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카쿠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카쿠 천황은 1779년 고모모조노 천황의 양자가 되어 즉위한 일본의 119대 천황이다. 재위 기간 동안 덴메이 대기근, 교토 고쇼 소실 등의 재난을 겪었으며, 황실 권위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 아버지에게 태상천황 칭호를 추증하려 했으나 막부의 반대로 무산된 '존호일건' 사건은 존왕사상에 영향을 주었다. 1817년 아들 닌코 천황에게 양위하고 상황이 되었으며, 그는 1586년 이후 40세가 넘어 황위에 오른 첫 천황이자, 나루히토 천황까지 이어지는 일본 황실의 직계를 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일본의 군주 - 메이지 천황
메이지 천황은 격변기에 즉위하여 왕정복고와 메이지 유신을 통해 일본을 근대 국가로 변모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일본의 제122대 천황이다. - 19세기 일본의 군주 - 고메이 천황
에도 막부 말기에 재위한 일본 121대 천황 고메이 천황은 서구 열강의 개국 압력에 쇄국 정책을 고수하며 반대했으나, 막부의 권위 약화 속에 정치에 관여하며 공무합체를 지지했다. - 18세기 일본의 군주 - 히가시야마 천황
히가시야마 천황은 레이겐 천황의 아들로 1687년부터 1709년까지 재위하며 겐로쿠 문화의 전성기와 조정과 막부의 원만한 관계, 황실 재정 안정 등 안정적인 시기를 보낸 후 천연두로 사망했다. - 18세기 일본의 군주 - 나카미카도 천황
에도 시대 제114대 일본 천황인 나카미카도 천황은 히가시야마 천황의 아들로 쇼토쿠 4년에 즉위하여 교호 개혁 시기에 재위하며 막부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고, 학문과 예술에 능해 『공사부류』를 찬저하고 피리 연주에도 재능을 보였다. - 고카쿠 천황 - 하무로 요리코
하무로 요리코는 고카쿠 천황의 텐지로서 2남 1녀를 낳았으나 모두 요절했고, 민부쿄 텐지로 불리며 쇼신 법친왕과 손보 법친왕의 양모가 되었으며, 1846년에 사망했다. - 고카쿠 천황 - 가주지 다다코
고카쿠 천황의 후궁이자 닌코 천황의 생모인 가주지 다다코는 간슈지 츠네미치의 딸로, 덴지로 입궁하여 천황을 낳고 사후 준삼후로 추증되었으며, 묘소는 센뉴지 별원에 있다.
고카쿠 천황 | |
---|---|
기본 정보 | |
![]() | |
휘 | 사치노미야 모로히토 (祐宮 師仁), 후에 가네히토 (兼仁)로 개명 |
존호 | 태상천황 (太上天皇), 상황 (上皇) |
시호 | 고카쿠 천황 (光格天皇) |
출생일 | 1771년 9월 23일 |
출생지 | 교토, 도쿠가와 막부 |
사망일 | 1840년 12월 11일 |
사망지 | 교토, 도쿠가와 막부 |
묻힌 곳 | 노치노쓰키노와 능 (後月輪陵), 교토 |
종교 | 신토 |
![]() | |
재위 | |
즉위일 | 1779년 12월 16일 |
퇴위일 | 1817년 5월 7일 |
즉위 예식 | 1780년 12월 29일 |
대례 | 1788년 1월 5일 |
역대 | |
역대 천황 | 제119대 |
연호 | |
연호 | 안에이 (安永, 1772년-1781년) 덴메이 (天明, 1781년-1789년) 간세이 (寛政, 1789년-1801년) 교와 (享和, 1801년-1804년) 분카 (文化, 1804년-1818년)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간인노미야 스케히토 친왕 (閑院宮典仁親王) |
어머니 | 오에 이와시로 (大江磐代) |
양어머니 | 고사쿠라마치 천황 |
배우자 | 요시코 내친왕 (欣子内親王) |
자녀 | 온히토 친왕 (温仁親王) 에쓰히토 친왕 (悦仁親王) 히토 친왕 (恵仁親王, 닌코 천황) 가쓰라노미야 모리히토 친왕 (桂宮盛仁親王) 신시 내친왕 (蓁子内親王), 기타 다수 |
정치 | |
정치 체제 | 에도 시대 |
쇼군 | 도쿠가와 이에하루 (徳川家治, 1779년-1786년) 도쿠가와 이에나리 (徳川家斉, 1787년-1817년) |
섭정 | 구조 나오자네 (九条尚実) |
간파쿠 | 구조 나오자네 (九条尚実) 다카쓰카사 스케히라 (鷹司輔平) 이치조 데루요시 (一条輝良) 다카쓰카사 마사히로 (鷹司政熙) 이치조 다다요시 (一条忠良) |
태정대신 | 구조 나오자네 |
기타 | |
거주 궁궐 | 헤이안 궁 (平安宮, 쓰치미카도히가시노토인도노) |
묘호 | 없음 |
불교식 시호 | 없음 |
2. 생애
간인노미야 가문에서 태어난 고카쿠 천황은 원래 세이고인에 들어가 승려가 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1779년 고모모조노 천황이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세습친왕가에서 새로운 천황을 옹립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25] 고카쿠 천황은 1780년 1월 1일에 즉위하기 전까지 황태자로 책봉되지는 않았다.
1782년 교토고쇼(京都御所)가 화재로 소실되어 3년 동안 세이고인을 임시 처소로 삼았다.
고카쿠 천황은 다양한 재능을 가지고 있었고, 학문에 대한 열정이 높았다. 이와시미즈 신궁과 가모 신사의 축제를 부활시키는 등 황궁을 둘러싼 행사를 복원하고자 노력했다. 또한 덴메이 대기근(1782년 ~ 1788년) 시기에는 도쿠가와 막부에 백성 구제를 요청하여 황실의 권위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
1799년에는 엔노 오즈누에게 진벤 대보살(神変大菩薩)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1817년 아들 닌코 천황에게 양위하고 태상천황이 되었다. 2019년 아키히토 상황 이전까지 일본 역사상 마지막 태상천황이었다.
2. 1. 즉위 전
간인노미야 가문에서 태어나 세이고인에 들어가 승려가 될 예정이었으나, 1779년 12월 6일 고모모조노 천황이 아들 없이 급서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25] 세습친왕가에서 새 천황을 옹립해야 했고, 후보로 후시미노미야 사다유키 친왕, 간인노미야 요시히토 친왕, 그리고 고카쿠 천황이 물망에 올랐다.선황의 딸 긴시 내친왕을 새 천황의 비로 삼는다는 구상에 따라, 기혼자였던 요시히토 친왕은 제외되었다. 고노에 우치마에는 사다유키 친왕을, 구조 히사자네는 모로히토 친왕을 추천했다. 회의 결과, 사다유키 친왕은 나이가 어리고 세습친왕가 중 가장 늦게 창설되었기에, 천황과 혈연이 더 가깝고 선황의 딸과 혼인할 예정이었던 모로히토 친왕이 채택되었다.
모로히토 친왕은 급히 고모모조노 천황의 양자가 되었고, 1780년 1월 1일 즉위하였다.
2. 2. 즉위 후
고카쿠 천황은 1779년 고모모조노 천황이 아들 없이 사망하면서 즉위했다. 원래 승려가 될 예정이었으나, 황위 계승 후보 중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천황의 양자가 되었다.[25]1782년에는 덴메이 대기근(1782년 ~ 1788년)이 발생했다. 고카쿠 천황은 백성들을 구제하기 위해 도쿠가와 막부에 도움을 요청했고, 이는 황실의 권위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25] 이와 더불어 러시아 제국에도 도움을 요청하려 하였다.
또한, 이와시미즈 신궁과 가모 신사의 축제 등 황실 행사를 부활시키며 황실 권위 회복에 힘썼다.
1789년에는 아버지 간인노미야 스케히토 친왕에게 태상천황 칭호를 추증하려 했으나, 막부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이를 존호일건이라고 부른다.[6]
고카쿠 천황의 재위 기간 동안 발생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
1782년 | 덴메이 대기근 시작[3] |
1782년 | 구쓰키 마사쓰나가 《신찬전보(新撰錢譜)》를 천황에게 바침[3] |
1783년 | 아사마 산 분화 (덴메이 대기근 악화) |
1784년 | 진언종 창시자 구카이 기념행사 개최 |
1786년 | 도쿠가와 이에하루 사망 |
1787년 | 구쓰키 마사쓰나가 《서양전보(西洋錢譜)》 출판[4] |
1788년 | 미야코 대화재 발생. 천황 피난, 황궁 파괴[5] |
고카쿠 천황은 학문에 열심이었고, 여러 재능을 가진 인물이었다. 특히, 황실 의례 복원에 힘쓰며 근대천황제로 이어지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9]
2. 3. 퇴위 후
1817년, 고카쿠 천황은 자신의 아들인 닌코(仁孝天皇) 천황에게 양위하였다. 고카쿠 천황의 재위 이전 2세기 동안 대부분의 천황들은 젊은 나이에 사망하거나 퇴위를 강요당했다. 고카쿠 천황은 1586년 오기마치(織田信長) 천황의 퇴위 이후 40세가 넘도록 즉위한 최초의 일본 군주였다. 2019년 아키히토(明仁) 천황의 퇴위 전까지 그는 퇴위하여 후계자에게 자리를 물려준 조코(上皇)로서 통치한 마지막 천황이었다. 고카쿠 천황은 퇴위한 천황의 궁궐인 센토궁(仙洞御所)으로 행렬을 지어 이동하였다. 당시 센토궁은 사쿠라마치궁(桜町御所)이라고 불렸다.[16]
1840년 고카쿠 천황이 사망한 후, 센뉴지 교토 히가시야마구(京都東山区)에 있는 황릉인 後月輪東山陵|노치노츠키노와노히가시야마노미사사기일본어에 봉안되었다. 센뉴지의 츠키노와노미사사기(月輪陵)에는 고미즈노오(後水尾天皇) 천황 이후의 직계 전임 천황들인 메이쇼, 고코묘, 고사이, 레이겐, 히가시야마, 나카미카도, 사쿠라마치, 모모조노, 고사쿠라마치, 고모모조노 천황도 함께 봉안되어 있다. 이 황릉에는 고카쿠 천황의 직계 후계자인 닌코(仁孝天皇) 천황과 코메이(孝明天皇) 천황의 미사사기(陵墓)도 포함되어 있다.[17] 황태후인 요시코 황태후 또한 이 황릉에 합장되었다.[18]
3. 가족 관계
配偶者|배우자일본어
직위 | 이름 | 출생 | 사망 | 아버지 | 비고 |
---|---|---|---|---|---|
황후 | 요시코 내친왕 (欣子内親王일본어) | 1779년 3월 11일 | 1846년 8월 11일 | 고모모조노 천황 | 닌코 천황의 어머니 |
전시 | 하무로 요리코 (葉室頼子일본어) | 1773년 | 1846년 | 하무로 요리히로 | |
전시 | 가주지 다다코 (勧修寺婧子일본어) | 1780년 | 1843년 | 가주지 쓰네하야 | 닌코 천황 생모 |
전시 | 다카노 오사코 (高野正子일본어) | 1774년 | 1846년 | 다카노 야스카 | |
전시 | 아네가코지 사토코 (姉小路聡子일본어) | 1794년 | 1888년 | 아네가코지 긴토모 | |
장시 | 히가시보죠 카즈코 (東坊城和子일본어) | 1782년 | 1811년 | 히가시보조 마스나가 | |
장시 | 토미노코지 테루코 (富小路明子일본어) | ? | 1828년 | 토미노코지 사다나오 | |
장시 | 나가하시노쓰보네 (長橋局일본어) | ? | ? | 불명 |
=== 자녀 ===
고카쿠 천황은 슬하에 16명(아들 8명, 딸 8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이 중 3명만이 성인이 되었다.
신분 | 이름 | 출생 | 사망 | 어머니 | 비고 |
---|---|---|---|---|---|
황녀 | 開示院宮일본어 | 1789년 | 1789년 | 생모 미상 | 태어난 당일 요절, 황자라는 설도 있음 |
제1황자 | 礼仁親王일본어 | 1790년 | 1791년 | 하무로 요리코 | |
황녀 | 受楽院宮일본어 | 1792년 | 1792년 | 나가하시노쓰보네 | 태어난 당일 요절, 황자라는 설도 있음 |
제1황녀 | 能布宮일본어 | 1792년 | 1793년 | 하무로 요리코 | |
제2황자 | 俊宮일본어 | 1793년 | 1794년 | 하무로 요리코 | |
제3황자 | 마스히토 친왕 (温仁親王일본어) | 1800년 | 1800년 | 요시코 내친왕 | |
제4황자 | 아야히토 친왕 (恵仁親王일본어) | 1800년 | 1846년 | 가주지 다다코 | 닌코 천황 |
제2황녀 | 多祉宮일본어 | 1808년 | 1808년 | 가주지 다다코 | |
제5황자 | 가쓰라노미야 다케히토 친왕 (桂宮盛仁親王일본어) | 1810년 | 1811년 | 히가시보죠 카즈코 | |
제3황녀 | 霊妙心院宮일본어 | 1811년 | 1811년 | 히가시보죠 카즈코 | |
제6황자 | 猗宮일본어 | 1815년 | 1819년 | 다카노 오사코 | |
제7황자 | 도시히토 친왕 (悦仁親王일본어) | 1816년 | 1821년 | 요시코 내친왕 | |
제4황녀 | 娍宮일본어 | 1817년 | 1819년 | 가주지 다다코 | |
제5황녀 | 倫宮永潤女王일본어 | 1820년 | 1830년 | 아네가코지 사토코 | |
제6황녀 | 治宮일본어 | 1822년 | 1822년 | 토미노코지 테루코 | |
제7황녀 | 모리코 내친왕 (蓁子内親王일본어) | 1824년 | 1842년 | 토미노코지 테루코 | |
제8황녀 | 媛宮聖清女王일본어 | 1826년 | 1827년 | 아네가코지 사토코 | |
제9황녀 | 勝宮일본어 | 1826년 | 1827년 | 토미노코지 테루코 | |
제8황자 | 嘉糯宮일본어 | 1833년 | 1835년 | 아네가코지 사토코 |
4. 재위 중 연호
- 안에이 (1772년-1781년)
- 덴메이 (1781년-1789년)
- 칸세이 (1789년-1801년)
- 쿄와 (1801년-1804년)
- 분카 (1804년-1818년)
5. 평가
고카쿠 천황은 중단되었던 황실 의례를 복원하고, 막부에 맞서 황실 권위 회복을 시도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존호일건 사건(尊号一件)은 존왕사상(尊王思想) 고취에 영향을 주었다.[6] 학문과 예술에도 조예가 깊었던 그는, 근대 천황제로의 이행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9]
간인노미야 출신인 고카쿠 천황은 중세 이래 끊어졌던 조정 의례 재흥과 황실 권위 회복에 힘썼다. 이시즈미하치만궁과 가모신사의 임시제(臨時祭)를 부활시키고, 신장제(新嘗祭) 등 조정 의례를 복구했다.[29] 헤이안 말기 이후 단절되었던 대학료(大学寮)를 대신할 조정 공식 교육기관 부활을 구상했으나, 재위 중 실현되지는 못하고 다음 대 닌코 천황에게 이어졌다.
덴메이 대기근(天明の大飢饉) 당시 구호 활동을 통해 백성들의 관심을 황실로 돌렸으며, 러시아와의 국경 분쟁 정보를 얻는 등 외교에도 적극적이었다.[3] 간세이 개혁(寛政の改革) 시기에는 성리학을 일본의 공식 유교 철학으로 강제하는 간세이 이학금지령(寛政異学の禁)이 내려지기도 했다.[14]
그러나 당시 권력은 여전히 막부에 있었고, 고카쿠 천황의 노력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6. 연표
- 1771년 9월 23일(명와 8년 8월 15일): 히가시야마 천황의 손자인 간인노미야 스케히토 친왕의 여섯째 아들로 태어남.
- 1779년 12월 6일(안에이 8년 10월 29일): 고모모조노 천황이 후사 없이 사망하여, 세습친왕가에서 새 천황을 맞이하게 됨.
- 1780년 1월 1일(안에이 8년 11월 25일): 고모모조노 천황의 양자가 되어 즉위함.
- 1782년: 덴메이 대기근 발생. 교토고쇼 소실로 3년간 세이고인을 임시 거처로 사용.
- 1794년 4월 6일(간세이 6년 3월 7일): 긴시 내친왕을 중궁으로 책립.
- 1799년: 엔노 오즈누 사후 1100년을 기념하여 신벤 대보살 시호 증정.
- 1817년 5월 7일(분화 14년 3월 22일): 아들 닌코 천황에게 양위.
- 1840년 12월 11일(덴포 11년 11월 18일): 붕어. 보산 70세.
6. 1. 주요 사건
安永일본어 8년(1779년) 10월 29일 (음력)에 고모모조노 천황이 아들 없이 사망하자, 고사쿠라마치 천황과 고문관들은 모로히토 친왕을 고모모조노 천황의 양자로 삼았다. 고모모조노 천황은 1779년 12월 16일에 사망했고, 1년 후 모로히토 친왕이 8세의 나이로 즉위했다.[3]- '''1782년''' (''덴메이 2''): 덴메이 대기근이 시작되었다. 같은 해 구쓰키 마사쓰나가 중국과 일본의 은화에 대한 분석인 《신찬전보(新撰錢譜)》를 천황에게 바쳤다.[3] 또한, 교토고쇼(京都御所)가 화재로 소실되어 3년 동안 세이고인(聖護院)을 임시 처소로 삼았다.[25]
- '''1783년''' (''덴메이 3''): 아사마 산(浅間山)이 분화하여 덴메이 대기근이 더욱 악화되었다.
- '''1784년''' (''덴메이 4''): 진언종의 창시자 구카이 기념행사가 전국적으로 개최되었다.
- '''1786년 9월 17일''' (''덴메이 6, 8월 15일''): 도쿠가와 이에하루가 사망하였다.
- '''1787년''' (''덴메이 7''): 구쓰키 마사쓰나는 《서양전보(西洋錢譜)》를 출판하여, 유럽과 식민지의 통화를 소개하였다.[4] 덴메이 대기근 때 고쇼 천도참배가 이루어지자, 후사쿠라마치 상황은 사과 3만 개를 민중에게 배포했다. 고카쿠 천황은 상황을 우려하여, 조정이 막부의 방침에 간섭하지 않는다는 금중병공가제법도의 규정을 어기고, 막부에 민중 구제를 요청했다.
- '''1788년''' (''덴메이 8''): 미야코의 대화재로 도시가 불탔고, 천황은 달아났으며 황궁은 파괴되었다. 새 궁이 완성될 때까지 다른 재건은 허락되지 않았다.
- '''1794년''' (''간세이 6''): 긴시 내친왕과 결혼하였다.
- '''1799년''' (''간세이 11''): 엔노 오즈누가 사망한 지 1100년이 된다는 것을 조정에 알려, 정월 25일에 천황은 엔노 오즈누에게 진벤 대보살(神変大菩薩)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 '''1817년''' (''분카 14''): 아들 닌코 천황에게 양위하였다. 양위한 다음날인 3월 24일(5월 9일)에 태상천황이 되었다.
6. 2. 간세이 개혁 (참고)
寛政の改革|간세이 개혁일본어은 18세기 중반 에도 일본에서 발생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시행된 일련의 반동적인 정책 변화 및 칙령이었다. 간세이(寛政)는 1789년부터 1801년까지의 연호(年號)를 가리키며 ("덴메이" 이후, "교와" 이전) 개혁은 간세이 시대에 이루어졌지만 1787년에서 1793년 사이였다.[9] 결국 막부의 개입은 부분적으로만 성공했다. 기근, 홍수 및 기타 재해와 같은 개입 요인은 쇼군이 개선하려던 일부 상황을 악화시켰다.마쓰다이라 사다노부(1759–1829)는 1787년 여름 쇼군의 최고 고문(로쥬)으로 임명되었고, 이듬해 초 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섭정이 되었다.[10] 바쿠후 계층에서 최고 행정 결정권자로서 그는 급진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위치에 있었고, 그의 초기 행동은 최근 과거와의 공격적인 단절을 나타냈다. 사다노부의 노력은 이전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 체제하에서 일반화된 많은 정책과 관행을 역전시킴으로써 정부를 강화하는 데 집중되었다.
사다노부는 바쿠후의 쌀 비축량을 늘리고 다이묘들에게도 그렇게 하도록 요구했다.[11] 그는 도시의 지출을 줄이고 미래의 기근에 대비한 비축량을 확보했으며 도시의 농민들이 시골로 돌아가도록 장려했다.[11] 그는 시골의 사치스러운 활동을 금지하고 도시의 무허가 매춘을 억제하는 등 도덕성과 검소함을 증진하는 정책을 시행하려고 했다.[11] 사다노부는 또한 다이묘들이 상인들에게 빚진 일부 채무를 탕감했다.[11]
이러한 개혁 정책은 그의 로쥬 전임자 타누마 오키쓰구(1719–1788)의 과도함에 대한 반동적인 대응으로 해석될 수 있다.[12] 그 결과 타누마가 시작한 바쿠후 내의 자유화 개혁과 사코쿠(일본의 엄격한 외국 상인 통제 "쇄국" 정책)의 완화는 역전되거나 차단되었다.[13] 1790년의 간세이 이학금지령(寛政異学の禁, ''kansei igaku no kin'')을 통해 교육 정책이 바뀌어 주희의 성리학이 일본의 공식적인 유교 철학으로 강제되었다.[14] 이 조서는 특정 출판물을 금지하고 특히 공식 하야시 학파의 교육 과정과 관련하여 성리학의 엄격한 준수를 명령했다.[15]
이 개혁 운동은 에도 시대의 세 가지 다른 개혁 운동과 관련이 있다. 교호 개혁(1722–1730), 덴포 개혁(1841–1843), 그리고 게이오 개혁(1864–1867)이다.[9]
참조
[1]
웹사이트
光格天皇 (119)
http://www.kunaicho.[...]
[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959
[3]
서적
(Unspecified)
[4]
서적
Shogun's Painted Culture: Fear and Creativity in the Japanese States, 1760–1829
2000
[5]
서적
Secret Memoirs
[6]
웹사이트
Sakuramachiden Gyokozu
https://web.archive.[...]
2008-01-19
[7]
서적
A History of Japan, 1582–1941: Internal and External Worlds
2003
[8]
웹사이트
Significant Earthquake Database
http://www.ngdc.noaa[...]
U.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NGDC)
[9]
서적
Repertoires and Cycles of Collective Action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995
[10]
서적
Politics in the Tokugawa Bakufu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8
[11]
서적
Premodern Japan: A historical survey
Routledge
2018
[12]
서적
Tanuma Okitsugu: Forerunner of Modern Japan, 1719–1788
1955
[13]
서적
Secret Memoirs of the Shoguns: Isaac Titsingh and Japan, 1779–1822
2006
[14]
서적
Confucianism and Tokugawa Culture
1997
[15]
서적
Companion Encyclopedia of Asian Philosophy
2002
[16]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08-01-19
[17]
서적
(Unspecified)
[18]
서적
(Unspecified)
[19]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859
[20]
서적
(Unspecified)
[21]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8-01-19
[22]
웹사이트
宸翰栄華
https://dl.ndl.go.jp[...]
[23]
웹사이트
書陵部所蔵目録・画像公開システム,ギャラリーバックナンバー,『光格天皇宸翰南無阿弥陀仏』
https://shoryobu.kun[...]
[24]
문서
(Unspecified)
[25]
문서
(Unspecified)
[26]
문서
山科忠言卿伝奏記 四
(Unspecified)
[27]
서적
(Unspecified)
2018
[28]
뉴스
陛下 光格天皇の事例ご研究 宮内庁に調査依頼 6年半前
http://www.sankei.co[...]
産経新聞
2017-01-24
[29]
웹사이트
200年前の光格上皇が「令和」の2019年に伝えた遺産
https://bizgate.nikk[...]
日経Biz Gate
2019-04-26
[30]
웹사이트
善光寺本坊大勧進「大勧進の名僧・等順大僧正」
https://daikanjin.jp[...]
[31]
서적
信濃の聖と木食行者
角川書店
1983
[32]
문서
(Unspecifi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