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선은 해전에서 적 함선에 불을 질러 공격하는 데 사용되는 선박으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었다. 초기에는 인화성 물질을 실어 바람이나 조류를 이용해 적 함선에 충돌시키는 방식이었으며, 화약이 사용되면서 도화선을 이용한 폭발 공격으로 발전했다. 화선은 갤리선 시대부터 범선 시대를 거쳐 현대까지 다양한 해전에서 사용되었으며, 특히 열세에 놓인 세력이 기습적으로 사용하거나, 특정 목표물을 파괴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화포와 군함의 발달, 어뢰와 미사일의 등장으로 전술적 가치가 감소하였으나, 2차 세계 대전과 현대전에서도 소형 선박을 이용한 충돌 공격이 나타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전 전술 - 포화공격
포화 공격은 군사 전술로서 목표 공격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공격 자산을 집중 투입하는 방식으로, 수학적 모델을 통해 공격 성공 확률을 분석하고 방어 시스템을 구축하여 방어 능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 해전 전술 - 정자전법
정자전법은 16세기 전열함 시대에 시작된 해상 전술로, 함대를 종진으로 배치해 적 함대의 T자 형태를 가로지르며 집중 포화를 가하는 전법이었으나, 미사일 기술 발전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지만 해전사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현대 해전 적용 가능성도 논의된다. - 선박 화재 - 충주호 유람선 화재
1994년 충주호에서 발생한 유람선 충주 5호 화재는 미흡한 초동 대처와 안전 불감증 속에 다수의 사상자를 발생시키며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킨 사고이다. - 선박 화재 - 포트 시카고 참사
- 선박의 종류 - 소방선
소방선은 해상 화재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위해 설계된 선박이며, 방수총, 소화 설비 등을 갖추고 항만, 하천 등에서 운용되며, 대한민국에서는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24시간 선박 및 연안 화재, 수난구조 등에 출동한다. - 선박의 종류 - 프리깃
프리깃은 대항해시대의 빠른 범선 군함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대잠전, 대공 방어, 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유도 미사일과 헬리콥터 등을 탑재하여 각국 해군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화선 | |
---|---|
개요 | |
유형 | 군함 |
용도 | 해상 공격 |
추진 방식 | 풍력, 인력, 화력 (선택 사항) |
무장 | 화염, 폭발물 |
역사 | |
기원 | 고대 |
사용 시기 | 고대 - 근대 초 |
주요 사용 해전 | 키프로스 해전 (기원전 1200년경) 살라미스 해전 (기원전 480년) 아르마딜라스 해전 (1588년) 그라블린 해전 (1588년) 팔레르모 해전 (1676년) (1676년) 바르되곶 해전 (1690년) 라호그 곶 해전 (1692년) 셰르부르 해전 (1692년) (1692년) 비고 만 해전 (1702년) 체스메 해전 (1770년) 지브롤터 해전 (1782년) 아부키르 해전 (1798년) |
쇠퇴 | 증기선 등장 이후 |
특징 | |
설계 목적 | 적함에 불을 질러 파괴 |
작동 방식 | 불붙은 채로 적함에 돌격 |
승무원 | 최소 인원 (빠른 탈출 목적) |
취약점 | 예측 가능성 바람의 영향 적의 방어 |
사용법 | |
공격 전술 | 적 함대 틈새 공략 야간 또는 혼란스러운 상황 이용 바람 방향 고려 |
방어 전술 | 예인선 배치 갈고리 장대 사용 회피 기동 |
역사적 의의 | |
전략적 가치 | 적 함대 와해 공포 심리 조성 해상 우위 확보 시도 |
한계 | 전황에 큰 영향 미치기 어려움 자살 공격에 가까움 |
기타 | |
관련 용어 | 브륄로 (프랑스어: Brûlot) 화공선 |
2. 역사
화선은 해전의 초기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기원과 지역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초기 화선의 유명한 사용 사례로는 208년 적벽대전에서 황개의 계략으로 정박해 있던 조조 군의 함선이 화선 공격을 받아 다수가 불타버린 사건이 있다. 지중해의 갤리선 해전에서도 화선이 종종 사용되었다. 당시 화선은 소형 선박에 짚 등 인화성 물질을 싣고 불을 붙여 바람이나 조류를 이용해 적 함선에 충돌시키는 방식이었다. 배 갑판에 기름을 발라 불이 쉽게 붙도록 하기도 했다.
13세기 이후 화약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화선에도 화약이 실리게 되었다. 화약을 탑재할 경우 선체 충돌 시간에 맞춰 화약에 인화할 수 있도록 도화선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적 함선이 화선 공격에서 벗어날 수 있었기 때문에, 승무원은 가능한 한 화선을 적 함선에 가까이 접근시켜야 했다.
서양에서는 해전의 주역이 갤리선에서 범선으로 옮겨가면서 화선이 더욱 중요하게 사용되었다.[13] 아르마다 해전에서는 영국 군의 화선이 스페인 함대에 큰 혼란을 야기하여 영국이 승리하는 계기가 되었다. 80년 전쟁(네덜란드 독립 전쟁)에서는 네덜란드군이 대량의 화약을 실은 거대한 화선(헬버너)을 사용하여 전과를 올렸다.
17세기 중반 영국-네덜란드 전쟁에서 화선 전술은 정점에 달했다. 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에서는 단순히 바람을 타고 흘려보내는 것만으로는 쉽게 요격하거나 회피할수 있었으나,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에서는 고정적인 목표물을 노리고 호위함과 함께 운용하여 여러 해전에서 성공을 거두었다.[13]
18세기가 되면서 서양에서는 화포가 발달하고 군함의 운동성이 향상되었으며, 질서정연한 함대 기동이 발전하면서 화선의 전술적 효과는 떨어졌다. 미국 독립 전쟁에서는 정박 중인 함선에 대한 공격 수단으로만 효력을 발휘하며 점차 사라졌다.[13] 하지만 강력한 군함을 정비할 수 없는 세력에게는 기습 전술로서 가치가 남아, 그리스 독립 전쟁에서는 그리스군이 아스팔트 등 가연성 물질을 가득 실은 화선을 사용하여 상당한 전과를 올렸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화약을 탑재한 소형 돌격정의 사용 사례가 있다. 이탈리아 해군이 수다만 습격에서 중순양함 요크를 격파하는 데 성공한 사례나, 일본이 특공 병기로 정비한 신요 등이 존재한다. 영국은 독일군의 영국 본토 상륙 작전에 대항하기 위해 독일군이 준비 중인 상륙용 주정을 화선으로 불태울 계획(루시드 작전)을 세웠지만, 실행되지 못했다. 1942년 생나제르 강습 작전에서는 노후한 구축함 캠벨타운에 폭약을 탑재하여 화선으로 도크 공격에 투입되어 도크 전체를 파괴하는 데 성공했다.
2000년에는 USS 콜 사건에서 화약을 탑재한 자살 폭탄 보트가 사용되었다. 화선을 대체할 무기로는 미국 독립 전쟁 중 외장 기뢰를 장착한 어뢰정이 탄생했다.[13] 이후 어뢰와 대함미사일의 개발로 선체 충돌의 필요성은 거의 없어졌다. 그러나 소형 선체를 이용해 충돌시키는 예는 이후에도 종종 있어왔다.
2. 1. 고대


화선은 해전 역사의 초기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그 기원과 지역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초기 화선의 유명한 사용 예로는 208년 적벽대전에서 황개의 계략으로 조조 군의 함선이 공격받아 큰 피해를 입은 사례가 있다. 지중해의 갤리선 해전에서도 화선이 종종 사용되었다. 당시 화선은 소형 선박에 짚 등 인화성 물질을 싣고 불을 붙여 바람이나 조류를 이용해 적 함선에 충돌시키는 방식이었다. 배 갑판에 기름을 발라 불이 쉽게 붙도록 하기도 했다.
고대 카르타고는 화선을 활용하여 고대 로마 선박 다수를 파괴했으며, 제3차 포에니 전쟁 중 기원전 149년 투니스 호수 전투에서는 로마 함대 전체를 불태울 뻔했다. 고대 중국에서는 적벽대전(208년)에서 황개가 마른 갈대와 기름을 채운 화선으로 양쯔강에서 조조의 함대를 공격했다. 468년 봉곶 전투에서 반달족은 동로마 제국 함대를 상대로 화선을 효과적으로 사용했다. 673년 그리스의 불 발명은 화선 사용을 증가시켰으며, 처음에는 그리스인들이, 이후에는 다른 나라들이 제조 비법을 얻어 사용했다. 951년과 953년에는 러시아 함대가 화선 공격으로 멸망 직전까지 몰리기도 했다. 티레인들은 기원전 332년 티레 포위전에서 화선을 이용해 마케도니아의 공성탑 두 기와 다른 공성병기를 파괴했다.
2. 2. 중세 및 근세
화선의 역사는 해전의 초기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구체적인 시기와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초기 화선의 사용 예로는 208년 적벽대전에서 황개의 계략으로 조조 군 함선이 화공을 당해 큰 피해를 입은 사례가 있다. 지중해의 갤리선 해전에서도 화선이 자주 사용되었는데, 소형 선박에 짚과 같은 가연성 물질을 싣고 불을 붙여 바람이나 조류를 이용해 적 함선에 충돌시키는 방식이었다. 배 갑판에 기름을 발라 불이 쉽게 붙도록 하기도 했다.13세기 이후 화약이 사용되면서 화선에도 화약이 실리게 되었다. 화약을 탑재한 경우, 선체 충돌 시간에 맞춰 화약에 불을 붙이기 위해 도화선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적 함선이 화선 공격을 피할 수 있었기 때문에, 승무원은 최대한 화선을 적 함선에 가까이 접근시켜야 했다.
서양에서는 해전의 주역이 갤리선에서 범선으로 넘어가면서 화선이 더욱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아르마다 해전(1588)에서는 잉글랜드 군이 화선을 사용하여 밀집한 스페인 함대에 큰 혼란을 일으켜 승리하는 계기가 되었다. 80년 전쟁(네덜란드 독립 전쟁)에서는 네덜란드군이 대량의 화약을 실은 거대한 화선(헬버너)을 사용하여 큰 전과를 올렸다.

화선 전술은 17세기 중반 영국-네덜란드 전쟁에서 정점에 달했다. 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에서는 화선을 단순히 바람에 흘려보내는 것만으로는 요격이나 회피가 쉬워 전과가 부족했다. 그러나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에서는 고정된 목표물을 노리고 호위함과 함께 운용하는 등 정교한 전술을 통해 여러 해전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18세기가 되면서 서양에서는 화포가 발달하고 군함의 기동성이 향상되었으며, 질서정연한 함대 기동이 발전하면서 화선의 전술적 효과는 떨어졌다. 미국 독립 전쟁에서는 정박 중인 함선에 대한 공격 수단으로만 효력을 발휘하며 점차 사라졌다. 하지만 강력한 군함을 갖추지 못한 세력에게는 기습 전술로서 가치가 남아, 그리스 독립 전쟁에서 그리스군은 아스팔트 등 가연성 물질을 가득 실은 화선을 사용하여 상당한 전과를 올렸다.
2. 3. 근대
18세기가 되면서 서양에서는 화포 발달과 군함의 운동성 향상, 질서정연한 함대 행동의 발전 등으로 화선의 전술적 효용성이 저하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에서는 정박 중인 함선에 대한 공격 수단으로만 효력을 발휘했고, 점차 사라졌다.[13] 다만, 강력한 군함을 정비할 수 없는 세력에게는 기습 전술로서 가치가 남았다. 그리스 독립 전쟁에서는 그리스군에 의해 아스팔트 등을 가득 실은 화선이 상당한 규모로 사용되어 상당한 전과를 올렸다.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화약을 탑재한 소형 돌격정의 사용 사례가 있다. 이탈리아 해군이 스다 만 공격에서 중순양함 "요크"의 격파에 성공한 사례나 일본이 특공 병기로 정비한 진양 등이 존재한다. 영국은 독일군의 영국 본토 상륙 작전에 대항하기 위해 독일군이 준비 중인 상륙용 주정을 화선으로 불태우는 루시드 작전(:en:Operation Lucid)을 계획했지만, 실행에 이르지 못했다. 또한, 1942년의 생나제르 습격 작전에서는 노후 구축함 "캠벨타운"이 폭약을 탑재한 화선으로서 도크 공격에 투입되어 도크의 완전 파괴에 성공했다.
2000년에는 미 해군 콜호 공격 사건에서 화약을 탑재한 자폭 보트가 사용되었다.
화선을 대체하는 무기로는 미국 독립 전쟁 중에 외장 수뢰를 장비한 수뢰정이 탄생했다.[13] 그 후 어뢰와 대함 미사일의 개발로 돌격의 필요성도 거의 없어졌다. 그러나 전술한 것과 같은 소형 돌격정의 사용 사례가 그 후에도 약간 보인다.
2. 4. 현대
화선은 해전 역사의 초기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그 기원과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초기 화선의 유명한 사용 사례는 208년 적벽대전에서 황개가 조조 군의 함선을 공격한 것이다. 지중해의 갤리선 해전에서도 화선이 자주 사용되었다. 당시 화선은 소형 선박에 짚 등 가연물을 싣고 불을 붙여 바람이나 조류를 이용해 적함에 충돌시키는 방식이었다. 배 갑판에 기름을 발라 불을 붙이기도 했다.
화약이 사용되면서 화선에도 화약이 탑재되기 시작했다. 화약 탑재 시에는 도화선을 사용하여 적함 충돌 시간에 맞춰 폭발시켰다. 하지만 적함이 화선 공격을 피할 수 있었기 때문에, 승무원은 최대한 화선을 적함에 가까이 접근시켜야 했다.
서양에서는 해전의 주역이 갤리선에서 범선으로 넘어가면서 화선이 더욱 중요해졌다.[13] 알마다 해전에서는 영국군이 화선을 사용하여 밀집한 스페인 함대에 큰 혼란을 일으켜 승리하는 계기가 되었다. 80년 전쟁 (네덜란드 독립 전쟁)에서는 네덜란드군이 다량의 화약을 실은 화선(헬버너, :en:Hellburners)을 사용하여 큰 전과를 올렸다.
화선 전술은 17세기 중반 영란 전쟁에서 정점에 달했다. 제1차 영란 전쟁에서는 화선을 단순히 바람에 흘려보내는 방식이어서 요격이나 회피가 쉬워 전과가 부족했다. 하지만 제2차 영란 전쟁에서는 고정 목표물을 노리고 호위함과 함께 운용하는 등 전술이 정교해져 여러 해전에서 성공을 거두었다.[13]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서양에서는 화포 발달, 군함 운동성 향상, 함대 기동 발전 등으로 화선의 전술적 효용성이 떨어졌다. 미국 독립 전쟁에서는 정박 중인 함선 공격에만 효력을 발휘했고, 점차 사라졌다.[13] 하지만 강력한 군함을 갖추지 못한 세력에게는 기습 전술로서 가치가 남아, 그리스 독립 전쟁에서는 그리스군이 아스팔트 등을 가득 실은 화선을 사용하여 상당한 전과를 올렸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도 화약을 탑재한 소형 돌격정이 사용되었다. 이탈리아 해군의 스다 만 공격에서 중순양함 요크 격파, 일본의 특공 병기 진양 등이 그 예이다. 영국은 독일군의 영국 본토 상륙 작전에 대비해 루시드 작전(:en:Operation Lucid)을 계획했으나 실행되지 않았다. 1942년 생나제르 습격에서는 노후 구축함 캠벨타운이 폭약을 싣고 도크 공격에 투입되어 도크를 완전히 파괴했다.
2000년 미 해군 콜호 공격 사건에서는 화약을 탑재한 자폭 보트가 사용되었다.
화선을 대체하는 무기로는 미국 독립 전쟁 중 외장 수뢰를 장비한 수뢰정이 탄생했다.[13] 이후 어뢰와 대함 미사일의 개발로 선체 충돌의 필요성은 거의 없어졌지만, 소형 돌격정을 이용한 공격 사례는 드물게나마 계속 나타나고 있다.
3. 주요 전투
- 적벽대전[1]
- 포양호 수전
- 무적함대[1]
- 제2차 트리폴리 항구 전투[1]
- 채리엇 작전
- 로우스토프트 해전
- 솔베이 해전[1]
- 수다만 공격[8][9]
- 생나제르 습격
참조
[1]
논문
The Fireship and its Role in the Royal Navy
http://nautarch.tamu[...]
Texas A&M University
[2]
서적
The Last of the Han: being the chronicle of the years 181–220 AD as recorded in chapters 58–68 of the Tzu-chih t'ung-chien of Ssu-ma Kuang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Centre of Oriental Studies
[3]
서적
The Greek War of Independence: The Struggle for Freedom from Ottoman Oppression and the Birth of the Modern Greek Nation
Overlook Press
[4]
서적
Naval Wars in the Levant 1559–1853
https://babel.hathit[...]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Civil War: A Narrative: Volume 1: Fort Sumter to Perryville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11-01-26
[6]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Civil War at Se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7]
웹사이트
Battle of Britain, September 1940
http://www.naval-his[...]
2023-12-20
[8]
서적
The Naval War in the Mediterranean, 1940–1943
Chatham Publishing
[9]
서적
The Italian Navy in World War II
Greenwood Press
[10]
웹사이트
Suicide bombing attack claims first Coast Guardsman since Vietnam War
http://www.stripes.c[...]
2004-04-27
[11]
뉴스
Analysis: Ukraine Strikes With Kamikaze USVs – Russian Bases Are Not Safe Anymore
https://www.navalnew[...]
2022-10-30
[12]
서적
Life and Writings of Arrian
http://websfor.org/a[...]
[13]
문서
外山(1981年)、218-219頁。
[14]
논문
The Fireship and its Role in the Royal Navy
http://nautarch.tamu[...]
Texas A&M University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의성 산불 진화율 오락가락…골바람·건조 날씨·짙은 연기에 고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