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는 특별시장·도지사, 시·읍·면 의회의원, 시·읍·면장을 주민이 직접 선출하는 방식으로 치러졌다.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특별시·도의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이 195석, 신민당이 70석, 무소속이 216석을 차지했다. 12월 15일 시·읍·면 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이 2,781석, 무소속이 13,688석을 얻었다. 12월 26일 실시된 시장, 읍장, 면장 선거에서는 민주당이 332명, 신민당이 21명, 무소속이 1,110명을 당선시켰다. 12월 29일 특별시장 및 도지사 선거에서는 민주당 6명, 신민당 3명, 무소속 1명이 당선되었으나,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지방 자치는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 대한민국의 선거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4·19 혁명 후 의원내각제 헌법에 따라 최초로 민의원과 참의원을 동시에 선출한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는 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났으나, 민주당 내 갈등과 정치 불안정으로 민주주의 정착 과제를 남겼다. - 1960년 대한민국의 선거 - 1960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1960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의원들의 사퇴 및 피살로 발생한 결원을 보충하기 위해 1월 23일, 10월 10일, 12월 30일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자유당, 민주당, 한국사회당, 무소속 후보들이 당선되었고 일부 선거구는 결과 자료가 없다. - 1960년 12월 - 식민지 독립부여선언
식민지 독립부여선언은 1960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결의안으로, 모든 민족의 자결권과 식민 지배 종식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여 탈식민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식민 지배를 경험한 국가들에게 독립의 기반을 제공했다. - 1960년 12월 - 1960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확장 드래프트
1960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확장 드래프트는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와 워싱턴 세너터스 창단을 위해 기존 팀들이 보호 선수 명단을 제출하고 신생팀들이 드래프트를 통해 선수들을 영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드래프트이다. - 1960년 11월 - 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60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이 압승을 거두었지만 득표율은 소폭 감소했고 일본사회당은 참패했으며, 자유민주당의 '소득 배증 계획'이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어 일본 고도 경제 성장 시대를 여는 계기가 되었다. - 1960년 11월 -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존 F. 케네디가 리처드 닉슨과의 치열한 경쟁 끝에 승리했으며, 텔레비전 토론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선거 부정 의혹과 앨라배마주 선거 결과 불확실성 등 다양한 논란을 남겼다.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 |
---|---|
선거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국기 연도 | 1949년 |
유형 | 의회 |
선거명 | 1960년 지방 선거 |
이전 선거 | 1956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56년 |
차기 선거 |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
차기 선거 연도 | 1991년 |
선거일 | 1960년 12월 12일 (광역의원) 12월 19일 (기초의원) 12월 26일 (기초단체장) 12월 29일 (광역단체장) |
정당명 | no |
정당색 | yes |
선출 의석 | 광역단체장 10석 기초단체장 1,467석 광역의원 485석 기초의원 16,851석 |
주요 정당 1 | |
![]() | |
리더 1 | 장면 |
직책 1 | 대표최고위원 |
정당 1 | 민주당 |
의석 1 | 광역단체장 6석 기초단체장 332석 광역의원 195석 기초의원 2,781석 |
주요 정당 2 | |
![]() | |
리더 2 | 백남훈 |
직책 2 | 준비위원장 |
정당 2 | 신민당 |
의석 2 | 광역단체장 3석 기초단체장 21석 광역의원 70석 기초의원 325석 |
지도 | |
![]() |
2. 배경
1960년, 특별시장·도지사 직선제를 골자로 한 제3차 지방자치법이 통과되었다. 이승만 정부에서도 지방 선거는 치러졌으나, 서울시장과 도지사는 대통령 임명제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제2공화국은 수립과 함께 지방자치제 실현을 위해 이 법을 마련하였다.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특별시·도의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과 무소속 후보가 강세를 보였다. 민주당은 195석, 무소속은 216석을 차지했으며, 신민당은 70석, 사회대중당은 2석, 기타 정당은 4석을 얻었다.[1]
1960년 4월 4·19 혁명으로 자유당 정권이 붕괴된 후, 제5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출범한 민주당 정권 하에서 11월 1일에 제5차 개정 지방자치법에 따라 지방 선거가 실시되었다.[1] 이 선거는 제2공화국 출범 후 여당이 된 민주당과, 장면 정권의 각료 배분 문제로 민주당을 탈당한 구파(한국민주당의 계보를 잇는 그룹)가 결성한 신민당 간의 대결 구도로 진행되었다.[1]
3. 특별시·도의회의원 선거
정당별 득표율은 민주당이 42.2%, 무소속이 43.3%로 나타났다. 신민당은 13.3%, 사회대중당은 0.3%, 기타 정당은 0.6%를 기록했다.[1]시·도 의원
정수후보자 수 정당별 당선자 수 비고 민주당 신민당 사회
대중당기타 무소속 당선자
합계서울특별시 54 351 19 17 0 1 17 54 기타 1석은 한국독립당. 경기도 46 217 21 11 14 46 충청북도 26 94 9 3 14 26 충청남도 48 188 18 8 1 21 48 기타 1석은 재향군인회. 전라북도 48 178 26 5 17 48 전라남도 66 241 18 19 1 28 66 기타 1석은 농민회. 경상북도 73 305 29 3 2 39 73 경상남도 80 321 42 2 36 80 강원도 28 102 10 1 1 16 28 기타 1석은 재향군인회. 제주도 18 57 3 1 14 18 합계 487 2,054 195 70 2 4 216 487
3. 1. 개요
1960년 12월 12일 특별시 및 도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1] 이 선거에는 20세 이상의 유권자 11,263,445명이 참여하여 487석의 의석을 선출하였다.[1] 투표율은 67.4%를 기록했다.[1]
정당 | 의석 수 | ||||
---|---|---|---|---|---|
특별시 | 도 | 합계 | 증감 | ||
bgcolor="" | | 민주당 | 19 | 176 | 195 | +97 |
bgcolor="" | | 신민당 | 17 | 53 | 70 | 신설 |
bgcolor="" | | 사회대중당 | 0 | 2 | 2 | 신설 |
기타 정당 | 1 | 3 | 4 | +4 | |
bgcolor="" | | 무소속 | 17 | 199 | 216 | +133 |
합계 | 54 | 433 | 487 | +50 | |
출처: 중앙선거관리위원회[1] |
3. 2. 결과
1960년 12월 12일 특별시 및 도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1]시·도 | 의원 정수 | 정당별 당선자 수 | 비고 | ||||||
---|---|---|---|---|---|---|---|---|---|
민주당 | 신민당 | 사회 대중당 | 기타 | 무소속 | 당선자 합계 | ||||
서울특별시 | 54 | 19 | 17 | 0 | 1 | 17 | 54 | 기타 1석은 한국독립당. | |
경기도 | 46 | 21 | 11 | 14 | 46 | ||||
충청북도 | 26 | 9 | 3 | 14 | 26 | ||||
충청남도 | 48 | 18 | 8 | 1 | 21 | 48 | 기타 1석은 재향군인회. | ||
전라북도 | 48 | 26 | 5 | 17 | 48 | ||||
전라남도 | 66 | 18 | 19 | 1 | 28 | 66 | 기타 1석은 농민회. | ||
경상북도 | 73 | 29 | 3 | 2 | 39 | 73 | |||
경상남도 | 80 | 42 | 2 | 36 | 80 | ||||
강원도 | 28 | 10 | 1 | 1 | 16 | 28 | 기타 1석은 재향군인회. | ||
제주도 | 18 | 3 | 1 | 14 | 18 | ||||
합계 | 487 | 2,054 | 195 | 70 | 2 | 4 | 216 | 487 |
총 투표율은 67.4%였다.[1]
1960년 12월 15일에는 시, 읍, 면 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민주당 | 신민당 | 사회대중당 | 무소속 | 기타 | |
---|---|---|---|---|---|
시 | 129 | 45 | 238 | 8 | |
읍 | 141 | 48 | 861 | 6 | |
면 | 2,510 | 241 | 3 | 12,578 | 44 |
투표율은 시 67.45%, 읍 77.5%, 면 83.7% 였다.
1960년 12월 26일에는 시장, 읍장, 면장 선거가 치러졌다.
민주당 | 신민당 | 무소속 | 기타 | |
---|---|---|---|---|
시장 | 12 | 5 | 9 | |
읍장 | 23 | 3 | 56 | |
면장 | 297 | 13 | 1,045 | 4 |
투표율은 시장 선거 54.6%, 읍장 선거 72.7%, 면장 선거 81.6%였다.
3. 3. 지역별 결과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특별시 및 도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1]지역 | 민주당 | 신민당 | 사회대중당 | 기타 | 무소속 | 합계 |
---|---|---|---|---|---|---|
서울특별시 | 19 | 17 | 0 | 1 | 17 | 54 |
경기도 | 21 | 11 | 0 | 0 | 14 | 46 |
강원도 | 10 | 1 | 0 | 1 | 16 | 28 |
충청북도 | 9 | 3 | 0 | 0 | 14 | 26 |
충청남도 | 18 | 8 | 0 | 1 | 21 | 48 |
전라북도 | 26 | 5 | 0 | 0 | 17 | 48 |
전라남도 | 18 | 19 | 0 | 1 | 28 | 66 |
경상북도 | 29 | 3 | 2 | 0 | 39 | 73 |
경상남도 | 42 | 2 | 0 | 0 | 36 | 80 |
제주도 | 3 | 1 | 0 | 0 | 14 | 18 |
총 487명의 의원 중 민주당은 195석, 신민당은 70석, 사회대중당은 2석, 기타 정당은 4석, 무소속은 216석을 차지하였다.[1]
4. 시·읍·면의회의원 선거
1960년 12월 29일에 실시된 시·읍·면의회의원 선거는 완전연기식 투표 제도를 채택하여 진행되었다.[1] 의회 해산 등으로 인해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국 25개 시, 80개 읍, 1,343개 면에서 실시되었다.
시의회 의원 선거에는 1,995,994명, 읍의회 의원 선거에는 989,574명, 면의회 의원 선거에는 7,128,216명의 선거인 수를 기록하였다. 선거 결과, 총 420명의 시의회 의원, 1,056명의 읍의회 의원, 15,376명의 면의회 의원이 선출되었다.
4. 1. 개요
1960년 12월 19일 시, 읍, 면 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1]시의회 의원 선거는 총 1,995,994명의 선거인 중 62.6%가 투표에 참여하여 420명의 의원을 선출하였다. 읍의회 의원 선거는 72개 읍에서 734,538명의 선거인 중 88%인 649,544명이 투표하여 1,055명의 의원을 선출하였다. 면의회 의원 선거는 1,308개 면에서 5,689,917명의 선거인 중 93%인 5,295,462명이 투표하여 15,376명의 의원을 선출하였다.[3] 면의회 의원 선거 투표율은 시, 읍의회 의원 선거보다 높아 지방의원 선거에 대한 면 지역 주민들의 높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정당별 득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 | 시 의석수 | 읍 의석수 | 면 의석수 | |
---|---|---|---|---|
bgcolor="" | | 민주당 | 129 | 142 | 2,510 |
bgcolor="" | | 신민당 | 45 | 39 | 241 |
bgcolor="" | | 사회대중당 | 0 | 0 | 3 |
기타 정당 | 8 | 2 | 44 | |
bgcolor="" | | 무소속 | 238 | 872 | 12,578 |
합계 | 420 | 1,055 | 15,376 | |
출처: 중앙선거관리위원회[1] |
4. 2. 결과
1960년 12월 19일 시, 읍, 면 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1]정당 | 시 | 읍 | 면 | |||||||
---|---|---|---|---|---|---|---|---|---|---|
의석수 | +/– | 의석수 | +/– | 의석수 | +/– | |||||
민주당 | 129 | +75 | 142 | +85 | 2,510 | +2,279 | ||||
신민당 | 45 | 신규 | 39 | 신규 | 241 | 신규 | ||||
사회대중당 | 0 | 신규 | 0 | 신규 | 3 | 신규 | ||||
기타 정당 | 8 | –2 | 2 | +1 | 44 | +11 | ||||
무소속 | 238 | +61 | 872 | +481 | 12,578 | +8,294 | ||||
합계 | 420 | +4 | 1,055 | +65 | 15,376 | –172 | ||||
출처: 중앙선거관리위원회[1] |
5. 시·읍·면장 선거
1960년 12월 26일 시장, 읍장, 면장 선거가 실시되었다.[1]
이 선거에서는 서울특별시장과 도지사를 포함한 모든 자치단체장을 주민 직접선거로 선출했으며, 선거권 연령이 21세에서 20세로 낮아졌다. 특별시·도의원 선거는 단기식 투표, 시·읍·면의원 선거는 완전연기식 투표, 서울특별시장 선거는 중복투표 방식을 채택했다. 피선거권 연령은 서울특별시장·도지사는 30세 이상, 시·읍·면장은 25세 이상이었다. 부재자 우편투표 제도가 도입되었다.
1,518개 시·읍·면 중 1,468곳에서 선거가 실시되었으며, 선거인 수와 부재자 수는 다음과 같다.
구분 | 선거인 수 | 부재자 수 |
---|---|---|
시장 선거 | 2,035,429명 | 42,561명 |
읍장 선거 | 1,021,388명 | 27,617명 |
면장 선거 | 7,228,937명 | 222,248명 |
5. 1. 개요
1960년 12월 26일 시장, 읍장, 면장 선거가 실시되었다.[1]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정당 | 시 | 읍 | 면 | ||||||||||
---|---|---|---|---|---|---|---|---|---|---|---|---|---|
득표수 | % | 시장 | 증감 | 득표수 | % | 읍장 | 증감 | 득표수 | % | 면장 | 증감 | ||
민주당 | 12 | +12 | 23 | +22 | 297 | +288 | |||||||
신민당 | 5 | 신규 | 3 | 신규 | 13 | 신규 | |||||||
기타 정당 | 0 | – | 0 | – | 4 | +3 | |||||||
무소속 | 9 | +5 | 56 | +36 | 1,045 | +802 | |||||||
무효/기권 | – | – | – | – | – | – | – | – | – | ||||
합계 | 100 | 26 | +20 | 100 | 82 | +52 | 100 | 1,359 | +815 | ||||
등록 유권자/투표율 | 2,035,429 | 54.6 | – | – | 1,021,388 | 72.7 | – | – | 7,228,937 | 81.6 | – | – | |
출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5. 2. 결과
1960년 12월 26일에 시장, 읍장, 면장 선거가 실시되었다.[1]정당 | 시 | 읍 | 면 | |
---|---|---|---|---|
당선자 수 | 당선자 수 | 당선자 수 | ||
민주당 | 12 | 23 | 297 | |
신민당 | 5 | 3 | 13 | |
기타 정당 | 0 | 0 | 4 | |
무소속 | 9 | 56 | 1,045 | |
합계 | 26 | 82 | 1,359 | |
등록 유권자/투표율 | 2,035,429/54.6% | 1,021,388/72.7% | 7,228,937/81.6% | |
출처: 중앙선거관리위원회[1] |
민주당이 332명, 신민당이 21명, 기타 정당이 4명, 무소속이 1,110명의 당선자를 냈다.
5. 3. 시·읍·면장 당선자 명단
6. 특별시장·도지사 선거
1960년 12월 29일에 실시된 특별시장 및 도지사 선거에서는 민주당이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6개 지역, 신민당이 3개 지역, 무소속이 1개 지역에서 승리하였다.
지역 | 민주당 | 신민당 | 기타 | 무소속 | 합계 |
---|---|---|---|---|---|
경기도 | 27 | 1 | 2 | 154 | 184 |
강원도 | 13 | 1 | 63 | 77 | |
충청북도 | 13 | 1 | 85 | 99 | |
충청남도 | 37 | 3 | 120 | 160 | |
전라북도 | 40 | 3 | 1 | 121 | 164 |
전라남도 | 54 | 4 | 1 | 159 | 218 |
경상북도 | 58 | 169 | 227 | ||
경상남도 | 55 | 165 | 220 | ||
제주특별자치도 | 10 | 10 |
6. 1. 개요
1960년 12월 29일에 특별시장 및 도지사 선거가 주민 직선제로 실시되었으며, 총 10명의 단체장을 선출하였다. 투표율은 38.8%로 저조했다.[1]특별시/도 | 투표율 | 당선 시장/도지사 | 정당 |
---|---|---|---|
서울 | 36.4% | 김상돈 | align="left" |민주당 |
경기 | 32.8% | 신광균 | align="left" |민주당 |
강원 | 47.8% | 박영록 | align="left" |민주당 |
충북 | 44.5% | 조대연 | align="left" |민주당 |
충남 | 39.8% | 이기세 | align="left" |신민당 |
전북 | 42.7% | 김상술 | align="left" |민주당 |
전남 | 44.2% | 민영남 | align="left" |신민당 |
경북 | 35.8% | 이호근 | align="left" |민주당 |
경남 | 33.2% | 이기주 | align="left" |신민당 |
제주 | 62.2% | 강성익 | align="left" |무소속 |
당시 적용된 선거 제도 및 선출 인원은 다음과 같다.
- 선거 제도
- 서울특별시장과 도지사를 포함한 모든 자치단체장을 주민 직접선거로 선출하였다.
- 선거권 연령을 21세에서 20세로 낮췄다.
- 특별시·도의원 선거는 단기식 투표, 시·읍·면의원 선거는 완전연기식 투표 방식을 사용하였다.
- 서울특별시장 선거는 중복투표를 채택했다.
- 피선거권 연령은 서울특별시장·도지사는 30세 이상, 시·읍·면장은 25세 이상이었다.
- 부재자 우편투표 제도가 도입되었다.
- 선출 인원
- 서울특별시의회 및 도의회 의원: 487명
- 시·읍·면의회 의원: 의회 해산으로 아직 임기 만료되지 않은 1시·2읍·9면과 수복지구 임시 행정 조치법 적용을 받고 있는 3읍·45면, 선거 연기로 임기가 연장된 8면 및 선거 연기 중인 3면을 제외한 지역에서 실시하였다.
- 시: 25시 420명
- 읍: 80읍 1,056명
- 면: 1,343면 15,376명
- 시·읍·면장: 1,518개 시·읍·면 중 1,468곳에서 실시하였다.
- 서울특별시장 및 도지사 선거: 서울특별시와 9도에서 실시하였다.
- 선거 인구
- 서울특별시·도의회 선거: 11,263,445명 (부재자 수: 250,472명)
- 시·읍·면의회 선거:
- 시의회 선거: 1,995,994명 (부재자 수: 46,560명)
- 읍의회 선거: 989,574명 (부재자 수: 27,901명)
- 면의회 선거: 7,128,216명 (부재자 수: 233,385명)
- 시·읍·면장 선거:
- 시장 선거: 2,035,429명 (부재자 수: 42,561명)
- 읍장 선거: 1,021,388명 (부재자 수: 27,617명)
- 면장 선거: 7,228,937명 (부재자 수: 222,248명)
- 서울특별시장 및 도지사 선거: 11,343,336명 (부재자 수: 271,461명)
6. 2. 결과
1960년 12월 29일 특별시장 및 도지사 선거에서는 민주당 소속 6명 (김상돈 (서울특별시), 신광균 (경기도), 박영록 (강원도), 조대연 (충청북도), 김상술 (전라북도), 이호근 (경상북도)), 신민당 소속 3명 (이기세 (충청남도), 민영남 (전라남도), 이기주 (경상남도)), 무소속 1명 (강성익 (제주도))이 당선되었다.지역 | 후보명 | 소속 정당 | 득표율 |
---|---|---|---|
서울특별시 | 김상돈 | 민주당 | 60.3% |
경기도 | 신광균 | 민주당 | 26.7% |
강원도 | 박영록 | 민주당 | 22.9% |
충청북도 | 조대연 | 민주당 | 45.9% |
충청남도 | 이기세 | 신민당 | 55.5% |
전라북도 | 김상술 | 민주당 | 41.7% |
전라남도 | 민영남 | 신민당 | 45.2% |
경상북도 | 이호근 | 민주당 | 32.6% |
경상남도 | 이기주 | 신민당 | 38.2% |
제주도 | 강성익 | 무소속 | 26.7% |
특별시/도 | 투표율 | 당선 시장/도지사 | 소속 정당 |
---|---|---|---|
서울 | 36.4% | 김상돈 | 민주당 |
경기 | 32.8% | 신광균 | 민주당 |
강원 | 47.8% | 박영록 | 민주당 |
충북 | 44.5% | 조대연 | 민주당 |
충남 | 39.8% | 이기세 | 신민당 |
전북 | 42.7% | 김상술 | 민주당 |
전남 | 44.2% | 민영남 | 신민당 |
경북 | 35.8% | 이호근 | 민주당 |
경남 | 33.2% | 이기주 | 신민당 |
제주 | 62.2% | 강성익 | 무소속 |
6. 3. 지역별 결과
지역 | 후보명 | 소속정당 | 득표율 |
---|---|---|---|
서울특별시 | 김상돈 | 민주당 | 60.3% |
경기도 | 신광균 | 민주당 | 26.7% |
강원도 | 박영록 | 민주당 | 22.9% |
충청북도 | 조대연 | 민주당 | 45.9% |
충청남도 | 이기세 | 신민당 | 55.5% |
전라북도 | 김상술 | 민주당 | 41.7% |
전라남도 | 민영남 | 신민당 | 45.2% |
경상북도 | 이호근 | 민주당 | 32.6% |
경상남도 | 이기주 | 신민당 | 38.2% |
제주도 | 강성익 | 무소속 | 26.7% |
특별시/도 | 투표율 | 당선 시장/도지사 | 정당 |
---|---|---|---|
서울특별시 | 36.4% | 김상돈 | 민주당 |
경기도 | 32.8% | 신광균 | 민주당 |
강원도 | 47.8% | 박영록 | 민주당 |
충청북도 | 44.5% | 조대연 | 민주당 |
충청남도 | 39.8% | 이기세 | 신민당 |
전라북도 | 42.7% | 김상술 | 민주당 |
전라남도 | 44.2% | 민영남 | 신민당 |
경상북도 | 35.8% | 이호근 | 민주당 |
경상남도 | 33.2% | 이기주 | 신민당 |
제주도 | 62.2% | 강성익 | 무소속 |
7. 의의 및 한계
1960년 지방선거는 모든 자치단체장과 의원을 주민 직선으로 선출하여 한국 지방자치의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5·16 군사정변으로 지방자치가 중단되면서, 그 성과가 온전히 이어지지 못했다. 이후 1987년 6월 항쟁의 결과로 대한민국 제6공화국이 출범하면서 지방자치가 부활하였고,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7. 1. 5.16 군사정변과 지방자치의 중단
선거 결과, 도시 지역에서는 민주당과 신민당이 경합을 벌였고, 농어촌 지역에서는 구 자유당 계열의 무소속 후보들이 선전하였다. 또한, 최초로 지역 주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 서울시장과 도지사 선거는 민주당이 우세하였다. 이 선거는 기초자치단체와 광역자치단체의 모든 단체장과 의원을 주민이 직접 선거로 선출했다는 점에서 한국의 지방 자치에 큰 의미를 가져왔다. 그러나 선거 후 1년도 채 되지 않은 1961년 5월에 군사 쿠데타가 발생하고, 곧이어 발령된 포고령으로 지방의회가 해산되고 단체장도 국가에 의한 임명제가 되면서 지방 자치는 중단되었다. 따라서 한국에서의 본격적인 지방 자치의 시작은 1987년 민주화 운동 결과 출범한 제6공화국까지 미뤄졌다.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선거사 제1집
http://elecinfo.nec.[...]
[2]
웹인용
신민당, 12 지방선거에 담화 "3·15 무색케 할 부정선거 자행"
https://newslibrary.[...]
2019-05-20
[3]
서적
大韓民國選擧社 第一輯 (1948.5.10~1972.10.16)
http://elecinfo.nec.[...]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6-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