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화가공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석화가공주는 청나라 건륭제의 딸로, 순혜황귀비 소씨의 소생이다. 1760년 화석화가공주로 봉해졌으며, 부찰 부항의 차남 복륭안과 혼인하였다. 23세에 사망했으며, 사가 종노와 소작농들에게 자애로운 모습을 보여 '불수공주'로 불리었다. 그녀의 사후에는 원침이 조성되었으며, 소설 및 드라마 《황제의 딸》의 하자미의 모티브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륭제의 황녀 - 고륜화효공주
고륜화효공주는 건륭제의 딸로 화신의 아들 풍신은덕에게 하가하여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으며 가경제와 도광제의 배려를 받고 총명하고 강직한 성격으로 아버지의 총애를 받아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한다. - 화석공주 - 장경화석공주
장경화석공주는 건륭제의 손녀이자 가경제의 딸로, 몽골 귀족과 혼인하여 청나라 황실의 몽골 세력 안정에 기여했으나, 자녀 없이 천연두로 사망하고 사후 셍게린첸이 양자로 들어왔다. - 화석공주 - 화석각순장공주
숭덕제의 딸인 화석각순장공주는 순치제의 명으로 오삼계의 아들 오응웅과 정략 결혼하여 건녕장공주로 봉해졌다가 후에 개칭되었으며, 오삼계의 난 이후 남편과 장남이 처형되는 비극을 겪었지만 강희제의 특별한 보살핌을 받은 정치적 격변기 황족 여성의 삶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1767년 사망 - 찰스 타운젠드
18세기 영국 정치인이자 재무장관이었던 찰스 타운젠드는 미국 독립혁명의 계기가 된 타운젠드 법을 제정하고 해군卿 위원회 위원, 왕실 회계장관, 무역위원회 제1卿 등 다양한 직책을 수행했으며, 미국 식민지에 대한 과세 정책으로 식민지 반발을 야기했다. - 1767년 사망 - 계황후
청나라 건륭제의 황후인 계황후는 휘발나랍씨로, 황귀비에서 황후가 되었으나 강남 순행 중 머리를 자른 사건으로 폐위되어 시호도 받지 못했으며, 그녀의 성씨, 생년, 폐위 경위 등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화석화가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화석화가공주 |
원래 이름 | 和碩和嘉公主 |
별칭 | 불수공주(佛手公主) |
출생 | 1745년 12월 24일 |
출생 장소 | 청나라 즈리 성 베이징 징런 궁 |
사망 | 1767년 10월 29일 (향년 21세) |
사망 장소 | 청나라 즈리 성 베이징 자금성 |
사망 원인 | 육종창 (다발성 장기 부전) |
직업 | 청 고종 건륭제의 서녀 |
배우자 | 복륭안(福隆安) |
자녀 | 아들 풍신제륜 |
왕조 | 청나라 |
종교 | 불교 |
정당 | 무소속 |
아버지 | 건륭제 |
어머니 | 순혜황귀비 |
가족 관계 | |
이복 오빠 | 정안친왕 |
동복 오빠 | 순군왕 |
동복 오빠 | 질장친왕 |
이복 남동생 | 가경제 |
이복 친정 조카 | 목군왕 |
이복 친정 조카딸 | 장경화석공주 |
이복 친정 조카 | 도광제 |
결혼 정보 | |
배우자 | 부찰 복륭안 (1760년) |
자녀 | 풍신제륜, 풍선곽륵민 |
2. 생애
화석화가공주는 건륭 10년(1745년)에 태어나 건륭 32년(1767년)에 사망하였다. 생모는 순혜황귀비 소씨이며, 부항의 차남 복륭안과 혼인하였다.
그녀는 종노들과 소작농들에게 자애로워 '불수공주'라 불렸으며, 1767년 육종창으로 22세(만 21세)의 젊은 나이로 훙서하였다.
2. 1. 출생과 혼인
건륭 10년(1745년) 12월 2일 묘시에 산파 왕씨와 서씨의 도움으로 태어났다. 생모는 순혜황귀비 소씨로, 당시 순귀비였다. 4공주(양녀 화석화완공주)보다 나이가 어려 5공주로 불리다가 4공주가 건륭 16년에 화석화완공주로 개칭된 후 4공주가 되었다. 건륭 16년, 궁분총절기 5공주 아래에는 궁녀 영계, 낭원, 희격, 문계, 난언기 및 두 아이와 여섯 명이 있었다.건륭 25년(1760년) 정월에 화석화가공주로 봉해졌고, 같은 해 3월 25일 대학사 부항의 차남 복륭안에게 하가하는 것이 정해졌다. 4월 3일과 5월 13일에 걸쳐 혼례를 올렸다. 건륭 24년 부찰씨에게 하가한 화석공주의 혼수 10,000냥 외에 10,000냥을 추가로 하사한 예에 따라 은냥을 하사받고 이자를 받았다. 건륭 28년(1763년) 8월 23일, 첫 아들 풍신제륜을 출산하였는데, 건륭제는 아들 세삼지희분 안에 3전을 넣고 금괴 2정, 은괴 4정을 하사하고 유모 부부 한 쌍을 보냈다.[1]
그녀는 사가 종노들과 소작농들에게 자애로운 모습을 보여 '''불수공주'''(佛手公主)라 불렸다. 복륭안과의 사이에서 건륭 28년(1763년) 8월 23일 첫 아들 풍신길륜(丰神吉伦)을 낳았고, 둘째 아들 풍신과륵민(丰神果勒敏)의 출생은 알려지지 않았다.
2. 2. 자녀와 죽음
건륭 28년 (1763년) 8월 23일, 화석화가공주는 첫 아들 풍신제륜을 출산하였고, 건륭제는 금괴 2정, 은괴 4정을 하사하고 유모 부부를 보냈다.[1] 둘째 아들 풍신과륵민의 출생은 알려지지 않았다.건륭 32년 (1767년) 9월 7일, 2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 건륭제는 북경에 있던 왕대신 등과 저수궁 황귀비, 경인궁 영비, 7공주, 9공주에게 병든 화석화가공주를 찾아가 보라고 명하였으나, 공주들은 화가공주가 죽은 날 출발하여 너무 늦었다.[1]
그녀는 자신의 종노들과 소작농들에게 자애로워 '''불수공주'''(佛手公主)라 불렸으며, 1767년 10월 29일 육종창으로 22세(만 21세)의 젊은 나이로 훙서(薨逝)하였다. 그녀가 서거하자 부군 복륭안과 종노들, 소작농들이 눈물로 애도하며 그녀를 추모하였다고 한다.
3. 사후
화가공주 원침의 봉분 앞에는 석오공물을 설치하였는데, 제대는 4개의 석고를 받치고 있어 제후릉의 제대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규모가 크고 규제가 많은 화석이친왕 윤상의 원침과 단혜황태자 원침에도 석오공은 없었다. 또 원침 중에는 중휴산 정상인 비정이 있다. 또 봉분 아래에는 알칼리성 기왓고랑이 달린 돌수염이 자리잡고 있다. 수미좌에는 많은 정교한 조각 문양이 있는데, 효화황후, 효정황후, 화석과친왕 윤례 등의 봉분의 수미좌보다 규격이 높다.
4. 가족 관계
건륭제는 화석화가공주가 사망하자, 북경에 있던 왕대신 등에게 명하여 황귀비, 영비, 7공주, 9공주에게 화가공주를 찾아가보라고 하였으나, 공주들은 화가공주가 죽은 날 출발하여 너무 늦었다.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요요의 소설 및 드라마 《황제의 딸》의 여주인공 하자미(夏紫薇)는 화석화가공주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로, 건륭제가 민간 재녀 하우하와 사랑에 빠져 낳은 딸이라는 허구가 섞여있다.[1]
5. 1. 관련 작품
요요의 유명 소설 및 드라마 《황제의 딸》의 여주인공 하자미(夏紫薇)는 화석화가공주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이다. 이 작품에서는 건륭제가 민간의 여인 하우하와 사랑에 빠져 낳은 딸이라는 허구적 설정이 추가되었다.[1]연도 | 제목 | 배우 | 극중 이름 | 극중 호칭 |
---|---|---|---|---|
1998 | 황제의 딸 | 임심여 | 하자미 | 자미격격 |
1999 | 황제의 딸 2 | 임심여 | 하자미 | 자미격격 |
2003 | 황제의 딸 3 | 마이리 | 하자미 | 자미격격 |
2011 | 신황제의 딸 | 해육 | 하자미 | 자미격격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