아쉽게 패했다. 졸업 후 리츠메이칸 대학에서 중심 타자로 활약했으나, 간사이 6대학 야구 리그 우승은 하지 못하고 3번 3위를 기록했다. 1975년 춘계 리그에서는 신인대를 상대로 1경기 개인 최다 7타점의 리그 기록을 세웠고, 외야수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었다.
1976년 드래프트에서 2위로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준족, 강타의 외야수로 기대를 모았으나, 1군에서는 성적을 내지 못하고 1980년 시즌 후 전력 외 통보를 받았다. 이후 롯데 오리온즈로 이적했다.
1983년 롯데 오리온즈에서 퇴단한 후, 1990년까지 등록명을 본명인 '''홍문종'''으로 한국 야구계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롯데 자이언츠 소속으로 1984년 한국 프로 야구 1년 차부터 삼성 라이온즈 이만수와 타격 3관왕 경쟁을 벌였다. 시즌 막바지에 삼성 투수진이 이만수에게 타이틀을 몰아주기 위해 고의사구로 승부를 피하면서 9타석 연속 고의사구를 얻는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으나, 결국 타율 2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1989년 태평양 돌핀스로 이적 후에는 쇠퇴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여명기 한국 프로 야구를 지탱했다.
5. 통산 기록
연도 | 소속 | 나이 | 출장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루타 | 병살타 | 몸맞 | 희타 | 희플 | 고4 |
---|---|---|---|---|---|---|---|---|---|---|---|---|---|---|---|---|---|---|---|---|---|---|---|---|---|
1977년 | 크라운 | 24 | 23 | 22 | 21 | 1 | 0 | 0 | 0 | 0 | 0 | 0 | 0 | 1 | 6 | .000 | .045 | .000 | .045 | 0 | 0 | 0 | 0 | 0 | 0 |
1981년 | 롯데 | 28 | 3 | 2 | 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000 | 0 | 0 | 0 | 0 | 0 | 0 |
1982년 | 29 | 11 | 13 | 10 | 3 | 0 | 0 | 0 | 0 | 0 | 0 | 0 | 3 | 2 | .000 | .231 | .000 | .231 | 0 | 0 | 0 | 0 | 0 | 0 | |
1983년 | 30 | 7 | 9 | 9 | 1 | 1 | 0 | 0 | 0 | 0 | 0 | 0 | 0 | 4 | .111 | .111 | .111 | .222 | 1 | 0 | 0 | 0 | 0 | 0 | |
1984 | 롯데 | 31 | 100 | 415 | 360 | 62 | 122 | 25 | 7 | 11 | 53 | 36 | 20 | 43 | 36 | .339 | .420 | .539 | .958 | 194 | 2 | 7 | 1 | 4 | 12 |
1985 | 32 | 107 | 445 | 393 | 42 | 102 | 23 | 2 | 11 | 58 | 16 | 12 | 42 | 36 | .260 | .331 | .412 | .743 | 162 | 3 | 0 | 6 | 4 | 1 | |
1986 | 33 | 103 | 439 | 387 | 46 | 106 | 20 | 3 | 3 | 29 | 39 | 17 | 46 | 44 | .274 | .349 | .364 | .714 | 141 | 3 | 0 | 4 | 2 | 3 | |
1987 | 34 | 108 | 466 | 415 | 59 | 119 | 19 | 4 | 7 | 49 | 25 | 9 | 40 | 26 | .287 | .356 | .402 | .758 | 167 | 5 | 5 | 5 | 1 | 1 | |
1988 | 35 | 87 | 359 | 319 | 46 | 89 | 13 | 3 | 4 | 25 | 22 | 11 | 36 | 18 | .279 | .352 | .376 | .728 | 120 | 4 | 1 | 1 | 2 | 3 | |
1989 | 태평양 | 36 | 114 | 433 | 381 | 60 | 92 | 15 | 3 | 6 | 31 | 16 | 8 | 39 | 40 | .241 | .314 | .344 | .658 | 131 | 5 | 2 | 10 | 1 | 2 |
1990 | 37 | 74 | 219 | 179 | 23 | 42 | 6 | 1 | 1 | 14 | 7 | 7 | 35 | 25 | .235 | .363 | .296 | .659 | 53 | 3 | 1 | 4 | 0 | 2 | |
NPB 통산 : 4년 | 44 | 46 | 42 | 5 | 1 | 0 | 0 | 0 | 0 | 0 | 0 | 4 | 12 | .024 | .109 | .024 | .133 | 1 | 0 | 0 | 0 | 0 | 0 | ||
KBO 통산 : 7년 | 693 | 2776 | 2434 | 338 | 672 | 121 | 23 | 43 | 259 | 161 | 84 | 281 | 225 | .276 | .353 | .398 | .751 | 968 | 25 | 16 | 31 | 14 | 24 |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5. 1. 일본 프로 야구 (NPB) 통산 기록
연도 | 소속 | 나이 | 출장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루타 | 병살타 | 몸맞 | 희타 | 희플 | 고4 |
---|---|---|---|---|---|---|---|---|---|---|---|---|---|---|---|---|---|---|---|---|---|---|---|---|---|
1977년 | 크라운 | 24 | 23 | 22 | 21 | 1 | 0 | 0 | 0 | 0 | 0 | 0 | 0 | 1 | 6 | .000 | .045 | .000 | .045 | 0 | 0 | 0 | 0 | 0 | 0 |
1981년 | 롯데 | 28 | 3 | 2 | 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000 | 0 | 0 | 0 | 0 | 0 | 0 |
1982년 | 29 | 11 | 13 | 10 | 3 | 0 | 0 | 0 | 0 | 0 | 0 | 0 | 3 | 2 | .000 | .231 | .000 | .231 | 0 | 0 | 0 | 0 | 0 | 0 | |
1983년 | 30 | 7 | 9 | 9 | 1 | 1 | 0 | 0 | 0 | 0 | 0 | 0 | 0 | 4 | .111 | .111 | .111 | .222 | 1 | 0 | 0 | 0 | 0 | 0 | |
NPB 통산 : 4년 | 44 | 46 | 42 | 5 | 1 | 0 | 0 | 0 | 0 | 0 | 0 | 4 | 12 | .024 | .109 | .024 | .133 | 1 | 0 | 0 | 0 | 0 | 0 |
5. 2. 한국 프로 야구 (KBO) 통산 기록
연도 | 소속 | 나이 | 출장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도루실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루타 | 병살타 | 몸에 맞는 볼 | 희생 번트 | 희생 플라이 | 고의 사구 |
---|---|---|---|---|---|---|---|---|---|---|---|---|---|---|---|---|---|---|---|---|---|---|---|---|---|
1984 | 롯데 | 31 | 100 | 415 | 360 | 62 | 122 | 25 | 7 | 11 | 53 | 36 | 20 | 43 | 36 | .339 | .420 | .539 | .958 | 194 | 2 | 7 | 1 | 4 | 12 |
1985 | 32 | 107 | 445 | 393 | 42 | 102 | 23 | 2 | 11 | 58 | 16 | 12 | 42 | 36 | .260 | .331 | .412 | .743 | 162 | 3 | 0 | 6 | 4 | 1 | |
1986 | 33 | 103 | 439 | 387 | 46 | 106 | 20 | 3 | 3 | 29 | 39 | 17 | 46 | 44 | .274 | .349 | .364 | .714 | 141 | 3 | 0 | 4 | 2 | 3 | |
1987 | 34 | 108 | 466 | 415 | 59 | 119 | 19 | 4 | 7 | 49 | 25 | 9 | 40 | 26 | .287 | .356 | .402 | .758 | 167 | 5 | 5 | 5 | 1 | 1 | |
1988 | 35 | 87 | 359 | 319 | 46 | 89 | 13 | 3 | 4 | 25 | 22 | 11 | 36 | 18 | .279 | .352 | .376 | .728 | 120 | 4 | 1 | 1 | 2 | 3 | |
1989 | 태평양 | 36 | 114 | 433 | 381 | 60 | 92 | 15 | 3 | 6 | 31 | 16 | 8 | 39 | 40 | .241 | .314 | .344 | .658 | 131 | 5 | 2 | 10 | 1 | 2 |
1990 | 37 | 74 | 219 | 179 | 23 | 42 | 6 | 1 | 1 | 14 | 7 | 7 | 35 | 25 | .235 | .363 | .296 | .659 | 53 | 3 | 1 | 4 | 0 | 2 | |
KBO 통산 : 7년 | 693 | 2776 | 2434 | 338 | 672 | 121 | 23 | 43 | 259 | 161 | 84 | 281 | 225 | .276 | .353 | .398 | .751 | 968 | 25 | 16 | 31 | 14 | 24 |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6. 수상 경력
- 1984년 골든 글러브 (외야수 부문)[1]
7. 등번호
199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