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는 존 헌트 대령의 지휘 아래 에드먼드 힐러리와 텐징 노르가이가 인류 최초로 에베레스트 정상 등정에 성공한 사건이다. 이 원정은 19세기 중반 에베레스트가 세계 최고봉으로 확인된 이후 오랜 기간 이어진 등반 시도의 결실로, 훈련과 장비, 과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1953년 5월 29일, 힐러리와 텐징은 사우스 콜 루트를 통해 정상에 도달했으며, 이 소식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대관식 날 발표되어 더욱 큰 의미를 지녔다. 원정대의 성공은 인류의 도전 정신과 과학 기술 발전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평가받으며, 힐러리와 헌트는 기사 작위를, 텐징은 조지 메달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3년 영국 - 1953년 북해 홍수
    1953년 북해 홍수는 강력한 폭풍 해일로 인해 네덜란드, 영국, 벨기에 연안 지역에 광범위한 침수 피해와 막대한 인명 피해를 야기했으며, 해안 방어 시설의 취약성을 드러내 대규모 해안 방어 시스템 구축의 계기가 되었다.
  • 1953년 5월 - 제3차 후크고지 전투
    제3차 후크고지 전투는 한국 전쟁 중 개성 인근 후크 고지를 점령하려는 중공군과 이를 방어하는 유엔군 간의 치열한 공방전으로, 유엔군이 고지를 사수하고 "후크 1953" 전투 명예를 수여받았다.
  • 1953년 5월 - 닛산 쟁의
    닛산 쟁의는 전후 일본 닛산 자동차에서 임금 인상 요구로 시작된 노동쟁의로, 사측의 강경 대응과 노조 분열로 노동조합이 패배하며 일본 노동 운동 쇠퇴의 사례로 남았다.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
지도 정보
원정대 개요
원정대 명칭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
목표에베레스트 최초 등정
기간1953년
국적영국
주요 인물
원정대장존 헌트 대령
등반대에드먼드 힐러리, 텐징 노르가이
등반 정보
정상 등정일1953년 5월 29일 11시 30분 (현지 시각)
등반 경로남동릉
등반 성공에베레스트 최초 등정 성공
장비 및 보급품
산소 공급 장치이탈리아 회사에서 제작한 폐쇄 회로 산소 장비
식량고열량 식품, 통조림
배경
이전 시도영국은 이전에도 여러 차례 에베레스트 등반을 시도했으나 실패함.
정치적 중요성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대관식을 앞두고 영국 제국의 위상을 드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결과 및 영향
세계적 명성힐러리와 텐징은 세계적인 영웅이 됨.
등반 기술 발전등반 장비 및 기술 발전에 기여.
탐험 시대의 상징20세기 탐험 시대의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됨.

2. 배경

19세기 중반, 에베레스트산이 세계 최고봉으로 확인된 이후,[1] 많은 산악인들이 등정을 꿈꿨다. 1920년대부터 본격적인 등반 시도가 시작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과 티베트 지역의 정치적 상황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1924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에서 조지 맬러리가 실종되면서 에베레스트 등정은 더욱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었다.[3][4] 1950년대 초, 중국티베트 합병으로 북쪽 루트가 폐쇄되면서, 등반가들은 네팔 쪽 루트를 통해 에베레스트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2. 1. 초기 시도와 실패

1850년대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확인된[1] 에베레스트산은 알피니즘의 황금기 동안 관심의 대상이 되었지만, 그 높이 때문에 등반이 가능할지 의문이 제기되었다. 1885년, 클린턴 토마스 덴트는 자신의 저서 《눈 위》에서 에베레스트산 등반이 가능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2] 실질적인 문제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20년대까지 의미 있는 등반 시도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조지 맬러리는 에베레스트 등반 이유에 대해 "거기 있으니까"라고 말한 것으로 인용되는데, 이 문구는 "등산계에서 가장 유명한 세 단어"라고 불린다.[3][4] 맬러리는 1924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에서 에베레스트산에서 실종되었으며, 그의 시신은 75년 동안 미스터리로 남아있었다.

에베레스트산에 대한 초기 시도는 대부분 북쪽(티베트) 측에서 이루어졌지만, 중국 공산 혁명과 그에 따른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합병으로 인해 해당 루트가 폐쇄되었다. 이후 등반가들은 네팔 쪽에서 접근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1952년 스위스 에베레스트 원정대는 네팔에서 등반하여 남동쪽 능선에서 8595m의 고도에 도달하여 새로운 등반 고도 기록을 세웠다.[5]

3. 1953년 영국 원정대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는 존 헌트 대령의 지휘 아래 에베레스트산 등정을 목표로 조직되었다. 알파인 클럽(영국)과 왕립 지리학회의 히말라야 공동 위원회는 헌트의 군 지휘 경험과 등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원정대장으로 임명했다.[6]

당초 에릭 쉽턴이 원정대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었으나, 위원회는 헌트가 탐험 성공 가능성을 더 높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쉽턴은 대규모 탐험과 경쟁적 등반에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한 바 있다.[7][8] 이러한 결정에 일부 대원들은 쉽턴에 대한 충성심으로 반발하기도 했지만, 헌트는 특유의 인품과 리더십으로 팀을 이끌었다.[9][10]

영국은 프랑스가 1954년에, 스위스가 1955년에 유사한 탐험을 할 수 있도록 허가를 받았기 때문에, 1956년 이후까지 에베레스트에 도전할 기회가 없을 수 있다는 압박을 느꼈다.[6]

원정대는 2월 12일 영국을 출발하여 봄베이를 거쳐 네팔로 향했다. 헌트는 해상 이동을 통해 대원들이 팀워크를 다지고, 스트레스 없이 원정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카트만두에서는 영국 대사 크리스토퍼 서머헤이즈의 도움을 받아 숙소를 마련했다.[11]

히말라야 클럽에서 선발된 20명의 셰르파들은 사르다르 텐징 노르가이의 지휘 아래 짐 운반을 담당했다. 텐징은 여섯 번의 에베레스트 등반 경험을 가진 베테랑 등반가였다.[12]

3. 1. 원정대 구성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는 존 헌트 대령을 중심으로 꾸려졌다. 알파인 클럽(영국)과 왕립 지리학회의 히말라야 공동 위원회는 헌트의 군 지휘 경험과 등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원정대장으로 임명했다.[6]

당초 에릭 쉽턴이 원정대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었으나, 위원회는 헌트가 탐험 성공 가능성을 더 높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쉽턴은 대규모 탐험과 경쟁적 등반에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한 바 있다.[7][8] 이러한 결정에 일부 대원들은 쉽턴에 대한 충성심으로 반발하기도 했지만, 헌트는 특유의 인품과 리더십으로 팀을 이끌었다.[9][10]

원정대는 등반가뿐만 아니라 의사, 생리학자, 사진작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등반 기술 외에도 각자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원정대의 성공적인 등반과 과학적 연구, 기록 작업을 지원했다.

원정대는 2월 12일 영국을 출발하여 봄베이를 거쳐 네팔로 향했다. 헌트는 해상 이동을 통해 대원들이 팀워크를 다지고, 스트레스 없이 원정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카트만두에서는 영국 대사 크리스토퍼 서머헤이즈의 도움을 받아 숙소를 마련했다.[11]

히말라야 클럽에서 선발된 20명의 셰르파들은 사르다르 텐징 노르가이의 지휘 아래 짐 운반을 담당했다. 텐징은 여섯 번의 에베레스트 등반 경험을 가진 베테랑 등반가였다.[12]

3. 1. 1. 원정대원 명단

(1952년 11월 1일) 존 헌트원정대장, 등반가영국 육군 대령42 찰스 에반스부원정대장, 등반가의사33 조지 밴드등반가지질학 전공23 톰 보르디용등반가물리학자28 알프레드 그레고리등반가여행사 대표39 윌프리드 노이스등반가교사, 작가34 그리피스 퓨의사, 등반가생리학자43[39] 톰 스토바트촬영기사, 등반가카메라 기사38[33] 마이클 워드원정대 의사, 등반가의사27 마이클 웨스트마콧등반가통계학자27 찰스 와일리조직 비서, 등반가군인32 에드먼드 힐러리등반가양봉가33 조지 로우등반가교사28 텐징 노르가이등반가, 안내인38 셰르파 아눌루등반가, 안내인



원정대 참가자들은 등반 자격 외에도 필요한 기술과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성을 기준으로 선발되었다. 영국 출신이 대부분이었지만, 대영 제국영연방 소속 다른 국가 출신도 포함되었다.[38] 원정대장 헌트는 인도에서 태어났다.[6]

등반가들과 함께 런던 ''더 타임스'' 특파원 잔 모리스, 짐꾼 362명이 동행했다. 원정대는 티베트와 네팔 출신 셰르파 안내인 20명을 포함하여 총 400명이 넘었고, 총 약 4535.92kg의 짐을 운반했다.[40][41]

3. 2. 준비 과정

존 헌트는 영국 육군 대령으로, 최고사령부 연합군 유럽 주둔군에서 근무하던 중 알파인 클럽(영국)과 왕립 지리학회의 히말라야 공동 위원회로부터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탐험대의 지휘를 맡아달라는 요청을 받았다.[6] 위원회는 헌트의 군 지휘 경험과 등반가로서의 자질을 고려하여 탐험 성공에 가장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영국은 프랑스가 1954년에, 스위스가 1955년에 유사한 탐험을 할 수 있도록 허가를 받았기 때문에, 1956년 이후까지 에베레스트에 도전할 기회가 없을 수 있다는 압박을 느꼈다.[6]

에릭 쉽턴은 1951년 네팔에서 에베레스트 정찰 탐험을 이끌었고, 1952년에는 실패로 끝난 초오유 탐험을 이끌었으며, 이 탐험에서 선발된 등반가들이 대부분이었기에, 널리 지휘자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영국 탐험대의 몇몇 구성원들은 에릭 쉽턴에 대한 강한 충성심을 가지고 있었고, 그가 교체된 것에 불만을 품었다. 에드먼드 힐러리는 이러한 변화에 가장 반대하는 사람들 중 한 명이었지만, 헌트의 인격과, 변화가 잘못 처리되었음을 인정한 그의 말에 설득되었다.[9]

탐험대는 2월 12일, 영국 에식스 틸버리에서 봄베이로 향하는 S.S. ''스트라덴''호에 탑승하여 네팔로 출발했다. 단, 톰 보딜론, 그리피스 퓨, 그리고 헌트는 "부비동염" 감염을 해결하기 위해 수술을 받아야 했다.[6] 에반스와 알프레드 그레고리는 선발대로 2월 20일 카트만두로 항공편으로 이동했다. 힐러리와 로우는 뉴질랜드에서 네팔로 접근했는데, 로우는 해로, 힐러리는 항공편으로 이동했다.[6]

카트만두에서 탐험대는 당시 카트만두에 호텔이 없었기 때문에 영국 대사인 크리스토퍼 서머헤이즈[11]의 보살핌을 받았다. 3월 초, 히말라야 클럽에서 선발한 20명의 셰르파가 쿰부 빙하 서쪽과 남쪽 고개로 짐을 운반하기 위해 카트만두에 도착했다. 그들은 여섯 번째 에베레스트 등반을 시도하는 사르다르 텐징 노르게이의 지휘를 받았다.[12]

3. 2. 1. 훈련

존 헌트가 이끌었던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는 웨일스스노도니아에서 겨울 동안 초기 훈련을 실시했다. 페니고리드 호텔을 베이스 캠프로 삼아, 스노든 산과 글리더라우의 경사면에서 등산 기술을 연마했다.[6] 산소 장비 테스트는 캐펄 큐리그 근처 헬리그에 있는 클라이머스 클럽 오두막에서 진행되었다.

3. 2. 2. 장비

존 헌트는 탐험 자금 모금의 어려움을 회상하며, 히말라야 공동 위원회의 주요 과제 중 하나가 자금 조달이었다고 적었다.

초기 훈련은 겨울 동안 웨일스스노도니아에서 이루어졌다. 페니고리드 호텔이 베이스 캠프로 사용되었고, 팀은 스노든 산과 글리더라우의 경사면에서 등산 기술을 연마했다. 산소 장비 테스트는 캐펄 큐리그 근처 헬리그에 있는 클라이머스 클럽 오두막에서 진행되었다.

3. 3. 등반 과정

원정대는 1953년 3월 10일과 11일, 두 그룹으로 나뉘어 각각 150명과 200명의 짐꾼들과 함께 카트만두를 출발했다. 이들은 3월 26일과 27일에 탕보체에 도착하여 3월 26일부터 4월 17일까지 고도 적응 훈련을 가졌다.[1]

존 헌트는 두 명의 등반가로 구성된 세 차례의 공격을 계획했다. 첫 번째 공격대는 폐쇄 회로 산소 장비를 사용하는 톰 버딜런과 찰스 에번스였고, 두 번째 공격대는 개방 회로 산소 장비를 사용하는 에드먼드 힐러리텐징 노르가이였다.[2][3] 세 번째 공격대는 윌프 노이스와 마이크 워드로 구성될 예정이었다.[4]

원정대는 여러 개의 전진 캠프를 설치하며 점차 고도를 높여갔다. 4월 15일에는 해발 약 5913.12m에 캠프 II, 4월 22일에는 아이스폴 머리에 해발 약 6156.96m에 캠프 III, 5월 1일에는 해발 약 6400.80m에 전진 기지인 캠프 IV를 설치했다.[1] 5월 3일에는 해발 약 6705.60m에 캠프 V, 5월 4일에는 해발 약 7010.40m에 캠프 VI, 5월 17일에는 해발 약 7315.20m에 캠프 VII를 설치했다.[1] 5월 21일, 윌프리드 노이스와 셰르파 안눌루는 남부 안부 (해발 약 7924.80m 약간 아래)에 도달했다.

5월 26일, 버딜런과 에번스는 첫 번째 정상 공격을 시도했지만, 산소 장비 문제와 시간 부족으로 인해 해발 8750m의 사우스 서밋까지만 도달하고 하산해야 했다.[15]

힐러리와 텐징은 두 번째 공격조로 선발되어 5월 27일 등반을 시작, 5월 29일 오전 11시 30분, 에베레스트산 정상에 오르는 데 성공했다.[14]




3. 3. 1. 베이스캠프 설치

1953년 4월 12일, 원정대는 해발 5455m 지점에 베이스캠프를 설치했다.[14] 이들은 며칠 동안 쿰부 빙폭을 통과하는 루트를 개척했고, 이 길이 열리자 셰르파 팀은 수 톤의 물자를 베이스캠프로 이동시켰다.[14]

3. 3. 2. 전진 캠프 구축

에베레스트산. 영국 원정대가 택한 경로는 쿰부 빙벽을 거쳐, 서부 쿰에서 흘러나와(보이지 않음) 로체 면을 지나 남부 안부 (눈 덮인 지형, 맨 오른쪽)에 도달한 후, 남동 능선(오른쪽 하늘선)을 따라 정상으로 향했다.


첫 번째 대는 150명의 짐꾼과 함께 3월 10일 카트만두를 출발했고, 두 번째 대는 200명의 짐꾼과 함께 3월 11일에 출발했다. 그들은 각각 3월 26일과 27일에 탕보체에 도착했고, 3월 26일부터 4월 17일까지 고도 적응 훈련을 했다.[1]

헌트는 필요하다면 "세 번째이자 마지막 시도"를 포함하여 두 명의 등반가로 구성된 세 차례의 공격을 계획했다. 두 번의 연속적인 공격 이후에는 "체력을 회복"하고 캠프를 보충하기 위해 며칠간의 대기가 필요했다. 첫 두 번의 공격 계획은 5월 7일 헌트에 의해 발표되었다. 폐쇄 회로 산소 장비를 사용하는 첫 번째 공격대는 캠프 VIII에서 출발하여 남부 정상(가능하다면 정상)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실험적인 장비를 다룰 수 있는 사람이 보르딜론뿐이었기 때문에 톰 보르딜론과 찰스 에반스로 구성되었다. 개방 회로 산소 장비를 사용하는 두 번째 공격대는 가장 강력한 등반 조인 에드먼드 힐러리텐징 노르가이였으며, 남부 안부의 더 높은 곳에 위치한 캠프 IX에서 출발할 예정이었다.[2][3] 세 번째 공격대는 윌프 노이스와 마이크 워드로 구성될 예정이었다.[4]




3. 3. 3. 정상 공격

에베레스트산과 주변 지형


존 헌트가 선발한 첫 번째 등반 조인 톰 버딜런과 찰스 에번스는 1953년 5월 26일 정상으로 향했다.[15] 이들은 오후 1시에 해발 8750m의 사우스 서밋(South Summit)을 성공적으로 초등했으며, 최종 정상까지 100m 거리에 도달했다. 사우스 서밋과 정상 사이는 바위 위에 얇은 눈과 얼음이 덮인 능선으로 이어져 있었고, 힐러리 스텝이라는 바위 계단도 있었다. 에번스는 출발 전에 산소 장치의 밸브가 손상되어 1시간 이상 수리해야 했다. 이후 시간당 거의 약 304.80m라는 전례 없는 속도로 등반했으나, 약 8534.40m에서 소다 라임 카니스터를 교체할 때 에번스의 장치에 또 다른 문제가 발생했다. 버딜런이 고칠 수 없었지만, 에번스는 계속 등반했으나 숨쉬기가 고통스러웠다. 결국 이들은 오후 1시에 사우스 서밋(당시 가장 높은 정복 지점)에 도달했지만,[15] 병입 산소 장치 문제와 시간 부족으로 인해 오후 1시 20분에 하산해야 했다.[15]

1953년 5월 27일, 원정대의 두 번째 등반 조인 뉴질랜드인 에드먼드 힐러리와 네팔 출신 셰르파 텐징 노르가이가 두 번째 정상 공격을 시도했다. 노르가이는 이전에 1952년 스위스 원정대에서 에베레스트 최고 고도 기록을 세웠었다. 이들은 오전 6시 30분에 캠프 IX를 출발하여 오전 9시에 사우스 서밋에 도달했고, 1953년 5월 29일 오전 11시 30분에 사우스 콜 루트를 통해 정상에 올랐다. 하산하기 전에 사진을 찍고 눈 속에 과자와 작은 십자가를 묻어두었다.[14] 힐러리는 산소 장비 없이 정상에서 10분 동안 사진을 찍었는데, 이후 "손가락이 둔해지고 움직임이 느려졌다"고 말했다.[14] 정상에서 돌아온 힐러리는 조지 로에게 "음, 조지, 우리가 그 망할 놈을 해치웠어"라고 말했다.[16][17]

4. 등반 성공의 의의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의 성공 이후, 원정대장 존 헌트는 기사 작위를 받았고, 에드먼드 힐러리대영 제국 훈장 기사단장에 임명되었다.[23] 텐징 노르가이는 조지 메달을 수여받았는데, 일부에서는 이것이 그 당시의 "사소한 편견"을 반영한다고 평가하기도 했다.[25][26][27] 그러나 자와할랄 네루 인도 총리가 노르가이의 기사 작위를 거부했다는 주장도 있다.[28]

원정대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의 허바드 메달을 팀 단위로는 처음으로 받았으며, 헌트, 힐러리, 텐징에게는 개별 청동 메달이 제작되었다.[30] 이외에도 미국 지리학회의 컬럼 지리 메달, 왕립 지리학회의 설립자 메달, 왕립 중앙 아시아 학회의 로렌스 메달, 그리고 여러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6] 원정대 촬영 기사 톰 스토바트가 제작한 영화 ''에베레스트 정복''은 아카데미상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상 후보에 올랐다.[33][34]

힐러리와 텐징은 등반 성공을 팀워크의 결과로 강조했지만, 누가 먼저 정상에 올랐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텐징은 1955년 자서전에서 힐러리가 먼저였다고 밝혔다.[35] 힐러리는 힐러리 스텝을 오른 후, "우리가 목표에 도달했음이 분명해졌다. 오전 11시 30분이었고, 우리는 에베레스트 정상에 있었다!"라고 기록했다.[36]

5. 논란과 비판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는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했다. 특히, 원정대의 성공 이후 텐징 노르가이의 역할이 축소되었다는 논란이 있었다.

5. 1. 텐징 노르가이의 역할 축소 논란

에드먼드 힐러리텐징 노르가이가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에서 에베레스트 정상 등정에 성공한 후, 힐러리는 대영 제국 훈장 기사단장 훈장을, 헌트는 기사 작위를 받았다.[23] 반면 텐징 노르가이는 조지 메달을 받았는데,[25][26] 일부 평론가들은 이를 두고 텐징과 같은 사람들에게 가해진 "사소한 편견"을 반영한다고 비판했다.[27] 자와할랄 네루 인도 총리가 텐징의 기사 작위를 거부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28]

힐러리와 텐징은 등정 성공을 원정대 전체의 팀워크 덕분이라고 표현했지만, 누가 먼저 정상에 발을 디뎠는지에 대한 추측이 분분했다. 텐징은 1955년 자서전에서 힐러리가 먼저였다고 밝혔다.[35]

참조

[1] 뉴스 The man who "discovered" Everest http://news.bbc.co.u[...] 2003-10-20
[2] 서적 From First Sight to Summit: A Guide to the Literature on Everest up to the 1953 Ascent http://www.billbuxto[...] 2015-10-05
[3] 뉴스 Climbing Mount Everest is Work for Supermen https://select.nytim[...] 1923-03-18
[4] 뉴스 Hazards of The Alps. https://select.nytim[...] The New York Times 1923-08-29
[5] 웹사이트 Tenzing Norgay GM http://imagingeveres[...]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2007-06-21
[6] 문서 'Hunt, (Henry Cecil) John, Baron Hunt (1910–1998)'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Unjustifiable Risk? The Story of British Climbing Cicerone Press 2010
[8] 서적 Everest Exposed Collins 2005
[9] 뉴스 Obituary – Sir Edmund Hillar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8-01-11
[10] 서적 Everest Exposed
[11] 서적 Everest Exposed
[12] 서적 Everest Exposed
[13] 뉴스 Forget the Everest brawl: the real story is how Sherpas are taking control https://www.theguard[...] 2013-05-05
[14] 웹사이트 Mount Everest Expedition 1953 http://imagingeveres[...] Royal Geographical Society 2001–2003
[15] 웹사이트 Closed circuit oxygen system, high altitude oxygen http://www.velocityp[...] Velocitypress.com 2012-12-12
[16] 뉴스 Hillary mourned, both in Nepal and New Zealand https://web.archive.[...] The Times 2008-01-11
[17] 문서 High Adventure: The True Story of the First Ascent of Everest
[18] 서적 British culture and the end of empire 2001
[19] 서적 To the top: the story of Everest Walker Books 2003
[20] 뉴스 High Society https://www.theguard[...] The Observer 2003-03-30
[21] 웹사이트 The Press battle to report Everest climb https://www.bbc.com/[...] 2013-05-29
[22] 웹사이트 Everest Conquered https://medium.com/@[...] News UK Archives 2018-06-01
[23] 간행물 London Gazette 1953-06-12
[24] 뉴스 Tensing's Plans FROM OUR SPECIAL CORRESPONDENT The Times 1953-06-23
[25] 뉴스 'George Medal for Tensing – Award Approved by the Queen' The Times 1953-07-02
[26] 문서 'Tenzing Norgay [Sherpa Tenzing] (1914–1986)'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7] 서적 Unjustifiable Risk?
[28] 문서 Tenzing Norgay
[29] 간행물 London Gazette 1953-07-17
[30] 웹사이트 Archive: Eisenhower Meets with Hillary https://www.npr.org/[...] NPR 2003-04-25
[31] 간행물 London Gazette http://www.london-ga[...] London Gazette 1954-01-01
[32] 웹사이트 1953 Everest Expedition – News reached Britain on Coronation Day http://www.dorevilla[...]
[33] 웹사이트 Thomas Ralph Stobart, OBE http://imagingeveres[...]
[34] 웹사이트 The 26th Academy Awards (1954)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Oscars.org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014-10-04
[35] 서적 Unjustifiable Risk?
[36] 서적 Nothing Venture, Nothing Win Travel Book Club 1976
[37] 서적 Unjustifiable Risk?
[38] 서적 The Ascent of Everest 1953
[39] 뉴스 OBITUARIES: Griffith Pugh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1995-01-27
[40] 뉴스 Hillary of New Zealand and Tenzing reach the top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1953-06-02
[41] 뉴스 Love story: Jan Morris – Divorce, the death of a child and a sex change... but still together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8-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