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는 존 헌트 대령의 지휘 아래 에드먼드 힐러리와 텐징 노르가이가 인류 최초로 에베레스트 정상 등정에 성공한 사건이다. 이 원정은 19세기 중반 에베레스트가 세계 최고봉으로 확인된 이후 오랜 기간 이어진 등반 시도의 결실로, 훈련과 장비, 과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1953년 5월 29일, 힐러리와 텐징은 사우스 콜 루트를 통해 정상에 도달했으며, 이 소식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대관식 날 발표되어 더욱 큰 의미를 지녔다. 원정대의 성공은 인류의 도전 정신과 과학 기술 발전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평가받으며, 힐러리와 헌트는 기사 작위를, 텐징은 조지 메달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3년 영국 - 1953년 북해 홍수
1953년 북해 홍수는 강력한 폭풍 해일로 인해 네덜란드, 영국, 벨기에 연안 지역에 광범위한 침수 피해와 막대한 인명 피해를 야기했으며, 해안 방어 시설의 취약성을 드러내 대규모 해안 방어 시스템 구축의 계기가 되었다. - 1953년 5월 - 제3차 후크고지 전투
제3차 후크고지 전투는 한국 전쟁 중 개성 인근 후크 고지를 점령하려는 중공군과 이를 방어하는 유엔군 간의 치열한 공방전으로, 유엔군이 고지를 사수하고 "후크 1953" 전투 명예를 수여받았다. - 1953년 5월 - 닛산 쟁의
닛산 쟁의는 전후 일본 닛산 자동차에서 임금 인상 요구로 시작된 노동쟁의로, 사측의 강경 대응과 노조 분열로 노동조합이 패배하며 일본 노동 운동 쇠퇴의 사례로 남았다.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 | |
---|---|
지도 정보 | |
원정대 개요 | |
원정대 명칭 |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 |
목표 | 에베레스트 최초 등정 |
기간 | 1953년 |
국적 | 영국 |
주요 인물 | |
원정대장 | 존 헌트 대령 |
등반대 | 에드먼드 힐러리, 텐징 노르가이 |
등반 정보 | |
정상 등정일 | 1953년 5월 29일 11시 30분 (현지 시각) |
등반 경로 | 남동릉 |
등반 성공 | 에베레스트 최초 등정 성공 |
장비 및 보급품 | |
산소 공급 장치 | 이탈리아 회사에서 제작한 폐쇄 회로 산소 장비 |
식량 | 고열량 식품, 통조림 |
배경 | |
이전 시도 | 영국은 이전에도 여러 차례 에베레스트 등반을 시도했으나 실패함. |
정치적 중요성 |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대관식을 앞두고 영국 제국의 위상을 드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결과 및 영향 | |
세계적 명성 | 힐러리와 텐징은 세계적인 영웅이 됨. |
등반 기술 발전 | 등반 장비 및 기술 발전에 기여. |
탐험 시대의 상징 | 20세기 탐험 시대의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됨. |
2. 배경
19세기 중반, 에베레스트산이 세계 최고봉으로 확인된 이후,[1] 많은 산악인들이 등정을 꿈꿨다. 1920년대부터 본격적인 등반 시도가 시작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과 티베트 지역의 정치적 상황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1924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에서 조지 맬러리가 실종되면서 에베레스트 등정은 더욱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었다.[3][4] 1950년대 초, 중국의 티베트 합병으로 북쪽 루트가 폐쇄되면서, 등반가들은 네팔 쪽 루트를 통해 에베레스트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2. 1. 초기 시도와 실패
1850년대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확인된[1] 에베레스트산은 알피니즘의 황금기 동안 관심의 대상이 되었지만, 그 높이 때문에 등반이 가능할지 의문이 제기되었다. 1885년, 클린턴 토마스 덴트는 자신의 저서 《눈 위》에서 에베레스트산 등반이 가능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2] 실질적인 문제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20년대까지 의미 있는 등반 시도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조지 맬러리는 에베레스트 등반 이유에 대해 "거기 있으니까"라고 말한 것으로 인용되는데, 이 문구는 "등산계에서 가장 유명한 세 단어"라고 불린다.[3][4] 맬러리는 1924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에서 에베레스트산에서 실종되었으며, 그의 시신은 75년 동안 미스터리로 남아있었다.에베레스트산에 대한 초기 시도는 대부분 북쪽(티베트) 측에서 이루어졌지만, 중국 공산 혁명과 그에 따른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합병으로 인해 해당 루트가 폐쇄되었다. 이후 등반가들은 네팔 쪽에서 접근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1952년 스위스 에베레스트 원정대는 네팔에서 등반하여 남동쪽 능선에서 8595m의 고도에 도달하여 새로운 등반 고도 기록을 세웠다.[5]
3. 1953년 영국 원정대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는 존 헌트 대령의 지휘 아래 에베레스트산 등정을 목표로 조직되었다. 알파인 클럽(영국)과 왕립 지리학회의 히말라야 공동 위원회는 헌트의 군 지휘 경험과 등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원정대장으로 임명했다.[6]
당초 에릭 쉽턴이 원정대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었으나, 위원회는 헌트가 탐험 성공 가능성을 더 높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쉽턴은 대규모 탐험과 경쟁적 등반에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한 바 있다.[7][8] 이러한 결정에 일부 대원들은 쉽턴에 대한 충성심으로 반발하기도 했지만, 헌트는 특유의 인품과 리더십으로 팀을 이끌었다.[9][10]
영국은 프랑스가 1954년에, 스위스가 1955년에 유사한 탐험을 할 수 있도록 허가를 받았기 때문에, 1956년 이후까지 에베레스트에 도전할 기회가 없을 수 있다는 압박을 느꼈다.[6]
원정대는 2월 12일 영국을 출발하여 봄베이를 거쳐 네팔로 향했다. 헌트는 해상 이동을 통해 대원들이 팀워크를 다지고, 스트레스 없이 원정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카트만두에서는 영국 대사 크리스토퍼 서머헤이즈의 도움을 받아 숙소를 마련했다.[11]
히말라야 클럽에서 선발된 20명의 셰르파들은 사르다르 텐징 노르가이의 지휘 아래 짐 운반을 담당했다. 텐징은 여섯 번의 에베레스트 등반 경험을 가진 베테랑 등반가였다.[12]
3. 1. 원정대 구성
1953년 영국 에베레스트 원정대는 존 헌트 대령을 중심으로 꾸려졌다. 알파인 클럽(영국)과 왕립 지리학회의 히말라야 공동 위원회는 헌트의 군 지휘 경험과 등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원정대장으로 임명했다.[6]당초 에릭 쉽턴이 원정대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었으나, 위원회는 헌트가 탐험 성공 가능성을 더 높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쉽턴은 대규모 탐험과 경쟁적 등반에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한 바 있다.[7][8] 이러한 결정에 일부 대원들은 쉽턴에 대한 충성심으로 반발하기도 했지만, 헌트는 특유의 인품과 리더십으로 팀을 이끌었다.[9][10]
원정대는 등반가뿐만 아니라 의사, 생리학자, 사진작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등반 기술 외에도 각자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원정대의 성공적인 등반과 과학적 연구, 기록 작업을 지원했다.
원정대는 2월 12일 영국을 출발하여 봄베이를 거쳐 네팔로 향했다. 헌트는 해상 이동을 통해 대원들이 팀워크를 다지고, 스트레스 없이 원정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카트만두에서는 영국 대사 크리스토퍼 서머헤이즈의 도움을 받아 숙소를 마련했다.[11]
히말라야 클럽에서 선발된 20명의 셰르파들은 사르다르 텐징 노르가이의 지휘 아래 짐 운반을 담당했다. 텐징은 여섯 번의 에베레스트 등반 경험을 가진 베테랑 등반가였다.[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