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자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자랑은 명나라 숭정제의 장남으로, 1630년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1644년 이자성의 난으로 인해 피신했으나 포로로 잡혀 송왕에 봉해졌고, 이후 오삼계에 의해 명나라 황제로 옹립될 뻔했으나 도르곤의 반대로 산서로 피신했다. 이후 순나라군에 의해 살해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남명 홍광제로부터 순종 도황제의 시호를 받았다. 주자랑의 사후에는 그를 칭하는 인물들이 등장하여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황태자 - 주표
    주표는 명나라 홍무제의 장남이자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나, 온순한 성격과 병약한 체질로 요절하여 이후 명나라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 명나라의 추존황제 - 주상순
    주상순은 명나라 만력제의 아들로, 복왕에 봉해졌으나 사치를 부리다 이자성의 난 때 처형당했으며, 아들이 황제로 추존했다.
  • 명나라의 추존황제 - 주표
    주표는 명나라 홍무제의 장남이자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나, 온순한 성격과 병약한 체질로 요절하여 이후 명나라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주자랑
기본 정보
''
''
이름주자랑 (朱慈烺)
관직태자
추존 시호헌민태자 (獻愍太子)
도황제 (悼皇帝)
생애
출생일1629년 2월 26일 (음력 숭정 2년 2월 4일)
사망일1644년 6월 (향년 15세, 음력 숭정 17년 5월)
아버지숭정제
어머니효절열황후
정치 경력
재위 기간1630년 ~ 1644년
직위명나라 황태자
선임자황태자 주상락
후임자황태자 주자선 (남명 영력제의 황태자)
기타 직위송왕 (순나라)
송왕 재위 기간1644년
가족 관계
배우자영비
자녀없음
기타 정보
묘호없음
시호헌민태자 (獻愍太子)
도황제 (悼皇帝)
성씨주 (朱)
자랑 (慈烺)
연호의흥 (義興)
연호 사용 기간1644년 6월

2. 생애

1629년 숭정제의 장남으로 태어나, 1630년 황태자로 책봉되었다.[13] 1644년 이자성의 난으로 북경이 함락되자 아버지 숭정제는 자결하고, 주자랑은 오삼계에게 피신했다. 오삼계는 주자랑을 새로운 황제로 옹립하려 했으나, 도르곤이 이를 거절하여 산서(山西)로 피신하게 되었다.

이후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일설에 의하면 순나라군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한다. 남명 홍광제는 주자랑에게 순종 도황제(順宗 悼皇帝)라는 시호를 추존했다.[14]

2. 1. 탄생과 황태자 책봉

1629년 숭정제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장렬민황후 주씨이다.[13] 1630년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1644년 이자성이 이끄는 순나라 군이 북경에 당도하자, 숭정제는 후비, 후궁, 왕녀들을 죽이고 자결하였다. 숭정제는 아들들에게 명나라 부활을 위해 피신하라는 명을 내렸고, 주자랑도 이때 피신했다. 그러나 주자랑은 이자성에게 사로잡혀 인질이 되었고, 송왕(宋王)으로 봉해졌다.

이후 주자랑은 이자성이 오삼계와 싸울 때 동행했으며, 이자성이 오삼계에게 패배하자 오삼계는 주자랑을 확보하여 명나라 황제로 옹립하려 했다. 그러나 북경에 입성한 도르곤이 이를 거절하여, 주자랑은 산서(山西)로 피신하게 되었다.

2. 2. 이자성의 난과 피신

1644년 이자성이 북경에 당도하자, 숭정제는 후비, 후궁, 왕녀들을 죽이고 자결하면서 자신의 아들들은 명나라의 부활을 위해 피신시켰다. 이때 태자 주자랑도 피신하였으나 이자성에게 포로로 잡혔고, 이자성은 그를 인질로 삼고 송왕(宋王)으로 봉했다.[13]

그 후 이자성이 오삼계와 싸울 당시 수행했으며, 이자성이 오삼계에게 패퇴하자 오삼계는 주자랑의 신병을 확보해 명나라 황제로 옹립하고자 했다. 그러나 뒤이어 북경에 입성한 도르곤이 이를 거절해 결국 주자랑은 산서(山西)로 피신을 가게 되었다.[13]

2. 3. 오삼계와의 만남과 죽음

1644년 이자성이 북경에 당도하자, 숭정제는 후비와 후궁들, 왕녀들을 죽이고 자결하면서 자신의 아들들은 명나라의 부활을 위해 피신시켰다. 이때 주자랑은 피신하였으나 이자성에게 포로로 잡혔고, 이자성은 그를 인질로 삼고 송왕(宋王)으로 봉했다.[3][5]

그 뒤 주자랑은 이자성이 오삼계와 싸울 당시 수행했으며, 이자성이 산해관 전투에서 오삼계에게 패퇴하자 오삼계는 주자랑의 신병을 확보해 명나라 황제(明帝)로 옹립하고자 했다.[1] 그러나 뒤이어 북경에 입성한 도르곤이 이를 거절해 결국 주자랑은 산서(山西)로 피신을 가게 되었다.[1]

이후의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일설에 의하면 순나라군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전해진다. 주자랑은 1644년 6월 산시성 닝자완에서 사망했다.[1]

2. 4. 죽음에 대한 의혹과 논란

주자랑의 죽음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혹과 논란이 존재한다. 정사(正史)인 『명사』(1739년 완성)에서는 주자랑이 이자성 군의 패주 시 혼란 속에서 행방불명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청세조실록』, 『청사고』 및 많은 외사(外史)에서는 북경에서의 사건에 대해서도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1644년 이자성의 반란으로 베이징이 함락될 당시, 아버지 숭정제는 자결하고 주자랑은 오삼계에게 피신했다. 오삼계는 주자랑을 황제로 옹립하려 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주자랑이 병사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14]

2. 4. 1. 남명에서의 가짜 황태자 사건

홍광 원년(1645년) 2월, 난징 정권(남명)에서 내부 권력 투쟁이 끊이지 않던 무렵, 한 소년이 난징으로 들어왔다. 소년은 궁정의 일을 잘 알고 있었고, 태자 주자랑을 자칭하며 황위 계승권을 주장했다. 홍광제는 격노하여 "이 악소년은 연경장공주(융경제의 여섯째 딸)의 손자인 '''왕지명'''이다"라고 단정했지만, 소년은 완강히 인정하지 않고 "나는 '''명의 왕'''이다"라고 맞섰다. 재판관은 고문을 하려고 했지만, 소년이 법정에서 황천상제와 태조 고황제를 부르며 울부짖어 자세한 내용을 알아낼 수 없었고, 취조는 어쩔 수 없이 잠시 중단되었다. 홍광제는 "왕지명은 감옥으로 돌려보내라. 학대해서는 안 된다. 국사가 안정되면 즉시 공개 재판 후 공개 처형한다"라고 말했다.

이 사건은 정권 내부에 큰 혼란을 일으켰다. 난징의 많은 시민들은 홍광제가 방계에서 즉위했기 때문에 진짜 태자를 미워한다고 생각하여 소년을 믿었다. 장군 좌량옥은 태자 구출을 명분으로 반란을 일으켰다. 소년은 투옥되었지만, 몇 달 후 폭도들의 도움으로 감옥에서 탈출했고, 곧 군에게 포로로 잡혔다. 청나라 예친왕 도도(섭정왕 도르곤의 동복 동생)는 소년이 태자라고 발표하고 홍광제를 처단했다. 순치 3년(남명의 융무 2년) 5월 19일(1646년 7월 1일)[8], 소년은 홍광제와 함께 처형되었다.

2. 4. 2. 청나라에서의 황태자 칭하는 인물 등장

1644년 겨울, 주자랑이 병사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후, 한 소년이 주황후의 아버지인 주규의 집에 갑자기 나타났다. 소년은 주자랑이라고 자칭하며, 북경의 혼란 속에서 변장하여 도망쳤다고 주장했다. 태자의 여동생인 장평공주(주규의 집에서 요양 중이었다)는 소년을 보자마자 통곡했다. 며칠 후, 주규는 주가에 해가 미칠까 두려워 소년에게 서생 유씨라고 칭하라고 설득했다. 소년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기분을 상하게 했으며, 주규의 가족과 싸울 뻔하다가 순찰에게 제지당했다. 많은 북경 시민들이 그 모습을 둘러싸고 목격했으며, 소년은 진짜 태자라고 외쳤다.

이후, 주규와 가족들은 법정에서 증언하며 소년과 구면임을 부인했다. 한편, 다수의 시종과 환관들이 출두하여 태자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 증언했고, 재판관인 전봉란은 소년을 진짜 태자로 판단했다. 그러나 사승[9]과 주심훤[10]과 다른 몇몇 증인들은 소년을 사기꾼이라고 단정했다. 섭정왕 도르곤은 "소년이 진짜든 가짜든, 법정에서 전봉란이 명나라 진왕(주심훤)을 모욕한 것, 다른 증인들이 상관인 사승을 저주한 것은 용서할 수 없다"고 하며, 도르곤의 명령에 따라, 즉시 12명의 법정 지지자[11]가 "상관 모욕죄"로 투옥되어 12월에 처형되었다. 다른 증인들도 두려워하여 말을 바꿨다. 새로운 재판관인 상서 모(문서에 이름은 가려져 있다[12])는, 너는 반역을 꾀한 것이나 다름없다는 태도로 소년을 심문했다. 소년은 분노하여 "나에게 그런 생각은 전혀 없다, 육친을 만나러 온 것뿐이다. 이제 와서 따질 필요 없이, 나를 죽여라"라고 말했다. 장평공주는 울면서도 소년이 태자라고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고, 주규에게 심하게 뺨을 맞았다.

소년은 전봉란과 함께 투옥되었고, 12월에 전봉란이 처형되었다. 소년은 한 번은 사형을 면하고 태의원에 연금되었다. 그러나 그 후, 소팔 등 일부 북경 시민들이 태자 구출을 명목으로 폭동을 일으켰고, 그 지도자들이 처형되었다. 1646년 5월 24일, 소년도 몰래 처형되었다.

3. 가족 관계



주자랑의 황태자비는 닝훙(寧浤)의 딸인 영비로, 19세에 사망했다.[1]

4. 평가 및 영향

(결과값이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南明史
[2] 서적 南明史·列傳第二
[3]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5
[4] 서적 Central Asiatic Journal https://books.google[...] O. Harrassowitz 2002
[5] 서적 The Mythistorical Chinese Scholar-Rebel-Advisor Li Yan: A Global Perspective, 1606-2018 https://books.google[...] BRILL 2020
[6] 서적 Voices from the Ming-Qing Cataclysm: China in Tigers' Jaw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3
[7] 웹사이트 Names of persons and titles of rulers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2023-09-11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웹사이트 明《崇禎實錄》-哭祭毅宗 烈皇帝 - 历史回声 - 春秋中文社区 军事 春秋 历史 社区 论坛 - 春秋军事 http://bbs.cqzg.cn/t[...]
[14] 웹사이트 崇禎帝 http://ja.music.op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