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닌은 1467년부터 1469년까지 사용된 일본의 연호이다. 1467년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를 습격하면서 시작된 오닌의 난으로 인해 개원되었다. 오닌의 난은 아시카가 쇼군의 후계자 문제와 다이묘들의 세력 다툼이 얽혀 발생했으며, 교토를 중심으로 10년 이상 지속되었다. 결국 명확한 승자 없이 끝나고, 1469년에 분메이로 개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센고쿠 시대 - 교토
교토는 혼슈 중앙부에 위치하며 약 천 년간 일본의 수도였던 도시로, 헤이안쿄로 설계되어 전란과 화재를 겪었으나 복구 노력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에도 시대에는 문화와 상공업의 중심지로, 오늘날에는 세계적인 관광 도시로 번영하며 수많은 유적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센고쿠 시대 - 오와리국
오와리국은 현재 아이치현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일본 고대의 령제국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야마토 씨족과 관련된 오와리 씨족의 거점이었고, 나라 시대에는 율령제에 따라 통치되었으며 아쓰타 신사는 중요한 신사였고, 센고쿠 시대에는 오다 씨가 지배했으며, 에도 시대에는 오와리 번이 세워졌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아이치현에 편입되었다. - 일본의 연호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는 1912년부터 1926년까지 일본의 연호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이사국 진출, 국내 사회 변화, 민주주의 사상 발전 등을 특징으로 하며, 1920년대 후반 세계 경제 불황의 영향을 받았다. - 일본의 연호 - 쇼와 시대
쇼와 시대는 1926년부터 1989년까지 이어진 일본의 연호로, 히로히토 천황의 치세 동안 일본 제국의 군국주의, 태평양 전쟁, 패전 후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겪었으며, 쇼와 천황의 사망으로 헤이세이 시대로 전환되었다.
오닌 | |
---|---|
개요 | |
시기 | 1467년 ~ 1469년 |
위치 | 일본 |
원인 | 하극상과 슈고 다이묘 간의 권력 다툼 |
주요 인물 | 아시카가 요시마사, 호소카와 가쓰모토, 야마나 소젠 |
일본 연호 | |
연호 | 오닌 |
이전 | 분쇼 |
다음 | 분메이 |
시작 | 오닌 원년 2월 28일 (1467년 3월 14일) |
종료 | 오닌 3년 4월 28일 (1469년 6월 8일) |
천황 | |
천황 | 고쓰치미카도 천황 |
막부 | |
쇼군 | 아시카가 요시마사 |
2. 연호 개원(改元)
분쇼 2년 3월 5일(율리우스력 1467년 4월 9일), 전란으로 인해 연호가 개원되었다.
오닌 3년 4월 28일(율리우스력 1469년 6월 8일), 분메이로 다시 연호가 개원되었다.
2. 1. 출전
『유성전훈(維城典訓)』의 "인(仁)이 사물에 감응하고, 사물이 인에 응답하는 것은 그림자가 형체를 따르고, 소리가 울림을 내는 것과 같다."3. 오닌 시대의 주요 사건
1467년 1월 17일,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가미고료 신사에서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를 습격하면서 오닌의 난이 시작되었다.[3][4] 이 분쟁은 아시카가 요시마사가 쇼군에서 은퇴할 때 그의 동생 요시미와 아들 요시히사 중 누가 계승할지를 두고 벌인 논쟁에서 비롯되었으나, 실제로는 경쟁적인 다이묘 집단이 군사적 우위를 점하기 위한 싸움의 구실에 불과했다.[3]
오닌 원년 5월 20일, 오닌의 난으로 야마나 모치토요와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거병했다.[3]
같은 해 1월, 야마나 소젠과 하타케야마 요시나리는 쇼군 요시마사의 본부인 헤이안쿄의 무로마치도노 주변에 자리를 잡았다.[4] 이들은 아시카가 요시미를 부르고, 전 고하나조노 천황과 고쓰치미카도 천황을 무로마치로 불러 호소카와 가쓰모토와 하타케야마 미치나가의 처형을 지켜보게 했다.[4] 요시미는 상황을 완화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요시나리에게 마사나가를 죽이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요시나리는 제압당하고 마사나가는 수도에서 도망쳤다.[4]
오닌 원년 1월, ''나다이진'' 사이엔시노 사네토가 히노노 가쓰미츠로 교체되었다.[4] 2월에는 시바 요시카도가 ''간레이''가 되었고, 가쓰모토는 자신감을 잃고 마사나가에 합류하지 않은 것을 후회하기 시작했다.[4] 소젠과 요시나리는 무력 대결을 준비하며 수도 밖의 지원을 통해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었다.[4] 5월에는 니조 모치미츠가 ''간파쿠''에서 해임되고 이치조 가네요시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4]
결국, 오닌의 난은 명확한 승자 없이 복잡하게 얽힌 파벌 군대들이 서로 싸우다 지쳐버리는 결과로 끝났다.[3]
3. 1. 오닌의 난 (1467년 ~ 1477년)
1467년 1월 17일,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가미고료 신사에서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를 습격하면서 오닌의 난이 시작되었다.[3][4] 이 분쟁은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쇼군직 계승 문제를 둘러싸고 발생했지만, 실제로는 다이묘 집단 간의 군사적 우위를 위한 투쟁이었다.[3]야마나 소젠과 하타케야마 요시나리는 헤이안쿄의 아시카가 저택인 무로마치도노 주변에 자리를 잡고 아시카가 요시미를 불렀다.[4] 전 고하나조노 천황과 고츠치미카도 천황을 불러 호소카와 가쓰모토와 하타케야마 미치나가의 처형을 지켜보게 했다.[4] 요시미는 상황을 완화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요시나리에게 마사나가를 죽이라고 명령했지만 실패했다.[4]
1467년 2월, 시바노 요시카도가 간레이가 되었고, 가쓰모토는 자신감을 잃고 활동을 중단했다.[4] 소젠과 요시나리는 무력 대결을 준비하며 수도 밖의 지원을 기대했다.[4]
1467년 5월 20일, 야마나 모치토요와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거병하였다.[3] 같은 달 26일, 호소카와 가쓰모토 파가 야마나 모치토요 파를 습격하여 (상경의 싸움) 본격적으로 난이 시작되었다.[3] 1467년 5월, 니조 모치미츠가 간파쿠에서 해임되고, 이치조 가네요시가 후임이 되었다.[4]
결국, 복잡하게 얽힌 파벌 군대들은 서로 싸우다가 지쳐버렸고, 명확한 승자는 없었다.[3] 오닌의 난은 1477년 12월 25일 (분메이 9년 11월 20일)까지 계속되었다.
3. 2. 기타 사건
1467년 (오닌 원년) 1월 17일,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가미고료 신사에서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를 습격하면서 오닌의 난이 시작되었다.[3] 이 분쟁은 아시카가 요시마사가 쇼군에서 은퇴할 때 그의 동생 요시미와 아들 요시히사 중 누가 계승할지를 두고 벌인 논쟁에서 비롯되었으나, 실제로는 경쟁적인 다이묘 집단이 군사적 우위를 점하기 위한 싸움의 구실에 불과했다.[3]오닌 원년 5월 20일, 오닌의 난으로 야마나 모치토요와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거병했다.[3]
같은 해 1월, 야마나 소젠과 하타케야마 요시나리는 쇼군 요시마사의 본부인 헤이안쿄의 무로마치도노 주변에 자리를 잡았다.[4] 이들은 아시카가 요시미를 부르고, 전 고하나조노 천황과 고쓰치미카도 천황을 무로마치로 불러 호소카와 가쓰모토와 하타케야마 미치나가의 처형을 지켜보게 했다.[4] 요시미는 상황을 완화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요시나리에게 마사나가를 죽이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요시나리는 제압당하고 마사나가는 수도에서 도망쳤다.[4]
오닌 원년 1월, ''나다이진'' 사이엔시노 사네토가 히노노 가쓰미츠로 교체되었다.[4] 2월에는 시바 요시카도가 ''간레이''가 되었고, 가쓰모토는 자신감을 잃고 마사나가에 합류하지 않은 것을 후회하기 시작했다.[4] 소젠과 요시나리는 무력 대결을 준비하며 수도 밖의 지원을 통해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었다.[4] 5월에는 니조 모치미츠가 ''간파쿠''에서 해임되고 이치조 가네요시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4]
결국, 오닌의 난은 명확한 승자 없이 복잡하게 얽힌 파벌 군대들이 서로 싸우다 지쳐버리는 결과로 끝났다.[3]
3. 3. 히가시야마도노(東山殿)와 은각사(銀閣寺)
초로쿠 3년(1460년), 요시마사는 은퇴 후 별장과 정원을 건설할 계획을 세웠다.[5] 훗날 이 부지는 지쇼지(은각사)로 알려진 불교 사찰이 되었다.[6] 분메이 14년(1482년) 2월 21일, 오랫동안 지연되었던 "은각사" 건설이 실제로 시작되었다.[7] 황제는 요시마사의 별장에 ''히가시야마도노''라는 특별한 이름을 하사했다. 은각사 건설이 시작되었지만, 오닌의 난과 관련된 여러 혼란으로 인해 공사가 중단되었다.[3] 오닌의 난은 분메이 9년까지 계속되었으며,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가미고료 신사의 하타케야마 마사나가를 습격하면서 시작되었다.[3] 오닌의 난으로 야마나 모치토요, 하타케야마 요시히로가 거병하였다.[3]4. 서력과의 대조표
wikitable
오닌 원년(정해)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율리우스력 | 1467/2/5 | 3/6 | 4/5 | 5/4 | 6/2 | 7/2 | 7/31 | 8/30 | 9/29 | 10/28 | 11/27 | 12/27 | |
오닌 2년(무자)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윤10월※ | 11월 | 12월 |
율리우스력 | 1468/1/25 | 2/24 | 3/24 | 4/23 | 5/22 | 6/20 | 7/20 | 8/18 | 9/17 | 10/16 | 11/15 | 12/14 | 1469/1/13 |
오닌 3년(기축)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율리우스력 | 1469/2/12 | 3/14 | 4/12 | 5/12 | 6/10 | 7/9 | 8/8 | 9/6 | 10/6 | 11/4 | 12/4 | 1470/1/3 |
참조
[1]
서적
Ōnin
https://books.google[...]
Japan encyclopedia
2005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3]
서적
Japanese Culture: A Short History
1973
[4]
서적
https://books.google[...]
[5]
웹사이트
Yamasa: Gikaku-ji
http://www.yamasa.or[...]
[6]
뉴스
Protecting Ginkaku-ji, the Beauty of Wabi-sabi; Reluctance to Black Lacquering the Outer Wall
http://www.kyoto-np.[...]
Kyoto Shimbun
2008-01-23
[7]
서적
Yoshimasa and the Silver Pavilion
https://books.google[...]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