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줄베도라치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줄베도라치과는 1893년 테오도어 길에 의해 처음 제시된 물고기 과로, 쏨뱅이목 또는 농어목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된다. 길고 납작한 몸,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꼬리지느러미에 연결된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위장색을 띤다. 북태평양, 북아메리카 서해안, 아시아 동해안 등지에 분포하며, 작은 갑각류와 연체동물을 먹고 산다. 일부 종은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어도어 길이 명명한 분류군 - 가시두더지
가시두더지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섬에 서식하며 가시로 덮인 몸, 긴 주둥이, 발톱을 가진 단공류 포유류로, 알을 낳고 개미 등을 먹으며, 위협 시 몸을 둥글게 말거나 땅에 숨는 특징을 지닌다. - 시어도어 길이 명명한 분류군 - 쥐가오리과
쥐가오리과는 날개 모양 가슴지느러미와 머리지느러미를 가진 연골어류로, 여과 섭식을 하며,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매가오리과에서 독립된 과로 인정받았고, 쥐가오리속을 유일한 현존 속으로 가지며 암초대왕쥐가오리, 대왕쥐가오리 등을 포함하고, 멸종된 화석 속인 아르키아오만타도 알려져 있다.
황줄베도라치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류강 |
상목 | 극기상목 |
목 | 농어목 |
아목 | 둑중개아목 |
하목 | 등가시치하목 |
과 | 니싱겐포과(Pholidae) |
과 명명자 | Gill, 1893 |
학명 | |
학명 | Pholis nebulosa |
명명자 | Temminck & Schlegel, 1845 |
일반 정보 | |
한국어 이름 | ギンポ (긴포) |
로마자 표기 | Ginpo |
영어 이름 | Gunnels, tidepool gunnel |
2. 분류
황줄베도라치과는 1893년 미국의 동물학자 테오도어 길(Theodore Gill)에 의해 처음으로 과(family)로 제시되었다.[1] ''세계의 물고기''의 제5판에서는 이 과를 쏨뱅이목(Scorpaeniformes) 내의 극서어하목(Zoarcoidei) 하위목으로 분류하고 있다.[2] 다른 학자들은 이 과를 농어목(Perciformes)에서 쏨뱅이목을 제거하면 해당 분류군이 비단계통군이 되기 때문에, 극서어하목(Zoarcales)의 하위목인 Cottoidei에 분류한다.[3]
황줄베도라치과라는 이름은 구멍에 숨는 물고기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이름인 기준 속 ''Pholis''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이름은 최소한 아리스토텔레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4]
이 과는 Pholididae로 표기되기도 하며, 이것이 문법적으로 정확하지만, 국제동물명명규약 제29조는 Pholidae의 사용을 허용한다.[1]
2. 1. 하위 분류
황줄베도라치과는 2개 아과, 4개 속, 15종으로 구성된다.[1][5]- Pholinae 아과
- * 베도라치속 (''Pholis'')
- Apodichthyinae 아과
- * ''Apodichthys'' 속
- * 황줄베도라치속 (''Rhodymenichthys'')
- * ''Ulvicola'' 속

아래는 황줄베도라치과의 하위 속 목록이다.
- ''Apodichthys'' 속은 3종으로, 거의 단색을 띈다.
- * Penpoint gunnel (''A. flavidus'')
- * Rockweed gunnel (''A. fucorum'')
- * Kelp gunnel (''A. sanctaerosae'')
- 베도라치속('''')은 11종으로, 색채가 풍부한 종류가 많다.
- * (''P. clemensi'')
- * 점베도라치 (''P. crassispina'')
- * 흰베도라치 (''P. fangi'')
- * (''P. fasciata'')
- * (''P. gunnellus'')
- * (''P. laeta'')
- * ''''
- * 베도라치 (''P. nebulosa'')
- * 오색베도라치 (''P. ornata'')
- * ''P. picta''
- * (''P. schultzi'')
- 홋카이도베도라치속 (''Rhodymenichthys'')
- * Stippled gunnel (''R. dolichogaster'')
3. 특징
황줄베도라치과(Pholidae)는 베도라치류와 유사하게 길고 납작한 몸을 가지고 있다. 머리에서 꼬리지느러미까지 이어지는 등지느러미는 뒷지느러미 길이의 약 두 배이며, 73~100개의 가시를 가지고 있다. 뒷지느러미에는 1~3개의 가시와 32~53개의 연조가 있다. 뒷지느러미와 등지느러미는 둥근 꼬리지느러미에 연결되어 있다.[6] 일부 종은 가슴지느러미가 없거나 매우 작으며, 배지느러미 또한 작거나 없다. 몸은 점액으로 덮여 있고, 매우 작고 보기 어려운 원린으로 덮여 있다. 머리의 감각관은 외부에 열려 있는 구멍을 가지고 있다. 측선은 옆구리 중앙을 따라 이어져 있으며, 얕은 측선 감각기의 열로 구성되어 있다. 이빨은 작고 원뿔형이다. 아가미 막은 넓게 연결되어 있으며, 좁은 목과 분리되어 있다. 늑골이 없다.[6]
이들은 노란색, 갈색, 빨간색, 녹색 등 다양한 위장색을 띠며, 반점, 얼룩, 띠 등으로 표시되기도 한다.[6] 가장 큰 종은 황줄베도라치( ''Apodichthys flavidus'')로, 최대 46cm까지 자란다. 가장 작은 종은 ''Pholis nea''로, 최대 7.9cm이다.[7] 몸이 들어갈 정도 크기의 구멍에 둥지를 만들지만, 스스로 구멍을 낼 수는 없으며, 산호에 조개류가 낸 구멍이나, 빈 깡통 등을 이용한다.
4. 분포 및 서식지
황줄베도라치류는 북태평양, 북아메리카 서해안과 아시아 동해안에서 주로 발견되며, 베도라치속(Pholis)에 속하는 두 종은 북극해와 북대서양에서 발견된다.[1] 이들은 켈프와 기타 해조류가 있는 지역을 포함하여 조간대 및 조하대의 암석 지역과 얕은 물에서 발견된다.[1] 조간대에서 바위 밑이나 웅덩이에 자주 숨는다.[1]
일본 열도에서는 홋카이도 남부에서 고치현・나가사키현에 걸쳐 얕은 바다와 얕은 해역에 서식한다.
산호에 조개류가 낸 구멍이나 빈 깡통 등을 둥지로 이용하기도 한다.
5. 생태
황줄베도라치류는 북태평양, 북아메리카 서해안과 아시아 동해안에서 주로 발견되며, 베도라치속(Pholis)에 속하는 두 종은 북극해와 북대서양에서 발견된다.[1] 주로 켈프와 기타 해조류가 있는 지역을 포함하여 조간대 및 조하대의 암석 지역과 얕은 물에서 발견된다.[1] 이들은 조간대에서 바위 밑이나 웅덩이에 자주 숨는다.[1]
이들의 식단은 작은 갑각류와 연체동물로 구성된다.[1] 어미가 알을 보호하는 습성이 있다.
6. 인간과의 관계
일부 종은 식용으로 이용된다. 갯지렁이, 칼고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둑중개라는 이름은 에도 시대의 은화인 정은을 닮았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에도마에의 튀김 재료로 사용된다.
7. 계통 분류
다음은 2015년 라드첸코(Radchenko)의 연구에 기초한 황줄베도라치과의 계통 분류이다.[12]
등가시치하목에 속하며 바닥가시치과, Cebidichthyidae, 장갱이과, Opisthocentridae, 깃대장어과, Lumpenidae, 큰입망둑과, 장성베도라치과, Eulophiidae, Neozoarcidae, 이리치과, 등가시치과 등과 관련이 있다.
8. 보존
참조
[1]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https://www.research[...]
[2]
서적
Fishes of the World
https://sites.google[...]
Wiley
[3]
논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4]
웹사이트
Order Perciformes (Part 11): Suborder Cottoidea: Infraorder Zoarcales: Families: Anarhichadidae, Neozoarcidae, Eulophias, Stichaeidae, Lumpenidae, Ophistocentridae, Pholidae, Ptilichthyidae, Zaproridae, Cryptacanthodidae, Cebidichthyidae, Scytalinidae and Bathymasteridae
http://etyfish.org/p[...]
Christopher Scharpf and Kenneth J. Lazara
2021-07-04
[5]
간행물
2022-07-30
[6]
서적
Family Pholidae Gill 1893 — gunnels
https://www.calacade[...]
[7]
FishBase
[8]
FishBase
[9]
FishBase
[10]
FishBase
[11]
FishBase
[12]
간행물
The system of the suborder Zoarcoidei (Pisces, Perciformes) as inferred from molecular genetic data
201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