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65년 선거권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5년 선거권법은 미국에서 인종 차별적인 투표 관행을 금지하고 투표권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이다. 이 법은 1965년 8월 6일 린든 B. 존슨 대통령이 서명했으며,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비롯한 소수 민족의 투표율을 크게 증가시켰다. 법은 일반 조항과 특별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투표 과정에서의 차별을 금지하고, 특정 주 및 지방 정부의 선거 절차에 대한 연방 정부의 감독을 규정한다. 주요 조항으로는 문맹 테스트, 거주 요건 제한, 연방 검사관 파견 등이 있으며, 사전 승인 제도를 통해 선거법 변경 시 연방 정부의 승인을 받도록 했다. 1965년 선거권법은 투표 거부 및 희석을 금지하고, 이후 인종 투표 희석에 이의를 제기하는 주요 도구로 사용되었다. 이 법은 합헌성 논란을 거쳤으며, 2013년 대법원 판결로 사전 승인 조항의 효력이 약화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5년 8월 - 와츠 폭동
    1965년 로스앤젤레스 와츠 지역에서 인종차별, 경찰 폭력, 사회경제적 불평등으로 인해 발생한 와츠 폭동은 6일간 지속되며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했고, 미국 사회의 인종 갈등과 불평등을 드러낸 중요한 사건이다.
  • 1965년 8월 - 인민혁명당 사건
    인민혁명당 사건은 1964년과 1975년에 발생한 두 차례의 사건으로, 박정희 정권 하에서 정치적 탄압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2000년대 조사 결과 조작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관련자들이 무죄 판결을 받았으나, 사건에 대한 해석은 여전히 대립하며 민주주의와 인권에 대한 논쟁을 촉발했다.
  •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역사 - 블루스
    블루스는 19세기 후반 미국 남부 흑인들의 노동요에서 기원한 음악 장르로, 슬픔과 우울함을 표현하며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하여 여러 장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나, 그 기원과 초기 역사는 불분명하다.
  •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역사 -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은 로드니 킹 사건 무죄 판결에 대한 흑인 사회의 분노와 인종 간 긴장, 경찰의 과잉 진압, 경제적 불평등, 한인-흑인 사회 갈등 등 복합적 요인으로 발생하여 6일간 로스앤젤레스 전역에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하고 미국 사회의 인종 및 경찰 폭력 문제를 드러낸 사건이다.
1965년 선거권법
법률 정보
법률 명칭1965년 투표권법
원어 명칭Voting Rights Act of 1965
약칭VRA
발효일1965년 8월 6일
제정 의회제89대 미국 의회
법률 인용미국법 공법 89-110
법령집 인용미국 법령집 79권 437페이지
수정 법률1970년 투표권법 수정
1965년 투표권법, 1975년 수정
1982년 투표권법 수정
1992년 투표권 언어 지원법
패니 루 해머, 로사 파크스, 코레타 스콧 킹, 세사르 E. 차베스, 바버라 C. 조던, 윌리엄 C. 벨라스케스, 헥터 P. 가르시아 박사 투표권법 재승인 및 수정법 2006년
관련 미국 대법원 판례South Carolina v. Katzenbach,
Katzenbach v. Morgan,
Cardona v. Power,
Allen v. State Board of Elections,
Gaston County v. United States,
Oregon v. Mitchell,
City of Richmond v. United States,
East Carroll Parish Sch. Bd. v. Marshall,
Beer v. United States,
United Jewish Organizations v. Carey,
Mobile v. Bolden,
City of Rome v. United States,
Escambia County v. McMillan,
Mississippi Republican Executive Committee v. Brooks,
Thornburg v. Gingles,
Clark v. Roemer,
Chisom v. Roemer,
Houston Lawyers' Association v. Attorney General of Texas,
Presley v. Etowah County Comm'n,
Growe v. Emison,
Voinovich v. Quilter,
Shaw v. Reno,
Holder v. Hall,
Johnson v. De Grandy,
Miller v. Johnson,
Morse v. Republican Party of Virginia,
Shaw v. Hunt,
Bush v. Vera,
Lopez v. Monterey County,
Young v. Fordice,
Reno v. Bossier Parish School Board,
Abrams v. Johnson,
Foreman v. Dallas County,
City of Monroe v. United States,
Texas v. United States,
Lopez v. Monterey County,
Reno v. Bossier Parish School Board,
Branch v. Smith,
Georgia v. Ashcroft,
League of United Latin American Citizens v. Perry,
Riley v. Kennedy,
Bartlett v. Strickland,
Northwest Austin Municipal Utility District No. 1 v. Holder,
Perry v. Perez,
Shelby County v. Holder,
Alabama Legislative Black Caucus v. Alabama,
Bethune-Hill v. Virginia State Bd. of Elections,
Cooper v. Harris,
North Carolina v. Covington,
Abbott v. Perez,
North Carolina v. Covington,
Brnovich v.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Allen v. Milligan,
소관합중국 법전 제52편 - 투표 및 선거
제안 법안상원 법안 S. 1564
제안자마이크 맨스필드(민주–MT)
제안일1965년 3월 17일
위원회상원 법사위
상원 통과일1965년 5월 26일
상원 통과 투표 결과77–19
하원 수정안 통과일1965년 7월 9일
하원 수정안 통과 투표 결과333–85
회의 날짜1965년 7월 29일
하원 통과일1965년 8월 3일
하원 통과 투표 결과328–74
상원 통과일1965년 8월 4일
상원 통과 투표 결과79–18
대통령 서명린든 B. 존슨
대통령 서명일1965년 8월 6일

2. 배경

미국 헌법은 초기에 각 주에 거주민의 유권자 자격을 결정할 수 있는 완전한 재량권을 부여했다.[198][199] 남북 전쟁 이후, 재건 수정 헌법이라 불리는 세 개의 수정 헌법이 비준되어 이러한 재량권을 제한했다. 수정 제13조(1865)는 노예제를 금지했다. 수정 제14조(1868)는 "미국에서 태어나거나 귀화한" 모든 사람에게 시민권을 부여하고, 모든 사람에게 적법 절차와 평등 보호를 받을 권리를 보장했다. 수정 제15조(1870)는 "미국 시민의 투표할 권리는 인종, 피부색 또는 이전의 노예 신분을 이유로 미국 또는 어떤 주에서도 거부되거나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고 규정했다. 이들 수정 헌법은 또한 연방 의회에 "적절한 법률 제정"을 통해 해당 조항을 집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200]

연방 의회는 재건 수정 헌법을 집행하기 위해 1870년대에 시행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시민의 투표권을 방해하는 행위를 범죄로 규정하고, 유권자 등록을 포함한 선거 절차에 대한 연방 정부의 감독을 규정했다.[201] 그러나 1875년 미국 대법원은 ''미국 대 크루크샹크''와 ''미국 대 리스'' 사건에서 이 법의 일부를 위헌으로 판결했다.[202] 재건 시대가 1877년에 끝난 후, 이 법의 집행은 불안정해졌고, 1894년에 연방 의회는 그 조항의 대부분을 폐지했다.[201]

남부 주들은 재건 시대와 그 이후에도 인종적 소수자들의 선거권을 박탈하려 했다. 1868년부터 1888년까지 남부 전역에서 선거 부정과 폭력 행위로 인해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투표가 억압되었다.[203] 1888년부터 1908년까지 남부 주들은 짐 크로우 법을 제정하여 선거권 박탈을 합법화했다. 그들은 주 헌법을 개정하여 다양한 투표 제한 법률을 통과시켰는데, 여기에는 문맹 퇴치 시험, 인두세, 재산 소유 요건, 도덕적 품성 테스트, 유권자 등록 신청자가 특정 문서를 해석해야 하는 요구 사항, 그리고 조상들이 투표한 경우 그렇지 않으면 자격이 없는 사람들이 투표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조부 조항이 포함되었다. 이 조부 조항은 조상이 노예였거나 기타 부적격자로 간주된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을 제외했다.[201][203] 이 기간 동안 대법원은 대체로 인종적 소수자를 차별하려는 노력을 지지했다. 1903년 ''길스 대 해리스'' 판결에서 대법원은 수정 제15조에도 불구하고 사법부가 각 주에 인종적 소수자의 투표 등록을 강제할 수 있는 구제 권한이 없다고 판결했다.[202]

1950년대에 민권 운동은 연방 정부에 인종적 소수자의 투표권을 보호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1957년 연방 의회는 재건 시대 이후 최초의 투표권 법안인 1957년 시민권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법무부 장관이 수정 제15조의 권리를 침해당한 사람들을 대신하여 금지 명령을 통한 구제를 요청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고, 소송을 통해 시민권을 집행하기 위해 법무부 내에 민권국을 창설했으며, 투표권 박탈을 조사하기 위해 시민권 위원회를 창설했다. 1960년 시민권법에서는 연방 법원이 인종 소수자에 대한 투표 차별을 실행하는 관할 구역에서 유권자 등록을 수행하기 위해 심판관을 임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등 추가적인 보호 조치가 제정되었다.[194]

이러한 법들은 연방의 투표권 침해를 구제하기 위해 법원에 권한을 부여했지만, 엄격한 법적 기준 때문에 법무부가 소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웠다. 예를 들어, 문맹 테스트를 유지하는 주를 상대로 차별 소송에서 승소하려면 법무부는 인종 소수자의 거부된 유권자 등록 신청이 백인의 수락된 신청과 유사하다는 것을 증명해야 했다. 이는 주 내 각 카운티에서 수천 건의 신청서를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했으며, 몇 달이 걸릴 수도 있었다. 법무부의 노력은 또한 지역 선거 관리들의 저항으로 인해 더욱 방해를 받았다. 이들은 인종 소수자의 유권자 등록 기록을 분실했다고 주장하거나, 등록된 인종 소수자를 선거인 명부에서 제거하거나, 유권자 등록이 중단되도록 사임했다. 게다가 법무부는 많은 연방 미국 지방 법원 판사들이 인종 소수자의 선거권을 반대했기 때문에 구제를 받기 전에 소송을 여러 번 제기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1957년부터 1964년 사이에 남부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유권자 등록률은 법무부가 71건의 투표권 소송을 제기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202]

연방 의회는 1964년 시민권법을 제정하여 공공 시설과 정부 서비스에서 인종적 소수자에 대한 만연한 차별에 대응했다. 이 법에는 일부 투표권 보호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등록관이 각 유권자에게 서면으로 동등하게 문맹 테스트를 시행하고 사소한 오류가 포함된 신청서를 수락하도록 요구했으며, 6학년 교육을 받은 사람이 투표할 만큼 충분히 문해력이 있다는 반증 가능한 추정을 만들었다.[199][204][205] 그러나 민권 운동 지도자들의 로비에도 불구하고 이 법은 대부분의 형태의 투표 차별을 금지하지 않았다.[206] 미국 대통령 린든 B. 존슨은 이를 인식하고, 민주당이 의회의 양원에서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한 1964년 선거 직후, 법무 장관 니콜라스 카첸바흐에게 "당신이 할 수 있는 가장 끈질기고 강력한 투표권 법안"을 초안하라고 비공식적으로 지시했다.[199] 그러나 존슨은 당시 법안을 공개적으로 추진하지 않았다. 그의 보좌관들은 의회가 1964년 시민권법을 통과시킨 직후에 투표권 법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에 대한 정치적 대가를 경고했고, 존슨은 투표권을 옹호하는 것이 의회의 남부 민주당을 화나게 하여 위대한 사회 개혁을 위험에 빠뜨릴 것이라고 우려했다.[199]

패니 루 해머는 꽃무늬 드레스를 입은 흑인 여성이다. 그녀는 회의에서 말을 하고 있다. 그녀는 앉아 있다. 사진은 흑백이다.
자유 농장 협동조합의 설립자인 패니 루 해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투표권에 관해 SNCC를 대신하여 연설한다.


1964년 선거 이후,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SCLC) 및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와 같은 시민권 단체들은 인종 소수자의 투표권을 보호하기 위한 연방 조치를 촉구했다.[206] 그들의 노력은 앨라배마주의 시위, 특히 셀마 시에서 절정에 달했는데, 그곳에서 짐 클라크 카운티 보안관의 경찰력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유권자 등록 노력을 폭력적으로 저항했다. SNCC의 제임스 포먼은 셀마에서의 투표권 추진에 대해 "우리의 전략은 평소와 같이 체포가 발생할 경우 미국 정부가 개입하도록 강요하는 것이었고, 만약 그들이 개입하지 않는다면 그 무대응은 다시 한번 정부가 우리 편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여 흑인들 사이에 대중적 의식의 발달을 강화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드라이브에 대한 우리의 슬로건은 '1인 1표'였습니다."라고 말했다.[206]

1965년 1월,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제임스 베벨[207][208] 및 다른 시민권 지도자들은 셀마에서 여러 차례의 평화 시위를 조직했다. 1월과 2월 내내 이러한 시위는 전국적인 언론 보도를 받았고 투표권 문제에 대한 관심을 끌었다. 킹과 다른 시위자들은 2월 1일 반 퍼레이드 조례를 위반한 혐의로 체포되었는데, 이는 다음 날 비슷한 행진을 촉발하여 수백 명의 체포를 유발했다.[206] 2월 4일, 시민권 지도자 말콤 엑스는 셀마에서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킹의 비폭력적 접근 방식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강경한 연설을 했다.[206] 그는 나중에 백인들이 킹을 지지하도록 겁을 주기를 원했다고 개인적으로 말했다.[199] 다음 날 킹이 석방되었고, 투표권을 다룬 그가 쓴 편지 "셀마 감옥에서 온 편지"가 ''뉴욕 타임스''에 게재되었다.[206]

셀마와 투표권에 대한 전국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존슨 대통령은 투표권 법안을 연기하려는 결정을 번복했다. 2월 6일, 그는 의회에 제안서를 보낼 것이라고 발표했다.[199] 존슨은 제안의 내용을 밝히거나 의회에 언제 제출될지 밝히지 않았다.[206]

2월 18일 앨라배마주 매리언에서 주 경찰이 야간 투표권 행진을 폭력적으로 진압했고, 그 과정에서 제임스 보나드 파울러 경관이 비무장 상태에서 어머니를 보호하던 젊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시위자 지미 리 잭슨을 사살했다.[206][209] 이 사건에 자극받아 제임스 베벨의 제안으로[206][207][208][210] 3월 7일 SCLC와 SNCC는 셀마에서 몽고메리 행진의 첫 번째 행진을 시작했고, 셀마 주민들은 투표권 문제를 강조하고 조지 월리스 주지사에게 불만을 제시하기 위해 앨라배마의 수도인 몽고메리로 행진할 계획이었다. 첫 번째 행진에서 시위자들은 셀마 근처의 에드먼드 페터스 다리에서 기마 경찰에 의해 저지당했다. 경찰은 군중에게 최루 가스를 발사하고 시위대를 짓밟았다. "피의 일요일"로 알려진 장면의 텔레비전 녹화물은 전국적으로 분노를 불러일으켰다.[202]

3. 입법 과정

1965년 선거권법 이전, 기존의 연방 반차별법으로는 주 정부의 투표 차별을 막기에 충분하지 않았다.[7] 1957년, 1960년, 1964년 민권법은 투표 차별에 대한 소송을 용이하게 했지만, 소송 준비의 어려움, 주 정부의 지연 전술, 법원 명령 무시 등으로 인해 효과가 미미했다.[35] 이에 의회는 새롭고 포괄적인 연방 법안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7]

사우스캐롤라이나 대 카첸바흐 판례에서 미국 대법원은 의회가 제15차 수정 헌법에 따른 집행 권한에 따라 1965년 투표권법을 통과시킬 권한이 있다고 판결했다. 대법원은 의회가 사례별 소송의 부적절성을 인지하고, 특정 지역의 투표 차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법을 제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36]

1965년 선거권법은 특정 주 및 지방 정부를 겨냥한 특별 조항을 담고 있었다. 이 조항은 "적용 공식"에 따라 특정 관할 구역("피적용 관할 구역")을 결정하고, 이들 지역이 투표 절차를 변경할 경우 사전 승인을 받도록 했다. 또한, 문맹 퇴치 시험과 같은 "시험 또는 장치"를 중단시키고, 연방 검사관과 참관인을 파견할 수 있도록 했다. 이 특별 조항은 5년 후 만료될 예정이었다.[21][22][39]

적용 범위 공식은 의회 내 논쟁의 대상이었다. 이 공식은 1964년 11월 1일에 "시험 또는 장치"를 유지하고, 유권자 연령 거주자 중 50% 미만이 투표 등록을 하거나 투표한 관할 구역에 적용되었다.[21] 법안이 남부 관할 구역을 부당하게 겨냥한다는 우려를 완화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적용되는 투표 차별 금지 조항과 "구제" 조항이 포함되었다.[40][39]

3. 1. 상원

1965년 3월 17일, 마이크 맨스필드 상원 다수당 대표와 에버렛 디르크센 상원 소수당 대표는 공동으로 선거권법 법안(S. 1564)을 발의했다.[37] 이 법안에는 특정 주 및 지방 정부를 대상으로 하는 "적용 공식", "사전 승인" 요건, 연방 검사관 파견 등의 특별 조항이 포함되었다.[21][22][39]

이 법안은 상원 법사 위원회에서 심의되었는데, 위원장인 제임스 이스트랜드 상원 의원을 비롯한 여러 남부 상원 의원들이 법안에 반대했다.[19][38] 법안 심의 과정에서 테드 케네디 상원 의원은 인두세를 금지하는 수정안을 제안했다. 미국 헌법 수정 제24조는 연방 선거에서 인두세 사용을 금지했지만, 존슨 행정부는 법원이 위헌 판결을 내릴 것을 우려하여 주 선거에서 인두세를 금지하는 조항을 포함하지 않았다.[22][27] 결국 인두세 금지 조항은 삭제되었지만, 법무부 장관이 모든 관할 구역을 상대로 인두세 사용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이 포함되었다.[27][39]

상원 전체 회의에서는 법안에 대한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샘 어빈 상원 의원은 이 법안이 주 정부의 권한을 침해하고 위헌이라고 주장했다.[19] 5월 25일, 상원은 토론 종결 투표에서 70 대 30으로 찬성하여 법안에 대한 추가 토론을 제한했다.[43] 5월 26일, 상원은 77 대 19 (민주당 47 대 16, 공화당 30 대 2)로 법안을 통과시켰다.[19][44]

3. 2. 하원

에마뉘엘 셀러 (민주-뉴욕) 미국 하원 법사위원회 위원장은 1965년 3월 19일 미국 하원에서 선거권법을 H.R. 6400으로 발의했다.[38] 하원 법사위원회는 이 법안을 처음 심의한 위원회로, 5월 12일에 법안을 통과시켰지만, 6월 1일에 위원회 보고서를 제출했다.[19] 이 법안에는 소위원회에서 투표권을 방해하는 사적 개인에 대한 처벌과 모든 인두세 금지, 두 가지 수정안이 포함되었다. 인두세 금지는 미국 하원의장 존 윌리엄 매코맥의 지지를 얻었다.

윌리엄 무어 맥컬로크는 선거권법을 무력화하기 위해 대체 법안인 H.R. 7896을 발의했다. 이 법안은 법무 장관이 한 관할 구역에 대해 25건의 심각한 차별 민원이 접수된 후 연방 등록관을 임명할 수 있도록 했으며, 6학년 교육을 이수했음을 증명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전국적인 문맹 테스트 금지를 부과했을 것이다. 맥컬로크의 법안은 하원 소수당 대표 제럴드 포드(공화-미시간)가 공동 발의했으며, 선거권법의 대안으로 남부 민주당원들의 지지를 받았다.[19] 그러나 윌리엄 M. 턱(민주-버지니아)이 흑인들이 투표할 수 있도록 정당하게 보장할 것이기 때문에 H.R. 7896을 선호한다고 공개적으로 말한 후 H.R. 7896에 대한 지지가 약화되었다. 그의 발언은 H.R. 7896 지지자 대부분을 소외시켰고, 법안은 7월 9일 하원 본회의에서 171-248표로 부결되었다.[45] 그날 밤 늦게 하원은 선거권법을 333-85표(민주당 221-61, 공화당 112-24)로 통과시켰다.[19][38][46]

3. 3. 양원 협의회

양원은 법안의 하원 안과 상원 안 사이의 차이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정 위원회를 임명했다. 주요 논쟁은 인두세 조항에 관한 것이었다. 상원 안은 법무장관이 인두세를 차별에 사용한 주를 고소하는 것을 허용했지만, 하원 안은 모든 인두세를 전면적으로 금지했다.[19] 처음에 위원회 위원들은 교착 상태에 놓였다. 타협을 중재하기 위해, 법무장관 카젠바흐는 인두세가 위헌임을 명시적으로 주장하는 입법 문구를 작성하고 법무부에 인두세를 유지하는 주를 고소하도록 지시했다. 이 조항이 충분히 강력하지 않다는 자유주의적 위원회 위원들의 우려를 완화하기 위해 카젠바흐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도움을 받아 그가 이 타협안을 지지하도록 했다. 킹의 지지로 교착 상태가 끝났고, 7월 29일, 조정 위원회는 위원회에서 자체 수정안을 보고했다.[19] 하원은 8월 3일 328 대 74로 (민주당 217–54, 공화당 111–20) 이 조정 보고서 법안을 통과시켰고,[47] 상원은 8월 4일 79 대 18로 (민주당 49–17, 공화당 30–1) 통과시켰다.[19][48][49] 1965년 8월 6일, 미국 대통령 린든 B. 존슨, 로자 파크스, 존 루이스 및 다른 시민권 지도자들이 서명식에 참석한 가운데 이 법에 서명했다.[19]

4. 주요 조항

이 법은 전국적으로 적용되는 일반 조항 외에 특정 주 및 지방 정부에만 적용되는 "특별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235] 이 법의 핵심 특별 조항은 제5조 사전 승인 요건으로, 특정 사법 관할 구역이 미국 법무장관 또는 워싱턴 D.C.의 연방 지방 법원으로부터 투표법 변경이 보호받는 소수 집단에 대한 차별을 야기하지 않는다는 사전 승인을 받지 않고는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변경을 시행하는 것을 금지한다.[195]

제5조를 포함한 대부분의 특별 조항은 제4조 (b)항에 명시된 '''적용 공식'''(Coverage formula)에 의해 포함되는 사법 관할 구역에 적용된다. 이 "적용 공식"은 당초 1965년에 심각한 투표 차별을 행한 사법 관할 구역을 포함하도록 고안되었으며, 연방 의회는 1970년과 1975년에도 적용 공식을 갱신했다.

1964년 상원 선거 이후 민주당이 양원 의석의 3분의 2를 차지했지만,[19]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남부 민주당이 다른 시민권 운동에 반대했기 때문에 이 법안에 대해 의사진행 방해를 할까 봐 걱정했다. 그는 공화당의 지지를 얻기 위해 에버렛 디르크센 상원 소수당 대표를 끌어들였다.

적용 범위 공식의 범위는 의회에서 논쟁의 대상이었다. 적용 범위 공식은 (1) 1964년 11월 1일에 관할 구역이 "시험 또는 장치"를 유지했고, (2) 1964년 11월 1일에 유권자 연령의 거주자 중 50% 미만이 투표 등록을 하거나 1964년 11월 대통령 선거에서 투표 용지를 행사한 경우 관할 구역에 적용되었다.[21] 이 공식은 딥 사우스 이외의 지역에는 거의 적용되지 않았다.

2013년 셸비 카운티 대 홀더 사건에서 연방 대법원은 이 적용 공식을 위헌으로 판결했는데, 그 이유는 현재 상태에 더 이상 대응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196] 대법원은 제5조를 무효라고 판단하지 않았지만, "적용 공식"이 없으면 제5조는 집행할 수 없다.[197]
특별 조항의 종류

1965년 선거권법의 특별 조항
조항내용
제4조 (b)특정 주 및 지방 정부를 특별 조항의 적용 대상으로 지정하는 기준을 정의하는 적용 공식을 규정한다.
제5조적용 대상 지역이 선거법 변경 전에 연방 정부의 승인을 받도록 요구하는 사전 승인 요건을 규정한다.
제3조 (c)법원이 특정 관할 구역에 대해 사전 승인 절차를 따르도록 명령할 수 있는 포함 조항을 규정한다.
제6조 및 제8조유권자 등록 및 선거 과정을 감독하기 위한 연방 검사관 및 감찰관 파견 조항을 규정한다.
제4조 (a)적용 대상 지역이 특정 요건을 충족하면 적용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도록 하는 구제 조치 조항을 규정한다.
제4조 (f)(4) 및 제203조 (c)특정 지역에서 영어 외 다른 언어로 된 선거 자료를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이중 언어 선거 요건을 규정한다.


4. 1. 일반 조항

이 법은 전국적으로 적용되는 일반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제2조는 어떤 주나 지방 정부도 인종, 피부색, 또는 언어 소수자임을 이유로 투표권을 부인하거나 침해하는 것을 금지한다.[229] [236]

제201조는 투표 등록 또는 투표를 위해 "시험 또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한다. "시험 또는 장치"는 문맹 테스트, 교육 또는 지식 요구 사항, 선량한 인격 증명, 투표 시 다른 사람의 보증을 받는 요구 사항을 의미한다.[269] 의회는 이 금지 조항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영구화했다.[214] 제202조는 대통령 선거에서 투표하기 위한 거주 기간 요건을 30일로 제한한다.[271]

제11조는 유권자를 위한 추가적인 보호 조항을 담고 있다.

  • 제11조(a)는 법적 권한을 가진 사람이 자격 있는 유권자의 투표를 거부하거나, 투표용지를 집계하지 않는 것을 금지한다.
  • 제11조(b)는 투표하거나 투표하려는 사람을 위협, 괴롭힘, 강요하는 것을 금지한다.[229]
  • 제11조(c)는 연방 선거에서 허위 유권자 등록 신청서를 제출하는 것을 금지한다.
  • 제11조(e)는 연방 선거에서 이중 투표를 금지한다.[272][273]


제208조는 영어를 읽을 수 없거나 장애가 있는 유권자가 자신이 선택한 보조자와 함께 투표소에 들어갈 수 있도록 허용한다. 단, 보조자는 해당 유권자의 고용주나 노동조합 대리인이 될 수 없다.[228]

4. 2. 특별 조항

2008년 1월 현재의 적용 공식에 포함된 주 및 카운티 (구제된 관할 구역 제외)


1965년 선거권법에는 특정 주 및 지방 정부에만 적용되는 "특별 조항"이 있다.[235] 이 법의 핵심 특별 조항은 제5조 사전 승인 요건으로, 특정 사법 관할 구역이 미국 법무장관 또는 워싱턴 D.C.의 연방 지방 법원으로부터 투표법 변경이 보호받는 소수 집단에 대한 차별을 야기하지 않는다는 사전 승인을 받지 않고는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변경을 시행하는 것을 금지한다.[195]

제5조를 포함한 대부분의 특별 조항은 제4조 (b)항에 명시된 '''적용 공식'''(Coverage formula)에 의해 포함되는 사법 관할 구역에 적용된다. 이 "적용 공식"은 당초 1965년에 심각한 투표 차별을 행한 사법 관할 구역을 포함하도록 고안되었으며, 연방 의회는 1970년과 1975년에도 적용 공식을 갱신했다. 2013년 셸비 카운티 대 홀더 사건에서 연방 대법원은 이 적용 공식을 위헌으로 판결했는데, 그 이유는 현재 상태에 더 이상 대응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196] 대법원은 제5조를 무효라고 판단하지 않았지만, "적용 공식"이 없으면 제5조는 집행할 수 없다.[197]
특별 조항의 종류

1965년 선거권법의 특별 조항
조항내용
제4조 (b)특정 주 및 지방 정부를 특별 조항의 적용 대상으로 지정하는 기준을 정의하는 적용 공식을 규정한다.
제5조적용 대상 지역이 선거법 변경 전에 연방 정부의 승인을 받도록 요구하는 사전 승인 요건을 규정한다.
제3조 (c)법원이 특정 관할 구역에 대해 사전 승인 절차를 따르도록 명령할 수 있는 포함 조항을 규정한다.
제6조 및 제8조유권자 등록 및 선거 과정을 감독하기 위한 연방 검사관 및 감찰관 파견 조항을 규정한다.
제4조 (a)적용 대상 지역이 특정 요건을 충족하면 적용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도록 하는 구제 조치 조항을 규정한다.
제4조 (f)(4) 및 제203조 (c)특정 지역에서 영어 외 다른 언어로 된 선거 자료를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이중 언어 선거 요건을 규정한다.


5. 영향

1965년 선거권법은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1965년 말까지 25만 명의 새로운 흑인 유권자가 등록되었으며, 이 중 3분의 1은 연방 조사관에 의해 등록되었다.[151] 법 제정 후 투표에서 인종 차별이 즉시 감소했고, 문맹 테스트 중단 및 연방 조사관과 참관인 배치로 다수의 소수 인종이 투표 등록을 할 수 있게 되었다.[91] 1965년에는 약 25만 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등록했으며, 이 중 3분의 1은 연방 조사관에 의해 등록되었다.[152] 적용 대상 관할 구역에서는 1965년에 아프리카계 미국인 인구의 3분의 1 미만(29.3%)이 등록되었지만, 1967년에는 절반 이상(52.1%)으로 증가했으며,[91] 13개 남부 주 중 9개 주에서 다수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주민이 투표 등록을 했다.[152]

아프리카계 미국인 선출직 공무원의 수도 유사하게 증가했다. 1965년과 1985년 사이에 11개 전 남부 연합 주에서 주 의원으로 선출된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3명에서 176명으로 증가했다.[153] 전국적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 선출 공무원의 수는 1970년 1,469명에서 1980년 4,912명으로 증가했고,[118] 2011년에는 약 10,500명이었다.[154] 1975년 의회가 이중 언어 선거 요건을 제정하고 1992년에 개정한 후 언어 소수 집단의 등록률도 증가했다. 1973년에는 투표 등록한 히스패닉계의 비율이 34.9%였지만 2006년에는 거의 두 배로 증가했고, 1996년 아시아계 미국인의 투표 등록자 수는 2006년까지 58% 증가했다.[52]

이 법은 소수 민족의 투표 접근을 막기 위해 고안된 전술에 대항하는 초기 성공 이후, 주로 인종 투표 희석에 이의를 제기하는 도구로 사용되었다.[91] 1970년대부터 법무 장관은 차별적인 병합, 선거구 재조정 계획, 대표성 선거 시스템, 결선 투표 요건 및 단독 투표 금지 등 인종 소수자의 투표 효력을 감소시키는 투표 변경에 대해 섹션 5의 이의를 제기했다.[137] 1965년에서 2006년 사이에 이루어진 사전 승인 이의의 81%(2,541건)가 투표 희석을 근거로 했다.[137] 섹션 2에 따라 제기된 주장 또한 주로 투표 희석과 관련이 있었다.[91] 1982년 섹션 2 결과 테스트 생성 이후 2006년까지 최소 331건의 섹션 2 소송에서 판결이 발표되었다. 1980년대에는 섹션 2 소송의 60%가 대표성 선거 시스템에 이의를 제기했고, 1990년대에는 37.2%가 대표성 선거 시스템에, 38.5%가 선거구 재조정 계획에 이의를 제기했다. 전체적으로 원고는 331건의 소송 중 37.2%에서 승소했으며, 적용 대상 관할 구역에 대한 소송에서 승소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155]

이 법은 소수 민족의 선거권을 부여함으로써 민주당과 공화당의 정치 재편성을 촉진했다. 1890년과 1965년 사이에 흑인 유권자의 투표권 박탈은 민주당이 남부 정치를 지배하도록 했다. 존슨 대통령이 이 법에 서명한 후 새로 선거권을 얻은 흑인 유권자들은 남부 전역에서 민주당을 좌파로 밀어붙이기 시작했고, 이는 남부 백인 보수주의자들이 민주당에서 공화당으로 지지 정당을 바꾸도록 했다.[156] 이러한 추세는 두 정당이 이념적으로 양극화되면서 민주당은 더 진보적이 되고 공화당은 더 보수적이 되도록 했다.[156] 또한 두 정당 간의 경쟁을 만들었고,[156] 공화당은 남부 전략을 실행함으로써 이를 활용했다.[157] 그 후 수십 년 동안 인종 투표 희석 주장을 해결하기 위한 다수-소수 선거구의 생성 또한 이러한 발전에 기여했다. 진보적인 성향의 소수 인종을 소수의 다수-소수 선거구에 집중시킴으로써 주변의 많은 선거구가 더욱 확고한 백인, 보수주의적, 공화당 지지 성향을 갖게 되었다. 이는 의도한 대로 소수 인종의 선출 대표성을 증가시킨 반면 백인 민주당 대표성을 감소시키고 전체적으로 공화당의 대표성을 증가시켰다.[156] 1990년대 중반까지 이러한 추세는 정치적 재편성으로 절정에 달했다. 민주당과 공화당은 각각 진보 및 보수 정당으로 정의되면서 이념적으로 더 양극화되었고, 양당 모두 남부에서 선거 승리를 위해 경쟁하게 되었으며,[156] 공화당이 남부 정치의 대부분을 통제하게 되었다.[19]

연구에 따르면 이 법은 특히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이에서 투표율과 유권자 등록을 성공적으로 대폭 증가시켰다.[160][161] 또한 이 법은 흑인 인구 비율이 더 높은 지역에 대한 더 큰 공공재 제공(예: 공교육) 및 시민권 관련 법안에 찬성하는 더 많은 의원과 같은 구체적인 결과와 관련이 있다.[159][158] 2016년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의 연구에 따르면 "사전 승인 요건이 적용되는 관할 구역을 대표하는 의원들이 적용 대상이 아닌 관할 구역을 대표하는 입법자들보다 시민권 관련 법안에 훨씬 더 많은 지지를 보였다."[159] 2013년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연구에 따르면 이 법은 투표율을 높이고 주 정부에서 흑인 인구가 더 많은 지역 사회로의 공공재 이전을 증가시켰다.[158] ''The Journal of Politics''의 2018년 연구에 따르면 1965년 선거권법의 섹션 5는 "흑인 유권자 등록을 14~19% 포인트 증가시켰고, 백인 등록을 10~13% 포인트 증가시켰으며, 전체 투표율을 10~19% 포인트 증가시켰다. 민주당 득표율에 대한 추가 결과는 투표율의 이러한 전반적인 증가의 일부가 반동적인 백인으로부터 왔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160] ''American Economic Journal''의 2019년 연구에 따르면 사전 승인은 소수 민족의 투표율을 실질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심지어 2012년(사전 승인을 종료하는 대법원 판결 전년도)까지도 증가했다.[161] 이 연구는 사전 승인으로 인해 소수 민족 투표율이 17% 포인트 증가했다고 추정한다.[161] 2020년 연구에 따르면 2013년 미국 대법원 Shelby County v. Holder 판결 이후 사전 승인을 받았던 관할 구역은 유권자 등록 정지율이 대폭 증가했다. 이 판결에서 연방 정부의 승인을 위해 선거 정책 변경 사항을 제출해야 하는 관할 구역을 결정하는 VRA 섹션 4(b)의 "적용 범위 공식"이 폐지되었다.[162] 또 다른 2020년 연구에 따르면 VRA 적용 범위는 정치적 폭력 발생률과 발생을 절반으로 줄였다.[163]

6. 합헌성 논란

미국 수정 헌법 제15조를 구체화한 1965년 선거권법은 여러 조항에 대한 합헌성 논란이 있었다. 1966년 사우스캐롤라이나 대 카첸바흐 사건에서 미국 대법원은 투표권법이 수정 헌법 제15조를 시행하기 위한 합헌적인 방법이라고 판결했다.[314][315] 같은 해 카첸바흐 대 모건 사건에서는 푸에르토리코 학교와 같이 스페인어 사용이 많은 미국의 학교에서 6학년 교육을 받은 시민에게 문맹 테스트를 실시하는 것을 금지하는 제4조 (e)의 합헌성을 지지했다.[308]

1970년 오리건 대 미첼 사건에서 대법원은 문맹 테스트 및 유사한 모든 제도를 전국적으로 금지하는 제201조를 합헌으로 판단했다.[271][312] 또한, 대통령 선거에서 주민 투표를 허용하기 위해 해당 지역 내 30일 이상 거주를 요구하는 것을 금지한 제202조의 합헌성도 지지했다. 연방 선거에서 투표 가능한 최저 연령을 18세로 낮추는 조항은 지지했지만, 주 선거에서 투표 연령을 18세로 낮추는 것은 의회의 권한을 넘어선 것이라고 판결했다. 이는 1971년 비준된 미국 헌법 수정 제26조에 앞선 것이었다.

차별적인 선거법에 대한 일반적인 금지를 포함하는 제2조의 합헌성은 대법원에서 명확하게 설명되지 않았다. 1982년 수정된 제2조는 차별적인 효과가 있는 투표법을 금지하고 있다. 1984년 미시시피 주 공화당 집행부 의견 대 브룩스 사건에서 대법원은 하급심의 제2조 합헌 판단을 약식으로 긍정했다.

대법원은 세 건의 소송에서 제5조의 사전 심사 요건의 합헌성을 지지했다. 1966년 사우스캐롤라이나 대 카첸바흐 사건,[314] 1980년 로움 시 대 미국 사건,[316] 1999년 로페즈 대 몬트레이 카운티 사건[317]에서였다.

2013년 셸비 카운티 대 홀더 사건에서 대법원은 제4조 (b)의 적용 공식이 위헌이라고 판결했다.[196][282] 그러나 제5조 자체는 유지되었기 때문에, 의회가 새로운 적용 공식을 제정하면 다시 시행될 수 있다.[197] 2021년 브르노비치 대 민주당 전국 위원회 사건에서는 제2조 사전 승인 조항이 관할 구역 밖 투표 또는 투표 수집에 적용될 수 없다고 판결했다.[14][10]

참조

[1] 웹사이트 Public Law 91-285 http://www.gpo.gov/f[...] 1970-06-22
[2] 웹사이트 Public Law 94-73 http://www.gpo.gov/f[...] 1975-08-06
[3] 웹사이트 Public Law 97-205 http://www.gpo.gov/f[...] 1982-06-29
[4] 웹사이트 Public Law 102-344 http://www.gpo.gov/f[...] 1992-08-26
[5] 웹사이트 Public Law 109-246 http://www.gpo.gov/f[...] 2006-07-27
[6] 웹사이트 Public Law 110-258 http://www.gpo.gov/f[...] 2008-07-01
[7] 웹사이트 History of Federal Voting Rights Laws: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s://www.just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2017-07-28
[8] 웹사이트 Voting Rights Act http://nvrmi.com/?pa[...] National Voting Rights Museum and Institute
[9]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Federal Voting Rights Laws: The Effect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s://www.justice.[...] U.S. Department of Justice 2009-06-19
[10] 웹사이트 Brnovich, Attorney General of Arizona, et al. v.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et al. https://www.supremec[...] 2021-07-01
[11] 웹사이트 About Section 5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s://www.justice.[...] U.S. Department of Justice
[12] 문서 Shelby County v. Holder
[13] 웹사이트 Details on Shelby County v. Holder: In Plain English http://www.scotusblo[...] 2013-06-25
[14] 웹사이트 The Supreme Court Deals A New Blow To Voting Rights, Upholding Arizona Restrictions https://www.npr.org/[...] 2021-07-01
[15] 논문 Black Empowerment and White Mobilization: The Effects of the Voting Rights Act 2023-07
[16] 논문 Are We There Yet? The Voting Rights Act and Black Representation on City Councils, 1981–2006 https://doi.org/10.1[...] 2013
[17] 논문 Race, Representation,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US South: The Effect of the Voting Rights Act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3-04
[18] 문서 United States Constitution art. I, sec. 2, cl. 1
[19] 서적 Bending Toward Justice: The Voting Rights Act and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n Democracy https://archive.org/[...] Basic Books 2013-04-09
[20] 웹사이트 Landmark Legislation: Thirteenth, Fourteenth, & Fifteenth Amendments https://www.senate.g[...] United States Senate
[21] 문서 South Carolina v. Katzenbach
[22] 서적 The Law of Democracy: Legal Structure of the Political Process Foundation Press
[23] 웹사이트 Race, Voting Rights, and Segregation: Direct Disenfranchisement http://www.umich.edu[...] University of Michigan 2002-09
[24] 웹사이트 Voting Rights Act (1965) https://www.ourdocum[...] Our Documents
[25] 웹사이트 Public Law 88-352 https://www.senate.g[...]
[26] 웹사이트 Major Features of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http://www.congressl[...] Dirksen Congressional Center
[27] 서적 Eyes on the Prize: America's Civil Rights Years, 1954–1965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28] 서적 We Shall Overcome: The Civil Rights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50s and 1960s Carlson Publishing
[29] 웹사이트 Movement Revision Research Summary Regarding James Bevel http://cfm40.middleb[...] Middlebury College
[30] 뉴스 The Death of Jimmie Lee Jackson http://www.annistons[...] 2005-03-06
[31] 서적 Selma, 1965: The March That Changed the South Beacon Press 1985-07
[32] 문서 The March to Montgomery http://www.crmvet.or[...]
[33] 웹사이트 James Reeb http://www.ferris.ed[...] Ferris State University 2012-12
[34] 뉴스 Johnson Urges Congress at Joint Session to Pass Law Insuring Negro Vote https://www.nytimes.[...] 1965-03-15
[35] 웹사이트 South Carolina v. Katzenbach, 383 U.S. 301 (1966), at 313 and 314. Footnotes omitted.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66-03-07
[36] 웹사이트 South Carolina v. Katzenbach, 383 U.S. 301 (1966), at 327–329. Footnotes omitted.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66-03-07
[37] 웹사이트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www.congressl[...] Congresslink 2015-03-26
[38] 웹사이트 Voting Rights Act http://acsc.lib.udel[...] The Association of Centers for the Study of Congress 2016-05-29
[39] 논문 The 1982 Amendments to the Voting Rights Act: A Statutory Analysis of the Revised Bailout Provisions https://web.archive.[...] 2013-08-29
[40] 논문 The 1982 Amendments to the Voting Rights Act: A Legislative History http://scholarlycomm[...] 2013-08-31
[41]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3(c); {{uscsub|52|10302|c}} (formerly 42 U.S.C. § 1973a(c))
[42] 논문 The Voting Rights Act's Secret Weapon: Pocket Trigger Litigation and Dynamic Preclearance https://web.archive.[...] 2013-08-27
[43] 웹사이트 Senate Vote #67 in 1965: To Invoke Cloture and End Debate on S. 1564,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www.govtrack.[...] Civic Impulse, LLC 2013-10-14
[44] 웹사이트 Senate Vote #78 in 1965: To Pass S. 1564,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www.govtrack.[...] Civic Impulse, LLC 2013-10-14
[45] 웹사이트 House Vote #86 in 1965: To Recommit H.R. 6400, the 1965 Voting Rights Act, with Instructions to Substitute the Text of H.R. 7896 Prohibiting the Denial to Any Person of the Right to Register or to Vote Because of his Failure to Pay a Poll Tax or Any Other Such Tax, for the Language of the Committee Amendment http://www.govtrack.[...] Civic Impulse, LLC 2013-10-14
[46] 웹사이트 House Vote #87 in 1965: To Pass H.R. 6400,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www.govtrack.[...] Civic Impulse, LLC 2013-10-14
[47] 웹사이트 House Vote #107 in 1965: To Agree to Conference Report on S. 1564, the Voting Rights Act http://www.govtrack.[...] Civic Impulse, LLC 2013-10-14
[48] 웹사이트 Senate Vote #178 in 1965: To Agree to Conference Report on S. 1564,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www.govtrack.[...] Civic Impulse, LLC 2013-10-14
[49] 웹사이트 Rosa Parks Early Life & Childhood http://www.rosaparks[...] Rosa Park Facts.com 2008-06-01
[50] 웹사이트 Section 4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s://www.justice.[...] U.S. Department of Justice 2013-06-25
[51]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14(c)(3); {{uscsub|52|10310|c|3}} (formerly 42 U.S.C. § 1973l(c)(3))
[52] 논문 Enfranchising Language Minority Citizens: The Bilingual Election Provisions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s://web.archive.[...] 2014-01-03
[53] 간행물 https://digital.libr[...] 2017-09-15
[54] 문서 Reno v. Bossier Parish School Board
[55] 문서 Georgia v. Ashcroft
[56] 논문 The Promise and Pitfalls of the New Voting Rights Act https://web.archive.[...] 2013-09-21
[57] 웹사이트 Moving Forward on the VRAA http://www.naacpldf.[...] NAACP Legal Defense and Educational Fund, Inc. 2014-04-19
[58] 웹사이트 H.R. 885: Voting Rights Amendment Act of 2015 https://www.govtrack[...] govtrack.us 2015-12-27
[59] 웹사이트 Reps. Sensenbrenner and Conyers Reintroduce Bipartisan Voting Rights Amendment Act of 2017 https://web.archive.[...] 2019-11-15
[60] 논문 Voting Rights Act: Enforcement Needs Strengthening http://www.gao.gov/p[...] 2013-10-27
[61] 웹사이트 Allen v. State Bd. of Elections, 393 U.S. 544 (1969), at 565-566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69-03-03
[62]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2; {{usc|52|10301}} (formerly 42 U.S.C. § 1973)
[63] 뉴스 Chief Justice Roberts's lifelong crusade against voting rights, explained https://www.vox.com/[...] 2021-01-03
[64] 뉴스 The Supreme Court will hear a case that could destroy what remains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s://www.vox.com/[...] 2021-01-03
[65] 웹사이트 Supreme Court to Decide Significant Voting Case https://www.ncsl.org[...] The National Conference of State Legislatures 2021-01-03
[66] 논문 Public Rights and Private Rights of Action: The Enforcement of Federal Election Laws http://mckinneylaw.i[...] 2014-02-25
[67] 문서 Allen v. State Bd. of Elections
[68] 문서 Mobile v. Bolden
[69] 웹사이트 Section 2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s://www.justice.[...] U.S. Department of Justice 2013-11-17
[70] 뉴스 Voting Rights: Republicans Are Trying to Kill What's Left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s://www.motherjo[...] Mother Jones 2021-03-06
[71] 웹사이트 Constitution Check: Is another key part of the Voting Rights Act in trouble? https://constitution[...] National Constitution Center 2021-01-11
[72] 간행물 The Attack on Voting Rights http://beck.library.[...] 2017-02-26
[73] 웹사이트 Voting Rights Enforcement and Reauthorization: The Department of Justice's Record of Enforcing the Temporary Voting Rights Act Provisions http://www.usccr.gov[...] 2018-08-26
[74] 간행물 The Way Out: A Legal Standard for Imposing Alternative Electoral Systems as Voting Rights Remedies
[75] 웹사이트 Section 2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s://www.justice.[...]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2021-01-03
[76] 웹사이트 2020-12-07 Brief amicus curiae of United States in ''Brnovich v.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case Number 19-1257) and ''Arizona Republican Party v.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case number 19-1258), at pages 2–3. https://www.supremec[...] United States Supreme Court 2021-01-11
[77] 웹사이트 Chisom v. Roemer, 501 U.S. 380 (1991), at 394–395.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1-01-11
[78] 웹사이트 2020-12-07 Brief amicus curiae of United States in ''Brnovich v.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case Number 19-1257) and ''Arizona Republican Party v.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case number 19-1258), at pages 2–3 and 11. https://www.supremec[...] United States Supreme Court 2021-01-11
[79] 웹사이트 2020-12-07 Brief amicus curiae of United States in ''Brnovich v.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case Number 19-1257) and ''Arizona Republican Party v.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case number 19-1258), at pages 11 and 3. https://www.supremec[...] United States Supreme Court 2021-01-11
[80] 웹사이트 2020-04-27 Petition for a Writ of Certiorari to the United States Court of Appeals for the Ninth Circuit in ''Brnovich v.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at page 5. https://www.supremec[...] United States Supreme Court 2021-01-10
[81] 웹사이트 Brnovich v.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https://www.scotusbl[...] SCOTUSblog 2021-01-10
[82] 웹사이트 The Supreme Court Deals A New Blow To Voting Rights, Upholding Arizona Restrictions https://www.npr.org/[...] 2021-07-01
[83] 웹사이트 "''Brnovich v.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594 U.S. ___ (2021), Slip opinion, Syllabus, page 2" https://www.supremec[...] United States Supreme Court 2021-07-07
[84] 웹사이트 Supreme Court upholds Arizona restrictions in major voting rights, racial discrimination case https://abcnews.go.c[...] 2021-07-01
[85] 뉴스 Supreme Court Upholds Arizona Voting Restrictions https://www.nytimes.[...] 2021-07-07
[86] 뉴스 The Supreme Court leaves the Voting Rights Act alive — but only barely https://www.vox.com/[...] Vox.com 2023-07-02
[87] Source-attribution
[88] 웹사이트 "''Wesberry v. Sanders'', 376 U.S. 1 (1964), at 17-18."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1-01-05
[89] 뉴스 Jurisprudence: Neil Gorsuch Declares War on the Voting Rights Act https://slate.com/ne[...] Slate 2021-03-06
[90] 웹사이트 Addressing Minority Vote Dilution Through StateVoting Rights Acts. In: University of Chicago Public Law & LegalTheory Working Paper No. 47 (February 2014) https://chicagounbou[...] University of Chicago Law School Chicago Unbound 2021-03-06
[91] 간행물 The New Vote Denial: Where Election Reform Meets the Voting Rights Act
[92] 간행물 Whose Vote Counts? Minority Vote Dilution and Election Rights http://openscholarsh[...] 2015-03-26
[93] 웹사이트 The Role of Section 2 – Redistricting & Vote Dilution http://redrawingthel[...] NAACP Legal Defense Fund 2015-08-04
[94] 문서 Johnson v. De Grandy
[95] 문서 Thornburg v. Gingles
[96] 문서 Bartlett v. Strickland
[97] 간행물 Equal Opportunities Do Not Always Equate to Equal Representation: How Bartlett v. Strickland is a Regression in the Face of the Ongoing Civil Rights Movement https://archives.law[...] 2019-04-13
[98] 뉴스 Supreme Court Restricts Voting Rights Act's Scope https://www.washingt[...] 2009-03-10
[99] 문서 Campos v. City of Baytown
[100] 문서 Concerned Citizens v. Hardee County
[101] 문서 Badillo v. City of Stockton
[102] 문서 Nixon v. Kent County
[103] 문서 Frank v. Forest County
[104] 간행물 Understanding the Right to an Undiluted Vote http://digitalcommon[...] 2013-11-20
[105] 간행물 Thornburg v. Gingles: The Supreme Court's New Test for Analyzing Minority Vote Dilution https://scholarship.[...] 2019-04-13
[106] 판례 Goosby v. Town of Hempstead
[107] 판례 Lewis v. Alamance County
[108] 판례 League of United Latin American Citizens v. Clements
[109] 웹사이트 Reynolds v. Sims, 377 U.S. 533 (1964), at 555 and 561–562.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64-06-15
[110] 판례 Holder v. Hall
[111] 간행물 (e)Racing Democracy: The Voting Rights Cases http://www.law.harva[...] 2013-11-24
[112] 판례 Butts v. City of New York
[113] 판례 Jeffers v. Clinton
[114] 판례 Richardson v. Ramirez
[115] 판례 Mississippi State Chapter, Operation Push v. Allain
[116] 웹사이트 Three Strategies (So Far) to Strike Down Strict Voter ID Laws Under Section 2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fairelections[...] Fair Elections Legal Network 2013-11-11
[117] 법률 Voting Rights Act of 1965 § 201
[118] 간행물 The Voting Rights Act and the Era of Maintenance
[119] 간행물 Intent and Its Alternatives: Defending the New Voting Rights Act http://www.law.ua.ed[...] 2014-01-07
[120] 간행물 Election Law Violations http://www.americanc[...] 2019-04-13
[121] 간행물 Same Day Voter Registration: Post-Crawford Reform to Address the Growing Burdens on Lower-Income Voters https://heinonline.o[...] 2019-04-13
[122] 웹사이트 Section 3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s://www.justice.[...] U.S. Department of Justice 2013-03-04
[123] 웹사이트 Brief for the Federal Respondent, Shelby County v. Holder, 2013 United States Supreme Court Briefs No. 12-96 https://www.justice.[...] U.S. Department of Justice 2013-12-08
[124] 뉴스 GOP Has Tough Choices on Voting Rights Act https://news.yahoo.c[...] 2013-07-04
[125] 뉴스 Justice Department to Sue North Carolina over Vote Restrictions http://lawprofessors[...] 2013-09-30
[126] 뉴스 Judge Reinstates Some Federal Oversight of Voting Practices for an Alabama City https://www.nytimes.[...] 2014-01-14
[127] 간행물 The Power of Observation: The Role of Federal Observers Under the Voting Rights Act https://repository.l[...] 2019-04-13
[128] 법률 Voting Rights Act § 14(c)(2)
[129] 뉴스 Supreme Court Weighs Future Of Voting Rights Act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21-03-13
[130] 뉴스 Supreme Court Invalidates Key Part of Voting Rights Act https://www.nytimes.[...] 2013-06-25
[131] 잡지 High Court Rolls Back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s://swampland.ti[...] 2013-06-25
[132] 법률 Voting Rights Act of 1965 § 5
[133] 판례 Allen v. State Board of Elections
[134] 웹사이트 What Must Be Submitted Under Section 5 https://www.justice.[...] U.S. Department of Justice 2013-11-30
[135] 판례 Hathorn v. Lovorn
[136] 판례 Lopez v. Monterey County
[137] 간행물 The Real Story Behind the Justice Department's Implementation of Section 5 of the VRA: Vigorous Enforcement, As Intended by Congress http://scholarship.l[...] 2013-11-30
[138] 판례 Morris v. Gressette
[139] 간행물 What Changes in Voting Practices or Procedures Must be Precleared Under § 5 of Voting Rights Act of 1965 (42 U.S.C.A. § 1973c)
[140] 판례 Beer v. United States
[141] 논문 The End of Preclearance As We Knew It: How the Supreme Court Transformed Section 5 of the Voting Rights Act
[142] 논문 The Strange, Ironic Career of Section 5 of the Voting Rights Act, 1965–2007 http://connection.eb[...] 2013-11-16
[143]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5(b); {{uscsub|52|10304|b}} (formerly 42 U.S.C. § 1973c(b))
[144]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5(c); {{uscsub|52|10304|c}} (formerly 42 U.S.C. 1973c(c))
[145] 웹사이트 About Federal Observers and Election Monitoring https://www.justice.[...] U.S. Department of Justice 2014-01-03
[146]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4(a); {{uscsub|52|10303|a|1|F}} (formerly 42 U.S.C. § 1973b(a)(1)(F))
[147] 문서 "''[[Northwest Austin Municipal Utility District No. 1 v. Holder]]'', {{ussc|557|193|2009|source=f}}"
[148] 뉴스 Justices Let Stand a Central Provision of Voting Rights Ac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6-22
[149]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4(f)(4); {{uscsub|52|10303|f|4}} (formerly 42 U.S.C. § 1973b(f)(4))
[150] 논문 Voting Rights Act Amendments of 2006, Determinations Under Section 203 https://www.justice.[...] 2017-02-23
[151] 웹사이트 Milestone Documents: Voting Rights Act (1965)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22-02-08
[152] 웹사이트 Voting Rights Act (1965): Document Info http://www.ourdocume[...] Our Documents 2013-09-08
[153] 논문 The Impact of the Voting Rights Act on Black Representation in Southern State Legislatures http://www.socsci.uc[...] 2014-01-05
[154] 뉴스 What's Changed for African Americans Since 1963, By the Numbers https://www.washingt[...] 2013-08-22
[155] 논문 Documenting Discrimination in Voting: Judicial Findings Under Section 2 of the Voting Rights Act
[156] 논문 Why the Center Does Not Hold: The Causes of Hyperpolarized Democracy in America 2011-04
[157] 뉴스 Nixon's Southern Strategy: 'It's All in the Charts' https://www.nytimes.[...] 2008-08-02
[158] 논문 Valuing the Vote: The Redistribution of Voting Rights and State Funds following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s://academic.oup[...] 2014-02-01
[159] 논문 Race, Representation, and the Voting Rights Act 2016-12-01
[160] 논문 The Effect of the Voting Rights Act on Enfranchisement: Evidence from North Carolina 2018-02-23
[161] 논문 Do 40-Year-Old Facts Still Matter? Long-Run Effects of Federal Oversight under the Voting Rights Act 2019
[162] 논문 Voter Purges After Shelby: Part of Special Symposium on Election Sciences https://journals.sag[...] 2020-06-01
[163] 논문 Ballots instead of Bullets? The effect of the Voting Rights Act on political violence https://ideas.repec.[...] 2020-04-13
[164]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4(e); {{uscsub|52|10303|e}} (formerly 42 U.S.C. § 1973b(e))
[165] 논문 Federalism, Separation of Powers, and the Demise of the Religious Freedom Restoration Act http://heinonline.or[...] 2014-01-07
[166] 문서 "''[[Katzenbach v. Morgan]]'', {{ussc|384|641|1966}}"
[167] 문서 "''[[Oregon v. Mitchell]]'', {{ussc|400|112|1970}}"
[168] 문서 "''Mississippi Republican Executive Opinion v. Brooks'', {{ussc|469|1002|1984}}"
[169] 뉴스 Court Backs Voting Plan https://www.washingt[...] 2017-06-30
[170] 웹사이트 U.S. Supreme Court set to weigh Republican-backed voting restrictions https://www.reuters.[...] Reuters 2021-02-28
[171] 문서 "''[[South Carolina v. Katzenbach]]'', {{ussc|383|301|1966}}"
[172] 논문 Time is Still on Its Side: Why Congressional Reauthorization of Section 5 of the Voting Rights Act Represents a Congruent and Proportional Response to Our Nation's History of Discrimination in Voting http://www.nyujlpp.o[...] 2013-12-14
[173] 문서 "''City of Rome v. United States'', {{ussc|446|156|1980}}"
[174] 문서 "''Lopez v. Monterey County'' (''Lopez II''), {{ussc|525|266|1999}}"
[175] 논문 Lopez v. Monterey County: A Remedy Gone Too Far? http://0-www.heinonl[...] 2014-05-24
[176] 뉴스 Justices Retain Oversight by U.S. on Voting https://www.nytimes.[...] 2009-06-22
[177] 뉴스 Supreme Court Avoids Voting-Rights Act Fight https://online.wsj.c[...] 2009-06-23
[178] 뉴스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Supreme Court Voting Rights Act Case https://www.washingt[...] 2013-02-27
[179] 간행물 Piercing the Umbrella: The Dangerous Paradox of Shelby County v. Holder https://scholarship.[...] 2015
[180] 간행물 Voter Purges After Shelby 2020
[181] 문서 Shaw v. Reno
[182] 문서 Miller v. Johnson
[183] 간행물 Refining the Racial Gerrymandering Claim: Bush v. Vera http://digitalcommon[...]
[184] 문서 Bush v. Vera
[185] 웹사이트 Federal court threatens to deal a death blow to the Voting Rights Act https://www.nbcnews.[...] 2023-11-20
[186] 웹사이트 Public Law 91-285 http://www.gpo.gov/f[...] 1970-06-22
[187] 웹사이트 Public Law 94-73 http://www.gpo.gov/f[...] 1975-08-06
[188] 웹사이트 Public Law 97-205 http://www.gpo.gov/f[...] 1982-06-29
[189] 웹사이트 Public Law 102-344 http://www.gpo.gov/f[...] 1992-08-26
[190] 웹사이트 Public Law 109-246 http://www.gpo.gov/f[...] 2006-07-27
[191] 웹사이트 Public Law 110-258 http://www.gpo.gov/f[...] 2008-07-01
[192] 웹사이트 History of Federal Voting Rights Laws: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www.justice.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193] 웹사이트 Voting Rights Act http://nvrmi.com/?pa[...] National Voting Rights Museum and Institute
[194]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Federal Voting Rights Laws: The Effect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www.justice.g[...] U.S. Department of Justice 2009-06-19
[195] 웹사이트 About Section 5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www.justice.g[...] U.S. Department of Justice
[196] 문서 Shelby County v. Holder https://supreme.just[...]
[197] 웹사이트 Details on Shelby County v. Holder: In Plain English http://www.scotusblo[...] 2013-06-25
[198] 문서 United States Constitution art. I, sec. 2, cl. 1
[199] 서적 Bending Toward Justice: The Voting Rights Act and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n Democracy Basic Books 2013-04-09
[200] 웹사이트 Landmark Legislation: Thirteenth, Fourteenth, & Fifteenth Amendments http://www.senate.go[...] United States Senate
[201] 문서 South Carolina v. Katzenbach
[202] 서적 The Law of Democracy: Legal Structure of the Political Process Foundation Press
[203] 웹사이트 Race, Voting Rights, and Segregation: Direct Disenfranchisement http://www.umich.edu[...] University of Michigan 2002-09
[204] 웹사이트 Public Law 88-352 http://www.senate.go[...]
[205] 웹사이트 Major Features of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http://www.congressl[...] Dirksen Congressional Center
[206] 서적 Eyes on the Prize: America's Civil Rights Years, 1954–1965 Penguin Books
[207] 서적 We Shall Overcome: The Civil Rights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50s and 1960s Carlson Publishing
[208] 웹사이트 Movement Revision Research Summary Regarding James Bevel http://cfm40.middleb[...] Middlebury College
[209] 뉴스 The Death of Jimmie Lee Jackson http://www.annistons[...] 2005-03-06
[210] 서적 Selma, 1965: The March That Changed the South Beacon Press 1985-07
[211] 뉴스 Johnson Urges Congress at Joint Session to Pass Law Insuring Negro Vote http://www.nytimes.c[...] 1965-03-15
[212] 웹사이트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www.congressl[...] Congresslink
[213] 웹사이트 Voting Rights Act · The Legislation http://acsc.lib.udel[...] 2016-04-06
[214] 간행물 The 1982 Amendments to the Voting Rights Act: A Statutory Analysis of the Revised Bailout Provisions http://digitalcommon[...]
[215] 간행물 The 1982 Amendments to the Voting Rights Act: A Legislative History http://scholarlycomm[...]
[216]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3(c); {{usc|52|10302(c)}} (formerly 42 U.S.C. § 1973a(c))
[217] 간행물 The Voting Rights Act's Secret Weapon: Pocket Trigger Litigation and Dynamic Preclearance http://www.yalelawjo[...]
[218] 서적 The Fierce Urgency of Now: Lyndon Johnson, Congress, and the Battle for the Great Society Penguin Press
[219] 웹사이트 Senate Vote #67 in 1965: To Invoke Cloture and End Debate on S. 1564,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www.govtrack.[...] Civic Impulse, LLC
[220] 웹사이트 Senate Vote #78 in 1965: To Pass S. 1564,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www.govtrack.[...] Civic Impulse, LLC
[221] 웹사이트 House Vote #86 in 1965: To Recommit H.R. 6400, the 1965 Voting Rights Act, with Instructions to Substitute the Text of H.R. 7896 Prohibiting the Denial to Any Person of the Right to Register or to Vote Because of his Failure to Pay a Poll Tax or Any Other Such Tax, for the Language of the Committee Amendment http://www.govtrack.[...] Civic Impulse, LLC
[222] 웹사이트 House Vote #87 in 1965: To Pass H.R. 6400,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www.govtrack.[...] Civic Impulse, LLC
[223] 웹사이트 House Vote #107 in 1965: To Agree to Conference Report on S. 1564, the Voting Rights Act http://www.govtrack.[...] Civic Impulse, LLC
[224] 웹사이트 Senate Vote #178 in 1965: To Agree to Conference Report on S. 1564,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www.govtrack.[...] Civic Impulse, LLC
[225] 웹사이트 Rosa Parks Early Life & Childhood http://www.rosaparks[...] Rosa Park Facts.com 2008-06-01
[226] 웹사이트 Section 4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www.justice.g[...] U.S. Department of Justice
[227]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14(c)(3); {{usc|52|10310(c)(3)}} (formerly 42 U.S.C. § 1973l(c)(3))
[228] 간행물 Enfranchising Language Minority Citizens: The Bilingual Election Provisions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www.nyujlpp.o[...]
[229] 문서 http://fpc.state.gov[...]
[230] 문서 Georgia v. Ashcroft
[231] 문서 Reno v. Bossier Parish School Board
[232] 간행물 The Promise and Pitfalls of the New Voting Rights Act http://yalelawjourna[...]
[233] 웹사이트 Moving Forward on the VRAA http://www.naacpldf.[...] NAACP Legal Defense and Educational Fund, Inc.
[234] 웹사이트 H.R. 885: Voting Rights Amendment Act of 2015 https://www.govtrack[...] govtrack.us 2015-12-27
[235] 웹사이트 Voting Rights Act: Enforcement Needs Strengthening http://www.gao.gov/p[...]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GAO) 1978-02-06
[236]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2; {{usc|52|10301}} (formerly 42 U.S.C. § 1973)
[237] 간행물 Public Rights and Private Rights of Action: The Enforcement of Federal Election Laws http://mckinneylaw.i[...]
[238] 문서 Mobile v. Bolden
[239] 웹사이트 Section 2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www.justice.g[...] U.S. Department of Justice
[240] 간행물 The Attack on Voting Rights http://beck.library.[...]
[241] 웹사이트 Voting Rights Enforcement and Reauthorization: The Department of Justice's Record of Enforcing the Temporary Voting Rights Act Provisions http://www.usccr.gov[...] 2006-05
[242] 간행물 The Way Out: A Legal Standard for Imposing Alternative Electoral Systems as Voting Rights Remedies http://papers.ssrn.c[...]
[243] 문서 Senate Report No. 97-417 (1982), reprinted in 1982 U.S.C.C.A.N. 177
[244] 간행물 The New Vote Denial: Where Election Reform Meets the Voting Rights Act http://papers.ssrn.c[...]
[245] 간행물 Whose Vote Counts? Minority Vote Dilution and Election Rights http://openscholarsh[...]
[246] 웹사이트 The Role of Section 2 - Redistricting & Vote Dilution http://redrawingthel[...] NAACP Legal Defense Fund 2015-08-04
[247] 판례 Johnson v. De Grandy
[248] 판례 Thornburg v. Gingles
[249] 판례 Bartlett v. Strickland
[250] 학술지 Equal Opportunities Do Not Always Equate to Equal Representation: How Bartlett v. Strickland is a Regression in the Face of the Ongoing Civil Rights Movement https://litigation-e[...] 2013-11-18
[251] 뉴스 Supreme Court Restricts Voting Rights Act's Scope https://www.washingt[...] 2009-03-10
[252] 판례 Campos v. City of Baytown
[253] 판례 Concerned Citizens v. Hardee County
[254] 판례 Badillo v. City of Stockton
[255] 판례 Nixon v. Kent County
[256] 판례 Frank v. Forest County
[257] 학술지 Understanding the Right to an Undiluted Vote http://digitalcommon[...] 2013-11-20
[258] 학술지 Thornburg v. Gingles: The Supreme Court's New Test for Analyzing Minority Vote Dilution https://litigation-e[...] 2013-11-17
[259] 판례 Goosby v. Town of Hempstead
[260] 판례 Lewis v. Alamance County
[261] 판례 League of United Latin American Citizens v. Clements
[262] 판례 Holder v. Hall
[263] 학술지 (e)Racing Democracy: The Voting Rights Cases http://www.law.harva[...] 2013-11-24
[264] 판례 Butts v. City of New York
[265] 판례 Jeffers v. Clinton
[266] 판례 Richardson v. Ramirez
[267] 판례 Mississippi State Chapter, Operation Push v. Allain
[268] 웹사이트 Three Strategies (So Far) to Strike Down Strict Voter ID Laws Under Section 2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fairelections[...] Fair Elections Legal Network 2013-11-11
[269] 법률 Voting Rights Act of 1965 § 201
[270] 학술지 The Voting Rights Act and the Era of Maintenance http://papers.ssrn.c[...] 2014-01-04
[271] 학술지 Intent and Its Alternatives: Defending the New Voting Rights Act http://www.law.ua.ed[...] 2014-01-07
[272] 학술지 Election Law Violations https://litigation-e[...] 2014-01-04
[273] 학술지 Same Day Voter Registration: Post-Crawford Reform to Address the Growing Burdens on Lower-Income Voters https://litigation-e[...] 2014-01-04
[274] 웹사이트 Section 3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www.justice.g[...] U.S. Department of Justice 2013-03-04
[275] 웹사이트 Brief for the Federal Respondent, Shelby County v. Holder, 2013 United States Supreme Court Briefs No. 12-96 http://www.justice.g[...] U.S. Department of Justice 2013-12-08
[276] 뉴스 GOP Has Tough Choices on Voting Rights Act http://news.yahoo.co[...] 2013-07-04
[277] 뉴스 Justice Department to Sue North Carolina over Vote Restrictions http://lawprofessors[...] 2013-09-30
[278] 뉴스 Judge Reinstates Some Federal Oversight of Voting Practices for an Alabama City http://www.nytimes.c[...] 2014-01-14
[279] 학술지 The Power of Observation: The Role of Federal Observers Under the Voting Rights Act https://litigation-e[...] 2014-01-01
[280] 법률 Voting Rights Act § 14(c)(2)
[281] 뉴스 Supreme Court Invalidates Key Part of Voting Rights Act http://www.nytimes.c[...] 2013-06-25
[282] 뉴스 High Court Rolls Back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swampland.tim[...] 2013-06-25
[283]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5;
[284] 문서 Allen v. State Board of Elections
[285] 웹사이트 What Must Be Submitted Under Section 5 http://www.justice.g[...] U.S. Department of Justice 2013-11-30
[286] 문서 Hathorn v. Lovorn
[287] 문서 Lopez v. Monterey County
[288] 간행물 The Real Story Behind the Justice Department's Implementation of Section 5 of the VRA: Vigorous Enforcement, As Intended by Congress http://scholarship.l[...] 2013-11-30
[289] 문서 Morris v. Gressette
[290] 간행물 What Changes in Voting Practices or Procedures Must be Precleared Under § 5 of Voting Rights Act of 1965 (42 U.S.C.A. § 1973c) http://legalsolution[...]
[291] 문서 Beer v. United States
[292] 간행물 The End of Preclearance As We Knew It: How the Supreme Court Transformed Section 5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papers.ssrn.c[...] 2013-12-08
[293] 간행물 The Strange, Ironic Career of Section 5 of the Voting Rights Act, 1965–2007 http://connection.eb[...] 2013-11-16
[294]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5(b);
[295]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5(c);
[296] 웹사이트 About Federal Observers and Election Monitoring http://www.justice.g[...] U.S. Department of Justice 2014-01-03
[297]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4(a);
[298] 문서 Northwest Austin Municipal Utility District No. 1 v. Holder
[299] 뉴스 Justices Let Stand a Central Provision of Voting Rights Act http://www.nytimes.c[...] 2009-06-23
[300]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4(f)(4);
[301] 간행물 Voting Rights Act Amendments of 2006, Determinations Under Section 203 http://www.justice.g[...] 2011-10-13
[302] 웹사이트 Voting Rights Act (1965): Document Info http://www.ourdocume[...] Our Documents 2013-09-08
[303] 간행물 The Impact of the Voting Rights Act on Black Representation in Southern State Legislatures http://www.socsci.uc[...] 1991-02
[304] 뉴스 What's Changed for African Americans Since 1963, By the Numbers https://www.washingt[...] 2013-08-22
[305] 간행물 Documenting Discrimination in Voting: Judicial Findings Under Section 2 of the Voting Rights Act http://papers.ssrn.c[...] 2014-01-05
[306] 간행물 Why the Center Does Not Hold: The Causes of Hyperpolarized Democracy in America http://papers.ssrn.c[...] 2014-01-06
[307] 뉴스 Nixon's Southern Strategy: 'It's All in the Charts'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1970-05-17
[308] 문서 Voting Rights Act of 1965 § 4(e);
[309] 문서 Lassiter v. Northampton County Board of Elections
[310] 간행물 Federalism, Separation of Powers, and the Demise of the Religious Freedom Restoration Act http://heinonline.or[...] 2014-01-07
[311] 문서 Katzenbach v. Morgan
[312] 문서 Oregon v. Mitchell
[313] 문서 Mississippi Republican Executive Opinion v. Brooks
[314] 문서 South Carolina v. Katzenbach
[315] 간행물 Time is Still on Its Side: Why Congressional Reauthorization of Section 5 of the Voting Rights Act Represents a Congruent and Proportional Response to Our Nation's History of Discrimination in Voting http://www.nyujlpp.o[...] 2013-12-14
[316] 판례 City of Rome v. United States
[317] 판례 Lopez v. Monterey County
[318] 학술지 Lopez v. Monterey County: A Remedy Gone Too Far? http://0-www.heinonl[...] 2000
[319] 뉴스 Justices Retain Oversight by U.S. on Voting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2009-06-22
[320] 뉴스 Supreme Court Avoids Voting-Rights Act Fight http://online.wsj.co[...] The Wall Street Journal 2009-06-23
[321] 웹사이트 Certiorari Granted http://www.supremeco[...] U.S. Supreme Court 2012-11-09
[322] 뉴스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Supreme Court Voting Rights Act Case https://www.washingt[...] 2013-02-27
[323] 학술지 Piercing the Umbrella: The Dangerous Paradox of Shelby County v. Holder https://litigation-e[...] 2015
[324] 판례 Shaw v. Reno
[325] 판례 Miller v. Johnson
[326] 학술지 Refining the Racial Gerrymandering Claim: Bush v. Vera http://digitalcommon[...]
[327] 판례 Bush v. Vera
[328] 웹인용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www.usdoj.gov[...] U.S. Department of Justice 2008-08-29
[329] 웹인용 Our Documents - Civil Rights Act (1964) http://www.ourdocum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2010-07-28
[330] 웹인용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www.ourdocume[...] U.S. National Archives 2008-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