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7개 국가 및 지역 예선을 통과한 29명과 전기 대회 입상자 등의 시드를 포함한 총 32명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을 겨루는 바둑 대회이다. 1988년 시작되어 대한민국이 15회로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했으며, 일본 6회, 중국 3회 우승을 기록했다. 대회는 초기에는 3시간, 이후 2시간의 제한 시간과 1분 초읽기 5회가 주어졌으며, 덤은 6집 반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제15회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2002년 일본 도쿄에서 후지쯔가 주최하고 국제바둑연맹 등의 협력으로 개최된 제15회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일본 룰을 적용하여 24명의 기사가 참가한 바둑 대회이다. -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제24회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2011년 도쿄에서 열린 제24회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박정환 9단이 이야마 유타 9단을 꺾고 우승했으며, 이세돌과 추쥔의 4강전 오심 논란 및 중국 선수 경기력 편향성 논란이 있었다. - 후지쯔 - 가와사키 프론탈레
가와사키 프론탈레는 1955년 후지쓰 축구부로 창단되어 1997년 프로팀으로 전환한 일본의 프로 축구단으로, J2리그 두 차례 우승과 J1리그 네 차례 우승을 포함해 다수의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하며 J리그 최강팀으로 자리매김했고 지역 밀착 활동으로도 유명하다. - 후지쯔 - K 컴퓨터
K 컴퓨터는 일본 이화학연구소에서 개발한 슈퍼컴퓨터로, 2011년 세계 최고 성능을 기록했으며, 기상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었으나 운영 비용 문제로 2019년 가동이 중단되었다. - 중단된 기전 - KBS 바둑왕전
KBS 바둑왕전은 1980년부터 KBS에서 방영된 한국 바둑 TV 프로그램으로, 국내 정상급 프로 기사들의 속기 대국을 방송하며 한국 바둑 발전에 기여했고, 조훈현과 이창호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대에 따라 대회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 중단된 기전 -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은 SBS 주최, 진로그룹 후원으로 1991년부터 1997년까지 5회 개최된 한국, 중국, 일본 대표 기사들의 국가대항전 바둑 단체전으로, 한국 바둑의 위상을 높이고 바둑계에 활력을 불어넣었으며 우승 상금은 20만 달러였다.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
---|---|
기본 정보 | |
![]() | |
일반 정보 | |
이벤트 명칭 | 세계 바둑 선수권 후지쯔배 |
기전 종류 | 국제 기전 |
창설 연도 | 1988년 |
종료 연도 | 2011년 |
제한 시간 | 2시간 |
우승 상금 | 1500만 엔 |
주최 | |
주최 기관 | 요미우리 신문사 일본기원 간사이 기원 |
후원 | 문부과학성 |
협찬 | 후지쯔 |
2. 대회 형식
7개 국가 및 지역 예선을 거친 29명(대한민국 6명, 일본 13명, 중국 6명, 대만·북미·남미·유럽 각 1명)과 전기 대회 3~4위 이내 입상자에게 주어지는 시드를 포함하여 총 32명이 토너먼트를 통해 우승자를 가렸다. 결승전까지 모두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다.[1] 제한 시간은 초기에는 각자 3시간이었으나, 이후 2시간으로 변경되었으며, 초읽기 1분 5회가 주어졌다.[1] 덤은 초기에는 5집 반이었으나, 2003년(16회)부터 6집 반으로 변경되었다.[1] 총상금은 3346만엔(한화 약 3.34억원)이며, 우승 상금은 1500만엔(한화 약 1.5억원), 준우승 상금은 500만엔(한화 약 5000만원)이었다.[1]
일본, 중국, 한국, 타이완, 북미, 남미, 유럽 등 각 국가 및 지역에서 선발된 선수와 전년도 우승, 준우승, 3위 선수가 시드를 받아 출전했다. 일본, 중국, 한국, 대만은 소속 조직별로 선출하며, 북미는 프로와 아마추어 혼합 예선에서 대표를 선발하고, 남미, 유럽은 아마추어 선수 중에서 선발했다.[1]
3. 출전 선수
제1회 대회에는 일본기원 5명, 간사이 기원 2명, 중국위기협회 4명, 한국기원 3명, 미국바둑협회 1명, 유럽바둑연맹 1명 등 16명이 출전했다. 제2회부터는 전 대회 1~3위, 일본 7명, 중국 5명, 한국 4명, 중화 타이베이 2명, 미국, 유럽, 남미 각 1명씩 총 24명이 출전했다.[1]
또한 일본기원의 마이클 레드먼드가 북미 대표로, 타라누 카탈린이 유럽 대표로, 한국기원의 장주주가 북미 대표로, 스베트라나 시크시나가 유럽 대표로 출전한 적도 있다.[1]
4. 역대 우승자
회수 연도 우승자 (국적) 준우승자 (국적) 3위 1 1988 다케미야 마사키|다케미야 마사키일본어 (일본) 린하이펑|린하이펑일본어 (일본) 녜웨이핑 (중국) 2 1989 다케미야 마사키|다케미야 마사키일본어 (일본) 린하이펑|린하이펑일본어 (일본) 조훈현 (대한민국) 3 1990 린하이펑|린하이펑일본어 (일본) 녜웨이핑|녜웨이핑중국어 (중국) 고바야시 사토루 (일본) 4 1991 조치훈|조치훈일본어 (일본) 첸위핑|첸위핑중국어 (중국) 왕리청 (일본) 5 1992 오타케 히데오|오타케 히데오일본어 (일본) 왕리청|왕리청일본어 (일본) 류샤오광 (중국) 6 1993 유창혁 (대한민국) 조훈현 (대한민국) 가토 마사오 (일본) 7 1994 조훈현 (대한민국) 유창혁 (대한민국) 린하이펑 (일본) 8 1995 마샤오춘|마샤오춘중국어 (중국) 고바야시 고이치|고바야시 고이치일본어 (일본) 유창혁 (대한민국) 9 1996 이창호 (대한민국) 마샤오춘|마샤오춘중국어 (중국) 고바야시 사토루 (일본) 10 1997 고바야시 고이치|고바야시 고이치일본어 (일본) 왕리청|왕리청일본어 (일본) 마샤오춘 (중국) 11 1998 이창호 (대한민국) 창하오|창하오중국어 (중국) 유창혁 (대한민국) 12 1999 유창혁 (대한민국) 마샤오춘|마샤오춘중국어 (중국) 고바야시 사토시 (일본) 13 2000 조훈현 (대한민국) 창하오|창하오중국어 (중국) 목진석 (대한민국) 14 2001 조훈현 (대한민국) 최명훈 (대한민국) 린하이펑 (일본) 15 2002 이세돌 (대한민국) 유창혁 (대한민국) 왕밍완 (중국) 16 2003 이세돌 (대한민국) 송태곤 (대한민국) 이창호 (대한민국) 17 2004 박영훈 (대한민국) 요다 노리모토|요다 노리모토일본어 (일본) 송태곤 (대한민국) 18 2005 이세돌 (대한민국) 최철한 (대한민국) 유창혁 (대한민국) 19 2006 박정상 (대한민국) 저우허양|저우허양중국어 (중국) 이세돌 (대한민국) 20 2007 박영훈 (대한민국) 이창호 (대한민국) 요다 노리모토 (일본) 21 2008 구리|구리중국어 (중국) 이창호 (대한민국) 창하오 (중국) 22 2009 강동윤 (대한민국) 이창호 (대한민국) 박영훈 (대한민국) 23 2010 쿵제|쿵제중국어 (중국) 이세돌 (대한민국) 추쥔 (중국) 24 2011 박정환 (대한민국) 추쥔|추쥔중국어 (중국) 이야마 유타 (일본)
* 4회 대회 3위 결정전은 첸위핑 9단의 병으로 인한 부전승, 고바야시 고이치 9단의 병으로 인한 부전승으로 처리되었다.
4. 1. 국가별 우승 횟수
국가 | 우승 횟수 |
---|---|
대한민국 | 15 |
일본 | 6 |
중국 | 3 |
4. 2. 연도별 우승자 및 준우승자
회수 | 연도 | 우승 | 준우승 |
---|---|---|---|
1 | 1988 | 다케미야 마사키|다케미야 마사키일본어 | 린하이펑|린하이펑일본어 |
2 | 1989 | 다케미야 마사키|다케미야 마사키일본어 | 린하이펑|린하이펑일본어 |
3 | 1990 | 린하이펑|린하이펑일본어 | 녜웨이핑|녜웨이핑중국어 |
4 | 1991 | 조치훈|조치훈일본어 | 첸위핑|첸위핑중국어 |
5 | 1992 | 오타케 히데오|오타케 히데오일본어 | 왕리청|왕리청일본어 |
6 | 1993 | 유창혁 | 조훈현 |
7 | 1994 | 조훈현 | 유창혁 |
8 | 1995 | 마샤오춘|마샤오춘중국어 | 고바야시 고이치|고바야시 고이치일본어 |
9 | 1996 | 이창호 | 마샤오춘|마샤오춘중국어 |
10 | 1997 | 고바야시 고이치|고바야시 고이치일본어 | 왕리청|왕리청일본어 |
11 | 1998 | 이창호 | 창하오|창하오중국어 |
12 | 1999 | 유창혁 | 마샤오춘|마샤오춘중국어 |
13 | 2000 | 조훈현 | 창하오|창하오중국어 |
14 | 2001 | 조훈현 | 최명훈 |
15 | 2002 | 이세돌 | 유창혁 |
16 | 2003 | 이세돌 | 송태곤 |
17 | 2004 | 박영훈 | 요다 노리모토|요다 노리모토일본어 |
18 | 2005 | 이세돌 | 최철한 |
19 | 2006 | 박정상 | 저우허양|저우허양중국어 |
20 | 2007 | 박영훈 | 이창호 |
21 | 2008 | 구리|구리중국어 | 이창호 |
22 | 2009 | 강동윤 | 이창호 |
23 | 2010 | 쿵제|쿵제중국어 | 이세돌 |
24 | 2011 | 박정환 | 추쥔|추쥔중국어 |
5. 각 회차별 결과
일본, 중국, 한국, 타이완, 북미, 남미, 유럽 등 각 국가 및 지역에서 선발된 선수와 전년도 우승, 준우승, 3위 선수가 시드를 받아 출전한다. 일본, 중국, 한국, 대만은 소속 조직별로 선출하며, 북미는 프로와 아마추어 혼합 예선에서 대표를 선발하고, 남미, 유럽은 아마추어 선수 중에서 선발한다.[1]
제1회 대회에는 일본기원 5명, 관서기원 2명, 중국위기협회 4명, 한국기원 3명, 미국바둑협회 1명, 유럽바둑연맹 1명 등 16명이 출전했다.[1] 제2회부터는 전 대회 1~3위, 일본 7명, 중국 5명, 한국 4명, 중화 타이베이 2명, 미국, 유럽, 남미 각 1명씩 총 24명이 출전했다.[1]
일본기원의 마이클 레드먼드가 북미 대표로, 타라누 카탈린이 유럽 대표로, 한국기원의 장주주가 북미 대표로, 스베트라나 시크시나가 유럽 대표로 출전한 적도 있다.[1]
각 회차별 대회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 제5회 (1992년): 1~2회전은 4월 4일부터 6일까지 일본기원에서, 3회전은 6월 6일 후지쯔 간사이 시스템 연구소, 준결승은 7월 4일 일본기원 주부총본부, 결승전과 3위 결정전은 8월 1일 도쿄 프린스 호텔에서 열렸다.
- 제6회 (1993년): 1~2회전은 4월 3~5일에 일본기원에서, 3회전은 6월 5일 베이징에서, 준결승은 7월 3일 후지쯔 간사이 시스템 연구소, 결승전과 3위 결정전은 8월 7일 일본기원에서 열렸다.
- 제7회 (1994년): 1, 2회전은 4월 2일부터 4일까지 일본기원에서, 3회전은 6월 3일 경주에서, 준결승은 7월 2일 후지쯔 간사이 시스템 연구소, 결승전과 3위 결정전은 8월 6일 일본기원에서 개최되었다.
- 제8회 (1995년): 대회가 개최되었다.
- 제9회 (1996년): 1회전은 4월 6일 도쿄 일본기원에서, 2회전은 4월 8일 이바라키현 쓰쿠바시, 3회전은 5월 31일 부산광역시, 준결승은 7월 6일 오사카시, 결승전은 8월 3일 도쿄 구단회관에서 열렸다.[1]
- 제10회 (1997년): 1회전은 4월 12일, 2회전은 4월 15일에 일본기원에서, 3회전은 6월 7일 중국기원에서, 준결승은 7월 5일 오사카에서, 결승전은 8월 2일 도쿄 구단회관에서 열렸다.[1]
5. 1. 제1회 (1988년)
1988년 4월 2일에 1회전이 열렸고, 2회전은 6월 4일, 준결승은 7월 2일, 결승전은 9월 3일에 열렸다. 준결승에서의 린하이펑과 녜웨이핑의 대국은, 대만과 중국 기사 간의 공식적인 자리에서의 첫 대국이었다.[1]{| class="wikitable"
|-
! 1회전
! 2회전
! 준결승
! 결승
! 3위 결정전
|-
|
조훈현 (대한민국) | × | 고바야시 고이치 (일본) | ○ |
윤호 림 (미국) | × | 시라이시 유타카 (일본) | ○ |
장두진 (대한민국) | × | 마샤오춘 (중국) | ○ |
무궁 마사키 (일본) | × | 차오다위안 (중국) | ○ |
조치훈 (일본) | ○ | 위빈 (중국) | × |
서봉수 (대한민국) | × | 린하이펑 (일본) | ○ |
이마무라 토시야 (일본) | × | 가토 마사오 (일본) | ○ |
로널드 슐렌퍼 (유럽) | × | 녜웨이핑 (중국) | ○ |
|
|
|
무궁 마사키 | ○ | 린하이펑 | × |
|
고바야시 고이치 | × | 녜웨이핑 | ○ |
|}
5. 2. 제2회 (1989년)
제2회 대회는 1989년 4월 1일과 3일에 1, 2회전을, 6월 3일에 3회전, 7월 1일에 준결승, 8월 5일에 결승전을 치렀다. 제1회 대회 1~3위 3명, 일본 7명, 중국 5명, 한국 4명, 중화 타이베이 2명, 미국, 유럽, 남미 각 1명 등 총 24명이 참가했다. 유럽은 12개국, 남미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2개국에서 예선을 거쳐 출전했다. 미국 대표로 한국 출신 차민수가 8강에 진출했고, 13세의 한국 신예 이창호가 출전해 화제를 모았다. 결승전은 다케미야 마사키와 린하이펑의 제1회와 같은 대진이었고, 다케미야 마사키가 2연패를 달성했다.[2]1회전 | 2회전 | 3회전 | 준결승 | 결승전 |
---|---|---|---|---|
차민수 (미국) ○ 야마시로 히로시 (일본) × | 차민수 ○ 오히라 슈조 (일본) × | 차민수 × 조훈현 ○ | 조훈현 × 다케미야 마사키 ○ | 다케미야 마사키 ○ 린하이펑 × |
혼다 구니히사 (일본) × 조훈현 (한국) ○ | 조훈현 ○ 고바야시 고이치 (일본) × | 다케미야 마사키 ○ 류샤오광 × | 서봉수 × 린하이펑 ○ | |
로널드 슐렌퍼 (유럽) × 첸위핑 (중국) ○ | 첸위핑 × 다케미야 마사키 (일본) ○ | 서봉수 ○ 왕밍완 × | ||
류샤오광 (중국) ○ 양재호 (한국) × | 류샤오광 ○ 조치훈 (일본) × | 린하이펑 ○ 마샤오춘 × | ||
천창칭 (중화 타이베이) × 서봉수 (한국) ○ | 서봉수 ○ 가토 마사오 (일본) × | |||
왕밍완 (중화 타이베이) ○ 이창호 (한국) × | 왕밍완 ○ 녜웨이핑 (중국) × | |||
페르난도 아길라르 (남미) × 량웨이탕 (중국) ○ | 량웨이탕 × 린하이펑 (일본) ○ | |||
아와지 슈조 (일본) ○ 천린신 (중국) × | 아와지 슈조 × 마샤오춘 (중국) ○ |
5. 3. 제3회 (1990년)
제3회 대회는 일본, 중국, 한국, 중화 타이베이, 미국, 유럽, 남미의 총 24명이 참가했다. 1990년 8월 4일 도쿄 프린스 호텔에서 열린 결승전에서는 린하이펑(林海峰|린하이펑중국어)이 녜웨이핑(聶衛平|녜웨이핑중국어)을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1회전 | 2회전 | 3회전 | 준결승 | 결승전 |
---|---|---|---|---|
5. 4. 제4회 (1991년)
제4회 대회는 일본, 중국, 한국, 중화 타이베이, 미국, 유럽, 남미의 총 24명이 참가했다. 당초 결승전은 1991년 8월 3일 도쿄 프린스 호텔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결승 진출자 천위핑이 병으로 기권하여 조치훈이 부전승으로 우승했다. 같은 이유로 고바야시 고이치가 3위 결정전을 기권하여 왕리청이 3위로 결정되었다.5. 5. 제5회 (1992년)
1992년에 개최된 제5회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1~2회전은 4월 4일부터 6일까지 일본기원에서, 3회전은 6월 6일 후지쯔 간사이 시스템 연구소, 준결승은 7월 4일 일본기원 주부총본부, 결승전과 3위 결정전은 8월 1일 도쿄 프린스 호텔에서 열렸다.5. 6. 제6회 (1993년)
1~2회전은 1993년 4월 3~5일에 일본기원에서, 3회전은 6월 5일 베이징에서, 준결승은 7월 3일 후지쯔 간사이 시스템 연구소, 결승전과 3위 결정전은 8월 7일 일본기원에서 열렸다.5. 7. 제7회 (1994년)
제7회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1994년 4월 2일부터 4일까지 일본기원에서 1, 2회전이 열렸고, 6월 3일에는 경주에서 3회전이, 7월 2일에는 후지쯔 간사이 시스템 연구소에서 준결승이, 8월 6일에는 일본기원에서 결승전과 3위 결정전이 개최되었다.5. 8. 제8회 (1995년)
린하이펑(임해봉)과 녜웨이핑(섭위평)의 준결승 대국은 대만과 중국 기사 간의 공식적인 자리에서의 첫 대국이었다.[1]5. 9. 제9회 (1996년)
제9회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는 1996년 4월 6일 도쿄 일본기원에서 1회전이 열렸고, 4월 8일에는 이바라키현 쓰쿠바시에서 2회전이 개최되었다. 5월 31일에는 부산에서 3회전이, 7월 6일에는 오사카에서 준결승이 진행되었으며, 결승전은 8월 3일 도쿄 구단회관에서 열렸다.[1]5. 10. 제10회 (1997년)
제10회는 1회전이 4월 12일, 2회전이 4월 15일에 일본기원에서, 3회전은 6월 7일 중국기원에서, 준결승은 7월 5일 오사카에서, 결승전은 8월 2일 도쿄 구단회관에서 열렸다.6. 기타
제19회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8강전이 베이징에서 열렸을 때, 대국 다음 날 '중일 바둑 친선 경기'가 열렸고, 후지사와 히데유키 명예 기성, 미야모토 나오키 9단, 나리타 가쓰모토 후지쯔 선전부장에게 중일 바둑 교류 공로상이 수여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Fujitsu Cup Ends After 24-Year Run
http://www.usgo.org/[...]
2011-12-19
[2]
웨이백
후지쯔배 없어진다
http://www.cyberoro.[...]
2014-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