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선사상충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선사상충증은 선충류의 일종인 온코세르카 볼불루스(Onchocerca volvulus)에 의해 발생하는 기생충증으로, 감염된 검정파리(Simulium)에 물려 전파된다. 주로 아프리카에서 발병하며 심한 가려움증, 피부 결절, 시력 저하 또는 실명과 같은 증상을 유발한다. 진단은 피부 생검을 통해 미세사상충을 확인하거나, 디에틸카바마진(DEC)을 사용한 마조티 검사, 세극등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예방을 위해서는 검정파리에 물리지 않도록 방충제를 사용하고, 치료는 이버멕틴을 사용한 집단 투약, 독시사이클린 또는 목시덱틴 투여를 통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생충병 - 회충증
회충증은 회충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회충 알이 섞인 음식 섭취를 통해 감염되며 장폐색, 내장 손상, 폐렴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대변 검사로 진단하고 위생 시설 개선과 구충제 사용으로 치료 및 예방한다. - 기생충병 - 낭미충증
낭미충증은 돼지촌충 유충인 낭미충이 인체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병으로, 경구-분변 경로를 통해 감염되며 뇌, 눈, 근육 등에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고, CT, MRI 등으로 진단하여 항기생충제 투여, 수술 등으로 치료하며 위생 개선, 돼지고기 위생 관리 등으로 예방할 수 있다. - 소외질병 - 나병
나병은 주로 피부, 말초 신경 등을 침범하는 만성 감염 질환으로, *M. leprae*와 *M. lepromatosis*에 의해 발생하며, 다제 병용 요법으로 치료하고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 소외질병 - 승저증
승저증은 파리 유충이 살아있는 척추동물의 조직이나 체액 등을 섭취하며 기생하는 질병으로,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 가능하며 위생 환경이 열악하거나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 발병 위험이 높고, 괴사 조직 제거에 구더기를 이용하는 치료법이 주목받고 있다. - 곤충 매개 질병 - 페스트
페스트는 쥐벼룩을 통해 전파되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균에 의한 감염병으로, 림프절 부종, 전신 출혈, 폐렴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항생제로 치료 가능하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고, 역사적으로 대규모 범유행을 일으켰으며 현재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고 생물무기로 사용될 가능성도 있다. - 곤충 매개 질병 - 말라리아
말라리아는 말라리아원충속 기생충에 감염되어 암컷 이집트모기속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질병으로, 오한, 발열, 발한 등의 주기적인 발작을 일으키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주요 공중 보건 문제이다.
회선사상충증 | |
---|---|
기본 정보 | |
![]() | |
진료과 | 감염내과 |
증상 | |
증상 | 가려움증, 피부 아래 돌기, 실명 |
원인 | |
원인 | 회선사상충에 의해 발생, 검은파리에 의해 전파됨 |
진단 및 치료 | |
예방 | 물리는 것 피하기(곤충 기피제, 적절한 옷 착용) |
약물 | 이버멕틴, 독시사이클린 |
통계 | |
빈도 | 2015년 1550만 명 |
질병 분류 | |
DiseasesDB | 9218 |
ICD-10 | B73 |
ICD-9 | 125.3 |
MeSH | D009855 |
2. 원인
회선사상충증은 선충류의 일종인 ''온코세르카 볼불루스''(Onchocerca volvulusla)에 의해 발생하는 기생충증이다.[86][90] 이 회선사상충은 감염된 검파리(Simuliumla)에 반복적으로 물릴 때 전염된다.[86][90] 이 검파리가 주로 하천 근처에 서식하기 때문에 "강변 실명증"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90][89]
2. 1. 생활사
회선사상충증을 일으키는 기생충인 ''온코세르카 볼불루스''(Onchocerca volvulusla)의 유충은 ''검파리''(Simuliumla) 속의 감염된 암컷 성충이 사람을 물 때 인체로 들어간다.[13][14][86][90][95] 유충은 숙주인 사람의 피부 아래에서 성숙하는 데 최대 3개월이 걸릴 수 있으며, 주로 혈액에서 영양분을 얻어 성장하지만, 뇌척수액이나 소변 등 다른 체액을 이용하기도 한다. 성충은 주로 피부 아래에 서식하며 교미하고, 이 부위에 결절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기생충은 결합 조직의 혈관을 통해 몸 전체로 이동할 수 있으며, 심지어 각막 뒤쪽에 자리 잡기도 한다.기생충의 생활사는 검정파리와 인간 숙주를 오가며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13][14][86][90][95]
# 암컷 검정파리가 감염된 사람의 혈액을 빨아먹을 때 미세사상충(기생충의 유충)을 함께 섭취한다.
# 미세사상충은 검정파리의 장과 가슴 근육으로 이동하여 제1기 유충(J1)으로 발달한다.
# 유충은 제2기 유충(J2)을 거쳐 제3기 유충(J3, 감염 유충)으로 성숙하며 검정파리의 입(주둥이)으로 이동한다. 이 성숙 과정은 약 7일에서 2주 정도 소요된다.
# 감염 유충을 가진 검정파리가 다른 사람의 피를 빨 때, 유충이 사람의 몸속으로 침입한다.
# 사람 몸에 들어온 유충은 피하 조직으로 이동하여 두 번 더 탈피하고, 6개월에서 18개월에 걸쳐 성충으로 자라면서 결절을 형성한다.
# 성숙한 수컷 성충은 피하 조직 내에서 암컷과 짝짓기를 한다. 암컷 성충은 10년에서 15년까지 생존하며 하루에 700~1,500마리의 미세사상충을 지속적으로 생산한다.
# 미세사상충은 주로 낮 시간에 피부 표면 가까이로 이동한다. 검정파리 역시 낮에 주로 활동하며 피를 빨기 때문에, 이 시간에 미세사상충이 검정파리에게 섭취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 다른 검정파리가 감염자의 혈액을 빨아먹으면서 미세사상충을 섭취하면 새로운 감염 순환이 시작된다.
3. 증상
유충은 숙주 면역 체계의 반응을 유발하지 않고 신체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기생충에 감염된 일부 사람들은 증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2017년 세계 질병 부담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최소 2,090만 명이 감염되었으며, 이 중 1,460만 명이 피부 질환 증상을, 115만 명이 시력 관련 증상을 경험했다.[15] 먹파리에게 물린 후 유충이 성체로 발달하여 새로운 유충을 생성하기까지 12~18개월이 걸리며, 이 시점부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16] 회선사상충증의 임상적 징후는 대부분 죽거나 죽어가는 미세사상충(유충)에 대한 신체의 국소적인 염증 반응 때문에 발생한다.[17]
주요 증상은 피부와 눈에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피부 증상이 시력 문제보다 수년 먼저 발생한다. 피부에서는 심한 가려움증, 부기, 발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눈에서는 시력 저하, 빛 민감성, 심하면 실명에 이를 수 있다.[18][19] 특히 눈 증상은 이 병의 다른 이름인 강가 실명(River Blindness)으로 불릴 정도로 심각하며, 각막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20][21]
3. 1. 피부 증상
먹파리에게 물린 후 유충이 성체로 발달하여 새로운 유충을 생성하기까지 12~18개월이 걸리며, 이 시기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16] 회선사상충증의 임상적 징후는 대부분 죽거나 죽어가는 미세사상충(유충)에 대한 신체의 국소적인 염증 반응 때문에 발생한다.[17] 일반적으로 피부 증상이 시력 문제보다 수년 먼저 나타난다.주요 피부 증상은 다음과 같다.[18]
회선사상충증은 발병 지역에 따라 다양한 피부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26]
- Erisipela de la costa: 급성 단계로 얼굴 부종, 홍반, 가려움증이 특징이다. 주로 중남미 지역 감염자에게서 흔하게 나타난다.[26][27]
- Mal morado: 염증과 과다 색소 침착이 나타나는 피부 상태이다.[26]
- Sowda: 국소적인 부위에 발생하는 회선사상충증의 한 형태이다.[26]
또한, 회선사상충증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피부 변화가 나타나기도 한다:[26]
- 표범 피부: 피부에 얼룩덜룩한 탈색이 나타나는 상태.
- 코끼리 피부: 피부가 두꺼워지는 상태.
- 도마뱀 피부: 피부가 두꺼워지고 주름지는 상태.
3. 2. 눈 증상
회선사상충증의 눈 증상은 다음과 같다.[19]이러한 눈 증상은 회선사상충증과 관련된 일반적인 이름인 강가 실명(River Blindness)의 유래가 되었으며, 결막과 각막에서 포도막과 망막 및 시신경을 포함한 눈의 모든 부분과 관련될 수 있다.[20][21] 미세사상충 유충이 각막 표면으로 이동하면서 감염된 부위에 점상 각막염이 발생한다. 이 염증은 가라앉으면 깨끗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감염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면 경화성 각막염이 발생하여 영향을 받은 부위가 불투명해질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체 각막이 불투명해져 결국 실명에 이르게 될 수 있다. 일부 증거에 따르면 각막에 미치는 영향은 기생충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반응 때문에 발생할 수도 있다.[20]
3. 3. 마조티 반응 (Mazzotti reaction)
마조티 반응은 1948년에 처음 기술되었으며, 약물 디에틸카바마진 (DEC)으로 사상충증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증상 복합체이다. 마조티 반응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며, 발열, 두드러기, 부어오르고 압통이 있는 림프절, 빈맥, 저혈압, 관절통, 부종, 그리고 미세사상충증 치료 후 7일 이내에 발생하는 복통으로 특징지어진다.[22]
디에틸카바마진(DEC)가 사용될 때 이 현상이 매우 흔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 약물은 진단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피부 패치 검사의 기초가 된다. 약물 패치를 피부에 부착하고, 환자가 ''O. volvulus'' 미세사상충에 감염된 경우, 국소적인 가려움증과 두드러기가 부착 부위에서 나타난다.[23]
4. 진단
임상적으로 회선사상충증이 의심될 경우, 확진을 위해 몇 가지 검사를 시행한다.[11] 가장 일반적인 진단 방법은 피부 생검이다.[90][94] 의사는 감염 의심 부위에서 3~5mg 정도의 작은 피부 조각을 채취하는데, 이때 피부의 상부 진피에서만 조직을 얻는다.[11][25] 이 피부 샘플을 생리 식염수에 담근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미세사상충이 나오는지 확인한다.[11][94]
만약 피부 샘플에서 미세사상충이 발견되지 않으면 마조티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이 검사는 6mg의 디에틸카바마진을 감염 부위에 투여하여, 심한 염증이나 가려움증이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반응이 나타나면 미세사상충이 존재함을 의미한다.[11]
눈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세극등 검사를 통해 눈 안팎에서 기생충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11] 이 외에도 항체 검사나 PCR 검사가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11][90]
5. 예방
현재까지 회선사상충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다.[86] 따라서 유일한 예방 방법은 매개체인 검정파리(black fly)에 물리지 않는 것이다.[90] 개인적인 보호 조치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권장된다.
- N,N-디에틸-메타-톨루아미드(DEET) 성분이 포함된 방충제 사용[30][90]
- 퍼메트린으로 처리된 의류 착용[30]
- 긴 소매 옷과 긴 바지를 착용하여 피부 노출 최소화[30][90]
- 모기장 사용[90]
집단적인 예방 노력으로는 검정파리의 개체 수를 줄이기 위해 살충제를 살포하는 방법이 있다.[86] 이는 1974년부터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시행된 회선사상충증 관리 프로그램(OCP, Onchocerciasis Control Programme)의 주요 전략 중 하나였다. OCP는 세계 보건 기구, 세계 은행, 유엔 개발 계획, 식량 농업 기구 등 국제기구들의 협력으로 진행되었으며, 검정파리 유충 서식지인 빠르게 흐르는 강에 살충제를 뿌리는 방식으로 개체 수를 조절했다.[28][29]
한편, 소의 회선사상충증 감염을 막기 위한 백신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약화된 유충을 이용한 백신이 제3상 임상 시험 단계에 있으며, 접종된 소에서 높은 예방 효과를 보였다.[91][92] 이는 장차 사람을 위한 회선사상충증 백신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91][92]
6. 치료
회선사상충증 치료는 주로 집단 투약(MDA)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지며, 핵심 약물은 이버멕틴(Ivermectin, 상품명: 멕티잔)이다.[86][93] 이버멕틴은 일반적으로 150μg/kg 용량을 1년에 1~2회 경구 투여하며,[89][94] 성충의 수명이 10~15년 정도 지속되므로 치료 역시 같은 기간 동안 꾸준히 진행하는 것이 권장된다.[25][86] 이버멕틴은 신경계와 근육 기능에 작용하여 기생충을 마비시키는데, 특히 글루탐산-개폐 염소 채널에 결합하여 이를 비가역적으로 활성화시킨다.[43] 이로 인해 억제성 시냅스 후 전위가 유발되어 신경 전달이 차단되고, 기생충은 결국 이완성 마비 상태에 빠져 죽게 된다.[48][49][50]
이버멕틴은 주로 유충 단계인 미세사상충에 직접 작용하여 마비시키고, 이후 호산구와 대식세포 같은 면역 세포에 의해 제거되도록 한다.[43] 성충을 직접 죽이지는 못하지만, 암컷 성충의 생식기를 마비시켜 미세사상충 방출을 중단시키고 불임을 유도할 수 있다. 6개월마다 투여하면 불임화가 더 빨리 진행될 수도 있다.[11][43][89][94] 이버멕틴 치료를 통해 심한 피부 가려움증이 완화되고 실명으로의 진행이 멈추며, 질병의 전파를 줄이는 데 기여한다.[25][41][42] 이버멕틴은 냉장 보관이 필요 없고, 넓은 안전역을 가지며, 투여가 간편하여 최소한의 훈련을 받은 지역 보건 인력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3][96][109] 그러나 투여 후 1~2일 내에 두드러기, 가려움증, 발열, 피부염, 근육통, 부종, 기립성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25] 또한, 가나에서의 연구 결과는 이버멕틴에 대한 내성 발생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97][98][99]
개별 환자 치료에는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이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독시사이클린은 회선사상충 내부에 공생하는 ''볼바키아''(Wolbachia) 박테리아를 표적으로 삼는다.[94][102] 볼바키아는 기생충의 생존과 번식에 필수적이므로, 독시사이클린 투여는 볼바키아를 약화시켜 암컷 성충을 불임 상태로 만들고 성충의 수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는 결국 숙주 내 미세사상충 부하 감소로 이어진다.[44][45][46] 여러 임상 시험에서 독시사이클린은 4~6주간의 투여로 암컷 기생충을 불임화하고 수를 줄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47] 그러나 독시사이클린은 매일 4~6주 동안 투여해야 하므로, 집단 투약 프로그램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43]
최근에는 목시덱틴(Moxidectin)이라는 새로운 치료제가 개발되었다. 2018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12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목시덱틴 사용을 승인했으며, 현재 4~11세 어린이를 위한 안전 용량 연구가 진행 중이다.[52] 성인 및 12세 이상 청소년에게는 8mg 단회 경구 투여가 권장된다.[53] 목시덱틴은 이버멕틴보다 더 강력하고 오랫동안 미세사상충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1개월 후에 피부 내 미세사상충 수가 최대로 감소하며, 치료 6개월 후에는 많은 환자의 피부에서 미세사상충이 검출되지 않았다.[54][100][101]
현재 인간의 회선사상충증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은 없다. 백신 개발은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진행 중이다. 첫 번째는 이버멕틴 투여 대상이 아닌 5세 이하 어린이를 위한 예방 백신이며, 두 번째는 이미 감염된 어린이와 성인을 위한 치료 백신으로, 성충이나 미세사상충, 또는 질병 유발 요인을 표적으로 한다.[39][40]
이러한 치료 전략, 특히 이버멕틴을 이용한 집단 투약은 아프리카 온코세르카증 퇴치 프로그램(APOC)과 미주 온코세르카증 퇴치 프로그램(OEPA) 같은 국제적 노력의 핵심 요소였다.[31][34] 이를 통해 콜롬비아(2013년), 에콰도르(2015년), 과테말라(2016년) 등 일부 국가에서는 회선사상충증 퇴치가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35][36]
7. 역사
회선사상충증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기원하여 노예 무역과 같은 콜럼버스 교환의 과정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파된 것으로 여겨진다.[65][103][104] 1990년대 중반의 계통 발생학 연구는 아메리카 대륙의 회선사상충 균주가 서아프리카의 사바나 지역 균주와 유전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밝혀내, 이러한 전파 경로를 뒷받침한다.[65]
질병을 일으키는 미세사상충은 1874년 아일랜드 해군 군의관 존 오닐(John O'Neill)에 의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그는 당시 아프리카 서해안에서 "크로우-크로우(kru-kru)"[105] 또는 "크로우-크로우(craw-craw)"[66]라 불리던 피부 질환의 원인을 연구하던 중 이를 발견했다.[66][105] 이후 1890년, 독일의 동물학자 루돌프 로이카르트(Rudolf Leuckart)는 아프리카에서 온 선교사 의사가 보낸 표본을 검토하고 이 기생충에 ''Filaria volvulus''라는 학명을 부여했다.[67]
과테말라의 의사 로돌포 로블레스(Rodolfo Robles)와 라파엘 파체코(Rafael Pacheco)는 1915년경 아메리카 대륙에서 처음으로 이 질병과 안구 증상의 연관성을 보고했다.[68][106] 그들은 커피 농장 노동자들 사이에서 흔히 발견되는 피부 및 안구 염증(특히 얼굴 부위, erisipela de la costa|에리시펠라 데 라 코스타spa)이 회선사상충 성충 감염과 관련 있음을 밝혀냈고, 이 질병은 "로블레스 질환"으로도 불리게 되었다.[68] 로블레스는 표본을 프랑스 기생충학자 에밀 브럼프트(Émile Brumpt)에게 보냈고, 브럼프트는 1919년 이 기생충이 실명을 유발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라틴어로 '맹인'을 뜻하는 'caecus'를 넣어 ''Onchocerca caecutiens''라는 새로운 학명을 제안했다.[69] 곧이어 멕시코에서도 이 질병이 흔하다는 보고가 나왔다.[70] 1920년대 초에는 아프리카와 중앙 아메리카에서 발견되는 사상충이 형태학적으로 동일하며, 오닐이 50년 전에 기술한 것과 같은 종류라는 점에 학계의 의견이 모아졌다.
로블레스는 질병의 매개체로 낮에 활동하는 흑파리(''Simulium'')를 지목했다. 이러한 가설은 시에라리온에서 연구하던 스코틀랜드 의사 도널드 블랙록(Donald Blacklock)에 의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그는 감염자의 피부 결절 부위에 흑파리를 노출시켜 감염시키는 실험을 통해 회선사상충의 생활사를 밝혀냈다.[71]
초기에는 아프리카에서는 안구 질환이 드물다고 여겨졌으나, 1930년 벨기에의 안과의사 장 이세트(Jean Hissette)는 벨기에령 콩고(현재의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이 기생충이 "강변 실명증(river blindness)"의 원인임을 확인했다.[72] 그는 일부 환자들이 눈앞에 실이나 벌레가 떠다니는 것을 본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안구의 앞방수(anterior chamber)를 떠다니는 미세사상충이었다.[73] 이세트는 상쿠루(Sankuru) 강 유역 회선사상충증 환자의 절반 가량이 안구 질환을 앓고 있으며, 그중 20%가 실명 상태라고 보고했다. 그는 적출된 눈에서 미세사상충을 분리하고 특징적인 맥락망막 반흔을 기술했는데, 이는 훗날 1945년 관련 연구를 발표한 영국 안과의사 해럴드 리들리(Harold Ridley)의 이름을 따 "이세트-리들리 안저(Hissette-Ridley fundus)"로 불리게 되었다.[74] 리들리는 이 질병이 노예 무역을 통해 전파되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처음 제기하기도 했다.[74] 국제 학계는 처음에 이세트의 연구 결과에 회의적이었으나, 1934년 미국 열대 의학 의사 리처드 P. 스트롱(Richard P. Strong)이 이끈 하버드 아프리카 탐험대에 의해 그의 발견이 사실임이 확인되었다.[75]
7. 1. 퇴치 프로그램
1974년부터 2002년까지 서아프리카에서는 온코세르카증 퇴치 프로그램(OCP, Onchocerciasis Control Programme)이 실시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주로 강가에 유충 구제제를 살포하여 등에 유충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988년부터는 구충제 이버멕틴의 집단 투여를 병행하여 회선사상충증 퇴치를 추진했다.[107][108] 이 활동은 세계 보건 기구(WHO), 세계 은행, 유엔 개발 계획(UNDP), 유엔 식량 농업 기구(FAO)가 공동으로 진행했으며,[107][108] 약 60만 명의 실명을 예방하는 성과를 거두었다.[90][107]미국 제약사 머크(Merck & Co.)는 1988년부터 메크티잔 기부 프로그램(MDP, Mectizan Donation Program)을 통해 이버멕틴을 유행 지역 주민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각국 보건부 및 세계 보건 기구(WHO)와 같은 비정부 개발 기구(NGDO)와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109]
1995년에는 아프리카의 회선사상충증 유행 국가들을 대상으로 아프리카 온코세르카증 퇴치 프로그램(APOC, African Programme for Onchocerciasis Control)이 시작되었다.[31][110] 이 프로그램은 주로 이버멕틴을 이용한 지역사회 주도 치료(CDTI)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를 통해 전체적인 질병 전파율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했다.[32] APOC는 2015년에 공식적으로 종료되었고, 프로그램의 일부 기능은 WHO의 소외 열대 질환(NTD) 퇴치를 위한 특별 확대 프로그램(ESPEN, Expanded Special Project for Elimination of Neglected Tropical Diseases)으로 이관되었다.[110] ESPEN은 각국 정부 보건부 및 파트너 비정부 기구와 협력하여 회선사상충증의 전파를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유행 지역 인구의 80% 이상에게 최소 10년에서 12년(성충의 수명에 해당) 동안 매년 지속적으로 이버멕틴을 투여해야 한다. 아직 아프리카 국가 중 회선사상충증 퇴치를 공식적으로 검증받은 곳은 없지만, 나이지리아 일부 지역처럼 지속적인 전파가 감지되지 않는 곳에서는 치료가 중단되기도 했다.[33]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1992년에 아메리카 온코세르카증 퇴치 프로그램(OEPA, Onchocerciasis Elimination Program for the Americas)이 시작되었다.[34][111] OEPA는 이버멕틴의 대량 투여를 핵심 전략으로 삼았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2013년 7월 29일 범미 보건 기구(PAHO)는 콜롬비아가 16년간의 노력 끝에 세계 최초로 회선사상충증을 퇴치한 국가가 되었다고 공식 발표했다.[35][112] 이후 여러 국가에서 퇴치가 확인되었다.
초기에는 2012년까지 아메리카 대륙 전체에서 이 질병이 퇴치될 것으로 예상했으나,[37][115] 2022년 현재는 브라질과 베네수엘라 국경 지대에 거주하는 야노마미 원주민 지역에만 회선사상충증이 남아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해당 지역에 퇴치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38][116][113][114]
현재 인간의 회선사상충증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은 없다. 백신 개발은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진행 중이다. 첫 번째 우선순위는 이버멕틴 투여 대상이 아닌 5세 이하 어린이를 위한 예방 백신이며, 두 번째는 이미 감염된 어린이와 성인을 대상으로 성충, 미세사상충, 병리학적 요인 또는 전파 자체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 백신이다.[39][40]
한편, 2019년 발생한 코로나19 유행의 영향으로 인해 2020년부터 여러 지역에서 이버멕틴 집단 약물 투여(MDA, Mass Drug Administration)가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등 퇴치 활동에 차질이 빚어지기도 했다.[117][116]
8. 역학
2017년 기준으로 이 기생충에 감염된 사람은 약 2,100만 명이며, 이 중 약 120만 명이 시력 상실을 겪었다.[55] 같은 해, 회선사상충증 사례의 약 99%가 아프리카에서 발생했다.[55] 현재 회선사상충증은 아프리카 31개국, 예멘, 그리고 남아메리카의 일부 고립된 지역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생한다.[56] 나이지리아, 카메룬, 에티오피아, 우간다, 콩고 등에서 감염자가 많이 발생했다.[11]
8,500만 명 이상이 유행 지역에 거주하며, 이 중 절반이 나이지리아에 산다. 추가로 1억 2천만 명이 이 질병에 걸릴 위험에 처해 있다. ''Onchocerca volvulus''의 주요 서식지는 물살이 빠른 강이며, 이 때문에 회선사상충증은 아프리카 북부와 중부 지역의 큰 강을 따라 더 흔하게 발견되고, 강에서 멀어질수록 발생 건수는 줄어든다. 매개체인 ''Simulium'' 속 먹파리(black fly)에 여러 번 노출되면 숙주 내 성충과 미세사상충의 수가 증가한다. 일반 여행객의 감염 위험은 낮지만, 선교사나 장기 봉사자처럼 더 오래 머무는 사람들은 감염 위험이 더 크다.
회선사상충증은 감염성 질환으로 인한 실명의 두 번째 주요 원인이다.[62] 2002년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에 따르면 회선사상충증으로 인한 직접적인 사망자는 없었지만, 전 세계적인 질병 부담은 987,000 장애 보정 생존 연수(DALY)에 달했다. 심한 가려움증만으로 DALY의 60%를 차지하며, 감염은 숙주의 면역력과 다른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켜 평균 수명을 13년 단축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56] 2017년 세계 질병 부담 연구(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에 따르면 약 2억 2천만 명이 회선사상충증 예방을 위한 화학요법이 필요하며, 감염자 중 1,460만 명이 피부 질환을 앓았고 115만 명이 시력 상실을 경험했다.[61]
실명이나 가려움증과 같은 주요 증상은 감염된 사람의 생활과 노동 능력을 제한하여 질병 부담을 가중시킨다. 가장 위험한 사람들은 주로 강과 하천 근처에서 생활하거나 일하는 이들이다.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농촌 지역 주민들이 먹파리 물림으로 인한 가장 큰 질병 부담을 겪고 있다.[62] 회선사상충증은 빈곤하고 외딴 지역과 연관되는 경향이 있으며, 증상을 겪는 주민들은 토지를 관리하거나 해당 지역을 자유롭게 이동하기 어려워진다.[63] 감염률이 높은 지역에서는 주민의 최대 3분의 1이 회선사상충증 증상을 겪을 수 있으며,[63] 61세 이상 연령대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64]
지역사회 주도 이버멕틴 치료(Community-Directed Treatment with Ivermectin, CDTI) 노력은 미세사상충(유충) 부하를 줄여 실명 환자 수를 크게 감소시키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회선사상충증이 간질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도 제기되었는데, 이는 간질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미세사상충 부하 수준이 실명을 일으키는 수준보다 훨씬 낮기 때문일 수 있다.[60]
한편, 멕시코의 치아파스 북부 지역[57]과 오아하카 지역에서는 여러 해 동안 이버멕틴 치료를 시행한 후 기생충 전염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58] 2013년 4월, 콜롬비아는 WHO의 검증을 받아 세계 최초로 회선사상충증 퇴치 국가가 되었다. 이후 3년 동안 에콰도르, 과테말라, 멕시코도 이버멕틴을 사용하여 회선사상충증을 퇴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59]
9. 사회와 문화
회선사상충증은 한때 사회 경제적 발전에 심각한 장애물이었으나,[77] 국제 사회의 노력으로 상황이 개선되고 있다.
치료제 개발과 보급에 중요한 기여를 한 인물로 윌리엄 C. 캠벨과 오무라 사토시가 있다. 이들은 이버멕틴의 전구체인 아버멕틴 계열 화합물을 발견한 공로로 201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이 발견은 회선사상충증뿐만 아니라 림프사상충증의 발생 감소에도 크게 기여했다.[78]
제약회사 머크(Merck)는 1987년부터 '맥티잔 기증 프로그램'(MDP, Mectizan Donation Program)을 통해 이버멕틴(상품명: 맥티잔)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MDP는 세계 보건 기구(WHO) 및 비정부 개발 기구(NGO)와 협력하여 유행 지역 주민들에게 치료제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76] 이러한 국제기구와 NGO의 공동 노력 덕분에 회선사상충증은 더 이상 주요한 사회경제적 제약 요인이 되지 않고 있다.[77]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는 효과적인 약물 배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간다 정부는 1996년부터 카터 센터의 강변 실명증 프로그램(River Blindness Program)과 협력해왔는데, 초기 남성 중심의 자원봉사 배포 시스템이 전통적인 친족 구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인식했다. 이에 2014년에는 마을 보건팀에서 지역사회 배포자로 역할을 전환하고, 주로 여성을 배포자로 선정하여 가족과 친구 등 주변 사람들에게 맥티잔과 관련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시스템을 개선했다.[79]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회선사상충증이 심각한 문제로 남아있다. 2021년 기준으로 나이지리아는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감염률을 보였으며, 해당 국가 실명 사례의 약 30.2%가 이 질병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서부 나이지리아의 한 연구에서는 주민들이 기생충 감염이 출산에 필요하다고 믿거나, 질병이 모든 주민에게 전염된다고 생각하는 등 질병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퍼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0]
10. 연구
회선사상충증 연구에는 동물 모델 사용에 한계가 있다. 원인 기생충인 ''온코세르카 볼불루스''(O. volvulus)가 영장류에서만 완전한 생활사를 가지기 때문이다.[81] 하지만 유사한 기생충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목화쥐를 감염시키는 ''Litomosoides sigmodontis''는 BALB/c 생쥐에서 완전히 발달하며, 소를 감염시키는 ''오온코세르카 오켄기''(Onchocerca ochengi)는 ''O. volvulus''와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소의 진피에 기생하며 먹파리에 의해 전파된다. 두 시스템 모두 유용하지만 완벽한 동물 모델은 아니다.[81]
가나에서 2,50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이버멕틴 치료에도 불구하고 2000년에서 2005년 사이에 유병률이 두 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생충이 약물에 대한 내성을 획득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47][82][83]
이버멕틴 내성 문제에 대응하고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치료제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와이에스(Wyeth)에서 개발한 항기생충제인 목시덱틴(moxidectin)의 임상 시험이 2009년 7월 1일에 시작되었다.[84] (NCT00790998) 코크레인 연합(Cochrane)의 검토에 따르면, 이버멕틴 단독 치료와 독시사이클린-이버멕틴 병용 치료 간에 대부분의 시력 관련 결과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병용 치료가 단독 치료보다 포도막염과 점상 각막염 개선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낮은 수준의 근거가 제시되었다.[85]
세계 보건 기구(WHO)는 회선사상충증 퇴치를 위한 연구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2017년에는 온코세르카증 기술 자문 소그룹(OTS, Onchocerciasis Technical Advisory Subgroup)을 설립하여 약물 투여가 필요한 지역을 추가로 연구하고, 림프사상충증과의 공동 유행 지역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데 힘쓰고 있다. WHO는 회선사상충증 퇴치를 위해 소외된 인구 지원 강화, 유행 지역 지도 작성 확대, 대량 약물 투여 정보 개선, 진단법 개발, 감시 및 치료 전략 개선 등을 연구 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참조
[1]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2]
웹사이트
Onchocerciasis Fact sheet N°374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03-20
[3]
웹사이트
Parasites – Onchocerciasis (also known as River Blindness) Epidemiology & Risk Factor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03-20
[4]
웹사이트
Parasites: Onchocerciasis (also known as River Blindnes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03-20
[5]
웹사이트
Onchocerciasis (also known as River Blindness) Diagnosi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03-20
[6]
웹사이트
Onchocerciasis (also known as River Blindness) Prevention & Control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03-20
[7]
서적
CDC Health Information for International Travel 2012: The Yellow Book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Medical microbi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Saunders
[9]
서적
Medical entomology
Kluwer Academic
[10]
웹사이트
Onchocerciasis (river blindnes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2-02-06
[11]
논문
Onchocerciasis
1998-05
[12]
웹사이트
Onchocerca volvulus
https://animaldivers[...]
2023-11-18
[13]
웹사이트
Parasites - Onchocerciasis (also known as River Blindness)
https://www.cdc.gov/[...]
2019-04-19
[14]
웹사이트
Life Cycle
https://web.stanford[...]
2018-10-06
[15]
웹사이트
Onchocerciasis FAQs
https://www.cdc.gov/[...]
CDC
2023-11-18
[16]
웹사이트
Onchocerciasis FAQs
https://www.cdc.gov/[...]
2023-11-18
[17]
논문
Onchocerciasis
https://www.thelance[...]
2023-11-18
[18]
웹사이트
Defeating River Blindness - USF Magazine Summer 2013
http://dev.magazine.[...]
2023-12-11
[19]
웹사이트
Onchocerciasis (River Blindness)
https://my.cleveland[...]
2023-11-18
[20]
웹사이트
Ophthalmologic Manifestations of Onchocerciasis Clinical Presentation
https://emedicine.me[...]
2024-12-08
[21]
서적
Encyclopedia of Infection and Immunity
Elsevier
[22]
논문
Ocular onchocerciasis: current management and future prospects
2011
[23]
웹사이트
Mazzotti Reaction | MicrobLog: Microbiology Training
http://microblog.me.[...]
2011-01-25
[24]
논문
Nodding syndrome
[25]
논문
Treatment of lymphatic filariasis and onchocerciasis – current and new therapeutic approaches
2017-09-12
[26]
서적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Saunders Elsevier
[27]
웹사이트
Filariasis
http://emedicine.med[...]
2009-10-22
[28]
웹사이트
Onchocerciasis (river blindness)
https://www.who.int/[...]
2023-11-16
[29]
웹사이트
WHO {{!}} Onchocerciasis Control Programme (OCP)
http://www.who.int/b[...]
2023-12-10
[30]
웹사이트
CDC - Onchocerciasis - Prevention & Control
https://www.cdc.gov/[...]
2023-12-10
[31]
논문
The African Programme for Onchocerciasis Control (APOC)
2008-09
[32]
웹사이트
WHO {{!}} African Programme for Onchocerciasis Control (APOC)
http://www.who.int/b[...]
2023-12-10
[33]
논문
Onchocerciasis: shifting the target from control to elimination requires a new first-step—elimination mapping
2018-03
[34]
웹사이트
WHO {{!}} Onchocerciasis Elimination Program for the Americas (OEPA)
http://www.who.int/b[...]
2023-12-10
[35]
웹사이트
News Scan for Jul 30, 2013 {{!}} CIDRAP
https://www.cidrap.u[...]
2023-12-10
[36]
웹사이트
Onchocerciasis (river blindness)
https://www.who.int/[...]
2023-12-10
[37]
논문
The Onchocerciasis Elimination Program for the Americas (OEPA)
http://www.tandfonli[...]
2013-07
[38]
웹사이트
Brazil and Venezuela border is the last place in the Americas with river blindness
https://outbreaknews[...]
2015-09-29
[39]
웹사이트
Target product profiles
https://www.who.int/[...]
2023-12-10
[40]
논문
The Onchocerciasis Vaccine for Africa—TOVA—Initiative
2015-01-29
[41]
논문
Impact of ivermectin on onchocerciasis transmission: assessing the empirical evidence that repeated ivermectin mass treatments may lead to elimination/eradication in West-Africa
2003-03-24
[42]
논문
Feasibility of Onchocerciasis Elimination with Ivermectin Treatment in Endemic Foci in Africa: First Evidence from Studies in Mali and Senegal
2009-07-21
[43]
논문
Ivermectin and River Blindness
http://www.americans[...]
2010-06-20
[44]
웹사이트
CDC - Onchocerciasis - Treatment
https://www.cdc.gov/[...]
2017-05-15
[45]
서적
Clinical Microbiology Made Ridiculously Simple
MedMaster
[46]
서적
Wolbachia. Bacterial endosymbionts of filarial nematodes
Academic Press
[47]
논문
Filariasis: new drugs and new opportunities for lymphatic filariasis and onchocerciasis
[48]
논문
An ivermectin-sensitive glutamate-gated chloride channel subunit from Dirofilaria immitis
2004-08
[49]
논문
Chemotherapeutic approaches to nematodes: current knowledge and outlook
[50]
논문
Glutamate-gated chloride channels and the mode of action of the avermectin/milbemycin anthelmintics
[51]
논문
Ivermectin for onchocercal eye disease (river blindness)
2012
[52]
웹사이트
Progress on moxidectin for onchocerciasis elimination
https://tdr.who.int/[...]
2022-12-13
[53]
웹사이트
Moxidectin (Oral Route) Proper Use - Mayo Clinic
https://www.mayoclin[...]
2022-12-13
[54]
논문
Moxidectin: an oral treatment for human onchocerciasis
2020-11-01
[55]
웹사이트
Onchocerciasis (river blindness)
https://www.who.int/[...]
2020-03-15
[56]
웹사이트
Epidemiology
http://www.stanford.[...]
Stanford University
[57]
논문
Lack of Onchocerca volvulus transmission in the northern focus in Chiapas
[58]
논문
Interruption of transmission of Onchocerca volvulus in the Oaxaca focus
[59]
웹사이트
Onchocerciasis (river blindness)
https://www.who.int/[...]
2022-11-21
[60]
논문
Onchocerciasis-Associated Epilepsy, an Additional Reason for Strengthening Onchocerciasis Elimination Programs
2018-03
[61]
웹사이트
Onchocerciasis (river blindness)
https://www.who.int/[...]
2022-12-13
[62]
웹사이트
CDC - Onchocerciasis - Epidemiology & Risk Factors
https://www.cdc.gov/[...]
2019-09-09
[63]
논문
Prevalence of onchocerciasis, attitudes and practices and the treatment coverage after 15 years of mass drug administration with ivermectin in the Tombel Health District, Cameroon
[64]
논문
Prevalence of onchocerciasis, attitudes and practices and the treatment coverage after 15 years of mass drug administration with ivermectin in the Tombel Health District, Cameroon
2020-04-08
[65]
논문
Recent evolutionary history of American Onchocerca volvulus, based on analysis of a tandemly repeated DNA sequence family.
1994-05
[66]
논문
O'Neill J. On the presence of a filaria in craw-craw
https://web.stanford[...]
1875
[67]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Onchocerciasis
https://www.scribd.c[...]
2015-10-18
[68]
논문
Enfermedad nueva en Guatemala
1917
[69]
서적
Stitt's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ropical diseases
The Blakiston
1942
[70]
서적
Tropical diseases; a manual of the diseases of warm climates [Internet]
Williams & Wilkins Co
1943
[71]
논문
The Insect Transmission of Onchocerca Volvulus (Leuckart, 1893): The Cause of Worm Nodules in Man in Africa
1927-01-22
[72]
논문
The significance of some observations on African ocular onchocerciasis described by Jean Hissette (1888-1965)
2008
[73]
서적
Mémoire sur l'Onchocerca volvulus Leuckart et ses manifestations oculaires au Congo belge
1932
[74]
논문
OCULAR ONCHOCERCIASIS Including an Investigation in the Gold Coast
1945
[75]
웹사이트
Harvard African Expedition [Internet]
http://collections.c[...]
2015-10-18
[76]
논문
Operational lessons from 20 years of the Mectizan Donation Program for the control of onchocerciasis
2008-05
[77]
논문
Onchocerciasis control in Niger: achievements and prospects after OCP
https://apps.who.int[...]
2002
[78]
간행물
Avermectin and Artemisinin - Revolutionary Therapies against Parasitic Diseases
https://www.nobelpri[...]
The Nobel Assembly at Karolinska Institutet
2015-10-05
[79]
문서
Kinship Powerful in River Blindness Fight. ''Carter Center Update'', The Carter Center, Atlanta, Georgia. Summer, 2016. pp. 4-5.
[80]
논문
Socio-cultural factors in onchocerciasis control: a study of rural Southeast Nigeria
2021-03
[81]
논문
Of Mice, Cattle, and Humans: The Immunology and Treatment of River Blindness
2008-04
[82]
뉴스
River blindness resistance fear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6-15
[83]
논문
Prevalence and intensity of Onchocerca volvulus infection and efficacy of ivermectin in endemic communities in Ghana: a two-phase epidemiological study
2007-06
[84]
논문
Fighting river blindness and other ills
https://www.thelance[...]
2009-07-11
[85]
논문
Doxycycline plus ivermectin versus ivermectin alone for treatment of patients with onchocerciasis
2016
[86]
웹사이트
Onchocerciasis
https://www.who.int/[...]
WHO
2022-01-11
[87]
웹사이트
オンコセルカ症について(ファクトシート)
https://www.forth.go[...]
厚生労働省
2022-07-19
[88]
논문
Reflections on the Nobel Prize for Medicine 2015--The Public Health Legacy and Impact of Avermectin and Artemisinin
2015-12
[89]
웹사이트
オンコセルカ症(河川盲目症)
https://www.msdmanua[...]
MSD
2019-03-01
[90]
웹사이트
Parasites - Onchocerciasis (also known as River Blindness)
https://www.cdc.gov/[...]
CDC
2019-09-06
[91]
웹사이트
2020 vision of a vaccine against river blindness
https://www.riverbli[...]
2022-07-19
[92]
논문
The Onchocerciasis Vaccine for Africa—TOVA—Initiative
2015-01
[93]
서적
Medical microbi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Saunders
[94]
웹사이트
Resources for Health Professionals
https://www.cdc.gov/[...]
CDC
2021-11-10
[95]
웹사이트
オンコセルカ症
https://www.msdmanua[...]
MSDマニュアル家庭版
2022-10-15
[96]
논문
Ivermectin and River Blindness
http://www.americans[...]
2010-06-20
[97]
논문
Filariasis: new drugs and new opportunities for lymphatic filariasis and onchocerciasis
[98]
뉴스
River blindness resistance fear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6-14
[99]
논문
Prevalence and intensity of Onchocerca volvulus infection and efficacy of ivermectin in endemic communities in Ghana: a two-phase epidemiological study
2007-06
[100]
논문
Fighting river blindness and other ills
2009-07-11
[101]
웹사이트
Study Comparing Moxidectin And Ivermectin In Subjects With Onchocerca Volvulus Infection
http://clinicaltrial[...]
clinicaltrials.gov
2008-11-14
[102]
서적
CDC Health Information for International Travel 2012 : The Yellow Book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3]
논문
Recent evolutionary history of American Onchocerca volvulus, based on analysis of a tandemly repeated DNA sequence family.
1994-05
[104]
웹사이트
Harvard African Expedition [Internet]
http://collections.c[...]
2015-10-18
[105]
논문
O'Neill J. On the presence of a filaria in craw-craw
https://web.stanford[...]
1875
[106]
서적
Medical entomology
https://books.google[...]
Kluwer Academic
[107]
웹사이트
Onchocerciasis Control Programme (OCP)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06-15
[108]
간행물
The Onchocerciasis Control Programme in West Africa (OCP)
null
2008-09
[109]
간행물
Operational lessons from 20 years of the Mectizan Donation Program for the control of onchocerciasis
2008-05
[110]
웹사이트
African Programme for Onchocerciasis Control (APOC)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06-15
[111]
웹사이트
Onchocerciasis Elimination Program for the Americas (OEPA)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06-15
[112]
뉴스
NEWS SCAN: Columbia ousts river blindness; Vaccine-derived polio in India; Danish Salmonella trends
http://www.cidrap.um[...]
2013-07-30
[113]
웹사이트
Brazil and Venezuela border is the last place in the Americas with river blindness
http://outbreaknewst[...]
Outbreak News Today
2015-09-29
[114]
웹사이트
Onchocerciasis Elimination Program for the Americas (OEPA)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10-03
[115]
간행물
The Onchocerciasis Elimination Program for the Americas (OEPA).
2008-09
[116]
웹사이트
Progress in eliminating onchocerciasis in the WHO Region of the Americas: disruption of ivermectin mass drug administration in the Yanomami focus area due to the COVID-19 pandemic
https://www.who.int/[...]
WHO
2021-10-01
[117]
웹사이트
What does the COVID-19 pandemic mean for the next decade of onchocerciasis control and elimination?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1-29
[118]
웹인용
Onchocerciasis Fact sheet N°374
http://www.who.int/m[...]
201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