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시미노미야 구니이에 친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시미노미야 구니이에 친왕은 1817년 고카쿠 천황의 유자가 되어 친왕 선하를 받고 구니이에로 명명되었다. 1841년 후시미노미야 사다요시 친왕의 뒤를 이어 후시미노미야를 상속했으나, 이듬해 아들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다. 1864년 환속하여 후시미노미야를 재계승했고, 1867년 국사어용달에 임명되었다. 메이지 시대에 도쿄로 이주한 후, 1872년 가독을 아들에게 물려주고 은거했으며, 그해 사망했다. 그는 17남 15녀를 두어 메이지 시대 이후 후시미노미야계 황족 융성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전 일본의 남성 황족 - 기타시라카와노미야 사토나리 친왕
    기타시라카와노미야 사토나리 친왕은 후시미노미야 쿠니이에 친왕의 아들로, 고메이 천황의 황위 계승자로 입적되었으나 승려가 된 후 환속하여 쇼고인노미야를 거쳐 기타시라카와노미야로 개칭되었으며, 17세에 사망했다.
  • 전전 일본의 남성 황족 - 가초노미야 히로아쓰 친왕
    가초노미야 히로아쓰 친왕은 가초노미야 구니노리 친왕의 장남으로, 어린 나이에 가문의 당주가 되었고, 최연소 친왕으로 선하되었으며, 해군 장교 복무 후 종교 활동에 전념했다.
  • 후시미노미야 - 후시미노미야 사다후사 친왕
    후시미노미야 사다후사 친왕은 무로마치 시대의 황족이자 후시미노미야 제3대 당주로, 고코마쓰 천황의 유자였으나 출가하여 도흠이라 불렸으며 고하나조노 천황의 친아버지로서 그의 혈통은 현재 일본 황실과 구 황족 궁가에 이어져 황위 계승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 후시미노미야 - 후시미노미야 요시히토 친왕
    후시미노미야 요시히토 친왕은 일본 난보쿠초 시대의 황족이자 북조 제3대 스코 천황의 맏아들로, 후시미노미야의 시조이며, 예술에 능통했고 그의 영지는 후손들에게 계승되었으며, 그의 아들은 현재 황실과 구 황족 간의 최근 공통 조상이다.
후시미노미야 구니이에 친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후시미노미야 구니이에 친왕
후시미노미야 구니이에 친왕
칭호젠가쿠 (禅楽, 법명)
신위친왕
경칭전하
출생일교와(享和) 2년 10월 24일 (1802년 11월 19일)
사망일메이지(明治) 5년 8월 5일 (1872년 9월 7일) (향년 69세)
가계
아버지후시미노미야 사다유키 친왕
고카쿠 천황 (양아버지)
어머니후지와라 마사코
배우자타카츠카사 히로코(친왕비)
후지키 토시코 (뇨보)
우에노 쥬노 (뇨보)
토리코지 노부코 (뇨보)
나카무라 소마 (뇨보)
후루야마 치에 (뇨보)
콘도 카즈오 (뇨보)
호리우치 노부코 (뇨보)
키무라 시무코 (뇨보)
이타미 요시코 (뇨보)
자녀야마시나노미야 아키라 친왕 (제1왕자)
쇼고인노미야 요시코토 친왕 (제2왕자)
죠닌 입도친왕 (제3왕자)
쿠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 (제4왕자)
남자 (제5왕자, 요절)
후시미노미야 사다노리 친왕 (제6왕자, 후시미노미야 제21대 당주)
기쿠노미야 (제7왕자, 요절)
코마츠노미야 아키히토 친왕 (제8왕자)
키타시라카와노미야 요시히사 친왕 (제9왕자)
마코토노미야 (제10왕자, 요절)
아이노미야 (제11왕자, 요절)
카쵸노미야 히로츠네 친왕 (제12왕자)
키타시라카와노미야 사토나리 친왕 (제13왕자)
후시미노미야 사다나루 친왕 (제14왕자, 후시미노미야 제22대/24대 당주)
키요스 이에노리 (제15왕자)
칸인노미야 코토히토 친왕 (제16왕자)
히가시후시미노미야 요리히토 친왕 (제17왕자)
히사코 여왕 (제1왕녀)
요리코 여왕 (제2왕녀)
코가 세이엔 (제3왕녀)
토모코 여왕 (제4왕녀)
로쿠코 여왕 (제5왕녀)
여자 (제6왕녀, 요절)
분슈 여왕 (제7왕녀)
노리코 여왕 (제8왕녀)
카요노미야 (제9왕녀, 요절)
무라쿠모 니치에이 (제10왕녀)
리노미야 (제11왕녀, 요절)
타카코 여왕 (제12왕녀)
여자 (제13왕녀)
타미노미야 (제14왕녀)
마치노미야 (제15왕녀, 요절)
직책
직책식부경
후시미노미야 당주
제20대 당주재위 기간: 1841년 - 1842년
이전 당주: 후시미노미야 사다유키 친왕
다음 당주: 후시미노미야 사다노리 친왕
제23대 당주재위 기간: 1864년 - 1872년
이전 당주: 후시미노미야 사다나루 친왕
다음 당주: 후시미노미야 사다나루 친왕

2. 생애

분카 14년(1817년), 고카쿠 천황의 유자가 되어 친왕 선하를 받고 '''구니이에(邦家)'''라는 이름을 받았다. 같은 달 원복하고, 고즈케 태수로 임명되어 3품에 올랐다. 덴포 6년(1835년), 타카츠카사 마사히로의 딸 히로코와 결혼했다. 덴포 12년(1841년), 아버지 사다요시 친왕이 사망하자 후시미노미야 가독을 상속받았다.

그러나 같은 해 10월, 장남인 간슈지노미야 사다노리 친왕(야마시나노미야 아키라 친왕)이 여동생(호적상 여동생이며, 실제로는 고모)인 이쿠사노미야 다카코 여왕과 야반도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닌코 천황의 명에 따라 이듬해인 1842년에 6남 무쓰노미야(사다노리 친왕)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해야 했다. 구니이에 친왕은 출가하여 젠가쿠(禅楽)라 불렀다.

겐지 원년(1864년) 2월 7일에 환속하여 후시미노미야를 다시 계승하고, 구니이에라는 이름으로 복귀했다. 다이세이호칸 이후, 게이오 3년(1867년) 국사어용괘에 임명되었고, 게이오 4년(1868년) 3월 2일에는 여러 해 동안 악도에 정진한 공로를 인정받아 1품에 서임되었다. 메이지 5년(1872년) 3월, 가족과 함께 교토를 떠나 도쿄로 이주했다. 같은 해 4월 10일, 가독을 14남 사다나루 친왕에게 물려주고 은거했다. 같은 해 8월 5일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구니이에 친왕은 아버지 사다요시 친왕처럼 자식이 매우 많았다. 특히 성인 남성이 많았기 때문에, 메이지 시대 이후 후시미노미야계 황족이 번성하는 계기를 마련한 인물로 꼽힌다.

2. 1. 초기 생애와 가독 상속

분카 14년(1817년), 고카쿠 천황의 유자가 되어 친왕 선하를 받고 '''구니이에(邦家)'''라는 이름을 받았다. 같은 달 원복하고, 고즈케 태수로 임명되어 3품에 올랐다.[6] 덴포 6년(1835년), 타카츠카사 마사히로의 딸 히로코와 결혼했다.[6] 덴포 12년(1841년), 아버지 사다요시 친왕이 사망하자 후시미노미야 가독을 상속받았다.[6]

2. 2. 은거와 복귀

1842년 아들 사다노리 친왕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 출가하여 젠가쿠(禅楽)라는 법명을 얻었다.[7]

1864년 환속하여 후시미노미야 가문을 다시 계승하고 쿠니이에라는 이름으로 복귀했다.[7] 1867년 국사어용달에 임명되었고, 1868년에는 여러 해 동안 악도에 정진한 공로를 인정받아 1품에 서임되었다.[7]

2. 3. 메이지 시대와 사망

1867년 국사어용괘에 임명되었다.[7] 1868년 3월 2일, 다년간 악도에 정진한 공로 등을 인정받아 1품에 서임되었다.[7] 1872년 3월, 가족과 함께 교토를 떠나 도쿄로 이주했다.[7] 같은 해 4월 10일, 가독을 14남 사다나루 친왕에게 물려주고 은거했다.[7] 1872년 8월 5일,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

3. 가족 관계

구니이에 친왕은 아버지 사다요시 친왕과 마찬가지로 많은 자녀를 두었다. 슬하에 17남 15녀를 두었으며, 특히 성인이 된 아들이 많아 메이지 시대 이후 후시미노미야 계열 황족이 번성하는 기반을 마련했다.[7]


  • 아버지: 후시미노미야 사다요시 친왕
  • 어머니: 후지와라 마사코 (이에뇨보)
  • 정실: 타카츠카사 히로코
  • 측실
  • * 뇨보: 藤木寿子|후지키 도시코일본어
  • * 뇨보: 上野寿野|우에노 주노일본어
  • * 뇨보: 鳥居小路信子|토리코지 노부코일본어
  • * 뇨보: 中村杣|나카무라 소마일본어
  • * 뇨보: 古山千恵|후루야마 치에일본어
  • * 뇨보: 近藤加寿尾|콘도 카즈오일본어
  • * 뇨보: 堀内信子|호리우치 노부코일본어
  • * 뇨보: 木村世牟子|키무라 시무코일본어
  • * 뇨보: 伊丹吉子|이타미 요시코일본어


배우자자녀 (출생 순서)이름출생 - 사망비고
타카츠카사 히로코6남후시미노미야 사다노리 친왕1836년 - 1862년21대 후시미노미야
5녀미츠노미야 후미코 여왕1839년 - 1853년
7남키쿠노미야1842년 - 1851년
8녀미치노미야 노리코 여왕1850년 - 1874년도쿠가와 모치츠구 후작의 아내
9녀카요노미야1852년 - 1853년
11녀토시노미야1856년 - 1858년
14남후시미노미야 사다나루 친왕1858년 - 1923년22대ㆍ24대 후시미노미야
藤木寿子|후지키 도시코일본어장남야마시나노미야 아키라 친왕1816년 - 1898년초대 야마시나노미야
上野寿野|우에노 주노일본어차남쇼고인노미야 요시코토 친왕1821년 - 1868년초대 쇼고인노미야
3남타시카노미야 죠닌 입도친왕1824년 - 1842년만슈인 몬제키
장녀오카노미야 히사코 여왕1826년 - 1916년니죠 나리유키의 아내
鳥居小路信子|토리코지 노부코일본어4남쿠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1824년 - 1891년초대 쿠니노미야ㆍ125대 천황의 증조부
中村杣|나카무라 소마일본어차녀미츠노미야 요리코 여왕1827년 - 1908년이치죠 타다요시의 아내
3녀마키노미야 코가 세이엔1828년 - 1910년코가 미치아키의 양녀ㆍ젠코지 주지
古山千恵|후루야마 치에일본어4녀카에노미야 토모코 여왕1829년 - 1884년오오타니 코쇼의 아내
近藤加寿尾|콘도 카즈오일본어5남아들 (시호 비묘인)1832년
堀内信子|호리우치 노부코일본어6녀딸 (시호 보다이인)1843년
8남고마츠노미야 아키히토 친왕1846년 - 1903년초대 고마츠노미야
9남키타시라카와노미야 요시히사 친왕1847년 - 1895년2대 키타시라카와노미야
10남아키노미야1848년 - 1853년
12남카쵸노미야 히로츠네 친왕1851년 - 1876년초대 카쵸노미야
木村世牟子|키무라 시무코일본어7녀후키노미야 분슈 여왕1844년 - 1926년엔쇼지 몬제키
伊丹吉子|이타미 요시코일본어10녀만사노미야 무라쿠모 니치에이1855년 - 1920년쿠죠 히사타다, 후의 쿠죠 유키츠네의 양녀, 즈이류지 몬제키
13남키타시라카와노미야 사토나리 친왕1856년 - 1872년초대 키타시라카와노미야
12녀세츠노미야 타카코 여왕1857년 - 1919년마츠다이라 타다노리 백작의 아내
13녀딸 (시호 칸라쿠인)1859년
15남로쿠쥬노미야 키요스 이에노리 백작1862년 - 1923년신적강하
16남칸인노미야 코토히토 친왕1865년 - 1945년6대 칸인노미야
伊丹吉子|이타미 요시코일본어17남히가시후시미노미야 요리히토 친왕1867년 - 1922년초대히가시후시미노미야
15녀마치노미야1869년 - 1872년


3. 1. 자녀

출생 순서이름출생 - 사망비고
4남쿠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1824년 - 1891년초대 쿠니노미야, 아키히토의 증조부[7], 鳥居小路信子|토리코지 노부코일본어 소생
8남고마츠노미야 아키히토 친왕1846년 - 1903년초대 고마츠노미야[7], 堀内信子|호리우치 노부코일본어 소생
9남키타시라카와노미야 요시히사 친왕1847년 - 1895년2대 키타시라카와노미야[7], 堀内信子|호리우치 노부코일본어 소생
12남카쵸노미야 히로츠네 친왕1851년 - 1876년초대 카쵸노미야[7], 堀内信子|호리우치 노부코일본어 소생
13남키타시라카와노미야 사토나리 친왕1856년 - 1872년초대 키타시라카와노미야[7], 伊丹吉子|이타미 요시코일본어 소생
16남칸인노미야 코토히토 친왕1865년 - 1945년6대 칸인노미야[7], 伊丹吉子|이타미 요시코일본어 소생
17남히가시후시미노미야 요리히토 친왕1867년 - 1922년초대 히가시후시미노미야[7], 伊丹吉子|이타미 요시코일본어 소생
6남후시미노미야 사다노리 친왕1836년 - 1862년21대 후시미노미야[7]
14남후시미노미야 사다나루 친왕1858년 - 1923년22대ㆍ24대 후시미노미야[7]
장남야마시나노미야 아키라 친왕1816년 - 1898년초대 야마시나노미야[7]
차남쇼고인노미야 요시코토 친왕1821년 - 1868년초대 쇼고인노미야[7]
15남키요스 이에노리1862년 - 1923년신적강하하여 백작[7]



구니이에 친왕의 아들들은 대부분 황족으로, 여러 궁가를 창설하여 황실의 범위를 넓혔다.[7]

4. 가계도

class="unsortable" |이름 출생사망비고
1후시미노미야 구니이에 친왕1802년1872년20/23대 후시미노미야 당주
2후시미노미야 사다유키 친왕1776년1841년17대 후시미노미야 당주[6]
3세이코|
4후시미노미야 구니요리 친왕1733년1802년18대 후시미노미야 당주[6]
5마츠키|
8후시미노미야 사다타케 친왕1701년1754년15대 후시미노미야 당주[6]
10마츠키 무네요시1740년1788년[6]
16후시미노미야 구니나가 친왕1676년1726년14대 후시미노미야 당주[6]
17아키코 공주1676년1707년[6]
20마츠키 무네나가1710년1778년[6]
21쿠제| [6]


참조

[1] 웹사이트 『 親 王 ・ 諸 王 略 傳 』 邦 [邦家] https://web.archive.[...] 2018-02-13
[2] 문서 Father of Empress Shōken
[3] 문서 She became a Buddhist nun of Zenkō-ji in 1835
[4] 웹사이트 久我誓円 http://jodoshuzensho[...] 2022-12-17
[5] 문서 Adopted by Takatsukasa Masamichi, and reduced from Imperial status to nobility
[6]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20-12-15
[7] 문서 事件の当事者である実長男の済範親王は、安政3年(1856年)蟄居が解かれ、島津久光・松平容保・徳川慶喜ら幕末の公武合体派の文久3年(1863年)の嘆願により、翌文久4年(1864年)1月に還俗を許されている。事件当事者であった済範親王が赦免されたことにより、邦家親王も許される流れになったと考えら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