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흥 안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흥 안씨는 고려 시대 안자미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안자미는 고려 신종 때 흥위위 보승별장을 역임했으며, 증손자 안향은 고려에 성리학을 도입하여 순흥 안씨를 명문가로 만들었다. 조선 시대에는 단종 복위 운동 실패로 가문이 쇠퇴하였으나, 안창호, 안중근, 안익태 등 독립운동가와 다양한 분야의 인물을 배출했다. 순흥 안씨는 세 아들의 후손을 기준으로 추밀공파, 별장공파, 교서공파로 나뉘며, 각 파별로 항렬자를 사용한다. 주요 집성촌은 경기도 김포시, 충청북도 충주시, 전라북도 김제시 등에 있으며, 2015년에는 약 52만 명의 인구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씨 - 안 (성씨)
    안(安)은 한국의 성씨로, 109개의 씨족이 존재하며 순흥 안씨가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고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 안씨 - 안국현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인 안국현은 2009년 입단 후 GS칼텍스배 우승, 삼성화재배 준우승, 농심 신라면배와 백령배 참가, 한국 바둑 리그와 중국 을조 리그 활동 등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영주시 - 영주에프엠방송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주에프엠방송은 89.1MHz 주파수로 10W 출력으로 방송을 송출하는 지역 FM 라디오 방송국으로, (사)영주에프엠방송이 운영하며 2005년 개국하여 2009년 정규사업 허가를 받았다.
  • 영주시 - 영주시립도서관
    영주시립도서관은 2004년 7월 1일에 개관하여 아동ㆍ일반자료실, 열람실, 디지털자료실 등의 시설을 갖춘 도서관이다.
순흥 안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순흥 안씨의 종문
본관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시조안자미(安子美)
인물안향
안우기
안축
안보
안문개
안종원
안천보
안원
안경공
안순
안숭선
안지귀
안침
안당
안처순
안현
안자유
안위
안창호
안중근
안봉순
안익태
안찬희
안응모
안상수
안경률
안홍준
안종범
안철수
안경덕
년도2015
인구520,384명
비고순흥안씨 대종회
가문 정보
로마자 표기Sunheung An clan
한글 표기순흥 안씨
한자 표기順興 安氏
본관 지역경상북도
분파영밀공파 ( Lord (Duke) Chumil Branch )
별장공파 ( Lord (Duke) ByeolJang Branch )
교서공파 ( Lord (Duke) Kyoseo Branch )
시조안자미 (Ahn Ja-mi)

2. 역사

고려 시대 안향 이후 11대에 걸쳐 과거 급제자를 배출하고, 20명이 봉군(封君)되었으며, 17명의 대제학(오늘날의 교육부 장관)을 배출하며 명문가로 성장했다. 1392년 조선 건국 후에도 조선 최고의 여섯 가문 중 하나로 명성을 유지하며 641명의 과거 합격자를 배출했다.

그러나 15세기 중반, 단종 복위 운동 실패로 인해 순흥 안씨는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 가문은 모반죄로 몰리고 본관은 "모반의 땅"으로 불리며, 구성원들은 전국으로 흩어졌다. '피끝마을'은 순흥 주민 학살 사건의 비극을 상징하며, '안'씨 성은 고집과 충절의 대명사가 되었다.

조선 시대 말까지 어려움을 겪었으나, 19세기 말 조선 멸망 이후 다시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특히 일제강점기에는 안창호와 같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하여 민족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다.

2. 1. 고려 시대

고려 신종(재위: 1197년~1204년) 때 흥위위 보승별장(興威衛 保勝別將)을 역임하고, 사후에는 신호위 상호군(神虎衛上護軍)에 추봉된 안자미(安子美)를 시조(始祖)로 한다.[1] 안자미는 순흥현(順興縣)에 세거하여 관향(貫鄕)을 순흥(順興)으로 삼게 되었다. 증손자 안향(安珦)이 크게 현달하여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에 이르렀다.[2]

4세손 안향(安珦)


순흥 안씨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걸쳐 양반으로서 높은 지위를 누렸다.

순흥 안씨의 시조 안자미는 왕실을 호위하고 외국 사신을 맞이하며 국가 의례에 참여하고 전쟁에 참전하며 국경을 수비하는 홍위위(護衛衛)를 지휘하였다. 안자미는 고려 신종으로부터 삼현위(三顯位)의 수장에 임명되는 영예를 얻었다.

안자미에게는 안영유(安永裕), 안영린(安永麟), 안영화(安永華) 세 아들이 있었다. 순흥 안씨는 이 세 아들의 후손을 기준으로 세 파로 나뉜다. 안영유의 후손은 추밀공파(樞密公派), 안영린의 후손은 별장공파(別將公派), 안영화의 후손은 교서공파(校書公派)이다. 이 세 파에서 다시 추밀공파는 14개, 별장공파는 4개, 교서공파는 4개의 소파로 나뉜다.

안영유의 손자인 안향(安珦)은 1260년 과거(科擧)에 급제하고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 부총리급)을 역임하면서 순흥 안씨는 가장 강력하고 유명한 귀족 가문 중 하나가 되었다. 안향은 한국 성리학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고려에 송나라 유학(송학, 宋學)을 전파한 인물로, 순흥 안씨의 가장 뛰어난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문성공파(文成公派)라는 자신만의 파를 세웠다.

안향 이후 고려 시대가 끝날 때까지 순흥 안씨는 11대에 걸쳐 과거에 급제한 인물을 배출하였고, 20명이 봉군(封君, 공작이나 대공에 해당)이 되었으며, 왕실에서 학자가 오를 수 있는 최고 관직인 대제학(大提學)을 17명이나 배출하였다. 이는 오늘날의 교육부 장관에 해당하는 직책이었다.

2. 2. 조선 시대

1392년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된 후에도 순흥 안씨는 여전히 가장 강력하고 유명한 귀족 가문 중 하나였으며, 조선 최고의 여섯 가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었다. 조선 시대 동안, 안씨 가문의 641명이 과거 시험에 합격했다.[1]

그러나 순흥 안씨는 15세기 중반, 정치적 혼란 속에서 폐위(그리고 나중에 암살당함)된 어린 군주 단종을 지지한 결과 권력을 잃었다. 이후 안씨 가문은 단종을 왕위에 복위시키려는 운동을 주도했는데, 이는 조선왕조 역사상 잘 알려진 비극 중 하나이다. 계획이 실패한 후 순흥 안씨는 명문가로서의 지위를 상실했다. 정부의 탄압을 피해 가문 구성원들은 순흥을 떠나 전국으로 흩어졌다.[1]

유명한 '피끝마을'은 순흥 주민 700명 학살 당시 흘러내린 피가 물줄기를 따라 마을로 흘러들어온 데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단종의 삶을 그린 20세기 초 인기 소설인 『단종애사』에서 이 사건은 어린 왕에게 충성을 지킨 순흥 안씨의 비극적인 운명으로 미화되었다.[1]

단종에게 충성을 지킨 유명한 역사 때문에 '안' 성씨는 고집 세고 충직한 것과 동의어가 되었다. 고집이 세다고 알려진 세 가지 한국 성씨(안, 강, 최)가 있는데, 그중 안씨가 가장 유명하다.[1]

단종 복위의 실패로 인해 순흥 안씨는 모반죄로 몰렸다. 그들의 본관은 "모반의 땅"이라고 불렸고, 가문은 이전의 권력과 영광을 되찾지 못했으며 조선 왕조 말기까지 많은 유명 인물을 배출하지 못했다. 그러나 19세기 말 조선 멸망 이후에는 많은 유명 인물을 배출했다.[1]

2. 3. 일제강점기

순흥 안씨 중 가장 영향력 있고 존경받는 인물은 한국 성리학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안향과 일제강점기의 정치 지도자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6대 대통령이었던 안창호이다. 안창호는 일본 정부에 의해 옥중에서 석방된 직후 세상을 떠났다.[1]

2. 4. 현대

순흥 안씨 중 가장 영향력 있고 존경받는 인물은 한국 성리학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안향과 일제강점기의 정치 지도자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6대 대통령이었던 안창호이다. 안창호는 일본 정부에 의해 옥중에서 석방된 직후 세상을 떠났다.[1]

3. 분파

순흥 안씨는 시조 안자미(安子美)의 세 아들 대에서 크게 세 파로 나뉜다.


  • 안영유(安永裕)의 후손은 추밀공파(樞密公派)
  • 안영린(安永麟)의 후손은 별장공파(別將公派)
  • 안영화(安永華)의 후손은 교서공파(校書公派)


이 세 파는 다시 여러 소파로 나뉘는데, 추밀공파는 14개, 별장공파는 4개, 교서공파는 4개의 소파로 분파된다.

파(영유)파(영린)파(영화)


4. 주요 인물

순흥 안씨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이름생몰년주요 경력 및 활동
안향(安珦)1243년 ~ 1306년고려에 성리학을 도입.
안우기(安于器)1265년 ~ 1329년안향의 아들. 검교찬성사(檢校贊成事) 역임.
안축(安軸)1287년 ~ 1348년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역임, 흥녕군(興寧君) 봉해짐.
안보(安輔)1302년 ~ 1357년안축의 동생. 정당문학(政堂文學) 역임.
안문개(安文凱)? ∼ 1338년첨의참리(僉議參理) 역임, 1327년(충숙왕 14) 1등공신, 순흥부원군(順興府院君) 봉해짐.
안종원(安宗源)1325년 ~ 1394년안축의 아들.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역임,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봉해짐.
안천보(安天保)1339년 ~ 1425년안문개의 손자. 외손녀가 세종소헌왕후, 좌의정 역임.
안원(安瑗)1346년 ~ 1411년안향의 현손. 대사헌, 판한성부사, 개성유후 역임.
안경공(安景恭)1347년 ~ 1421년안종원의 아들. 조선 개국공신, 보국숭록대부 집현전대제학(大提學) 역임,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봉해짐.
안순(安純)1371년 ~ 1440년
안숭선(安崇善)1392년 ~ 1452년
선빈 안씨(善嬪 安氏)? ~ 1468년태종의 후궁.
안침(安琛)1445년 ~ 1515년
안당(安塘)1461년 ~ 1521년
안처순(安處順)1492년 ~ 1534년
안현(安玹)1501년 ~ 1560년
안자유(安自裕)1517년 ~ 1588년
안익태(安益泰)1906년 ~ 1965년애국가 작곡가.
안봉순(安奉舜)1894년 ~ 1967년일제강점기 임시정부 의정원과 한국 광복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안응모(安應模)1930년 ~
안찬희(安瓚熙)1930년 ~ 2019년제2대 인천직할시장, 제13·14대 국회의원 역임.
안상수민선 3,4기 인천광역시장 역임.
안경덕제8대 고용노동부 장관 역임.
안위(An Yui)조선 중기 무관.
안재홍(Ahn Jae-hong)독립운동가, 정치인, 언론인.
안태훈(Ahn Tae-hoon)안중근(An Jung-geun)의 아버지.
안공근(Ahn Gong-gun)김구와 함께 활동한 안중근의 동생.
안명근(Ahn Myeong-gun)김구와 함께 투옥되었던 안중근의 사촌.
안춘생(安椿生)독립운동가, 군 지휘관, 대한민국 정치인. 안중근(安重根)의 조카.
안유진가수, 걸그룹 아이브 멤버.
안재모배우, 가수, 모터스포츠 선수 겸 사업가.
안재욱가수 겸 배우.
안재효가수, 보이그룹 블락비 멤버.
안성기배우.
안내상배우.
빅토르 안(안현수)쇼트트랙 선수, 이후 러시아 국적 취득.
안소희배우 겸 가수, 전 걸그룹 원더걸스 멤버.
화사(안혜진)가수, 걸그룹 마마무 멤버.
토니 안가수, 보이그룹 H.O.T. 멤버.
안규영정치인.


4. 1. 안창호

독립운동가독립협회, 신민회, 흥사단 등에서 활동하였다.

4. 2. 안중근

1879년 9월 2일 황해도 해주부에서 태어났으며, 삼흥학교를 세우는 등 인재 양성에 힘썼다.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1910년 3월 26일 일본 제국에 의해 사형이 집행되었다. 1962년 대한민국 최고의 민간 훈장인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1]

안중근의 친족 또한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조카 안춘생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하였고, 이후 육군사관학교 초대 교장을 역임했다.[2] 동생 안공근김구와 함께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사촌 안명근도 독립운동가로 김구와 함께 투옥되기도 하였다.

4. 3. 안철수

안철수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의사, 소프트웨어 기업가이다. 국민의당 초대 당대표를 역임하였으며, 2012년과 2017년 두 차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다. 국민의힘의 국회의원이다. 안영모안철수의 부친이며, 대한민국의 의사로서 안철수에게 직업을 물려주었다.[1] (순흥 안씨 1파 감찰공파 26세손)

4. 4. 안희정

안희정은 민선 5·6기 충청남도지사를 역임하였다. 安熙正중국어

5. 항렬자

순흥 안씨는 각 파별로 항렬자를 달리 사용한다.

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
口순(淳)·口수(洙)·口락(洛)병(柄)·상(相)·동(東)口혁(爀)·口찬(燦)·口엽(燁)효(孝)·중(重)·길(吉)口현(鉉)·口전(銓)·口용(鏞)태(泰)·준(準)·홍(洪)口근(根)·口주(柱)·口정(楨)성(性)·항(恒)·제(悌)口균(均)·口기(基)·口수(壽)회(會)·령(令)·념(念)口영(泳)·口택(澤)·口구(求)만(萬)·화(華)·무(茂)口원(愿)·口우(愚)·口덕(德)재(宰)·기(起)·규(奎)口진(鎭)·口수(銖)·口련(鍊)해(海)·한(漢)·호(浩)口집(集)·口모(模)·口간(幹)용(容)·광(光)·형(亨)口주(周)·口주(疇)·口곤(坤)흠(欽)·련(練)·철(鐵)口준(濬)·口원(源)·口윤(潤)



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
1파(파조로 1세)口열(烈)·口섭(燮)교(敎)·치(致)口호(鎬)·口용(鏞)승(承)·수(洙)口영(榮)·口모(模)희(熙)·병(炳)口균(均)·口기(基)종(鐘)·상(商)口구(求)·口태(泰)수(秀)·상(相)口섭(燮)·口도(燾)효(孝)·규(圭)口택(澤)·口영(泳)
2파(파조로 1세)口경(炅)재(在)口진(鎭)영(泳)口식(植)희(熙)口기(基)종(鐘)口태(泰)口기(岐)口섭(燮)규(圭)口건(鍵)
3파(파조로 1세)口렬(烈)·口흡(翕)·口환(煥)口중(中)·성(聖)·치(致)상(商)·口범(範)·口진(鎭)口준(濬)·국(國)·주(注)병(秉)·口선(善)·口춘(春)광(光)·용(鎔)·사(思)치(致)·口원(源)·口기(基)口진(鎭)·병(柄)·종(鍾)口철(澈)·口렬(烈)·口구(求)동(東)·기(基)口묵(默)·口석(錫)·口섭(燮)재(載)·태(泰)·재(在)口용(鏞)·口표(杓)


6.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

7. 집성촌

지역
황해북도 연백군 송천(松川) 화성면(化成面)
평안남도 안주시 신안주면(新安州面) 일대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白山面) 하정(下井)
충청북도 충주시 금가면(金加面) 잠병(箴餠)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陽村邑) 누산리(樓山里)


8. 인구

연도가구 수인구 수
1985년99,937417,598
2000년145,254468,827
2015년520,384


참조

[1] 인물 안향 한국학중앙연구원
[2] 웹사이트 『고려사』 권105, 열전18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