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닌코 천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닌코 천황은 1817년부터 1846년까지 재위한 일본의 119대 천황이다. 고카쿠 천황의 아들로, 즉위 후 아버지의 뜻을 이어 궁중 의례 부흥에 힘썼으며, 황족과 공가 자제를 위한 교육기관인 학습원의 전신을 설립했다. 덴포 기근으로 인한 사회 혼란과 막부의 권위 약화 속에서 재위했으며, 1846년에 사망하여 센뉴지에 묻혔다. 그의 뒤를 이어 고메이 천황이 즉위하였고, 닌코 천황의 혈통은 메이지 천황을 거쳐 현재의 일본 황실까지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카쿠 천황의 자녀 - 마스히토 친왕
    마스히토 친왕은 1800년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나 같은 해 사망한 고모모조노 천황의 외손자이자 닌코 천황의 이복 형제이다.
  • 고카쿠 천황의 자녀 - 카츠라노미야 타케히토 친왕
  • 19세기 일본의 군주 - 메이지 천황
    메이지 천황은 격변기에 즉위하여 왕정복고와 메이지 유신을 통해 일본을 근대 국가로 변모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일본의 제122대 천황이다.
  • 19세기 일본의 군주 - 고메이 천황
    에도 막부 말기에 재위한 일본 121대 천황 고메이 천황은 서구 열강의 개국 압력에 쇄국 정책을 고수하며 반대했으나, 막부의 권위 약화 속에 정치에 관여하며 공무합체를 지지했다.
닌코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아야히토 (恵仁)
존호닌코 천황 (仁孝天皇)
아야히토 (寛宮 恵仁)
출생일1800년 3월 16일
출생지교토, 도쿠가와 막부
사망일1846년 2월 21일
사망지교토, 도쿠가와 막부
매장지교토, 쓰키노와노미사사기 (後月輪陵)
신앙신토
닌코 천황 초상 (센뉴지 소장)
닌코 천황 친필 서명
친필 서명
통치
재위 기간1817년 5월 7일 ~ 1846년 2월 21일
즉위식1817년 10월 31일
연호분카 (1804년~1818년)
분세이 (1818년~1831년)
덴포 (1831년~1845년)
고카 (1845년~1848년)
선대 천황고카쿠 천황
후대 천황고메이 천황
쇼군도쿠가와 이에나리 (1817년~1837년)
도쿠가와 이에요시 (1837년~1846년)
관백이치조 다다요시 (1814년~1823년)
다카쓰카사 마사미치 (1823년~1856년)
태정대신도쿠가와 이에나리 (1827년~1841년)
다카쓰카사 마사미치 (1842년~1848년)
가족 관계
아버지고카쿠 천황
어머니가지유지 다다코 (勧修寺婧子)
배우자다카쓰카사 쓰나코 (鷹司繋子)
다카쓰카사 야스코 (鷹司祺子)
자녀스미코 내친왕 (安仁親王)
지히신인노미야 (慈悲心院宮)
마니주인노미야 (摩尼珠院宮)
요미야 (鎔宮)
오사히토 친왕 (고메이 천황) (統仁親王)
가쓰라노미야 요시히토 친왕 (桂宮節仁親王)
쿄노미야 (恭宮)
세이노미야 (成宮)
가쓰라노미야 요시코 내친왕 (桂宮淑子内親王)
산노미야 (三宮)
소노미야 (総宮)
교노미야 (経宮)
다네노미야 (胤宮)
가즈노미야 지카코 내친왕 (和宮親子内親王)
조자코인노미야 (常寂光院宮)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 (久邇宮朝彦親王)
기타시라카와노미야 요시히사 친왕 (北白川宮能久親王)
능묘
능호쓰키노와노미사사기 (後月輪陵)

2. 생애

1809년 3월 24일, 아버지 광격천황의 중궁인 흔자내친왕의 양자로 황태자에 책봉되었다.

1817년에 즉위하여 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조정 부흥에 힘썼다. 황족과 공가(公家) 자제들을 위한 교육기관 설치를 희망하여 무가전주 덕대사실견에게 막부와의 협상을 명했으나, 막부의 승인을 얻어 구상이 현실화되려는 찰나에 붕어하였다. 향년 47세였다.[4]

붕어 다음 해인 1847년, 효명천황은 닌코 천황의 유지를 받들어 어소의 건춘문 밖에 공가 강학(講學) 장소로 학습소를 설립하고, 칙액을 하사하여 ‘학습원’ (교토 학습원)이라 명명하였다. 1877년 메이지 천황은 이를 황족·화족 교육기관인 학습원(현 학교법인 학습원 및 학습원 대학)으로 발전시켰다.

닌코 천황부터 메이지의 일세일원의 제를 거쳐 쇼와까지 역대 천황은 모두 종신 재위(선제의 붕어에 따른 황위 계승)하였다.

2. 1. 어린 시절

닌코 천황이 황위에 오르기 전 이름(이미나(諱))은 아야히토(恵仁)였다.[4] 1800년 3월 16일에 고카쿠 천황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15명의 형제자매 중 유일하게 성인이 되었다. 아야히토는 1809년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는데, 아버지의 정실인 요시코(欣子) 내친왕(신세이와인(新清和院))에게 입양되었다. 생모는 고카쿠 천황의 후궁 중 한 명인 가주지 타다코(勧修寺婧子)였다.

1809년 3월 24일, 고카쿠 천황의 중궁인 요시코 내친왕의 양자가 되어 황태자에 책봉되었다.

2. 2. 즉위와 업적

닌코 천황은 1817년 10월 31일 아버지 고카쿠 천황이 퇴위한 후 즉위하였다.[5] 상왕이었던 아버지의 뜻을 따라 궁중 의례와 관습 부흥을 시도하였는데, 여기에는 "천황(天皇)"이라는 칭호 복원도 포함되었다.[5] 닌코 천황은 궁궐 바깥에 조정 귀족을 위한 학습소(学習所)를 설립했는데, 이는 후일 학습원의 전신이 되었다.[5]

닌코 천황 재위 중 가장 큰 사건은 1833년부터 1837년까지 이어진 덴포 기근이었다.[5] 이 기근은 혼슈 북부에서 가장 심각했으며, 홍수와 한파로 인해 발생하였다.[5] 닌코 천황의 재위 기간에는 막부의 권력 약화도 나타났다. 덴포 기근과 다른 자연재해들이 큰 타격을 입히면서, 백성들의 막부에 대한 신뢰가 흔들렸다. 1837년에는 오시오 헤이하치로가 오사카에서 빈민 구제를 거부한 부패한 관리들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같은 해에는 미국 상선이 해안 포병에 의해 쫓겨나는 모리슨 사건도 발생했다.[5] 결국 질서는 회복되었지만, 장기간에 걸친 민중의 불만은 지배 정부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졌다.[5] 그러나 이 혼란기에 천황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불분명하다.

1847년, 조정 귀족 자제들을 위한 학습소가 어소의 건춘문 밖에 설립되었다. 이는 고메이 천황에게 하사받은 칙액에 따라 '학습원' (교토 학습원)이라 명명되었으며, 메이지 천황 시기 황족·화족 교육기관인 학습원(현 학교법인 학습원 및 학습원 대학)의 전신이 되었다.

2. 3. 덴포 대기근과 사회 혼란

덴포 대기근은 1833년부터 1837년까지 이어졌으며, 혼슈(本州) 북부에서 가장 심각했다. 이 기근은 홍수와 한파로 인해 발생하였다.[5] 닌코 천황의 재위 기간에는 막부의 권력 약화가 나타났다. 덴포 대기근과 다른 자연재해들이 큰 타격을 입히면서 백성들의 막부에 대한 신뢰가 흔들렸다. 1837년에는 오시오 헤이하치로가 오사카에서 빈민 구제를 거부한 부패한 관리들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같은 해에는 미국 상선이 해안 포병에 의해 쫓겨나는 사건도 발생했다. 결국 질서는 회복되었지만, 장기간에 걸친 민중의 불만은 지배 정부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이 혼란기에 천황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불분명하다.

2. 4. 사망과 계승

1846년 2월 21일에 47세의 나이로 붕어하였다. 닌코 천황의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센뉴지 내에 있는 '''후월륜릉'''(後月輪陵)이다. 궁내청 상의 형식은 석조구중탑이다.[1]

후월륜릉(교토부 교토시)


또한 황거에서는, 황령전(궁중삼전 중 하나)에서 다른 역대 천황·황족들과 함께 천황의 령이 봉안되어 있다.[1]

3. 가족 관계

닌코 천황은 고카쿠 천황의 여섯째 아들로, 친어머니는 가주지 쓰네하야의 딸인 가주지 다다코이다. 양어머니는 고모모조노 천황의 첫째 황녀이자 고카쿠 천황의 중궁인 요시코 내친왕이다.

닌코 천황은 여러 후궁을 두었으며, 그 사이에서 7남 8녀를 두었다. 그러나 자녀들 중 상당수가 어린 나이에 사망하였고, 고메이 천황, 스미코 내친왕, 가즈노미야 지카코 내친왕만이 성년까지 생존하였다.[8]

3. 1. 배우자


  • 황후(추증): 鷹司繋子|다카쓰카사 쓰나코일본어 (1798년 ~ 1823년) -
  • 제1황자: 시즈히토 친왕(安仁親王일본어, 1820년 ~ 1821년)
  • 제1황녀: 지히신인노미야(慈悲心院宮일본어, 1823년)
  • 뇨고(女御): 鷹司祺子|다카쓰카사 야스코일본어 (1811년 ~ 1847년) -
  • 제4황녀: 마니주인노미야(摩尼珠院宮일본어, 1829년 ~ 1831년)

3. 2. 자녀

순서이름출생사망생모비고
1安仁親王|시즈히토 친왕일본어1820년1821년다카쓰카사 쓰나코
2慈悲心院宮|지히신인노미야일본어1823년1823년다카쓰카사 쓰나코
3鎔宮|노리노미야일본어1825년1826년오기마치 나오코
4成宮|나루노미야일본어1825년1826년간로지 기요코
5{{lang1829년1881년간로지 기요코
6摩尼珠院宮|마니주인노미야일본어1829년1831년다카쓰카사 야스코
7三宮|산노미야일본어1830년1831년간로지 기요코
8{{lang1831년1867년오기마치 나오코121대 고메이 천황
9常寂光院宮|조잣코인노미야일본어1832년1832년이마키 다쓰코
10総宮|후사노미야일본어1832년1833년간로지 기요코
11{{lang1833년1836년오기마치 나오코
12経宮|다쓰노미야일본어1836년1836년간로지 기요코
13恭宮|유키노미야일본어1837년1838년오기마치 나오코
14胤宮|다네노미야일본어1844년1845년하시모토 쓰네코
15{{lang1846년1877년하시모토 쓰네코

[8]

3. 3. 후궁

正親町雅子|오기마치 나오코일본어(1803°C년 ~ 1856°C년): 오기마치 사네미쓰의 딸로 덴지(典侍)였다.[8]

  • 둘째 황자: 노리노미야(鎔宮일본어, 1825°C년 ~ 1826°C년)
  • '''넷째 황자: 오사히토 친왕''' (121대 고메이 천황)
  • 여섯째 황자: 미사히토 친왕(節仁親王일본어, 1833°C년 ~ 1836°C년)
  • 일곱째 황녀: 유키노미야(恭宮일본어, 1837°C년 ~ 1838°C년)


甘露寺妍子|간로지 기요코일본어(1806°C년 ~ 1851°C년): 간로지 구니나가의 딸로 덴지였다.[8]

  • 둘째 황녀: 나루노미야(成宮일본어, 1825°C년 ~ 1826°C년)
  • 셋째 황녀: 스미코 내친왕(淑子内親王일본어, 1829°C년 ~ 1881°C년)
  • 셋째 황자: 산노미야(三宮일본어, 1830°C년 ~ 1831°C년)
  • 다섯째 황녀: 후사노미야(総宮일본어, 1832°C년 ~ 1833°C년)
  • 여섯째 황녀: 다쓰노미야(経宮일본어, 1836°C년)


橋本経子|하시모토 쓰네코일본어(1826°C년 ~ 1865°C년): 하시모토 사네히사의 딸로 덴지였다.[8]

  • 일곱째 황자: 다네노미야(胤宮일본어, 1844°C년 ~ 1845°C년)
  • 여덟째 황녀: 지카코 내친왕


中山績子|나카야마 이사코일본어(1795°C년 ~ 1875°C년): 나카야마 나루치카의 딸로 덴지였다.[8]

今城媋子|이마키 타츠코일본어(1809°C년 ~ 1875°C년): 이마키 사다나리의 딸로 나이시노죠(掌侍)였다.[8]

  • 다섯째 황자: 조잣코인노미야(常寂光院宮일본어, 1832°C년)

3. 4. 양자

4. 계보

닌코 천황은 고카쿠 천황의 아들이다.[9] 고카쿠 천황은 간인노미야 스케히토 친왕의 아들이며, 간인노미야 스케히토 친왕은 히가시야마 천황의 손자이다.

닌코 천황의 혈통은 아들 고메이 천황, 손자 메이지 천황을 거쳐 현재의 황실까지 이어지고 있다. 닌코 천황으로부터 보면 나루히토는 곤손(5대손)에 해당한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고카쿠 천황
할아버지간인노미야 스케히토 친왕
증조할아버지간인노미야 나오히토 친왕히가시야마 천황의 아들
아들고메이 천황
손자메이지 천황


5. 연호


  • 분카(1804년~1818년)
  • 분세이(1818년~1830년)
  • 덴포(1830년~1844년)
  • 고카(1844년~1848년)

6. 평가

닌코 천황은 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조정 의례 부흥에 힘썼다. 황족과 공가 자제들을 위한 교육기관 설치를 희망하여 무가전주 덕대사실견에게 막부와의 협상을 명하였다. 막부의 승인을 얻어 그 구상이 현실이 되려던 찰나에 붕어하였다. 닌코 천황의 통치는 쇠퇴해가는 에도 막부와 근대화의 압력 속에서 전통과 개혁 사이의 균형을 찾는 과도기적 시대로 평가할 수 있다.[3]

붕어 다음 해인 1847년, 천황의 유지를 받들어 어소의 건춘문 밖에 공가 강학 장소로서 학습소가 설립되었고, 효명천황으로부터 하사받은 칙액에 따라 「학습원」(교토 학습원)이라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는 1877년, 메이지 천황의 명에 따라 설립된 황족·화족 교육기관인 학습원(현 학교법인 학습원 및 학습원 대학)의 전신이다.[4]

참조

[1] 웹사이트 仁孝天皇 (120) http://www.kunaicho.[...]
[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959
[3]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1834
[4]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5] 서적 The Nineteenth Century: Cambridge History of Japan, Vol. 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6]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7]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8]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9]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4-30
[10] 간행물 明治16年と同21年の上申書からみた明治天皇皇子女夭折問題 http://jsmh.umin.jp/[...]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