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이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이아는 멸종된 뉴질랜드 고유종으로, 수컷과 암컷의 부리 모양이 뚜렷하게 다른 특징을 가졌다. 검은색 깃털, 흰색 꼬리 깃털, 오렌지색 육수를 지녔으며, 숲에서 서식하며 곤충을 주로 먹었다. 마오리족에게 깃털은 귀하게 여겨졌으나, 과도한 사냥, 삼림 파괴, 침입종 유입으로 인해 멸종되었다. 1907년 마지막 공식 관찰 기록 이후, 1999년 복원 시도가 있었지만, 멸종된 종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2. 형태

후이아는 녹색 금속성 광택[9]을 띤 검은색 깃털과 뚜렷하고 둥근 밝은 오렌지색 육수를 입술에 가지고 있었다. 암수 모두 눈은 갈색이었고,[38] 부리는 상아색 흰색으로 기저부는 회색을 띠었으며, 다리와 발은 길고 푸르스름한 회색이었고 발톱은 밝은 갈색이었다.[10] 후이아는 2.5cm에서 3cm의 넓은 흰색 띠로 각 끝이 장식된[10] 12개의 긴 광택이 나는 검은색 꼬리 깃털을 가지고 있었다.[56][12] 어린 후이아는 작은 옅은 육수, 칙칙하고 갈색 반점이 있는 깃털, 꼬리 깃털의 흰색 끝 부분에 붉은 갈색을 띠었다.[38] 어린 암컷의 부리는 약간 구부러져 있었다.[10]

두 마리의 새 머리를 보여주는 그림. 하나의 부리는 길고 굽어 있고 다른 하나는 더 짧고 튼튼하다
후이아 부리의 놀라운 성적 이형성을 보여주는 존 굴드의 1830년대 그림. 암컷의 부리(위)는 수컷의 부리(아래)보다 더 가늘고 길고 구부러져 있었다.


마오리족은 특정 후이아를 '후이아-아리키'(huia-ariki), 즉 "추장의 후이아"라고 불렀다. '후이아-아리키'는 회색 줄무늬가 있는 갈색 깃털을 가지고 있었고,[13][14] 목과 머리의 깃털은 더 어두웠다.[9][14] 이 변종은 부분적인 백색증일 수도 있고, 어쩌면 그런 새들이 단순히 나이가 많았을 수도 있다. 몇몇 진짜 백색증 후이아가 기록되었다.[14][26] 1900년경 존 제라드 퀴르먼스가 그린 흰색 표본은 백색증이 아닌 점진적인 회색 또는 백반증의 결과일 수 있으며, 이 표본의 현재 행방은 알려지지 않았다.[15]

부리 모양의 성적 이형성은 총새, 낫부리새와 같은 다른 새들과 일부 딱따구리 종을 포함한 다른 나무 파는 새들에서도 발견되지만,[16] 후이아에서 가장 두드러졌다.[17] 수컷의 부리는 약 60mm로 짧고 약간 아래로 아치형이며[9] 튼튼했으며, 밀접하게 관련된 검은등지빠귀와 매우 유사했으며, 암컷의 부리는 더 가늘고 약 104mm로 더 길고 벌새나 꿀빨이새처럼 아래로 구부러져 있었다.

이러한 부리 모양의 성적 차이가 진화한 데에는 두 가지 가능한 설명이 있다. 가장 널리 지지되는 것은 서로 다른 성별의 새들이 서로 다른 먹이원을 이용할 수 있게 했다는 것이다.[16][19] 이러한 분기는 북섬 삼림 생태계에서 이러한 먹이 틈새에서 경쟁자가 부족했기 때문에 생겨났을 수 있다.[25] 다른 생각은 새의 검은색 깃털과 날카로운 대조를 이루는 상아색 부리가 짝을 유치하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짝을 유치하기 위해 성적으로 이형적인 신체적 특징을 사용하는 동물에서, 이형적인 특징은 후이아처럼 종종 밝게 채색되거나 신체의 나머지 부분과 대조를 이룬다.[16] 암컷이 새끼에게 게워내기로 음식을 공급하는 주된 공급자였기 때문에, 이 성별은 새끼에게 필요한 단백질이 풍부한 무척추동물 식단을 얻기 위해 더 긴 부리를 진화시켰다는 제안이 있었다.[16]

후이아의 성적 이형성의 또 다른, 덜 분명한 측면은 성별 간의 사소한 크기 차이였다. 수컷은 길이가 45cm였고, 암컷은 48cm로 더 컸다.[12] 또한, 수컷의 꼬리 길이는 약 20cm였고 날개 길이는 21cm에서 22cm 사이였으며, 암컷의 꼬리는 19.5cm에서 20cm였고 암컷의 날개 길이는 20cm에서 20.5cm였다.[38]

3. 생태

후이아는 뉴질랜드 숲에 살면서 주로 하늘소 유충을 먹었다. 특히, 후이아가 즐겨 먹었던 것은 후후 딱정벌레(''Prionoplus reticularis'')의 유충이었다.[25] 수컷이 죽은 나무에 구멍을 뚫으면 암컷이 유충을 꺼내는 독특한 사냥 방식을 보였는데, 이는 조류 중 유일한 사례였다.[29] 이러한 사냥 방식은 수컷과 암컷의 부리 모양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수컷은 자귀처럼 생긴 부리로 썩은 나무를 쪼아 찢었고, 암컷은 길고 유연한 부리로 수컷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을 탐색했다.[22] 이는 생태적 지위 분화의 극단적인 예로, 암수 간의 경쟁을 줄이고 다양한 먹이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었다.[30][31]

후이아가 가장 좋아하는 먹이: 후후 딱정벌레(''Prionoplus reticularis'')의 유충


후이아는 썩은 나무 외에도 웨타를 포함한 다른 곤충, 곤충 유충, 거미, 과일도 먹었다.[12][25] 먹이를 찾을 때는 혼자, 짝을 지어, 또는 최대 5마리의 작은 무리를 이루기도 했다.[26] 먹이를 확보하면 발에 든 채 횃대로 날아가 단단한 부분을 제거하고 삼켰다.[38]

뉴질랜드 숲은 씨앗을 퍼뜨리는 과식성 조류에 크게 의존하는데, 후이아도 그 중 하나였다. 후이아가 먹는 열매의 종류는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지만,[32] 히나우(''Elaeocarpus dentatus''), 비둘기나무(''Hedycarya arborea''), 카히카테아(''Dacrycarpus dacrydioides'') 등 다양한 식물의 열매를 먹었다고 기록되어 있다.[32][25] 후이아를 포함한 여러 과식성 조류의 멸종과 서식지 감소는 뉴질랜드 숲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32]

3. 1. 서식지

후이아는 알을 낳는 난생을 하며 주로 뉴질랜드의 숲에서 서식했고, 암수가 함께 생활했다고 한다.

아(亞)화석 퇴적물과 조개 무덤 유적을 통해 후이아가 한때 노스 아일랜드 전역의 저지대와 산림 지대에 널리 분포했음을 알 수 있다.[12] 분포 지역은 케이프 레인가 최북단[20]에서 웰링턴과 최남단의 아오랑이 산맥까지였다. 와이토모 동굴 지역의 카르스트에서 발견된 광범위한 함정 퇴적물에서는 몇 마리의 후이아만이 발견되었으며, 노스 아일랜드 중부와 호크스 베이 지역의 화석 퇴적물에서도 희귀하거나 발견되지 않았다. 현재 알려진 퇴적물로는 제대로 표본 추출되지 않은 서식지를 선호했던 것으로 보인다.[20] 14세기에 마오리족이 정착한 후 과도한 사냥, 삼림 개간, 둥지를 노리는 키오레의 유입으로 인해 후이아는 노스 아일랜드 북부와 서부에서 사라졌다.[21] 1840년대 유럽인 정착 당시에는 동쪽의 라우쿠마라 산맥에서 카이마나와 산맥을 지나 서쪽의 랑기티케이 구의 투라키나 강에 이르는 선의 남쪽에서만 발견되었다.[12] 남쪽으로는 와이라라파와 웰링턴 동쪽의 리무타카 산맥까지 분포했다.[12] 월터 불러가 수집한 보고서와 한 곡의 ''와이아타''(마오리 노래)에 따르면 후이아가 한때 사우스 아일랜드의 말보로 및 넬슨 지역에서도 발견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쿡 해협 남쪽의 풍부한 화석 퇴적물에서는 한 번도 확인된 적이 없으며,[22] 종의 존재를 뒷받침할 다른 증거도 없다.[23][14]

후이아는 뉴질랜드의 두 가지 주요 삼림 유형 모두에 서식했다. 주로 울창한 하층 식생이 있는 활엽수-포도카프 숲에서 발견되었지만, 때로는 남부 너도밤나무(''노토파구스'') 숲에서도 발견되었다. 이 종은 마타이(''Prumnopitys taxifolia''), 리무(''Dacrydium cupressinum''), 카히카테아(''Dacrycarpus dacrydioides''), 북부 라타(''Metrosideros robusta''), 마이레(''Nestegis''), 히나우(''Elaeocarpus dentatus''), 토타라(''Podocarpus totara''), 레와레와(''Knightia excelsa''), 마호에(''Melicytus ramiflorus''), 타라이레(''Beilschmiedia tarairi'')를 비롯한 토착 식생에서 관찰되었으며, 케이프 투라키라에의 해안가에서는 카라카(''Corynocarpus laevigatus'') 나무에서도 관찰되었다. 불탄 숲이나 농경지로 개간된 땅에서는 한 번도 발견되지 않았다.[23]

3. 2. 행동

후이아는 주로 썩은 나무에서 먹이를 찾았다.[25] 야행성 후후 딱정벌레(''Prionoplus reticularis'')의 유충을 전문적으로 잡아먹는 포식자로 여겨졌지만, 웨타를 포함한 다른 곤충, 곤충 유충, 거미, 과일도 먹었다.[12][25]

곤충과 거미는 썩은 나무, 나무 껍질 아래, 이끼와 지의류, 땅에서 잡혔다. 후이아는 혼자 또는 짝을 지어, 또는 최대 5마리의 작은 무리로 먹이를 찾았는데, 이는 아마도 가족 그룹이었을 것이다.[26] 부리의 구조에 나타나는 성적 이형성은 암컷과 수컷 사이에서 급격하게 다른 먹이 섭취 전략을 낳았다. 수컷은 자귀와 같은 부리를 사용하여 썩은 나무의 바깥층을 쪼고 찢는 반면, 암컷은 살아있는 나무 속 곤충 유충의 굴과 같이 수컷이 접근할 수 없는 부위를 탐색했다. 수컷은 잘 발달된 두개골 근육을 가지고 있어 "입을 벌리는" 동작으로 썩은 나무를 쪼고 떼어낼 수 있었다.[25] 수컷과 암컷 사이에는 머리와 목의 구조와 근육에도 상응하는 차이가 있었다.[22] 후이아는 매우 발달된 하악 근육을 가지고 있었고, 근육 부착을 위한 추가 표면을 제공하는 후두 융기를 가지고 있어 턱을 상당한 힘으로 열 수 있었다.[27] 일단 먹이를 확보하면 발에 곤충을 든 채로 횃대에 날아갔다. 후이아는 먹이에서 단단한 부분을 제거한 다음 남은 부분을 위로 던져 잡아서 삼켰다.[38]

짝을 지어 먹이를 먹는다는 것은 오해이다. 이는 조류학자 월터 불러[28]가 사육된 한 쌍이 나무를 갉아먹는 딱정벌레 유충을 얻는 것에 대한 오해를 바탕으로 한다.[29] 이 오해에 따르면, 수컷은 나무를 찢어 유충 굴을 열어 암컷이 길고 유연한 부리로 굴 안을 깊숙이 탐색할 수 있게 했다.[22] 오히려, 다른 부리는 생태적 지위 분화의 극단적인 예로, 암수 간의 종내 경쟁을 줄인다. 이를 통해 종은 서로 다른 미세 서식지에서 다양한 먹이원을 활용할 수 있었다.[30][31]

후이아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지만, 아마도 정착 생활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25] 후이아는 계절에 따라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여름에는 산림 지대에 살다가 겨울에는 더 혹독한 날씨와 높은 고도의 추위를 피하기 위해 저지대 숲으로 이동했을 것으로 보인다.[25] 살아남은 뉴질랜드 포식조류인 검은등부채꼬리와 코카코처럼, 후이아는 날갯짓이 약해 짧은 거리를 날 수 있었고, 나무 높이 이상으로 나는 경우는 드물었다.[25] 후이아는 종종 강력한 다리를 사용하여 수관이나 삼림 지대를 따라 멀리 도약하거나 뛰어다녔으며,[12] 꼬리를 벌려 균형을 잡으며 나무 줄기에 수직으로 매달리기도 했다.[56]

후이아의 소리에 대해서도 잘 알려진 바가 없으며,[25] 현재 지식은 매우 적은 기록에 기반하고 있다. 소리는 대부분 다양하고, "특이하고 기묘한" 휘파람 소리였지만 "부드럽고, 멜로디컬하며 피리 소리"와 같기도 했다.[25] 1909년 후이아 수색팀 멤버인 헤나레 하마나가 후이아의 울음소리를 휘파람으로 흉내 낸 녹음이 남아있다.[33] 후이아는 종종 조용했다. 소리를 낼 때, 그들의 울음소리는 상당한 거리를 전달할 수 있었는데, 빽빽한 숲에서도 최대 400m 떨어진 곳에서 들을 수 있었다.[25] 소리는 암컷과 수컷이 달랐다고 하지만, 자세한 내용은 없다. 울음소리를 낼 때 새의 머리와 목을 앞으로 뻗고 부리를 수직에서 30~45도 각도로 향했다.[25] 대부분의 참고 자료는 후이아의 울음소리가 이른 아침에 들렸다고 묘사하고 있다. 한 기록에 따르면 후이아는 새벽 합창에서 가장 먼저 노래하는 새였으며, 사육된 새들은 "가족을 깨우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26] 흰머리새와 마찬가지로, 후이아는 습한 날씨가 시작되기 전에 "기뻐하며, 노래를 부르는" 특이한 행동을 보였다.[26] 새의 이름은 의성어에서 유래되었다:[25] 마오리족은 시끄러운 고통스러운 울음소리를 "uia, uia, uia" 또는 "어디 있니?"와 같은 부드럽고 뭉개지지 않은 휘파람 소리로 표현하여 이름을 지었다. 이 울음소리는 새가 흥분하거나 배가 고플 때 냈다고 한다.[26] 새끼는 "귀에 즐거운 애절한 울음소리"를 냈으며, 사람들의 흉내에 약하게 반응했고, 텐트 안에 있으면 매우 시끄러웠다.[26]

3. 3. 번식

후이아는 일부일처제로 짝과 평생을 함께 했을 것으로 보인다.[14][25] 월터 불러는 길들여진 한 쌍이 서로에게 항상 가까이 머물면서, 심지어 포획된 상태에서도 끊임없이 "낮고 다정한 지저귐"을 냈다고 기록했다.[25] 수컷은 구애 중에 암컷에게 먹이를 주었으며,[25] 암컷이 둥지에서 알을 품고 있을 때 수컷이 먹이를 주었다는 주장도 있지만, 증거는 부족하다.[26]

후이아의 번식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10월에서 11월 사이에 번식을 한 것으로 추정되며,[38][14][26] 단독으로 둥지를 짓고 짝은 영토적이며 평생 동안 자신의 영토에 머물렀을 것으로 보인다.[25] 한 번의 번식기에 한 배의 새끼만 키운 것으로 보이며,[26] 한 배에 낳는 알의 수는 1~4개로 묘사된다.[26] 알은 보라색과 갈색 반점이 있는 회색을 띠었으며, 크기는 45by이었다.[26] 포란은 주로 암컷이 했지만, 수컷도 작은 역할을 했다는 증거가 있다.[26] 둥지는 죽은 나무, 큰 가지의 굽이진 곳, 나무 구멍 등 다양한 장소에 지어졌으며,[26] 마른 풀, 잎 등으로 두꺼운 벽을 이루고 있었다.[26] 부화 후 새끼들은 3개월 동안 어른 새들의 보살핌을 받으며 자랐다.[26]

4. 분류

속명인 ''Heteralocha''는 고대 그리스어 ''ἕτερος'' ("다른")와 ''ἄλοχος'' ("아내")에서 유래되었다.[5] 이는 수컷과 암컷의 부리 모양의 현저한 차이를 나타낸다. 종명인 ''acutirostris''는 라틴어 ''acutus'' ("뾰족한")와 ''rostrum'' ("부리")를 의미하며, 암컷의 부리를 가리킨다.[23]

존 굴드는 1836년에 후이아를 암컷 표본을 기반으로 한 ''Neomorpha acutirostris''와 수컷 표본을 기반으로 한 ''N. crassirostris'' 두 종으로 묘사했다. 여기서 ''crassirostris''라는 형용어는 라틴어 ''crassus'' ("두꺼운" 또는 "무거운")를 의미하며 수컷의 짧은 부리를 가리킨다.[23] 1840년, 조지 로버트 그레이는 굴드의 두 이름 모두 이 종에 적용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N. gouldii''라는 이름을 제안했다.[4] 1850년, 장 카바니스는 이전에 뻐꾸기 속에 사용되었던 ''Neomorpha''라는 이름을 ''Heteralocha''로 대체했다.[5] 1888년, 월터 불러 경은 다음과 같이 썼다. "나는 굴드 씨가 이 종에 적용한 두 이름 중 첫 번째 이름을 채택하는 것이 동물학 명명법의 일반적인 규칙에 더 부합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Neomorpha''라는 이름이 조류학에서 이전에 사용되었으므로 카바니스 박사가 이 형태에 대해 제안한 ''Heteralocha''를 채택해야 한다."[6]

후이아는 뉴질랜드에서 참새목의 초기 확장의 잔재인 것으로 보이며, 뉴질랜드 카라에과(Callaeidae)에 속하는 세 종 중 가장 큰 종이다. 나머지 두 종은 검은울새와 코카코이다. 이 과의 유일한 근연종은 스티치버드이며, 다른 조류와의 분류학적 관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7] 이 과 내 세 종의 핵 RAG-1 및 c-mos 유전자에 대한 분자 연구는 결론을 내리지 못했으며, 데이터는 기저에서 분기하는 코카코 또는 후이아에 대한 가장 많은 지지를 제공했다.[8]

5. 인간과의 관계

마오리족은 후이아를 흰 해오라기와 함께 귀중한 깃털을 가진 희귀한 새로 여겨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이 소중히 여겼다.[39][40] 후이아는 대담하고 호기심이 많아 비교적 쉽게 잡을 수 있었다.[11][14] 마오리족은 후이아 울음소리를 흉내 내거나, 올가미(tari)나 덫, 몽둥이, 긴 창 등을 이용해 사냥했다. 또한, 한 쌍 중 하나를 잡아 다른 한쪽이 울부짖게 하여 짝을 유인하는 방식으로 쉽게 잡기도 했다.[14][28]

후이아 꼬리 깃털은 매우 귀중하게 여겨져 포우나무나 상어 이빨과 같은 귀중품과 교환되거나, 우정과 존경의 표시로 선물되었다. 이러한 교역을 통해 깃털은 뉴질랜드 북쪽과 남쪽 멀리까지 전해졌다.[23][11][14] 깃털은 'waka huia'라고 불리는 정교하게 조각된 상자에 보관되었으며, 추장의 집 천장에 매달렸다.[23][14] 또한 후이아 깃털은 장례식에 착용되었고, 고인의 머리를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다.[14][41]

후이아의 멸종 원인으로는 유입된 동물의 포식, 숲 벌채 등이 거론된다. 마오리족 족장이 흰 꼬리 깃털을 머리 장식으로 사용했고, 1901년 뉴질랜드를 방문한 요크 공 (훗날 영국 국왕 조지 5세)이 선물받은 후이아 깃털을 모자에 달아 유행하면서 깃털 장식 목적의 포획도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 후이아 개체 수는 19세기 말부터 줄어 1907년 멸종했다.

뉴질랜드는 후이아를 묘사한 여러 우표를 발행했으며,[43][44] 1933년부터 1966년까지 주조된 뉴질랜드 식스펜스 동전 뒷면에는 암컷 후이아가 새겨져 있었다. 후이아는 뉴질랜드에서 널리 알려지고 존경받았으며, 이 새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많은 교외 및 지리적 특징이 이를 반영한다. 북섬에는 후이아 이름을 딴 여러 도로와 거리가 있으며, 서부 오클랜드에는 후이아 타운십도 있다. 남섬 서해안의 강과 북섬 중부의 후이아라우 산맥도 이 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후이아라우'는 "백 개의 후이아"를 의미한다.[25]

멸종된 후이아 꼬리 깃털은 매우 희귀하며 수집가들의 품목이 되었다. 2024년 5월 오클랜드에서 열린 경매에서 후이아 깃털 하나가 46521.5뉴질랜드 달러에 판매되어 세계에서 가장 비싼 깃털이 되었다.[47]

5. 1. 마오리 문화

마오리 문화에서 흰 해오라기와 후이아는 귀중한 깃털 때문에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이 소중히 여기는 희귀한 새였다.[39][40] 후이아는 대담하고 호기심 많은 성격 때문에 마오리족에게 쉽게 잡혔다.[11][14] 마오리족은 후이아의 울음소리를 흉내 내거나, 올가미, 덫, 몽둥이, 긴 창 등을 이용해 후이아를 사냥했다. 종종 한 쌍 중 하나를 잡아 다른 한쪽이 울부짖게 하여 짝을 유인하는 방식으로 쉽게 잡았다.[14][28] 후이아 고기는 파이나 카레 스튜에 넣어 먹기도 했지만,[25][9] 질겨서 먹기에 부적합하다는 의견도 있었다.[25]

후이아의 서식지는 북섬 남부에 국한되었지만, 꼬리 깃털은 매우 귀중하게 여겨져 포우나무나 상어 이빨과 같은 귀중품과 교환되거나, 우정과 존경의 표시로 선물되었다. 이러한 교역을 통해 깃털은 뉴질랜드 북쪽과 남쪽 멀리까지 전해졌다.[23][11][14] 깃털은 'waka huia'라고 불리는 복잡하게 조각된 상자에 보관되었으며, 추장의 집 천장에 매달렸다.[23][14] 후이아 깃털은 장례식에 착용되었고, 고인의 머리를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다.[14][41] '마레레코'는 열두 개의 후이아 깃털로 구성된 고대 전쟁 장식이었다.[23][42]

1878년 고트프리드 린더가 그린 초상화에서 후이아 피부로 만든 'pōhoi' 장식을 착용한 하우라키 구역 출신의 마오리 추장인 투키키노


매우 귀중하게 여겨진 'pōhoi'는 후이아의 가죽으로 만든 장식품이었다. 부리는 머리, 벼슬을 부착한 채로 새의 껍질을 벗기고, 다리와 날개를 제거한 후,[23][14] 조심스럽게 말려 목이나 귀에 걸었다.[9] 건조된 후이아 머리도 '응구투 후이아'라고 불리는 펜던트로 착용했다.[23] 잡힌 후이아는 꼬리 깃털이 완전히 자랄 수 있도록 작은 우리에 보관되기도 했다.[9][11]

이 새는 마오리족이 애완동물로 키웠으며, 투이처럼 몇 마디 말을 하도록 훈련시킬 수 있었다.[9] 19세기 40마일 부시의 작은 마을에 유럽인 정착민이 기르던 길들여진 후이아에 대한 기록도 있다.[11]

5. 2. 멸종

후이아는 인간이 뉴질랜드에 도착하기 전에는 북섬 전역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마오리족이 약 750년 전에 도착하고 1840년대 유럽 정착민이 도착할 무렵에는 서식지 파괴, 사냥, 유입된 쥐로 인해 서식지가 북섬 남부로 축소되었다.[12] 마오리족은 전통 의례에 따라 5월부터 7월까지만 후이아를 사냥했고, 봄과 여름에는 ''라후이''(사냥 금지)를 시행하여 사냥 압력을 어느 정도 제한했다.[14]

유럽 정착 이후 후이아의 개체수는 광범위한 산림 벌채와 과도한 사냥으로 인해 더욱 빠르게 감소했다.[51] 19세기에 북섬, 특히 남부 호크스 베이, 마나와투 및 와이라라파의 저지대에서 대규모 산림 벌채가 발생했는데, 이는 유럽 정착민들이 농업을 위해 토지를 개간하면서 일어났다. 후이아는 썩은 나무가 많은 원시림에서만 살 수 있었기 때문에 특히 취약했다.[56][14]

선박 쥐, 고양이, 족제비를 포함한 침입성 포유류의 포식도 후이아 개체수 감소의 추가적인 요인이었다. 뉴질랜드 적응 협회에 의한 이러한 동물의 유입은 1880년대에 정점을 찍었고 후이아 개체수의 급격한 감소와 일치했다.[23] 후이아는 땅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기 때문에 포유류 포식자에게 특히 취약했다.[56][12]

후이아는 현저한 성적 이형성과 아름다움 때문에 유럽의 부유한 수집가들과[52] 전 세계 박물관에서 박제 표본으로 탐내졌다.[14][25] 오스트리아의 박제사 안드레아스 라이셰크는 비엔나 자연사 박물관을 위해 212쌍의 표본을 가져갔고,[14] 뉴질랜드 조류학자 월터 불러는 1883년 리무타카 산맥 원정에서 18마리를 수집했다.[14] 불러는 1883년에 11명의 마오리족이 마나와투 협곡과 아키티오 사이의 숲에서 646개의 후이아 가죽을 얻었다고 기록했다.[12][28] 수천 마리의 후이아가 해외로 수출되었고,[56] 도로 및 철도 건설 캠프 주변에서도 수백 마리가 사살되었다.[25]

19세기 뉴질랜드 유럽인들은 식민지적인 것은 유럽적인 것보다 열등하며, 뉴질랜드 숲 생태계의 식물과 동물은 더 활기찬 유럽 종으로 대체될 것이라고 널리 추정했다.[54] 이러한 불가피한 멸망에 대한 가정은 토착 생물의 보존이 무의미하다는 결론으로 이어졌고, 빅토리아 시대의 수집가들은 희귀종이 완전히 사라지기 전에 표본을 확보하는 데 노력을 집중했다.[52]

후이아를 보존하려는 시도가 몇 번 있었지만 제대로 조직되지 않았고 법적으로 제대로 시행되지 않았다.[14] 1892년 야생 조류 보호법이 후이아를 포함하도록 개정되었지만, 시행은 심각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56] 섬 보호 구역이 설치되었지만 후이아는 이송되지 않았다.[23]

요크 공작메리 여왕이 1901년에 뉴질랜드를 방문했을 때, 마오리 환영 행사에서 가이드가 머리카락에서 후이아 깃털을 꺼내 공작의 모자 밴드에 꽂았다.[56][25] 이로 인해 영국과 뉴질랜드에서 후이아 깃털을 모자에 꽂는 것이 유행했다. 꼬리 깃털의 가격은 1GBP까지 치솟았고, 일부 깃털은 5GBP에 팔렸다.[56] 암컷 후이아 부리는 금으로 장식되어 보석으로 만들어지기도 했다.[55] 1901년에 후이아를 보호종으로 등재하는 것이 중단되었고,[14] 깃털을 보호할 법이 없다는 판결로 정부의 보호 강화 시도는 실패했다.[56]

마지막 공식 확인된 후이아 목격은 1907년 12월 28일에 타라루아 산맥에서 세 마리의 새를 보았을 때 이루어졌다.[12] 확인되지 않은 보고에 따르면 1922년 웰링턴 항구 뒤 골란스 밸리에서 세 마리의 후이아가 목격되었다.[56] 1912년과 1913년에도 목격 보고가 있었지만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마지막 신뢰할 수 있는 보고는 테 우레웨라 국립공원에서 나왔으며, 1952년, 1961년, 1963년에 목격되었다.[23]

5. 3. 보존 노력

후이아는 마오리족이 뉴질랜드에 도착하기 전에는 북섬 전역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마오리족의 사냥과 유럽인 정착 이후 서식지 파괴, 외래종 유입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했다. 마오리족은 전통 의례에 따라 사냥을 제한하기도 했지만, 유럽인 정착 이후 산림 벌채와 상업적 사냥이 심각한 문제로 떠올랐다.[51]

19세기 말, 뉴질랜드의 다른 조류들처럼 후이아의 감소는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다. 유럽인 정착민들이 농지를 개간하면서 특히 저지대 숲이 대규모로 파괴되었는데, 이는 썩은 나무에 의존하는 후이아에게 치명적이었다. 또한, 쥐, 고양이, 족제비 등 외래 포유류의 유입도 후이아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23]

후이아는 아름다운 깃털과 독특한 성적 이형성 때문에 유럽의 수집가들과 박물관에서 인기가 높았다.[52] 이로 인해 상업적 사냥이 성행했으며, 수많은 후이아가 해외로 팔려나갔다.[56] 19세기 뉴질랜드 유럽인들 사이에서는 식민지 생물이 유럽 생물보다 열등하며 결국 사라질 것이라는 인식이 퍼져 있었고, 이는 보존 노력 부족으로 이어졌다.[54]

후이아를 보존하려는 노력은 미미하고 비효율적이었다. 1892년 야생 조류 보호법이 개정되어 후이아 사냥이 불법화되었지만, 제대로 시행되지 않았다.[56] 섬 보호 구역 설치 시도도 있었지만, 후이아는 이송되지 않았다.[23]

모카우 폭포는 테 우레웨라에 있으며, 마지막으로 신뢰할 수 있는 후이아 목격이 보고된 위치와 가깝다.


1901년, 요크 공작메리 여왕의 뉴질랜드 방문 당시 마오리족 가이드가 후이아 깃털을 공작의 모자에 꽂아 존경을 표한 사건은 후이아 깃털의 인기를 더욱 높였다. 깃털 가격이 폭등하고 부리는 보석으로 가공되기도 했다.[56] 1901년에는 후이아 보호 조치가 중단되기도 했다.[14]

마지막으로 공식 확인된 후이아 목격은 1907년 타라루아 산맥에서였다.[12] 이후에도 몇몇 비공식적인 목격 보고가 있었지만, 1960년대 이후로는 신뢰할 만한 보고가 없다.[23]

1999년, 헤이스팅스 보이즈 고등학교 학생들이 후이아 복제를 시도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DNA 상태 문제로 성공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되었다.[60]

5. 4. 현대의 상징

마오리 문화에서 흰 해오라기와 후이아는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이 소중히 여기는 희귀한 새였다.[39][40] 후이아는 대담하고 호기심 많은 성격 때문에 잡기가 쉬웠다.[11][14] 마오리족은 후이아 울음소리를 흉내 내거나, 올가미나 덫을 이용하거나, 몽둥이나 창으로 죽여서 후이아를 유인했다. 이들은 한 쌍 중 하나를 잡아 짝을 유인하는 방식으로 사냥하기도 했다.[14][28]

후이아의 서식지는 북섬 남부에 국한되었지만, 꼬리 깃털은 매우 귀중하게 여겨져 포우나무나 상어 이빨과 같은 귀중품과 교환되거나, 우정과 존경의 표시로 주어졌다.[23][11][14] 깃털은 'waka huia'라고 불리는 조각된 상자에 보관되어 추장의 집 천장에 매달렸다.[23][14] 후이아 깃털은 장례식에 착용되었고, 고인의 머리를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다.[14][41] '마레레코'는 열두 개의 후이아 깃털로 구성된 "고대 전쟁 장식"이었다.[23][42] 'pōhoi'는 후이아의 가죽으로 만든 장식품으로, 부리는 머리, 벼슬을 부착한 채로 새의 껍질을 벗기고, 다리와 날개를 제거한 후 조심스럽게 말려 만들었으며, 목이나 귀에 걸었다.[9][14][23] 건조된 후이아 머리도 '응구투 후이아'라고 불리는 펜던트로 착용했다.[23] 잡힌 후이아는 꼬리 깃털이 완전히 자랄 수 있도록 작은 우리에 보관되기도 했다.[9][11]

이 새는 투이처럼 몇 마디 말을 하도록 훈련시킬 수 있어 마오리족이 애완동물로 키우기도 했다.[9] 19세기 40마일 부시의 작은 마을에 유럽인 정착민이 기르던 길들여진 후이아에 대한 기록도 있다.[11]

폴 디블의 Palmerston North 조각상 "후이아의 유령"


뉴질랜드는 후이아를 묘사한 여러 우표를 발행했으며,[43][44] 1933년부터 1966년까지 주조된 뉴질랜드 식스펜스 동전의 뒷면에는 암컷 후이아가 새겨져 있었다.

후이아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많은 교외 및 지리적 특징들이 있다. 북섬에는 후이아의 이름을 딴 여러 도로와 거리가 있으며, 서부 오클랜드에는 후이아 타운십도 있다. 남섬 서해안에 있는 강과 북섬 중부에 있는 후이아라우 산맥도 이 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후이아라우'는 "백 개의 후이아"를 의미한다.[25] 기업으로는 Lower Hutt에 있는 공공 수영장, 말보로 와이너리, 마오리 문학과 관점을 전문으로 하는 Huia Publishers가 있다. 후이아는 현대 미술과 수공예품에도 광범위하게 등장하며, 2020년 재신다 아던 총리는 공공 COVID-19 발표 중 업사이클링된 후이아 깃털 귀걸이를 착용하여 수요가 급증하기도 했다.[46]

멸종된 후이아의 꼬리 깃털은 매우 희귀하며 수집가의 품목이 되었다. 2024년 5월 오클랜드에서 열린 경매에서 후이아 깃털 하나가 46521.5뉴질랜드 달러에 판매되어 세계에서 가장 비싼 깃털이 되었다.[47]

2016년 뉴질랜드 영화 ''Hunt for the Wilderpeople''에서 두 등장인물이 후이아와 마주치고, 결국 그들의 목격 증거를 얻기 위해 나선다.[48]

참조

[1] 간행물 "''Heteralocha acutirostris''" 2019-12-28
[2] 서적 The Chambers Dictionary Chambers
[3] 웹사이트 Hunting the last huia http://blog.forestan[...] 2017-01-18
[4] 문서 Gray 1840
[5] 문서 Cabanis 1850–1851
[6] 문서 Buller 1888
[7] 논문 Systematic affinities of two enigmatic New Zealand passerines of high conservation priority, the hihi or stitchbird ''Notiomystis cincta'' and the kōkako ''Callaeas cinerea'' http://www.nrm.se/do[...] 2007-09-05
[8] 논문 The relationships and origins of the New Zealand wattlebirds (Passeriformes, Callaeatidae) from DNA sequence analyses
[9] 서적 Māori Bird Lore: An introduction Viking Sevenseas
[10] 서적 The New Guide to the Birds of New Zealand Collins
[11] 문서 Best 2005
[12] 문서 Barrie and Robertson 2005
[13] 문서 Buller 1888
[14] 간행물 Huia; The sacred Bird 1993-10-12
[15] 논문 Colour aberrations in extinct and endangered birds
[16] 문서 Jayne-Wilson 2004
[17] 논문 Huia (''Heteralocha acutirostris: Callaeidae'')-like sexual bill dimorphism in some birds of paradise (Paradisaeidae) and its significance http://www.birdsnz.o[...] 2013-01-16
[18] 문서 Holdaway, Worthy 2002
[19] 논문 Recent evolution of extreme sexual dimorphism in the huia (Heteralocha acutirostris; Callaeidae) https://linkinghub.e[...] 2022-10
[20] 문서 Tennyson and Martinson 2006
[21] 문서 Holdaway, Worthy 2002
[22] 문서 Holdaway, Worthy 2002
[23] 문서 Higgins et al. 2006
[24] 문서 Holdaway, Worthy 2002
[25] 문서 Higgins et al. 2006
[26] 문서 Higgins et al. 2006
[27] 논문 Anatomy of head and neck in the Huia (''Heteralocha acutirostris'') with comparative notes on other callaeidae https://archive.org/[...]
[28] 문서 Buller 1888
[29] 논문 The bill and foraging behaviour of the Huia (''Heteralocha acutirostris''): were they unique? http://notornis.osnz[...] 2013-01-13
[30] 문서 Holdaway, Worthy 2002
[31] 논문 The extraordinary bill dimorphism of the Huia (''Heteralocha acutirostris''): sexual selection or intersexual competition? http://notornis.osnz[...] 2013-01-16
[32] 논문 The importance of birds as browsers, seed dispersers and pollinators in New Zealand forests
[33] 간행물 Extinctions http://www.teara.gov[...] 2010-09-09
[34] 논문 Amendments and additions to the 1982 list of chewing lice (Insecta: Phthiraptera) from birds in New Zealand. http://notornis.osnz[...] 2013-01-16
[35] 논문 Eine neue ausgestorbene Vogel-Ischnozere von Neuseeland, ''Huiacola extinctus'' (Insecta, Phthiraptera) http://www.phthirapt[...] 2015-09-28
[36] 논문 A new species of the genus ''Coraciacarus'' (Gabuciniidae, Pterolichoidea) from the Huia ''Heteralocha acutirostris'' (Callaeatidae, Passeriformes), an extinct bird species from New Zealand
[37] 웹사이트 Heteralocha acutirostris http://collections.t[...] Museum of New Zealand Te Papa Tongarewa 2010-11-17
[38] 간행물 Huia https://archive.org/[...] Beacham Publishing
[39] 문서 Orbell 1992
[40] 문서 Orbell mentions some of the sacred associations of the huia, saying that if a man dreamed of a huia or its feathers, it meant his wife would conceive a daughter (page 83).
[41] 서적 Extinct Birds; Foreword by The Hon. Miriam Rothschild Viking/Rainbird
[42] 서적 The Māori Race https://nzetc.victor[...] Archibald Dudingston Willis 2007-09-02
[43] 웹사이트 Redrawn Pictorials http://stamps.nzpost[...] 2013-01-16
[44] 웹사이트 Extinct Birds http://stamps.nzpost[...] 2013-01-16
[45] 서적 The Māori history and legends of the Waitākere Ranges The Lodestar Press 1979
[46] 뉴스 Jacinda Ardern's feather earrings leave local designer feeling tickled https://www.newshub.[...] 2021-08-31
[47] 뉴스 Record-breaking feather from extinct huia bird becomes most expensive in the world https://www.newshub.[...] 2024-05-22
[48] 웹사이트 Sound archives – the huia http://www.radionz.c[...] Radio New Zealand 2016-05-11
[49] 웹사이트 Review: Hunt for the Wilderpeople https://lwlies.com/r[...] 2016-09-16
[50] 웹사이트 Hunt for the Wilderpeople Symbols, Allegory and Motifs https://www.gradesav[...] 2021-12-12
[51] 서적 Treasures from the Museum of New Zealand Te Papa Tongarewa Te Papa Press
[52] 문서 Jayne-Wilson 2004
[53] 문서 Hutching 2004
[54] 문서 Jayne-Wilson 2004
[55] 웹사이트 Huia beak brooch http://collections.t[...] Museum of New Zealand-Te Papa Tongarewa 2010-06-19
[56] 문서 Morris and Smith 1995
[57] 웹사이트 Boys Cloning Birds http://nzsm.webcentr[...] Webcentre 2000-09
[58] 뉴스 Cloning of extinct Huia bird approved http://www.cnn.com/N[...] Cable News Network 1999-07-20
[59] 논문 Huia cloned back to life?
[60] 뉴스 The Last Huia http://www.listener.[...] APN Holdings NZ 2006-02-25
[61] 문서 IUCN2006
[62] 문서 今泉忠明
[63] 웹사이트 "''Heteralocha acutirostris''" 2019-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