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포캄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포캄푸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로, 말의 앞부분과 물고기의 꼬리를 가지고 있다. 포세이돈(넵투누스)의 바다 전차를 끄는 존재로 묘사되며,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예술 작품에서 자주 등장한다. 에트루리아, 픽트족의 문화에서도 나타나며, 중세 시대 이후 문장 부호로도 사용되었다. 현대에는 에어 프랑스의 상징이나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의 문장에도 등장한다. 또한, 염소자리와 관련된 신화적 동물이나, 해마를 닮은 뇌의 한 부분인 해마(뇌)의 명칭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설의 동물 - 오크
    오크는 J. R. R. 톨킨의 작품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판타지 작품과 게임에 등장하는 흉하고 추악하며 살육과 파괴를 일삼는 가상의 종족이다.
  • 전설의 동물 - 도올
  • 문장학의 길짐승 - 유니콘
    유니콘은 이마에 뿔이 달린 흰 말의 모습을 한 전설 속 동물로, 순결과 처녀성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뿔은 마법적 효능을 지닌 것으로 믿어졌고, 스코틀랜드 왕가와 LGBTQ+ 커뮤니티의 상징으로도 사용된다.
  • 문장학의 길짐승 - 메두사
    메두사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고르곤 세 자매 중 하나로, 아테나의 저주를 받아 흉측한 모습으로 변했으며, 페르세우스에게 목이 잘린 후에도 석화 능력을 유지하며 예술과 대중문화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는 인물이다.
  • 신화의 말 - 천리마
  • 신화의 말 - 발리오스와 크산토스
    발리오스와 크산토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포세이돈이 펠레우스에게 준 선물로, 아킬레우스가 트로이 전쟁에서 전차를 끄는 데 사용한 신성한 말 두 필이며, 특히 크산토스는 인간의 말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히포캄포스
일반 정보
시라쿠사의 히에론 2세의 테트라드라크마에 묘사된 해마
기원전 275-215년 시라쿠사의 히에론 2세의 테트라드라크마에 묘사된 해마
이름히포캄포스
어원그리스어: ἱππόκαμπος (hippokampos)
ἵππος (hippos, "말") + κάμπος (kampos, "바다 괴물")
다른 이름히포캄프 (hippocamp)
바다 말 (sea-horse)
문화적 의미
관련 문화페니키아
그리스
특징말의 앞부분과 물고기의 뒷부분을 가진 신화 속 생물
상징바다의 힘과 안전한 귀환
신화 속 역할바다 신들의 탈것
예술에서의 묘사모자이크, 조각, 동전 등 다양한 형태로 묘사됨
관련 유물이스라엘 해안에서 발견된 2200년 된 보물 더미에 등장 https://www.antiquities.org.il/hoards_eng.asp
로마자 표기hippokampos

2. 신화

히포캄포스는 에트루리아 문명, 픽트족의 신화와 예술에 등장하며, 이후 문장의 상징으로도 사용되었다.

중세 시대의 문장에 등장하는 "해마"는 말과 물고기의 특징을 가진 전설적인 생물이었으며, 나중에 문장에 등장하는 실제 해마와는 다른 존재였다.


신화 속 히포캄푸스는 특히 르네상스 시대 이후 문장문장 부호로 사용되었으며, 해상과 관련된 사람이나 장소의 문장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문장 기술에서 "히포캄프"와 "히포캄푸스"는 이제 실제 동물인 해마를 지칭하며, "해마"는 신화 속 생물을 지칭한다. 위에 언급된 물고기 잡종은 덜 자주 보인다. 외형상 문장의 해마는 말의 머리와 목, 물고기의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앞발굽 대신 물갈퀴가 달린 발을 가지고 있다. 갈기는 말의 갈기이거나 추가적인 지느러미로 대체될 수 있다. 해마는 날개를 달고 묘사될 수 있으며, 뿔이 달린 날개 달린 해마는 2018년 스코틀랜드의 문장 권위자인 리옹 왕이 숀 코너리 경에게 부여한 문장의 일부였다.

트리톤과 날개 달린 히포캄푸스가 있는 트레비 분수, 로마


해마는 르네상스와 바로크 미술에서도 흔한 이미지이며, 예를 들어 1732년에 지어진 트레비 분수에서 볼 수 있다.

날개 달린 히포캄푸스는 1933년 설립 이후 에어 프랑스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전신인 에어 오리엔트에서 물려받음), 오늘날 에어 프랑스의 항공기 엔진 나셀에 나타난다. 청동 히포캄푸스는 아일랜드 레인스터주 더블린의 헨리 그래턴 동상 옆 가로등과 그래턴 다리에 나타난다. 잉글랜드 축구 클럽 뉴캐슬 유나이티드는 문장에 두 개의 히포캄푸스를 묘사하고 있으며, 뉴캐슬 어폰 타인의 시청 또한 중앙 타워 꼭대기에 히포캄푸스로 장식되어 있다.

히포캄푸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바다 염소"인데, 이는 앞부분은 염소이고 뒷부분은 물고기인 염소자리로 묘사되는 신화 속 생물이다. 아프로디테와 관련된 카리아 여신의 동전은 ''그리스식 해석''(interpretatio graeca)을 통해 ''아프로디시아스의 아프로디테''로서 아프로디테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 여신이 바다 염소를 타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18]

염소자리를 나타내는 물고기 꼬리를 가진 염소 외에도, 다른 물고기 꼬리를 가진 동물들은 그리스 예술에서는 거의 등장하지 않았지만, 에트루리아인들의 특징이었다. 여기에는 ''leokampoi'' (물고기 꼬리를 가진 사자), ''taurokampoi'' (물고기 꼬리를 가진 황소) 또는 ''pardalokampoi'' (물고기 꼬리를 가진 표범) 등이 포함된다.[20]

말과 물고기의 조합은 익티오켄타우로스의 개념에서도 나타나는데, 말의 머리와 목 부분을 사람의 상체로 대체하여 더 널리 퍼진 히포켄타우로스와 유사하다. 익티오켄타우로스는 2세기부터 고대 시각 예술에 등장했지만, 그 이름은 중세 시대에 와서야 만들어졌다.[21]

2013년 7월에 발견된 해왕성의 작은 위성은 2019년 2월에 신화 속 생물을 따라 이름이 붙여졌다.[22]

2. 1. 그리스와 로마

레바논티레에서 기원전 4세기경 주조된 동전에는 수호신 멜카르트가 날개 달린 히포캄푸스를 타고 돌고래와 함께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3] 비블로스에서 같은 시대에 주조된 동전에는 갤리선 아래로 잠수하는 히포캄푸스가 묘사되어 있다.[4][5] 기원전 6세기에 제작된 아시아리디아 왕국에서 발견된 금제 해마도 있다.[6]

기원전 5세기 후반의 테라코타 종 모양 크라테르(혼합용 그릇)와 뚜껑


호메로스는 그의 저서 일리아스에서 말, 지진, 바다의 신인 포세이돈청동 발굽을 가진 말들이 끄는 전차를 바다 위로 몰고 가는 모습을 묘사했으며,[7]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는 포세이돈의 말이 바다에서 나와 리비아의 모래 위를 질주하는 모습을 묘사했다.[8] 이는 특히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의 《아르고나우티카》에 나오는 "두 발굽"의 해마와 비교된다. "오리온은 아버지의 고삐를 잡고 그의 두 발굽 달린 말의 콧김으로 바다를 들어올린다."[9] 그러나 헬레니즘로마 제국의 이미지에서 포세이돈(또는 로마의 넵투누스)은 종종 해마가 끄는 바다 전차를 몰고 다닌다. 따라서 해마는 고대 묘사뿐만 아니라, 18세기 트레비 분수의 물에서 넵투누스가 위쪽 벽감에서 바라보는 것과 같이 현대적인 묘사에서도 이 신과 함께 어울린다.

아쿠아 슐리스 (배스)의 테르메에 있는 로마 모자이크 속의 해마


해마가 담수와 바닷물 모두에 나타나는 것은 현대 관객에게는 직관적이지 않지만 고대 관객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고대 그리스의 자연적인 수문 순환에 대한 그림은 비가 대기 중의 물이 응축되어 대수층을 보충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바다의 물이 거대한 동굴대수층을 통해 육지로 스며들어 샘에서 보충되고 신선해진다고 상상했다.[10]

따라서 아카이아 해안 평야의 헬리케에 있는 신전이 "포세이돈 헬리코니오스"(헬리콘의 포세이돈), 즉 보이오티아 헬리콘의 신성한 샘에 봉헌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11] 지진으로 도시가 갑자기 물에 잠기자 해마와 함께 있던 신전의 청동 포세이돈이 어부들의 그물을 계속 걸렸다.[12]

마찬가지로 해마는 로마의 테르메 또는 공중 목욕탕, 예를 들어 브리타니아의 아쿠아 슐리스 (오늘날의 배스)와 같은 곳의 모자이크 장식으로 적합하다고 여겨졌다.

포세이돈의 말은 코린토스에 있는 포세이돈 신전에 로마 고객이 추가한 금박을 입힌 청동과 상아로 된 정교한 조각 프로그램에 포함되었으며, 해마였을 가능성이 높다. 로마화된 그리스인 파우사니아스는 서기 2세기 후반에 이 풍부한 앙상블을 묘사했다(《그리스 지리지》 ii.1.7-.8).

2. 2. 에트루리아

히포캄포스는 에트루리아 문명의 초기 오리엔탈 시대에 처음 등장한다. 이들은 에트루리아 무덤 벽화와 부조에서 계속해서 주제로 나타나며,[13] 때로는 트레비 분수에서처럼 날개가 달려 있기도 하다. 캐서린 셰퍼드는 이 주제에서 에트루리아인들의 사후 세계로의 항해에 대한 믿음을 발견했다.[14]

2. 3. 픽트족

해마는 스코틀랜드 픽트족 석조 조각에도 등장한다. 조각의 상징(일명 "픽트족의 짐승" 또는 "켈피")은 알려지지 않았다.[15] 로마의 해마 이미지와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이 묘사가 로마인들이 가져온 이미지에서 유래했는지, 아니면 더 이전의 픽트족 신화에 자리 잡고 있었는지는 불분명하다.[15]

3. 중세, 르네상스, 그리고 현대



신화 속 히포캄푸스는 특히 르네상스 이후 문장의 문장 부호로 사용되었으며, 해상과 관련된 사람이나 장소의 문장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문장학에서 "히포캄프"와 "히포캄푸스"는 이제 실제 동물인 해마를 지칭하며, "해마"는 신화 속의 생물을 지칭한다.[16][17] 문장에 나타나는 해마는 말의 머리와 목, 물고기의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앞발굽 대신 물갈퀴가 달린 발을 가지고 있다. 갈기는 말의 갈기이거나 추가적인 지느러미로 대체될 수 있다. 해마는 날개를 달고 묘사될 수 있으며, 뿔이 달린 날개 달린 해마는 2018년 스코틀랜드의 문장 권위자인 리옹 왕이 숀 코너리 경에게 부여한 문장의 일부였다.

해마는 르네상스와 바로크 미술에서도 흔한 이미지이며, 예를 들어 1732년에 지어진 트레비 분수에서 볼 수 있다.

날개 달린 히포캄푸스는 1933년 설립 이후 에어 프랑스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전신인 에어 오리엔트에서 물려받음), 오늘날 에어 프랑스의 항공기 엔진 나셀에 나타난다.

청동 히포캄푸스는 아일랜드 레인스터주 더블린의 헨리 그래턴 동상 옆 가로등과 그래턴 다리에 나타난다.

잉글랜드 축구 클럽 뉴캐슬 유나이티드는 문장에 두 개의 히포캄푸스를 묘사하고 있다. 이것들은 중앙 방패의 왼쪽과 오른쪽에 나타난다. 뉴캐슬어폰타인의 시청 또한 중앙 타워 꼭대기에 히포캄푸스로 장식되어 있다.

4. 염소자리 및 관련 신화 동물

염소자리로 묘사되는 신화 속 생물인 "바다 염소"는 히포캄푸스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앞부분은 염소이고 뒷부분은 물고기이다. 숭배상은 아니었지만 정형화된 조각상들과, 아프로디테와 관련된 카리아 여신의 동전은 ''그리스식 해석''(interpretatio graeca)을 통해 ''아프로디시아스의 아프로디테''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 여신이 바다 염소를 타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18] 브로디는 그녀를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19]

염소자리를 나타내는 물고기 꼬리를 가진 염소인 ''aigikampoi'' 외에도, 다른 물고기 꼬리를 가진 동물들은 그리스 예술에서는 거의 등장하지 않았지만, 에트루리아인들의 특징이었다. 여기에는 ''leokampoi'' (물고기 꼬리를 가진 사자), ''taurokampoi'' (물고기 꼬리를 가진 황소) 또는 ''pardalokampoi'' (물고기 꼬리를 가진 표범) 등이 포함된다.[20]

말과 물고기의 조합은 익티오켄타우로스의 개념에서도 나타나는데, 말의 머리와 목 부분을 사람의 상체로 대체하여 더 널리 퍼진 히포켄타우로스와 유사하다. 익티오켄타우로스는 2세기부터 고대 시각 예술에 등장했지만, 그 이름은 중세 시대에 와서야 만들어졌다.[21]

5. 천문학

해왕성의 작은 위성이 2013년 7월에 발견되었고, 2019년 2월에 신화 속 생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2]

6. 뇌와 해마

hippocampusla는 라틴어로, 대문자로 Hippocampusla로 쓰면 해마 속의 학명으로 사용된다.

또한, 뇌의 일부분인 해마는 영어 등에서 hippocampus영어라고 불리는데, 이는 그 형태가 해마와 닮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참조

[1] 웹사이트 Word origin of Hippocampus http://dictionary.re[...]
[2] 문서 The hyphen distinguishes from the seahorse, a real fish.
[3] 웹사이트 Yizre'el Valley silver hoard http://www.antiquiti[...] Israel Antiquities Authority 2020-12-01
[4] 웹사이트 Stater of Byblos with galley http://www.mfa.org/c[...] Museum of Fine Arts, Boston
[5] 웹사이트 Byblos at NumisBids http://www.coinarchi[...]
[6] 간행물 Loot: The Battle over the Stolen Treasures of the Ancient World https://web.archive.[...] Smithsonian 2008-11-14
[7] 서적 Iliad
[8] 서적 Argonautica
[9] 서적 Argonautica
[10] 서적 On the Nature of Things
[11] 서적 Geography
[12] 문서
[13] 서적 Etruskische Meeresmischwesen: Untersuchungen zur Typologie u. Bedeutung Bretschneider, Rome
[14] 논문 The Fish-Tailed Monster in Greek and Etruscan Art
[15] 웹사이트 Seahorses in Myth, Legend & Art https://archive.toda[...] Birch Aquarium at Scripps Institute of Oceanography 2010-01-08
[16] 웹사이트 Gruesome Beast 5: The Sea-Beasts https://courtofthelo[...] 2021-11-23
[17] 서적 A Complete Guide to Heraldry https://archive.org/[...] T.C. and E.C. Jack, London
[18] 문서
[19] 논문 The Iconography and Cult of the Aphrodite of Aphrodisias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Institute of Fine Arts
[20] 웹사이트 Ippokampoi http://www.theoi.com[...] Theoi Project 2013-01-11
[21] 서적 Triton Brill
[22] 뉴스 Scientists reveal Neptune's tiny new moon, Hippocamp https://www.cbc.ca/n[...]
[2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