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467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467년은 서기 1467년에 해당하는 해로, 각국의 연호, 사건, 탄생, 사망 등 다양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주요 사건으로는 일본에서 오닌의 난이 시작되었고, 조선에서는 이시애의 난이 발생했으며, 유럽에서는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3세가 사망하고 샤를 용담공이 부르고뉴 공작이 된 사건 등이 있었다. 또한, 다양한 인물들이 태어났고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467년
지도 정보
연도 정보
연대15세기
세기15세기
천년기제2천년기
주요 사건
사건1467년 오닌의 난 발발
모용선 사망
오스만 제국과 맘루크 사이의 전쟁 발발
탄생
인물에라스무스 (추정)
프레데리크 1세 (덴마크)
존 코렛
마르코 마루리치
필리파 오브 겔더스
헤르만 4세
시릴로 2세
고즈케 무네토시
아시카가 요시타네
소 카츠시게
지우 지우위
사망
인물모용선
필리포 1세 (이탈리아)
기타가와 요리츠구
고토모토 노부미치
마리아 오브 겔더스
토키 시게요리
우에스기 후사요시
오다 노부야스

2. 연호

3. 기년

4. 사건

이 해에는 조선과 일본 모두 변란으로 소란스러웠다. 조선에서는 이시애의 난이 일어났고, 건주여진을 공격하였다. 일본에서는 오닌의 난이 일어나 1477년까지 이어졌으며, 센고쿠 시대가 시작되었다.

4. 1. 한국

4. 2. 일본

오닌의 난이 일어나 1477년까지 이어졌다.[1] 센고쿠 시대를 시작한 오닌 전쟁(Ōnin War)이 일본에서 시작되었다.[1]

4. 3. 유럽


  • 6월 15일 - 필립 선량공이 사망하고 샤를 용담공이 부르고뉴 공작이 되었다.
  • 10월 29일 - 브뤼스텀 전투: 샤를 용담공이 리에주 공국을 패배시켰다.
  • 10월 30일 또는 11월 11일 - 차팍추르 전투: 우준 하산이 자한 샤를 패배시켰다.
  • 11월 12일 - 스웨덴 섭정 에릭 악셀손 토트가 폐위된 스웨덴의 카를 8세의 즉위를 지지했다.
  • 12월 15일 - 바이아 전투: 몰다비아의 스테판 3세의 군대가 헝가리의 마티아스 코르비누스 국왕의 군대를 바이아(현재 루마니아)에서 결정적으로 패배시켰다. 이는 몰다비아 공국을 정복하려는 헝가리의 마지막 시도였다.
  • 크뤼야 세 번째 공방전: 두 번째 공방전 실패 후 몇 달 만에 메흐메드 2세가 알바니아에 대한 또 다른 오스만 제국의 침략을 이끌었으나 실패로 끝났다.
  • 교황 바오로 2세의 명령으로 필리포 부오나코르시를 포함한 몇몇 교황청 서기관들이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다.
  • 마티아스 코르비누스 왕이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에 최초의 대학교인 이스트라 대학교를 설립했다.
  •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최초의 유럽 다중알파벳 암호를 발명했다 (대략적인 연도).
  • 후안 데 토르케마다 추기경의 저서, Meditationes, seu Contemplationes devotissimaela가 출판되었다.[1]

4. 4. 기타


  • 크뤼야 세 번째 공방전: 메흐메드 2세가 오스만 제국알바니아 침략을 이끌었으나 실패했다.
  • 일본 센고쿠 시대의 시작을 알린 오닌의 난(1467년~1477년)이 발발했다.
  • 몰디브의 하산 3세가 하지 순례 중 사예드 무함마드에게 왕위를 빼앗겼으나, 귀국 후 되찾았다.
  • 교황 바오로 2세의 명령으로 필리포 부오나코르시 등 교황청 서기관들이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다.
  • 마티아스 코르비누스 왕이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에 최초의 대학교인 이스트라 대학교를 설립했다.
  •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최초의 유럽 다중알파벳 암호를 발명했다 (대략적인 연도).
  • 후안 데 토르케마다 추기경의 저서 Meditationes, seu Contemplationes devotissimaela가 출판되었다.[1]
  • 조선건주여진을 공격했다.

5. 탄생


  • 1월 – 존 코릿(John Colet), 잉글랜드의 교회인이자 교육 개혁가 (사망 1519년)
  • 1월 1일
  • * 클레베의 필립(Philip of Cleves), 네베르, 아미앵, 오통의 주교 (사망 1505년)
  • * 지기스문트 1세(Sigismund I the Old), 폴란드 국왕 겸 리투아니아 대공 (사망 1548년)
  • 1월 4일
  • * 헨리히 폰 슈톨베르크(Henry the Younger of Stolberg), 프리스란트 총독 (1506–1508) (사망 1508년)
  • * 보도 8세(Bodo VIII, Count of Stolberg-Wernigerode), 슈톨베르크-베르니게로데 백작 (1511–1538) (사망 1538년)
  • 1월 26일 – 기욤 부데(Guillaume Budé), 프랑스 학자 (사망 1540년)
  • 2월 2일 – 리에티의 콜룸바(Columba of Rieti), 이탈리아 도미니크회 수녀 (사망 1501년)
  • 3월 19일 – 바르톨로메오 델라 로카(Bartolomeo della Rocca), 이탈리아 학자 (사망 1504년)
  • 3월 21일 – 카리타스 피르크하이머(Caritas Pirckheimer), 독일 수녀 (사망 1532년)
  • 5월 8일 – 작센의 아달베르트(Adalbert of Saxony), 마인츠 대주교 (1482–1484) (사망 1484년)
  • 5월 31일 – 브란덴부르크의 지빌레(Sibylle of Brandenburg), 율리히-베르크 공작 부인 (사망 1524년)
  • 8월 11일 – 요크의 메리(Mary of York), 잉글랜드 에드워드 4세 국왕의 딸 (사망 1482년)
  • 8월 25일 – 프란시스코 페르난데스 데 라 쿠에바(Francisco Fernández de la Cueva, 2nd Duke of Alburquerque), 스페인 공작 (사망 1526년)
  • 10월 21일조반니 일 포폴라노(Giovanni il Popolano), 이탈리아 외교관 (사망 1498년)
  • 11월 9일
  • * 헬더른의 카를 2세(Charles II, Duke of Guelders), 츠트펜 백작 (1492년부터) (사망 1538년)
  • * 헬더른의 필리파(Philippa of Guelders), 헬더른 공작 카를의 쌍둥이 여동생, 로렌 공작 부인 (사망 1547년)
  • 11월 25일 – 토마스 데이커(Thomas Dacre, 2nd Baron Dacre), 잉글랜드 헨리 8세의 기사 (사망 1525년)
  • 날짜 불명
  • * 존 부르시어(John Bourchier, 2nd Baron Berners), 잉글랜드 번역가 (사망 1553년)
  • * 크시슈토프 시들로비에츠키(Krzysztof Szydłowiecki), 폴란드 귀족 (사망 1532년)
  • * 존 용(John Yonge), 잉글랜드 교회인이자 외교관 (사망 1516년)
  • * 페드루 알바레스 카브랄(Pedro Álvares Cabral), 포르투갈의 탐험가 (사망 1520년)
  • 추정 – 윌리엄 레이터(William Latimer), 잉글랜드 교회인이자 학자 (사망 1545년)
  • 7월 2일 - 오이시 사다시게(大石定重), 일본 전국 시대의 무장, 수호대 (사망 1527년)
  • 날짜 불명 - 일본
  • * 상스기 노리후사(上杉憲房), 전국 시대의 수호 다이묘, 전국 다이묘, 간토 간료 (사망 1525년)
  • * 시오우지 히로요시(志道広良), 전국 시대의 무장, 시오우지 씨의 당주 (사망 1557년)
  • * 시마즈 요시히사(島津善久), 전국 시대의 무장 (사망 1494년)
  • * 다케다 모토시게(武田元繁), 전국 시대의 무장, 아키 다케다 씨의 당주 (사망 1517년)
  • * 야마나카 카츠시게(山中勝重), 전국 시대의 무장 (사망 1538년)

6. 사망


  • 3월 13일 - 베토레 카펠로(Vettore Cappello), 베네치아의 정치가
  • 3월 29일 - 마테오 팔라이올로고스 아센(Matthew Palaiologos Asen), 비잔티움 귀족 및 관리
  • 4월 20일 - 도로테아 곤자가(Dorotea Gonzaga), 이탈리아 귀족 (1449년 출생)
  • 4월 30일 - 앙굴렘 백작 잔(John, Count of Angoulême) (1399년 출생)
  • 6월 15일 - 필리프 3세(Philip III, Duke of Burgundy) (1396년 출생)
  • 9월 3일 - 포르투갈의 엘레오노르(Eleanor of Portugal, Holy Roman Empress), 신성 로마 제국 황후 (1434년 출생)
  • 12월 12일 - 요슈트 폰 로젬베르크(Jošt of Rožmberk), 브레슬라우 주교, 성 요한 기사단 대수도원장 (1430년 출생)
  • 12월 15일 - 옌스 벵트손 옥센스티에르나(Jöns Bengtsson Oxenstierna), 스웨덴 대주교 및 섭정 (1417년 출생)
  • 날짜 미상
  • * 트베리의 마리아(Maria of Tver), 모스크바 대공비, 이반 3세의 배우자 (1447년 출생)
  • * 페트르 3세 아론(Peter III Aaron), 몰다비아 공
  • * 자한 샤(Jahan Shah), 투르크멘 지도자
  • * 칸 칼릴(Xälil of Kazan)
  • 2월 6일 - 오토아미(音阿弥), 무로마치 시대사루가쿠 배우 (* 1398년)
  • 2월 11일 - 하나산인 모리타다(花山院持忠),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 1405년)
  • 4월 30일 - 장 드 롤랑(Jean d'Orléans)(아르마냐크 백작), 프랑스의 왕족, 앙굴렘 백작 (* 1400년)
  • 6월 15일 - 필리프 3세(Philippe III)(부르고뉴 공작),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의 제3대 부르고뉴 공작 (* 1396년)
  • 9월 3일 - 엘레오노르 포르투갈 공주(Eleonore von Portugal), 신성 로마 제국 프리드리히 3세의 황후 (* 1436년)
  • 9월 26일 - 하시오 소신(箸尾宗信),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 생년 미상)
  • 10월 4일 - 우에스기 모리아키(上杉持朝),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센가야 우에스기가의 당주 (* 1416년)
  • 10월 7일 - 야마나 교토요(山名教豊), 무로마치 시대의 수호 대명 (* 1424년)
  • 10월 11일 - 나스 스케모치(那須資持),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 1389년)
  • 11월 8일 - 야스토미 모쓰나(安富元綱),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 생년 미상)
  • 키라 요시나가(吉良義尚),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 1414년)
  • 마리아 보리스프나(Мария Борисовна), 모스크바 대공국 이반 3세의 첫 번째 왕비 (* 1442년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