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도 (팔금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도(花島)는 전라남도 신안군 팔금면에 속하는 섬이다. 증도의 우전리 남동쪽 1km 간석지에 위치하며, 면적은 0.2km²이다. 김과 대하 양식이 활발하고 갯바위 및 선상 낚시터로 이용되며, 18세기 중엽부터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했다. 선화공주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며, 1963년 '꽃섬'에서 '화도'로 개칭되었다. 지형 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종이 자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증도 남동쪽 약 1km 간석지에 있으며, 주변에 병풍도, 대기점도, 소기점도, 소악도, 갈매섬 등 여러 섬들이 있다. 북쪽으로 좁고 길쭉한 곶이 뻗어 나가면서 왼쪽의 짧은 곶과 함께 만을 이루고, 남서쪽과 남동쪽에도 지느러미 모양의 돌출부가 있다. 면적은 0.2km2이며, 2001년 기준 인구는 63명, 23가구였다.
18세기 중엽 한양 조씨가 처음으로 이 섬에 들어왔고, 이후 순흥 안씨가 들어와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주위가 50리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섬은 원래 삭막하고 풀도 나지 않는 바위섬이었으나, 선화공주가 이 섬에 귀양살이하며 애원한 결과 기름진 땅으로 변하여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가꾼 꽃이 온 섬에 가득 찼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지금도 선화공주의 꽃밭이었다는 터가 남아있다. 바닷물이 만조가 되면 섬의 모양이 꽃봉오리처럼 아름답고, 마을에 해당화가 많아 '꽃섬'이라 불렸다. 이후 1963년에 현재의 이름인 '화도'로 바뀌었다. 2001년 2월 신안군 '50호 미만 도서 불밝히기 사업'의 일환으로 해저케이블을 통해 전기가 연결되었다.
2. 지리
2. 1. 위치
증도 우전리 남동쪽 1km 간석지에 있다. 동쪽에는 병풍도, 대기점도, 소기점도, 소악도가 있고, 남쪽에는 갈매섬 등이 있다. 북쪽으로 좁고 길쭉한 곶이 뻗어 나가면서 왼쪽의 짧은 곶과 함께 만을 이루고, 남서쪽과 남동쪽에도 지느러미 모양의 돌출부가 있다.
2. 2. 지형
증도(曾島) 우전리(羽田里) 남동쪽 1km 간석지에 있다. 동쪽에는 병풍도(屛風島), 대·소기점도(大小奇點島), 소악도(小岳島), 남쪽에 갈매섬 등이 있다. 북쪽으로 좁고 길쭉한 곶(串)이 뻗어 나가면서 왼쪽의 짧은 곶과 함께 만(灣)을 이루고, 남서쪽과 남동쪽에도 지느러미 모양의 돌출부가 있다. 면적은 0.2km2이다.
2. 3. 인구 및 산업
화도는 증도 우전리 남동쪽 1km 간석지에 있으며, 면적은 0.2km2이다. 2001년 기준으로 인구는 63명, 23가구이다.
주민들은 주로 김과 대하 양식을 하며, 특히 김은 연간 5만 섬이 생산되어 주민 소득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갯바위와 선상 낚시도 활발하며, 주 어종은 농어와 도미이다. 섬 내 낮고 평평한 경작지에서는 농업도 이루어진다.
3. 역사
3. 1. 정착 과정
18세기 중엽 한양 조씨가 처음으로 이 섬에 들어왔고, 이후 순흥 안씨가 들어와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3. 2. 섬 이름 유래
섬 이름은 선화공주와 관련된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18세기 중엽 한양 조씨가 처음 섬에 들어왔고, 뒤에 순흥 안씨가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주위가 50리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원래 삭막한 바위섬이었으나, 선화공주가 귀양살이를 하며 애원한 결과 기름진 땅으로 변했고,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가꾼 꽃이 온 섬에 가득 찼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지금도 선화공주의 꽃밭이었다는 터가 남아있다.
바닷물이 만조가 되면 섬의 모양이 꽃봉오리처럼 아름답고, 마을에 해당화가 많아 '꽃섬'이라 불렸다. 이후 1963년에 현재의 이름인 '화도'로 바뀌었다.
3. 3. 특정도서 지정
화도는 지형 경관이 우수하고, 고란초, 왕자귀나무 등 멸종위기/보호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풍하혈, 타포니 등이 발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2001년 2월 신안군 '50호 미만 도서 불밝히기 사업'의 일환으로 해저케이블을 통해 전기가 연결되었다.
4. 생태
화도는 지형 경관이 우수하고, 고란초, 왕자귀나무 등 멸종위기/보호종이 자생하고 있다. 풍하혈, 타포니 등이 발달하여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지정번호 | 제129호 |
---|---|
면적 | 334m2 |
지번 | 전라남도 신안군 팔금면 진고리 산15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