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절열황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절열황후는 명나라 숭정제의 황후로, 1611년에 태어나 1644년에 자결했다. 어려서부터 빼어난 미모와 온화한 성품으로 가족들의 사랑을 받았으며, 문사 진인석에게 학문을 배우며 교양을 쌓았다. 1626년 신왕 주유검(숭정제)에게 시집가 신왕비가 되었고, 숭정제가 즉위한 후 황후로 책봉되었다. 숭정제의 치세 동안 검소하고 신중한 생활로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으며, 숭정제와 3남 3녀를 두었다. 1644년 이자성의 난으로 베이징이 함락되자 숭정제의 명으로 자결했으며, 청나라에서 효경정렬자혜장민승천배성단황후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11년 출생 - 요하네스 헤벨리우스
폴란드 그단스크 출신의 천문학자이자 맥주 양조업자였던 요하네스 헤벨리우스는 직접 제작한 망원경으로 달을 관측하여 달 지형 연구의 선구자가 되었고, 혜성 관측 및 궤도 이론 제시, 새로운 별자리 정의 등으로 천문학 발전에 기여하여 그의 이름이 붙은 천체들이 존재한다. - 1611년 출생 -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 (1611년)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는 부용 공작과 엘리자베트 플란드리카 판 나사우 사이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군인이자 원수로서, 네덜란드에서 군 경력을 시작해 30년 전쟁, 프롱드의 난, 네덜란드 전쟁 등에서 활약하며 프랑스 군사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 1644년 사망 - 숭정제
숭정제는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로, 내우외환 속에서 명나라 멸망의 책임을 지고 자결했으며, 그의 죽음은 명나라 멸망을 상징하고 청나라의 중국 지배의 계기가 되었다. - 1644년 사망 - 도이 도시카쓰
도이 도시카쓰는 에도 막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데타다, 이에미쓰 3대 쇼군을 섬기며 막부의 정치, 행정, 재정 등 여러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막번 체제 확립과 외교, 통화 제도 개혁에 기여했으나, 후반에는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된 인물이다. - 명나라의 황후 - 효숙황후
효숙황후는 명나라 영종의 후궁이자 성화제의 생모로, 후궁 시녀 출신으로 빈이 되었고 아들 성화제 즉위 후 황태후, 손자 홍치제 즉위 후 태황태후로서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명나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력 남용 논란 등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명나라의 황후 - 인효문황후
명나라 영락제의 황후 인효문황후는 서달의 딸로 학문을 좋아했으며, 정난의 변 당시 베이징을 지키고 황후가 된 후 문화 사업에 힘쓰며 불교 관련 사업을 지원했다.
효절열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효절열황후/장렬민황후 주씨 |
원어 이름 | 孝節烈皇后/莊烈愍皇后 周氏 |
출생일 | 1611년 5월 10일 |
사망일 | 1644년 4월 24일 (향년 32세) |
출생지 | 순천부 |
사망지 | 자금성 |
능묘 | 명 사릉 |
씨족 | 주 (周) |
가문 | 주 (周) |
배우자 및 자녀 | |
배우자 | 숭정제 주유검 |
자녀 | 주자량 (도황제) 주자훤 (회은왕) 주자형 (정애왕) 곤의공주 장평공주 소인공주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주규 (가정후) |
어머니 | 정씨 (丁氏) |
칭호 | |
책봉 | 신왕비 (信王妃) |
재위 | 천계 7년 9월 27일 - 숭정 17년 3월 18일 (1627년 11월 4일 - 1644년 4월 24일) |
시호 (사후 칭호) | 남명: 효절정숙연공장의봉천정성렬황후 (孝節貞肅淵恭莊毅奉天靖聖烈皇后) 청: 효경정렬자혜장민승천배성단황후 (孝敬貞烈慈惠莊敏承天配聖端皇后) (초기) → 장렬민황후 (莊烈愍皇后) (변경) |
기타 | |
종교 | 알 수 없음 |
2. 생애
만력 39년(1611년)에 태어나 천계 6년(1626년) 신왕 주유검(훗날 숭정제)의 비(妃)로 간택되었다. 이듬해 숭정제가 즉위하면서 황후가 되었다. 쑤저우 출신으로 비교적 평범한 가문 배경을 가졌으며, 이는 외척의 정치 개입을 경계하던 명나라 황실의 관례에 따른 것이었다.[1] 황후는 흰 옷을 즐겨 입고 서화와 의서에도 능통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숭정제와의 관계는 원만했으나, 이자성의 군대가 베이징으로 진격해오자 난징으로의 천도를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숭정 17년(1644년) 3월, 이자성 군대가 베이징을 함락하기 직전 숭정제의 명으로 자결하였다. 이때 "신첩이 폐하를 모신 지 18년, 폐하께서는 신첩의 말을 한마디도 듣지 않으셨습니다. 오늘 폐하와 함께 사직에 순사하니, 죽어도 여한이 없습니다."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사후 이자성의 명으로 전귀비의 무덤에 숭정제와 합장되었다. 남명 정권에서 '''효절정숙연공장의봉천정성열황후'''(孝節貞肅淵恭莊毅奉天靖聖烈皇后)라는 시호를 올렸으나, 이후 청은 '''효경정렬자혜장민승천배성단황후'''(孝敬貞烈慈惠莊敏承天配聖端皇后)를 거쳐 최종적으로 '''장렬민황후'''(莊烈愍皇后)라는 시호를 내렸다.
2. 1. 어린 시절과 가계
주씨는 만력 39년 3월 28일 (1611년 5월 10일)에 태어났다. 본관은 소주였으나, 순천부 대흥현으로 이주하여 살았다. 가세는 빈곤하였으며, 아버지는 점술가이자 민간 의술을 행하던 주규였고 어머니는 정씨였다. 명나라 황실은 외척의 정치 개입을 막기 위해 비교적 가난한 집안에서 황후나 비빈을 간택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주씨의 집안 배경도 이러한 사례에 해당한다.[1]주씨는 어려서부터 용모가 뛰어나고 성품이 온화하여 가족들의 사랑을 받았다. 문사 진인석은 주씨의 자질을 알아보고 "이 아이는 천하의 귀인이 될 것이다"라고 칭찬하며, 그녀에게 《자치통감》과 경서 등을 가르쳤다. 이 덕분에 주씨는 글을 알고 예법에 밝았다.
천계 6년 (1626년), 당시 신왕(信王)이었던 주유검(후의 숭정제)의 왕비를 선발할 때 후보자로 뽑혔다. 이때 장황후는 주씨가 나이가 가장 어리고 체질도 허약하여 왕비로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지만, 소비 유씨는 "주씨가 지금은 약하지만, 나중에 건장해질 것이다"라고 말하며 주씨를 지지하여 결국 간택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주씨는 단정하고 아름다운 용모와 옥처럼 흰 피부를 높이 평가받아 최종적으로 신왕비로 간택되었다. 《숭정궁사》(崇禎宮詞)에는 "황후의 얼굴은 옥과 같았고, 화장하지 않았다 皇后颜如玉,不事涂泽중국어"고 묘사되어 있다.
2. 2. 신왕비 간택과 혼인
천계 6년(1626년), 당시 16세였던 주씨는 신왕 주유검(훗날 숭정제)의 비(妃)로 간택되어 혼인하였다. 명나라 조정은 그해 6월 임진일에 신왕의 비를 선발하였는데, 이때 주씨가 최종적으로 선택되었다.주씨는 순천부 출신으로 본적은 소주부오현이었으며, 사주 명리학자이자 의술을 행했던 주규의 딸이었다. 그녀는 단정하고 아름다운 외모를 지녔으며, 피부가 옥처럼 희어 국색(国色)으로 칭송받았다. 숭정궁사(崇祯宫词)에는 "황후의 얼굴은 옥과 같았고, 화장을 하지 않았다 (皇后颜如玉,不事涂泽)"고 기록될 정도로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지녔다고 평가된다. 또한, 어려서부터 진인석에게 자치통감과 경서를 배워 글을 알고 예법에 밝았다고 전해진다.
신왕비 간택 과정에서 장황후는 주씨가 나이가 어리고 몸이 약하다는 점을 우려하여 처음에는 망설였다고 한다. 그러나 소비 유씨가 "주씨가 지금은 약하지만 후에 틀림없이 건장해질 것"이라고 적극적으로 추천하며 장황후를 설득하였고, 마침내 주씨가 신왕비로 낙점되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신왕비로 간택된 후 혼례 절차가 진행되었다.
- 윤6월: 흠천감에서 신왕의 혼례 날짜를 11월 25일 묘시(卯時, 오전 5-7시)로 정했다.
- 12월 10일 오시(午時, 오전 11시-오후 1시): 주씨는 정식으로 신왕비(信王妃)에 책봉되었다.
- 12월 16일: 신왕비로서의 책문(冊文)과 인장(印章)을 받는 의식(징발책, 徵發冊)이 거행되었다.
- 12월 22일: 신방(新房)을 꾸미는 침상(寢床) 의식이 있었다.
- 천계 7년(1627년) 정월 27일: 성인이 되었음을 알리는 개면(開面) 의식을 치렀다.
- 천계 7년(1627년) 2월 3일 묘시: 신왕 주유검이 친히 주씨를 맞이하는 친영(親迎) 의식을 거행함으로써 모든 혼례 절차가 마무리되었다.
2. 3. 황후 시절
숭정제 즉위 후 황후로 책봉되었다. 쑤저우 출신인 주황후는 비교적 가난한 배경에서 성장했는데, 이는 명나라 황실이 정치적 야심을 가진 유력 가문보다는 평범한 집안에서 황후를 선택하던 당시의 경향을 따른 것이다.[1]주황후는 성격이 신중하고 엄격했으며[1], 자신의 출신 배경을 잊지 않고 궁궐 운영에 있어 검소함을 유지하여 백성들로부터 칭찬과 존경을 받았다.[1] 숭정제와의 관계는 원만하여 슬하에 3남 3녀를 두었다. 숭정제는 주황후뿐만 아니라 총애하던 후궁 전귀비에게도 동등한 애정을 보였다고 전해진다.[1]
숭정제에게는 주황후 외에 총애를 받는 후궁으로 전귀비(당시 귀비)와 원귀비(당시 숙비)가 있었다. 원귀비는 주황후 앞에서 항상 겸손하고 신중하게 처신하여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다. 반면, 가장 총애를 받던 전귀비는 예의는 갖추었으나 원귀비만큼 겸손하지는 않았고, 이로 인해 주황후와 자주 긴장 관계에 놓였다. 황후로서 주황후는 때때로 궁중 예법을 통해 전귀비를 견제하기도 했다. 주황후가 전귀비를 질투하지는 않았으나, 그녀의 오만한 태도는 못마땅하게 여겼다고 한다.[1]
전귀비와의 주요 갈등
- 정월 조하례 사건: 숭정 연간 어느 해 정월 초하루, 후궁들이 황후에게 새해 인사를 드리는 관례에 따라 전귀비가 교태전을 찾았다. 주황후는 전귀비가 전각 밖에서 기다리는 것을 알면서도 일부러 바로 들이지 않았다. 눈보라 치는 추운 날씨 속에서 전귀비는 오랫동안 기다려야 했다. 이후 도착한 원귀비는 즉시 안으로 들어가 주황후와 담소를 나누었다. 원귀비가 떠난 뒤에야 전귀비를 불러들였으나, 주황후는 굳은 표정으로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이는 전귀비의 오만함을 경계시키려는 의도였다고 전해진다.[1]
- 숭정제의 개입과 화해: 전귀비는 승건궁으로 돌아가 숭정제에게 냉대를 받았다고 호소했다. 이에 격분한 숭정제는 교태전으로 가 주황후와 다투다 그녀를 밀어 넘어뜨렸다.[1] 몸이 약했던 주황후는 큰 충격을 받고 며칠간 식음을 전폐하며 자살까지 시도했다. 뒤늦게 후회한 숭정제는 환관을 통해 밍크 모피 옷을 보내며 사과했고, 주황후는 그제야 식사를 시작했다. 숭정제는 주황후의 체면을 세워주기 위해 전귀비를 계상궁으로 보내 3개월간 반성하게 하고 시침도 들지 않았다.[1]
- 꽃구경 사건: 같은 해 봄, 숭정제와 주황후가 영화궁에서 꽃구경을 할 때, 주황후는 근처 승건궁에 머무는 전귀비를 불러 함께하자고 숭정제에게 제안했다. 숭정제가 탐탁지 않아 하자, 주황후는 전귀비를 벌한 것은 그녀의 오만함을 바로잡고 대의를 위한 것이었지 개인적인 원한 때문이 아니라고 설득했다. 결국 주황후는 궁녀를 보내 전귀비를 데려오게 했고, 전귀비가 도착하자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반갑게 맞이하여 숭정제의 감탄을 자아냈다.
- 전홍우 사건 중재: 1642년, 전귀비의 아버지 전홍우가 불법 행위로 고발되자, 전귀비는 숭정제에게 관용을 간청했다. 이는 오히려 숭정제의 분노를 사 전귀비는 별궁으로 유배되었다. 이때 주황후가 숭정제에게 개입하여 전귀비의 유배를 풀어줄 것을 요청했고, 숭정제는 3개월 후에 이를 받아들였다.[1]
3. 명나라 멸망과 죽음
숭정 17년 3월 18일(1644년 4월 24일) 새벽, 이자성이 이끄는 반란군이 베이징을 함락시키면서 명나라는 멸망의 위기에 처했다. 숭정제는 문무대신 소집 및 탈출 시도가 모두 실패하자 궁으로 돌아왔다. 그날 밤, 자금성이 함락되고 반란군이 몰려온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숭정제는 황태자를 비롯한 세 아들을 피신시킨 뒤 주황후와 원귀비 등에게 자결을 명했다. 이에 주황후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2]
3. 1. 숭정제와의 마지막 대화
숭정 17년(1644년) 3월 18일 (음력), 이자성이 이끄는 반란군이 베이징으로 진격해오자 자금성은 함락 위기에 처했다. 이전부터 주황후는 숭정제에게 난징으로 수도를 옮길 것을 여러 차례 권했으나, 숭정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그날 밤, 이자성의 군대가 자금성으로 몰려들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숭정제는 후궁에 있던 주황후에게 "대세는 이미 기울었다"고 말하며 절망적인 상황을 알렸다.
이에 주황후는 괴로워하며 답했다.
: "신첩이 폐하를 섬긴 지 이미 18년이 되었습니다. 몇 년 동안 신첩이 폐하께 권계하였으나, 폐하께서 듣지 않으셨기에 오늘이 있게 되었습니다!"[1]
그녀는 자신의 충언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토로한 뒤, 황태자 주자량과 차남 주자형을 끌어안고 통곡하며 어머니로서의 비통함을 드러냈다.
3. 2. 죽음 이후
숭정 17년(1644년) 3월 18일 밤, 이자성의 군대가 자금성으로 몰려들자 숭정제는 주황후에게 "대세는 이미 기울었다"고 말하며 자결을 명했다. 주황후는 자신의 침전인 곤녕궁으로 돌아가 목을 매 숨졌고, 이때 나이는 35세였다.[2]며칠 뒤인 3월 21일, 경산에서 목을 매 숨진 숭정제의 시신이 반군에게 발견되었고, 주황후의 시신과 함께 자금성을 떠나 동화문 밖에 놓였다. 4월 4일, 창평주리 조일계 등은 명을 받아 숭정제와 주황후의 시신을 먼저 세상을 떠난 전귀비의 원침(무덤)에 합장하였다.
이후 들어선 청나라에서는 숭정제의 시신을 다시 장사 지내고 백성들에게 3일간 애도하도록 명했으며, 시호를 단황제(端皇帝), 능호를 사릉이라 하였다. 이때 주황후도 '''효경정렬자혜장민승천배성단황후(孝敬貞烈慈惠莊敏承天配聖端皇后)'''로 추서되었다.
그러나 순치 16년(1659년) 11월, 청나라는 "망한 나라의 군주에게 묘호를 붙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숭정제의 묘호(회종)를 없애고 시호를 '''장렬민황제(莊烈愍皇帝)'''로 고쳤다. 이에 따라 주황후의 시호 역시 '''장렬민황후(莊烈愍皇后)'''로 변경되었다. 한편, 명나라 부흥 세력이 세운 남명 정권에서는 주황후에게 '''효절정숙연공장의봉천정성렬황후(孝節貞肅淵恭莊毅奉天靖聖烈皇后)'''라는 시호를 추서했다.
4. 자녀
효절열황후는 숭정제와의 사이에서 3남 3녀를 두었다.
구분 | 이름 (작위) | 생몰년 | 비고 |
---|---|---|---|
장남 | 주자랑 (헌민태자 朱慈烺) | 1629년 2월 26일 – 1644년 | 숭정제의 장남이자 황태자. 명나라 멸망(1644년) 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차남 | 주자훤 (회은왕 朱慈烜) | ? – 1630년 1월 15일 | 태어나자마자 사망(사산)하여 회은왕(懷隱王)으로 추증되었다. |
장녀 | 곤의공주 | 1630년 12월 2일 출생 – ? | 숭정제의 장녀. |
차녀 | 장평공주 (長平公主, 본명 매초 媺娖) | 1630년 – 1646년 | 숭정제의 차녀. 명나라 멸망 후 사망하였다. |
3남 | 주자경 (정애왕 朱慈炯) | 1632년 출생 – ? | 숭정제의 3남. |
3녀 | 소인공주 (昭仁公主) | 1639년 – 1644년 4월 24일 | 숭정제의 3녀. 명나라 멸망(1644년) 시 어린 나이에 사망하였다. |
특히 이자성의 난으로 명나라가 멸망할 당시 어린 소인공주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고, 장평공주 역시 명 멸망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
5. 기타
흰색 옷을 즐겨 입었으며, 서예와 그림 그리기를 즐겼고, 의학 서적을 외울 정도로 학문에도 관심이 있었다. 아버지 주규는 황후의 아버지로서 백작(가정백)에 봉해졌다.
이자성의 군대가 베이징으로 진격해오자, 숭정제에게 남쪽의 난징으로 수도를 옮길 것을 여러 차례 권유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는 당시 상황을 비교적 정확히 판단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1644년 베이징 함락 직전, 숭정제가 죽음을 명하자 "저는 18년간 폐하를 섬겼으나, 제 말은 한마디도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오늘 폐하와 함께 죽으니 여한은 없습니다."라고 말하며 순국했다.
참조
[1]
서적
Celestial Women: Imperial Wives and Concubines in China from Song to Qing
[2]
서적
Telling Chinese History: A Selection of Essays
[3]
서적
『明史』巻23, 荘烈帝紀 天啓七年九月庚寅条によ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