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순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순왕후는 조선 영조의 며느리이자 진종의 비이며, 정조의 양모이다. 1716년 조문명의 딸로 태어나 1727년 효장세자와 혼인했으나, 이듬해 효장세자가 요절하면서 13세에 과부가 되었다. 영조는 현빈으로 봉해진 그녀를 각별히 아꼈으며, 1751년 사망 후 효순현빈으로 추존되었다. 1776년 정조가 즉위하면서 효순왕후로 추존되었고, 1908년에는 소황후의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진종 - 정조
정조는 조선의 제22대 왕으로, 탕평책 계승, 규장각 설치, 장용영 설치, 신해통공 실시, 수원 화성 건설 등 다양한 개혁을 추진했으며, 47세에 사망하여 건릉에 안장되었다. - 조선 진종 - 정빈 이씨
영조의 후궁인 정빈 이씨는 영조가 왕세제 시절 소훈으로 입궁하여 효장세자와 화순옹주를 낳았고, 사후 효장세자가 세자로 책봉되면서 정1품 정빈으로 추증되었으며, 그녀의 사당은 칠궁 중 하나인 연호궁에 있다. - 대한제국의 추존황후 - 효의왕후
효의왕후는 조선 정조의 왕비이며, 김시묵의 딸로 청풍 김씨 가문 출신이며, 영조의 뜻에 따라 정조와 혼인하여 왕비가 되었고, 정조 사후에는 왕대비가 되었으며 융건릉에 정조와 합장되었다. - 대한제국의 추존황후 - 신의왕후
신의왕후는 안변 한씨로, 조선 태조 이성계의 첫 번째 부인이자 정종과 태종의 생모이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기 전 사망하여 왕비로 책봉되지는 못했으나 사후 왕후로 추존되어 왕태후로 격상되는 등 칭호에 대한 논란을 겪기도 했다. - 소화기 질환으로 죽은 사람 - 천상병
천상병은 삶과 죽음, 우주에 대한 성찰을 간결하고 담백한 시어로 표현한 대한민국의 시인으로, 동백림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르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으며 그의 시 정신을 기리는 예술제가 매년 개최된다. - 소화기 질환으로 죽은 사람 - 송진호
송진호는 대구의 초, 중, 고등학교를 거쳐 건국대학교를 졸업했다.
효순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효순왕후 |
한글 | 효순왕후 조씨 |
한자 | 孝純王后 趙氏 |
로마자 표기 | Hyosun wanghu Jo-ssi |
별칭 | 현빈궁(賢嬪宮), 효순현빈(孝純賢嬪) |
시호 | 효순소황후(孝純昭皇后) |
휘호 | 휘정현숙(徽貞賢淑) |
전호 | 연복전(延福殿) |
신분 | |
왕비 | 조선 진종의 왕비 (추존) |
황후 | 대한제국의 추존 황후 |
세자빈 | 조선의 세자빈 |
생애 | |
출생일 | 1716년 1월 8일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숭교방 동부 |
사망일 | 1751년 12월 30일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창덕궁 건극당 의춘헌 |
능묘 | 영릉(永陵) |
위치 |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삼릉로 89 |
가족 | |
배우자 | 진종 (효장세자) |
자녀 (양자) | 정조 |
아버지 | 풍릉부원군 조문명 |
어머니 | 완흥부부인 전주 이씨 |
가문 | 풍양 조씨 (출생) / 전주 이씨 (혼인) |
왕세자빈 | |
재위 기간 | 1727년 9월 29일 ~ 1728년 11월 16일 (음력) |
이전 | 세자빈 어씨 (선의왕후) |
이후 | 세자빈 홍씨 (헌경왕후) |
기타 | |
계승 | 조선의 왕세자빈 |
재위 | 1727년 – 1728년 |
이전 왕비 | 세자빈 서씨 |
다음 왕비 | 세자빈 혜씨 |
로마자 이름 | Queen Hyosun |
2. 생애
효순왕후는 1716년(숙종 42년) 조문명의 딸로 태어났으며, 1727년(영조 3년) 세자빈으로 간택되어 효장세자와 가례를 올렸으나, 1728년(영조 4년) 효장세자가 요절하였다.[6][7]
이후 1735년(영조 11년) 현빈(賢嬪)으로 봉해졌으며,[8] 영조는 며느리 현빈을 딸 화평옹주와 함께 총애하였다.[9] 현빈은 영조를 위해 밤을 직접 삶아 올리는 등 정성을 다했다.[10]
1751년(영조 27년) 창덕궁에서 개창(옴병)과 토황증의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11] 영조가 지은 행록에 따르면, 현빈은 효장세자와 정빈 이씨의 기일이 같아, 이 기일을 전후해 매년 소식하다 토황증(구토와 함께 누렇게 변하는 병)이 생겼다고 한다.[10]
사후 1752년(영조 28년) 효장세자의 묘에 합장되었고, 시호는 효순현빈(孝純賢嬪)을 받았다.[12] 1776년 양자인 정조 즉위 후 진종 추존과 함께 효순왕후(孝純王后)로 추존되었으며,[13] 1908년 순종 때 '''효순소황후'''(孝純昭皇后)로 추존되었다.[14]
2. 1. 왕세자빈 간택과 이른 과부
1716년(숙종 42년) 1월 8일, 조문명의 딸로 태어났다. 1727년(영조 3년) 정식 간택을 통해 세자빈으로 간택되어 효장세자와 가례를 올렸다.[6] 그러나 1728년(영조 4년) 효장세자가 10세의 어린 나이로 요절하여 후사는 두지 못했다.[7]1735년(영조 11년), 영조는 사도세자가 태어나자, 세자빈 조씨를 더 이상 빈궁으로 칭할 수 없으므로, 수빈 한씨와 덕빈 윤씨의 고사를 따라 세자를 여읜 세자빈에게 빈호를 내려 '''현빈'''(賢嬪)으로 봉하였다.[8]
2. 2. 현빈 책봉과 영조의 총애
1735년(영조 11년), 영조는 사도세자가 태어나자, 세자빈 조씨를 더 이상 빈궁으로 칭할 수 없게 되어 수빈 한씨와 덕빈 윤씨의 고사를 따라 세자를 여읜 세자빈에게 빈호를 내려 '''현빈'''(賢嬪)으로 봉하였다.[8]영조는 자녀 중에 딸 화평옹주와 며느리 현빈이 자신의 마음을 잘 헤아려준다며 총애하였다.[9] 영조는 청상과부가 된 현빈을 안타까워하며 아껴주었고, 현빈은 영조가 밤을 좋아하여 밤을 직접 삶아서 올리기도 했다. 영조는 현빈의 행록을 쓰면서 '현빈이 나를 먹이려고 늘 직접 밤을 삶았는데 영원히 졸서(卒逝)하던 날조차 삶아 놓은 밤이 소반에 남아 있었으니, 이는 현빈이 그날도 진상하려 삶아 놓았다가 병이 위독해져 하지 못한 것'이라고 기록하였다.[10]
2. 3. 죽음과 토황증
1751년(영조 27년) 11월 14일, 창덕궁 건극당(建極黨)의 동실인 의춘헌(宜春軒)에서 병사하였다.[11] 사인은 개창(옴병)과 토황증의 합병증이었다.영조가 지은 행록에 따르면, 효장세자와 그의 어머니 정빈 이씨의 기일이 같은 날이라, 효장세자 기일과 정빈 이씨의 기일을 전후해서 매년 소식(素食|거친 밥을 먹음중국어)을 하였는데, 이로 인해 토황(吐黃, 구토와 함께 누렇게 변하는 병) 증세가 생겼고, 그 토황증이 계속 쌓였다고 한다.[10]
2. 4. 사후
1752년(영조 28년) 효장세자의 묘에 합장되면서, 시호는 '''효순현빈'''(孝純賢嬪)을 받았다.[12]
영조는 《효순현빈묘지명(孝純賢嬪墓誌銘)》에서 며느리인 효순현빈을 잃은 슬픔을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1764년(영조 40년) 영조가 정조를 사도세자가 아닌 효장세자의 양자로 삼아 대통을 잇게 함에 따라, 1776년(영조 52) 1월 27일 영조의 특명으로 효순현빈은 승통세자빈(孝純承統世子嬪)의 호를 받았다.[13]
1776년 양자인 정조가 즉위하여 효장세자를 진종으로 추존하면서 현빈 또한 '''효순왕후'''(孝純王后)로 추존되었다.[13] 묘소는 영릉으로 격상되었으며 파주 삼릉 중 하나이다.
1908년(융희 2년) 대한제국 순종 때 '''소황후'''(昭皇后)의 시호를 받고 '''효순소황후'''(孝純昭皇后)로 추존되었다.[14]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조부 | 조인수(趙仁壽) | 1648년 | 1692년 | 풍흥부원군(豊興府院君) |
조모 | 광산 김씨 | 1649년 | 1722년 | [15] |
아버지 | 조문명 | 1680년 | 1732년 | 풍릉부원군(豊陵府院君) |
전어머니 | 안동 김씨 | 1681년 | 1710년 | 화원부부인(花原府夫人) |
외조부 | 이상백(李相伯) | 1648년 | 1721년 | 양녕대군의 후손 |
외조모 | 고령 신씨 | ? | ? | 신필한(申弼漢)의 딸 |
어머니 | 전주 이씨 | ? | 1734년 | 완흥부부인(完興府夫人)[17] |
오빠 | 조재호 | 1702년 | 1762년 | |
올케 | 원주 원씨 | ? | ? | 원명구(元命龜)[16]의 딸 |
오빠 | 조재연(趙載淵) | 1709년 | 1750년 | 조재혼(趙載混) |
올케 | 창녕 성씨 | ? | ? | 성덕장(成德章)의 딸 |
오빠 | 조재홍(趙載洪) | 1713년 | 1758년 | |
올케 | 덕수 이씨 | ? | ? | 이희담(李喜聃)의 딸 |
남동생 | 조재부(趙載溥) | 1720년 | 1776년 | 조시부(趙時溥) |
올케 | 창녕 조씨 | ? | ? | 조명교(曺命敎)의 딸 |
여동생 | 조씨(趙氏) | ? | ? | |
시아버지 | 영조 | 1694년 | 1776년 | |
시어머니 | 정빈 이씨 | 1694년 | 1721년 | |
남편 | 진종 | 1719년 | 1728년 | |
양자 | 정조 | 1752년 | 1800년 | |
며느리 | 효의왕후 | 1753년 | 1821년 |
4. 기타
1998년 MBC 드라마 《대왕의 길》에서 배우 박정숙이 효순왕후 역을 맡았다.
4. 1. 관련 작품
1998년 MBC 드라마 《대왕의 길》 (배우: 박정숙)참조
[1]
서적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Yeongjo
1735-03-16
[2]
서적
조선왕조실록 영조
1735-03-16
[3]
서적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Yeongjo
1752-01-22
[4]
서적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Jeongjo
1776-03-19
[5]
서적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Sunjong
1908-05-11
[6]
서적
영조실록
1727-09-29
[7]
서적
영조실록
1728-11-16
[8]
서적
영조실록
1735-03-16
[9]
서적
영조실록
1748-07-01
[10]
서적
효순현빈묘지문
[11]
서적
영조실록
1751-11-14
[12]
서적
영조실록
1752-01-22
[13]
서적
정조실록
1776-03-19
[14]
서적
순종실록
1908-05-11
[15]
문서
조선 효순현빈(효순왕후)의 가계
[16]
문서
조선 효순현빈(효순왕후)의 가계
[17]
서적
영조실록
1734-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