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51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1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일본 프로 야구 양대 리그 출범 후 처음으로 개최된 올스타전으로,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 간의 대결로 진행되었다. 3차전까지 치러진 이 대회에서 센트럴 리그는 2승을 거두고, 퍼시픽 리그는 1승을 기록했다. 1차전은 48,671명의 관중을 동원하며 올스타전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으며, 3경기 모두 만원 관중을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다음 시즌부터 매년 개최되는 계기가 되었다.

2. 출범 배경

1950년 일본 시리즈에서 우승한 마이니치 오리온스의 유아사 요시오 감독이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을 지휘했다. 반면, 센트럴 리그에서는 전년도 우승팀 쇼치쿠 로빈스를 이끌었던 고니시 도쿠로 감독이 1950년 일본 시리즈 종료 후 사임함에 따라, 리그 2위 팀이었던 나고야 드래건스아마치 슌이치 감독이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의 지휘봉을 잡게 되었다.

또한, 당시 공식 경기에서는 심판 3인제를 운영했으나, 첫 올스타전에서는 6인제가 채택되었다.[5][1]

2. 1. 양대 리그 출범과 올스타전 개최

1949년 프로 야구 재편으로 양대 리그제가 출범한 후, 리그 우승팀 간의 대결인 일본 시리즈는 1950년에 시작되었지만, 리그 대항 올스타전은 1951년에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1차전과 3차전 주심을 맡았던 시마 히데노스케는 자신의 저서에서 이 올스타전을 커미셔너 제도와 ‘궤를 같이하는 연중 행사’로 기록했다.[5]

단일 리그 시절에는 1949년 가을 마지막 개최 당시 8개 구단으로 구성된 동서 대항전이 11월에서 12월 사이에 열렸으나, 양대 리그 출범 후에는 미국메이저 리그 올스타전을 본떠 7월에 개최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1951년 첫 올스타전은 3경기 모두 만원 관중을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평가받았고, 이에 따라 다음 해부터 매년 개최되는 정례 행사가 되었다.

3. 경기 진행 방식

1951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총 3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세 경기의 결과를 종합하여 MVP 한 명을 선정했다.[5] 경기 운영은 정규 시즌과 다른 규칙이 적용되었고, 감독 및 선수는 팬 투표와 추천 등을 통해 선발되었다.

3. 1. 경기 규칙 및 심판

총 3경기를 치러 종합 MVP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당시 공식 경기에서는 심판 3인제를 채택하고 있었으나, 올스타전에서는 6인 심판제가 적용되었다.[5]

3. 2. 감독 및 선수 선발

전년도인 1950년 일본 시리즈에서 정상에 오른 마이니치 오리온스의 유아사 사다오가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을 지휘했다. 센트럴 리그에서는 본래 전년도 쇼치쿠 로빈스를 리그 우승으로 이끈 고니시 도쿠로가 지휘해야 했으나, 일본 시리즈 종료 후 용퇴하였기 때문에 전년도 2위 팀 나고야 드래건스아마치 슌이치가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의 지휘봉을 잡았다.

선수는 팬 투표와 감독 추천을 통해 선발되었다.

센트럴 리그[3]
감독아마치 슌이치주니치
코치마츠키 켄지로한신
미즈하라 시게루요미우리
투수벳쇼 타케히코요미우리
오시마 노부오쇼치쿠
후지모토 히데오요미우리
스기시타 시게루주니치
카네다 마사이치고쿠테츠
하세가와 료헤이히로시마
미토미 츠네오주니치
후지무라 타카오한신
타카노 히로라다이요
나카오 세키시요미우리
포수아라카와 쇼지쇼치쿠
노구치 아키라주니치
토쿠아미 시게루한신
1루수카와카미 테츠하루요미우리
2루수지바 시게루요미우리
3루수후지무라 토미오한신
유격수히라이 마사아키요미우리
내야수카네야마 지로쇼치쿠
시라사카 나가에한신
좌익수아오타 노보루요미우리
중견수코즈루 마코토쇼치쿠
우익수이와모토 요시유키쇼치쿠
외야수츠보우치 미치노리주니치
니시자와 미치오주니치
하라다 노리미츠주니치



퍼시픽 리그[3]
감독유아사 사다오마이니치
코치하마자키 신지한큐
미하라 오사무니시테츠
투수아라마키 준마이니치
에토 타다시난카이
유키 스스무난카이
노무라 타케시마이니치
요네카와 야스오도큐
하야시 요시이치다이에
가와사키 토쿠지니시테츠
사토 헤이시치마이니치
타케스에 시코니시테츠
세키네 준조긴테츠
포수도이카키 타케시마이니치
츠츠이 케이조난카이
카타오카 히로쿠니마이니치
1루수이다 토쿠지난카이
2루수야마모토 카즈토난카이
3루수나카타니 준지한큐
유격수키즈카 타다스케난카이
내야수카게야마 카즈오난카이
하마다 요시오도큐
좌익수오시타 히로시도큐
중견수벳토 가오루마이니치
우익수이이지마 시게요다이에
외야수이토 쇼시치마이니치
고 창정마이니치
토쿠라 카츠시로한큐


  •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정된 선수이다.
  • 아라마키 준, 오시마 노부오, 세키네 준조, 츠츠이 케이조, 시라사카 나가에는 3경기 모두 출전 기회가 없었다.[4]

4. 경기 결과

총 3경기가 치러졌으며, 센트럴 리그가 2승 1패로 퍼시픽 리그에 승리했다.

1차전은 센트럴 리그가 2:1로,[6] 2차전 역시 센트럴 리그가 4:2로 승리했다. 특히 2차전에서는 니시자와 미치오(나고야)가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역사상 제1호 홈런을 기록했다. 3차전에서는 퍼시픽 리그가 4:3으로 승리하며 시리즈 첫 승을 거두었고, 이 경기에서는 후지무라 후미오와 후지무라 다카오 형제(오사카)가 올스타전 사상 최초로 동시에 출전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번 제1회 올스타전은 3경기 모두 만원 관중을 기록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고, 이를 바탕으로 다음 시즌부터 매년 개최되는 정례 행사가 되었다. 한편, 당시 공식 경기에서는 3인 심판제를 운영했으나, 올스타전에서는 미국 메이저 리그와 같이 6인 심판제를 채택하여 진행했다.[5]

4. 1. 1차전 (센트럴 리그 승리)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의 선발 투수는 에토 다다시(난카이),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의 선발 투수는 벳쇼 다케히코(요미우리)였다.

1회초, 벳쇼는 퍼시픽 올스타팀의 1번 타자 이이다 도쿠지(난카이)에게 볼넷을 허용했지만, 후속 타자인 야마모토 가즈토(난카이), 벳토 가오루(마이니치), 오시타 히로시(도큐)를 연속으로 범타 처리하며 이닝을 마쳤다. 이어진 1회말 공격에서 센트럴 올스타팀은 2번 타자 치바 시게루(요미우리)가 우익 선상 안타를 치고 나갔고, 이후 이와모토 요시유키(쇼치쿠)와 가와카미 데쓰하루(요미우리)의 안타가 이어지며 1점을 먼저 얻었다.

센트럴 올스타팀은 6회말에 1점을 더 추가하여 점수 차를 벌렸다. 퍼시픽 올스타팀은 7회초에 1점을 만회하며 추격했지만, 7회부터 마운드에 오른 센트럴 올스타팀의 스기시타 시게루(나고야)가 더 이상의 실점을 허용하지 않고 경기를 마무리했다. 최종 스코어는 센트럴 올스타팀의 2:1 승리였다. 1차전 MVP는 가와카미 데쓰하루(요미우리)가 선정되었다.

1차전의 관객 수는 48,671명으로, 이는 당시 올스타전 최다 관객 기록이었다.[6]

4. 2. 2차전 (센트럴 리그 승리)

1차전 종료 후 이동일을 포함하여 3일 뒤에 2차전이 열렸다.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의 선발 투수는 1차전에 이어 벳쇼 다케히코(요미우리)가 나섰다. 센트럴 리그의 아마치 슌이치 감독은 1, 2차전 모두 승리하기 위해 벳쇼, 가네다 마사이치(고쿠테쓰), 스기시타 시게루(나고야) 세 투수를 3이닝씩 나누어 던지게 할 계획이었으나, 2차전에서는 이 계획이 실행되지 않았다.[6]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의 선발 투수는 노무라 다케시(마이니치)였다.

경기는 퍼시픽 리그가 2점을 먼저 앞서 나갔다. 7회초 센트럴 리그의 공격에서 노구치 아키라(나고야)가 적시 3루타를 쳐 동점을 만들었다. 이어서 투수 가네다 마사이치의 대타로 나온 니시자와 미치오(나고야)가 퍼시픽 리그 투수 요네카와 야스오(도큐)를 상대로 2점 홈런을 기록하며 역전에 성공했다. 이 홈런은 1차전에서 홈런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역사상 제1호 홈런으로 기록되었다.

경기는 최종 스코어 4대 2로 센트럴 리그가 승리하며 2연승을 거두었다. 승리 투수는 스기시타 시게루(나고야), 패전 투수는 요네카와 야스오(도큐)였다. 2차전 MVP는 노구치 아키라(나고야)에게 돌아갔다.

4. 3. 3차전 (퍼시픽 리그 승리)

앞선 1, 2차전에서 연달아 패배한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은 3차전 승리를 위해 전의를 다졌다.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에서는 후지무라 다카오(오사카 타이거스)가,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에서는 사토 헤이시치(난카이 호크스)가 선발 투수로 나섰다.

경기 초반에는 센트럴 리그가 기세를 올렸다. 1회말, 치바 시게루(요미우리), 이와모토 요시유키(쇼치쿠), 가와카미 데쓰하루(요미우리), 후지무라 후미오(오사카) 등의 안타로 먼저 2점을 뽑아냈다. 하지만 퍼시픽 리그도 곧바로 반격에 나섰다. 2회초 이이지마 시게야(다이에이)의 솔로 홈런으로 1점을 따라붙었고, 5회초에는 나카타니 준지(긴테쓰)의 솔로 홈런으로 2:2 동점을 만들었다. 센트럴 리그는 5회말 치바 시게루의 솔로 홈런으로 다시 앞서나갔지만, 퍼시픽 리그는 6회초 다시 1점을 추가하며 3:3으로 팽팽한 균형을 유지했다.

승부는 8회초에 갈렸다. 퍼시픽 리그의 3번 타자 이이다 도쿠지(난카이)가 센트럴 리그 투수 후지모토(요미우리)를 상대로 결승 솔로 홈런을 터뜨렸다. 이 리드를 퍼시픽 리그의 구원 투수 하야시 기이치(다이에이)가 끝까지 지켜내면서, 퍼시픽 리그는 4:3으로 시리즈 첫 승리를 거두었다. 이 경기의 MVP는 승리 투수가 된 하야시 기이치에게 돌아갔다.

한편, 이 경기에서는 센트럴 리그 선발 투수 후지무라 다카오와 3루수 후지무라 후미오 형제가 동시에 출전하여,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사상 최초로 형제가 함께 경기에 나서는 기록을 세웠다.

=== 득점 경과 ===

123456789안타실책
퍼시픽010011010461
센트럴200010000361


  • '''승리 투수''' : 하야시 기이치(다이에이) (1승)
  • '''패전 투수''' : 후지모토(요미우리) (1패)
  • '''홈런''' :
  • * 퍼시픽: 이이지마 시게야(다이에이) 1호(2회 1점, 후지무라 다카오 상대), 나카타니 준지(긴테쓰) 1호(5회 1점, 미토미 상대), 이이다 도쿠지(난카이) 1호(8회 1점, 후지모토 상대)
  • * 센트럴: 치바 시게루(요미우리) 1호(5회 1점, 노무라 다케시 상대)


=== 선발 라인업 ===

타순퍼시픽 리그수비 위치센트럴 리그수비 위치
1가게야마 가즈오 (난카이)2루수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좌익수
2기즈카 주스케 (난카이)유격수치바 시게루 (요미우리)2루수
3이이다 도쿠지 (난카이)1루수이와모토 요시유키 (쇼치쿠)우익수
4벳토 가오루 (마이니치)중견수가와카미 데쓰하루 (요미우리)1루수
5오시타 히로시 (도큐)좌익수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3루수
6나카타니 준지 (긴테쓰)3루수고즈루 마코토 (쇼치쿠)중견수
7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우익수도쿠아미 시게루 (나고야)포수
8도이가키 다케시 (마이니치)포수후지무라 다카오 (오사카)투수
9사토 헤이시치 (난카이)투수히라이 마사아키 (요미우리)유격수


4. 4. 종합 MVP

당시에는 3경기를 통해서 종합 MVP가 선정되었는데, 종합 MVP는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의 스기시타 시게루가 차지했다. 상품으로는 가죽으로 만든 보스턴백과 트로피가 수여되었는데, 트로피는 주최 측이 투수가 MVP를 받을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는지 타자의 모습이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6]

5. 주요 기록

양대 리그 출범 이후 처음으로 개최된 올스타전으로, 이전의 동서 대항전과 달리 미국 메이저 리그를 따라 7월에 열렸다.[5]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이 1, 2차전에서 승리하고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이 3차전에서 승리하여, 센트럴 리그가 2승 1패로 시리즈 우위를 가져갔다.

3경기를 종합하여 선정하는 최우수선수(MVP)에는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의 스기시타 시게루(나고야)가 선정되었다. 상품으로는 가죽 보스턴백과 타자 모습이 새겨진 트로피가 수여되었다.[6] 3경기 모두 만원 관중을 기록하는 등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이후 매년 올스타전이 열리는 계기가 되었다.

5. 1. 형제 선수 동시 출전

3차전에서 센트럴 올스타팀 선발 투수로 등판한 오사카 타이거스의 후지무라 다카오는 같은 팀의 3루수인 후지무라 후미오의 친동생으로, 이들은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역사상 최초로 동시에 출전한 형제가 되었다. 이후 두 사람은 모두 3번의 올스타전에 함께 출전했다.

후지무라 형제 외에도 올스타전에 형제가 함께 출전하여 주목할 만한 기록을 남긴 사례는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관련 선수
1969년 1차전타자 형과 투수 동생의 맞대결타자: 가네다 마사이치(센트럴 올스타팀·요미우리)
투수: 가네다 도메히로(퍼시픽 올스타팀·도에이)
1983년 1·2차전형제가 1, 2차전에서 각각 승리 투수가 됨 (승리 릴레이)마쓰누마 히로히사, 마쓰누마 마사유키 (모두 퍼시픽 올스타팀·세이부)
2001년 1차전선발 투수 형에 이어 동생이 구원 등판 (계투 릴레이)선발: 이리키 유사쿠(센트럴 올스타팀·요미우리)
구원: 이리키 사토시(센트럴 올스타팀·야쿠르트)


5. 2. 기타 기록


  • 니시자와 미치오(나고야) : 2차전에서 올스타전 사상 제1호 홈런 기록
  • 1차전 관객 수 : 48,671명 (당시 올스타전 최다 관객 기록)[6]
  • 후지무라 후미오, 후지무라 다카오 (오사카 타이거스) : 3차전에서 형제가 동시 출전 (사상 최초)
  • 심판 : 공식전에서는 3인제였던 당시에 6인제로 채택됨[5]

6. 출장 선수 명단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와 감독 추천 선수로 구성되었다.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이다. 아라마키 아쓰시(마이니치), 오시마 노부오(쇼치쿠), 세키네 준조(긴테쓰), 쓰쓰이 게이조(난카이), 시라사카 조에이(오사카) 등 일부 선수는 3경기 모두 출전 기회가 없었다.[8]

6. 1. 센트럴 리그

센트럴 리그[7]
감독아마치 슌이치나고야
코치마쓰키 겐지로오사카
미즈하라 시게루요미우리
투수벳쇼 다케히코요미우리
오시마 노부오쇼치쿠
후지모토 히데오요미우리
스기시타 시게루나고야
가네다 마사이치고쿠테쓰
하세가와 료헤이히로시마
미토미 쓰네오나고야
후지무라 다카오오사카
다카노 히로요시다이요
나카오 히로시요미우리
포수아라카와 쇼지쇼치쿠
노구치 아키라나고야
도쿠아미 시게루오사카
1루수가와카미 데쓰하루요미우리
2루수치바 시게루요미우리
3루수후지무라 후미오오사카
유격수히라이 마사아키요미우리
내야수가나야마 지로쇼치쿠
시라사카 조에이오사카
좌익수아오타 노보루요미우리
중견수고즈루 마코토쇼치쿠
우익수이와모토 요시유키쇼치쿠
외야수쓰보우치 미치노리나고야
니시자와 미치오나고야
하라다 도쿠미쓰나고야


  •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
  • * 오시마(쇼치쿠), 시라사카(오사카)는 3경기 모두 출전 기회가 없었다.[8]

6. 2. 퍼시픽 리그

wikitext

퍼시픽 리그[7]
감독유아사 요시오마이니치
코치하마자키 신지한큐
미하라 오사무니시테쓰
투수아라마키 아쓰시마이니치
에토 다다시난카이
유키 스스무난카이
노무라 다케시마이니치
요네카와 야스오도큐
하야시 기이치다이에이
가와사키 도쿠지니시테쓰
사토 헤이시치마이니치
다케스에 싯쇼니시테쓰
세키네 준조긴테쓰
포수도이가키 다케시마이니치
쓰쓰이 게이조난카이
가타오카 히로쿠니마이니치
1루수이이다 도쿠지난카이
2루수야마모토 가즈토난카이
3루수나카타니 준지한큐
유격수기즈카 주스케난카이
내야수가게야마 가즈오난카이
하마다 요시오도큐
좌익수오시타 히로시도큐
중견수벳토 가오루마이니치
우익수이이지마 시게야다이에이
외야수이토 쇼시치마이니치
고 쇼세이마이니치
도쿠라 가쓰키한큐


  •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이다.
  • * 아라마키(마이니치), 세키네(긴테쓰), 쓰쓰이(난카이) 등은 3경기 모두 출전 기회가 없었다.[8]

7. 미디어 중계

대회의 중계는 다음과 같다.

7. 1. 라디오 중계

전 경기 NHK 라디오 제2에서 중계되었다.

  • 제1전: 7월 4일, 실황: 시무라 마사요리
  • 제2전: 7월 7일, 실황: 시무라 마사요리, 노세 시로, 사이토 마사오
  • 제3전: 7월 8일, 실황: 시무라 마사요리

8. 영향 및 평가

3경기 모두 만원 관중을 기록하는 등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는 평가에 따라[2], 다음 해부터 올스타전은 매년 열리는 연례 행사로 자리 잡았다. 특히 1차전의 관객 수 48,671명은 당시 올스타전 역대 최다 관중 기록이었다.[2]

당시 1차전과 3차전의 주심을 맡았던 시마 히데노스케는 자신의 저서에서 올스타전을 커미셔너 제도와 ‘궤를 같이하는 연중 행사’라고 평가하며 그 중요성을 언급했다.[1] 이는 미국메이저 리그 올스타전을 본떠 7월에 개최되었으며, 심판진 역시 당시 공식전의 3인제와 달리 6인제가 채택되는 등[1] 초기부터 비중 있는 대회로 기획되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白球とともに生きて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 뉴스 伝える 東京中日スポーツ 2009-07-25
[3] 서적 オールスターゲームの軌跡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1
[4] 서적 オールスターゲームの軌跡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1
[5] 서적 흰 공과 함께 살다 베이스볼 매거진사
[6] 뉴스 도쿄 주니치 스포츠 2009-07-25
[7] 서적 《올스타전의 족적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베이스볼 매거진사 2001
[8] 서적 《올스타전의 족적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베이스볼 매거진사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