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9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9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는 1966년부터 기민련과 사민당의 대연정 내 갈등으로 인해 치러졌다. 선거운동 과정에서 사민당의 빌리 브란트가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었고, 선거 결과 사민당은 자유민주당과 연립하여 브란트를 총리로 선출했다. 이로써 기민련은 서독 수립 20년 만에 처음으로 야당이 되었으며, 브란트 정부는 동방 정책을 추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9년 서독 - 제1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제1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1969년에 개최되었으며, 젤리미르 질니크 감독의 《초기 작품》이 황금곰상을 수상하고, 사회 비판적인 영화들과 독립 영화들이 주목받았다.
1969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 |
---|---|
선거 개요 | |
국가 | 서독 |
선거 유형 | 의회 선거 |
이전 선거 | 1965년 서독 연방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65년 |
선거일 | 1969년 9월 28일 |
다음 선거 | 1972년 서독 연방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972년 |
선출 의석 | 독일 분데스타크 496석 |
과반 의석 | 249석 |
등록 유권자 | 38,677,235명 |
투표율 | 86.7% |
이전 투표율 | 86.8% |
선거 결과 (정당별) | |
정당 | 기민련/기사련 |
지도자 |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 |
이전 선거 득표율 | 47.6% |
이전 선거 의석수 | 245석 |
당선 의석 | 242석 |
의석 변동 | 감소 3석 |
득표수 | 15,195,187표 |
득표율 | 46.1% |
득표율 변동 | 감소 1.5% |
정당 (2) | 사민당 |
지도자 (2) | 빌리 브란트 |
이전 선거 득표율 (2) | 39.3% |
이전 선거 의석수 (2) | 202석 |
당선 의석 (2) | 224석 |
의석 변동 (2) | 증가 22석 |
득표수 (2) | 14,065,716표 |
득표율 (2) | 42.7% |
득표율 변동 (2) | 증가 3.4% |
정당 (3) | 자유민주당 |
지도자 (3) | 발터 셸 |
이전 선거 득표율 (3) | 9.5% |
이전 선거 의석수 (3) | 49석 |
당선 의석 (3) | 30석 |
의석 변동 (3) | 감소 19석 |
득표수 (3) | 1,903,422표 |
득표율 (3) | 5.8% |
득표율 변동 (3) | 감소 3.7% |
선거 지도 | |
![]() | |
정부 구성 | |
선거 전 정부 | 키징거 내각 |
선거 전 정당 | 기민련–사민당 |
선거 후 정부 | 빌리 브란트 내각 |
선거 후 정당 | 사민당–자유민주당 |
2. 배경
1966년 루드비히 에르하르트 총리가 사임한 후,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를 총리로 하는 기민련-사민당 대연정이 성립되었고, 빌리 브란트는 부총리 겸 외무장관을 맡았다.
2. 1. 대연정의 갈등과 브란트의 부상
1966년 이후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 총리 하에 기민련과 사민당 간의 대연정이 성립했다. 그러나 대연정은 마르크화 가치 재정립 문제를 둘러싼 사민당 소속 경제장관과 기민련 소속 재정장관 간의 갈등으로 사실상 끝나 있었다.[1][2][3]카를 실러 경제부 장관(사민당)은 독일의 인플레이션율과 기업 소득 증가율을 줄이기 위해 서독 통화인 독일 마르크의 재평가(대외 가치 증가)를 제안했다. 그는 또한 서독이 수출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를 줄이기를 원했다. 그러나 그의 상대인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재무부 장관(기사련)은 바이에른 농민들의 반대를 이유로 독일 마르크의 재평가를 거부했다. 유럽 경제 공동체의 식료품 가격은 미국 달러로 지불되었고, 독일 마르크의 재평가는 서독 농민에게 불리하게 작용했을 것이다.[1][2][3]
이러한 재평가 갈등으로 인해 연정은 이미 1969년 정기 연방의회 선거 전에 사실상 종료되었다. 한편, 1961년과 1965년 이후 세 번째로 총리직에 도전한 빌리 브란트는 독일 학생 운동의 좌익 지식인과 활동가와 같이 기민당 주도 연립 정부에 의해 무시당했다고 느꼈던 그룹의 동정심을 얻었고, 그의 명석한 지성, 뛰어난 자기 통제력, 정직한 태도는 평범한 서독 국민들에게 호감을 주었다.[1][2][3]
3. 선거 운동
1966년 12월 1일 루드비히 에르하르트 총리가 사임한 후,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 총리(기독교민주연합)와 빌리 브란트 부총리 겸 외무장관(사회민주당)의 지도 하에 서독은 대연정으로 통치되었다.
카를 실러 경제부 장관(사민당)은 독일의 인플레이션율과 기업 소득 증가율을 줄이기 위해 서독 통화인 독일 마르크의 재평가(대외 가치 증가)를 제안했다. 그는 또한 서독이 수출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를 줄이기를 원했다. 그러나 그의 상대인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재무부 장관(기사련)은 독일 마르크의 재평가를 거부했는데, 그가 지지하는 바이에른 농민들이 이를 반대했기 때문이다. 유럽 경제 공동체의 식료품 가격은 미국 달러로 지불되었고, 독일 마르크의 재평가는 서독 농민에게 불리하게 작용했을 것이다(즉, 다른 서유럽인들이 구매하기에 더 비싸게 만들었을 것이다).[1]
이러한 재평가 갈등으로 인해 연정은 이미 1969년 정기 연방의회 선거 전에 사실상 종료되었다. 충분한 수의 서독 유권자들이 사회민주당 지도자이자 외무장관인 빌리 브란트에게 서독을 통치할 기회를 주고자 했다. 1961년과 1965년 이후 세 번째로 출마한 브란트는 독일 학생 운동의 좌익 지식인과 활동가와 같이 기민당 주도 연립 정부에 의해 무시당했다고 느꼈던 그룹에 대해 동정심을 보였다. 그의 명석한 지성, 뛰어난 자기 통제력, 정직한 태도는 평범한 서독 국민들에게 어필했다.[2][3]
4. 선거 결과
1969년 9월 28일에 치러진 독일 연방의회 선거 결과, 사회민주당(SPD)은 42.7%의 득표율로 원내 제1당이 되었다. 기독교민주연합(CDU)과 기독교사회연합(CSU)은 각각 36.6%, 9.5%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자유민주당(FDP)은 5.8%의 득표율로 원내 진출에 성공했다.
이번 선거에는 등록 유권자 38,677,235명 중 33,523,064명이 투표에 참여하여 86.7%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4. 1. 정당별 득표율 및 의석수
정당 | 지역구 득표율 (%) | 지역구 의석 | 비례대표 득표율 (%) | 비례대표 의석 | 총 의석 | 의석 증감 |
---|---|---|---|---|---|---|
사회민주당 (SPD) | 44.0 | 127 | 42.7 | 97 | 237 | +20 |
독일 기독교 민주연합 (CDU) | 37.1 | 87 | 36.6 | 106 | 201 | -1 |
바이에른 기독교 사회연합 (CSU) | 9.5 | 34 | 9.5 | 15 | 49 | ±0 |
자유민주당 (FDP) | 4.8 | 0 | 5.8 | 30 | 31 | -19 |
독일 국가민주당 (NPD) | 3.6 | 0 | 4.3 | 0 | 0 | ±0 |
기타 정당 | 1.0 | 0 | 1.1 | 0 | 0 | ±0 |
합계 | 100 | 248 | 100 | 248 | 518 | ±0 |
[1]
1969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사회민주당은 자유민주당과 연립정부를 구성하여 빌리 브란트 총재를 총리로 선출했다. 이로써 서독 최초의 사민당 총리가 탄생했다. 한편, 이 선거에서 국가민주당은 '라인강의 기적' 이후 경제 성장률 저하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을 바탕으로 득표율을 올렸으나, 0.7%p 차이로 원내 진입에는 실패했다.
4. 2. 주별 선거 결과
주 | 총 의석 | 획득 의석 | ||
---|---|---|---|---|
SPD | CDU | CSU |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36 | 9 | 27 | |
바이에른주 | 44 | 10 | 34 | |
브레멘 | 3 | 3 | ||
함부르크 | 8 | 8 | ||
헤센주 | 22 | 20 | 2 | |
니더작센주 | 30 | 18 | 12 |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 73 | 47 | 26 | |
라인란트-팔츠주 | 16 | 6 | 10 | |
자르란트 | 5 | 2 | 3 |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 11 | 4 | 7 | |
총계 | 248 | 127 | 87 | 34 |
주 | 총 의석 | 획득 의석 | |||
---|---|---|---|---|---|
CDU | SPD | FDP | CSU |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34 | 10 | 18 | 6 | |
바이에른주 | 40 | 21 | 4 | 15 | |
브레멘 | 2 | 2 | |||
함부르크 | 9 | 6 | 2 | 1 | |
헤센주 | 24 | 17 | 4 | 3 | |
니더작센주 | 33 | 18 | 11 | 4 |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 78 | 43 | 26 | 9 | |
라인란트팔츠주 | 15 | 6 | 7 | 2 | |
자르란트 | 3 | 1 | 2 |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 10 | 3 | 6 | 1 | |
총합 | 248 | 106 | 97 | 30 | 15 |
5. 선거 이후
1969년 총선 결과 기민련이 1당을 유지했지만, 언론들은 대체로 기민련의 신승으로 보도했다.[6] 그러나 선거 다음 날 사민당 대표 빌리 브란트는 자민당과 연정을 구성하겠다고 선언하면서, 독일 정국은 자민당의 선택에 따라 총리가 결정되는 상황이 되었다. 9월 30일 발터 셸은 사민당과의 연정을 발표했고,[7] 10월 3일 양당 의원총회는 이를 승인했다.[8] 이로써 기민련은 서독 수립 20년 만에 처음으로 야당이 되었다.
5. 1. 브란트 정부의 출범과 동방 정책

빌리 브란트는 헤르베르트 베너나 헬무트 슈미트와 같은 당내 여러 사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기민/기사련과의 대연정을 끝내고, 자유민주당 (FDP)과 사회자유 연립을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1969년 10월 21일, 그는 전후 최초의 독일 연방 수상으로 선출되었으며, 마지막 사회민주당 출신 수상은 1928년부터 1930년까지 헤르만 뮐러였다. FDP 의장 발터 셰엘은 브란트의 뒤를 이어 부총리 겸 외무부 장관이 되었다. 브란트 정부는 쉴러가 제안한 대로 재평가를 진행하여 10월 말에 마르크화 가치를 9.3% 인상했다.[4]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는 실망하여 믿음 없는 자유주의자들에 대해 격렬하게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기민당에 대한 다수 득표를 다시 달성했지만, 자신의 당을 야당으로 이끌어야 했다. 1971년에는 라이너 바르첼이 그의 뒤를 이어 당 의장이 되었다.
그러나 브란트 내각 I은 연방 하원에서 12표의 절대 다수 (''수상 과반수'')에만 의존할 수 있었다. FDP 및 SPD 당원들이 브란트의 ''동방 정책''에 항의하여 여러 차례 당적을 변경한 결과 1972년 서독 연방 선거가 치러졌다.
5. 2. 기민련의 야당화
선거 결과 기민련이 1당을 지켰지만, 언론들은 대체로 기민련의 신승으로 보도했다.[6] 그러나 선거 다음 날, 사민당의 빌리 브란트는 자민당과의 연정을 선언했다. 이로써 독일 정국은 자민당의 선택에 따라 총리가 결정되는 상황이 되었다. 9월 30일 발터 셸은 사민당과의 연정을 발표했고,[7] 10월 3일 양당 의원총회는 이를 승인했다.[8] 이로써 기민련은 서독 수립 20년 만에 처음으로 야당이 되었다.빌리 브란트는 헬무트 슈미트 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기민/기사련과의 대연정을 끝내고 자유민주당(FDP)과 사회자유 연립을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1969년 10월 21일, 그는 전후 최초의 독일 연방 수상으로 선출되었다. FDP 의장 발터 셰엘은 브란트의 뒤를 이어 부총리 겸 외무부 장관이 되었다.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는 자유주의자들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며, 다수 득표를 달성했음에도 자신의 당을 야당으로 이끌어야 했다. 1971년 라이너 바르첼이 그의 뒤를 이어 당 의장이 되었다.
그러나 브란트 내각 I은 연방 하원에서 12표의 절대 다수에만 의존할 수 있었다. FDP 및 SPD 당원들이 브란트의 ''동방 정책''에 항의하여 여러 차례 당적을 변경한 결과, 1972년 서독 연방 선거가 치러졌다.
5. 3. 1972년 조기 총선
빌리 브란트는 헤르베르트 베너나 헬무트 슈미트와 같은 당내 여러 사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기민/기사련과의 대연정을 끝내고, 대신 자유민주당 (FDP)과 사회자유 연립을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브란트 내각 I은 연방 하원에서 12표의 절대 다수 (''수상 과반수'')에만 의존할 수 있었다. FDP 및 SPD 당원들이 브란트의 ''동방 정책''에 항의하여 여러 차례 당적을 변경한 결과 1972년 서독 연방 선거가 치러졌다.[4]참조
[1]
서적
Grimberg's History of the Nations, volume 22: From Peace to the Cold War
WSOY
[2]
서적
Grimberg's History of the Nations, volume 23: The Rich West
[3]
서적
A History of West Germany, volume 2: Democracy and Its Discontents, 1963–1988
Basil Blackwell
[4]
서적
The Economics of Global Turbulence: The Advanced Capitalist Economies from Long Boom to Long Downturn, 1945-2005
https://books.google[...]
Verso
[5]
웹인용
Voter turnout by election year
http://www.bundeswah[...]
The Federal Returning Officer
2014-11-07
[6]
뉴스
'基民' 46%로 辛勝
1969-09-29
[7]
뉴스
西獨聯政에 社民·自民 제휴
1969-09-30
[8]
뉴스
社·自民 聯政승인
1969-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