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노 테루스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노 테루스케는 1555년 태어난 인물로, 히로하시 쿠니미츠의 아들이자, 히노 가문의 상속자였다. 그는 아시카가 요시테루 쇼군을 섬겼으며, 오다 노부나가에게 대항하여 거병한 요시아키를 따랐다.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승려로 활동했고, 1623년 교토로 돌아와 1623년에 사망했다. 그는 다도와 문화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센노 리큐에게 다도를 배우고, 란샤타이 절취 칙허의 뜻을 전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노가 - 히노 도미코
히노 도미코는 무로마치 시대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정실로, 막부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오닌의 난 권력 다툼 개입, 쇼군 후계자 옹립 역할 수행, 막부 좌지우지, 민중 반발 야기 등 논란의 중심에 섰던 인물이며, 후지와라 도미코로 불렸다는 주장도 있고 다양한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 히노가 - 히노 테루코
- 히로하시가 - 히로하시 노리코
일본 황족 출신인 히로하시 노리코는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의 둘째 왕녀로 태어나 야마시나노미야 타케히코 왕과의 파혼 후 히로하시 사네미츠 백작과 결혼하여 평민이 되었으며, 결혼 후 자선 활동과 다이 니폰 부인회 시부야 지부장으로 활동했다. - 히로하시가 - 히로하시 다다미쓰
히로하시 다다미쓰는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고 내무성에 들어가 고노에 후미마로 내각총리대신 비서관, 지바 현지사를 역임했으며, 참의원 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하고 기업 이사로 활동했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공가 - 고노에 사키히사
고노에 사키히사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공경으로, 후지와라 씨의 명문가 고노에 가문 출신이며 관백과 태정대신 등의 고위 관직을 역임했고, 와카와 렌가에 능했으며, 오다 노부나가와의 교류, 혼노지의 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관백 취임 등 격동의 시대에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공가 - 고노에 노부타다
고노에 노부타다는 1565년에 태어나 1614년에 사망한 일본의 귀족으로, 내대신과 좌대신을 거쳐 1605년 간파쿠가 되었으며, 서예에도 능했다.
히노 테루스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씨족 | 히로하시 가문 → 히노 가문 |
법명 | 유이신 |
이명 | 히로하시 카네키요, 유이신인 |
시대 | 센고쿠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
생애 | |
출생 | 고지 원년 (1555년) |
사망 | 겐나 9년 윤8월 2일 (1623년 9월 26일) |
개명 | 히로하시 카네야스 (초명) → 히노 테루스케 → 유이신 (법호) |
관직 | |
관위 | 정2위, 권대납언 |
가계 | |
아버지 | 히로하시 쿠니미츠 |
어머니 | 다카쿠라 나가이에의 딸 |
양아버지 | 히노 하루미츠 |
형제 | 테루스케, 히로하시 카네카츠, 닛신 |
양형제 | 하루스케 |
배우자 | 쓰모리 쿠니시게의 딸 |
자녀 | 스케카츠, 타다아키, 테루코, 히라마츠 도키쓰네의 아내, 하나부사 마사에이의 아내 |
양자 | 스케요시, 다카바타케 나가나리의 딸 |
주요 인물 관계 | |
주군 | 오기마치 천황, 고요제이 천황,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히데타다, 아시카가 요시아키 |
2. 생애
히노 테루스케는 고지 원년(1555년) 히로하시 구니미쓰의 아들로 태어나, 히노가를 상속하고 15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섬기는 등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와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동한 인물이다.
그의 생애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히노가를 상속하고,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섬기며, 오다 노부나가와 관련된 활동을 했다.
- '''에도 시대 초기''' :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관계를 맺고, 출가하여 유이신(唯心)이라 칭했다.
- '''만년''' : 히데타다의 상락을 따라 교토로 돌아온 후 사망했다.
겐나 9년 (1623년) 윤8월 2일, 교토에서 사망했다.[1]
2. 1. 출생과 히노 가문 상속
고지 원년(1555년) 히로하시 구니미쓰의 아들로 태어났다.[1]덴분 24년 9월, 히노가에서는 27대 하루미쓰가 사망했는데, 후계자 하루스케는 요절했고, 뒤를 이을 아이가 없었다.[1] 이 때문에 히로하시 구니미쓰의 아들 카네야스를 앞세운 1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와, 아스카이 마사쓰나의 아들 스케타카를 앞세운 미요시 나가요시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다.[1]
결국, 히노 류의 야나기하라 스케사다ㆍ히로하시 가네히데(카네야스(테루스케)의 할아버지)의 찬동을 얻은 요시테루의 의견이 통과되었고,[1] 에이로쿠 2년(1559년) 4월 23일에 오기마치 천황의 승인으로 히로하시 카네야스의 히노가 상속이 결정되었다. 즉시 지주에 올랐으며, 히노가 당주(적자)의 관례대로 쇼군가의 휘(쇼군 요시테루에게서 "輝"자를 받음)를 받아 '''히노 테루스케'''로 개명했다(원래 집안인 히로하시가는 동생 히로하시 가네카쓰가 대신 상속받았다).[1]
2. 2. 아시카가 요시아키와 오다 노부나가
테루스케는 친근공가(親近公家)로서 15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섬겼는데, 덴쇼 원년 (1573년) 7월에 요시아키가 오다 노부나가에 대해 거병하자 이를 따랐다. 요시아키가 오구라이케 옆에 있는 마키시마성에서 농성하자, 테루스케는 봉공중(奉公衆)의 미츠부치 후지히데, 만도코로의 이세 사다오키, 친근공가중 타카쿠라 나가스케 등과 함께 니죠 고쇼를 맡았다. 테루스케는 농성하다가 오다군에게 고쇼가 포위되자, 미츠부치 후지히데를 혼자 남겨두고 항복하고 퇴성하였다.[1]덴쇼 2년 (1575년) 3월 26일, 오기마치 천황의 칙사로서 아스카이 마사츠나(마사키요)와 함께 오다 노부나가에게 방문하여, 란쟈타이 절취 칙허의 뜻을 전했다.[1]
덴쇼 4년 (1576년) 2월 1일, 카라스마 미츠노부ㆍ히로하시 카네카츠 등과 함께 야마시나 토키츠구ㆍ토키츠네에 동행해, 무라이 사다카츠를 방문했다.[1]
덴쇼 9년 (1581년) 2월 28일, 오기마치 천황 앞에서 노부나가가 실시한 교토오우마조로에에도 공가(公家) 중 한 명으로 참가했다.[1]
2. 3.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관계
게이초 7년(1602년) 1월 7일, 고노에가와의 논쟁으로 교토에서 출분되었다. 두 달 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주선으로 교토로 돌아갔다.[1]게이초 11년(1606년) 5월 29일,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촌백의 고약을 받았다.[1]
게이초 12년(1607년) 5월, 테루코의 사망을 계기로 출가하여 유이신(唯心)이라 칭했다. 이후 에도와 슨푸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데타다 부자를 섬기며, 오미국 가모군내에서 1,030석을 받았다.[1]
3. 인물
히노 테루스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측근의 승려로, 이신스덴, 텐카이 다음가는 지위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금중병공가제법도의 편찬에도 참여했으며, 그 정본은 테루스케의 글씨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테루스케는 문화인으로도 알려져 센노 리큐에게 다도를 배웠으며, 대명물 『히노카타츠케(日野肩付)』 다기를 하타케야마기념관에 소장하고 있었다. 또한 후지와라 토시나리의 자필 『센자이 와카집』을 소지했다. 이 책은 나중에 분할되어, 『히노키리(日野切)』라고 칭하며, 복수엽 현존하고 있다.
4. 계보
- 정실 : 츠모리 쿠니시게의 딸
- * 히노 스케카츠
- * 히노 타다아키 - 히코산 신궁 좌주
- * 닛쇼 - 죠쟛코지 2세
- * 히노 테루코 - 텐지, 종3위
- 생모 불명의 자녀
- * 히라마츠 토키츠네의 아내
- * 하나부사 마사나리의 아들 하나부사 마사에이의 아내
- * 히노 스케요시 - 외손자, 하나부사 마사에이의 아들
- * 타카바타케 나가나리의 딸 - 조카, 오가사와라 사다요시의 정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